“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웅운(熊惲) - 성왕(成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671~B.C.626. 송(宋) 나라를 대파하고 기(夔)를 멸망시킨 다음 태산(泰山) 이남까지 세력을 확장하였으나, 아들 상신(商臣)의 반란으로 자살함.
?~B.C.62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웅자(熊貲) - 문왕(文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689~B.C.675. 무왕(武王)의 아들로, 즉위 후 영(郢)으로 천도하고, 여러 나라를 정벌하여 영토를 확장하는 등 부국강병을 이룸. 화씨벽(和氏璧)의 진가를 인정한 고사로도 유명함.
?~B.C.67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웅주(熊州) - 공주(公州)
충청남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백제(百濟)의 도읍 중 하나.
충청도>공주 , 지명>행정지명
-
웅지(熊只) - 웅천(熊川)
경상남도 남부에 있었던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에 제포(薺浦)와 왜관(倭館)을 통하여 대일(對日) 무역이 활발히 이루어짐. 현재는 경상남도 진해시(鎭海市)ㆍ창원시(昌原市) 등에 편입됨.
경상도>웅천 , 지명>행정지명
-
웅진(熊津) - 공주(公州)
충청남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백제(百濟)의 도읍 중 하나.
충청도>공주 , 지명>행정지명
-
웅진(熊軫) - 소왕(昭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 B.C.515~B.C.489. 평왕(平王)의 아들. 공자(孔子)에게 서사(書社)의 땅을 봉하려 하다가 영윤(令尹) 자서(子西)의 간을 듣고 그만둠.
?~B.C.4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웅진강(熊津江) - 금강(錦江)
전라북도 장수(長水)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군산만(群山灣)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 6대 하천의 하나.
전라도>장수 , 지명>자연지명
-
웅천(熊川)@공주 - 공주(公州)
충청남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백제(百濟)의 도읍 중 하나.
충청도>공주 , 지명>행정지명
-
웅천도(熊川徒) - 홍문공도(弘文公徒)
고려 문종(文宗) 때 개경(開京)에 설립된 사숙(私塾). 사학 십이도(私學十二徒)의 하나. 예부 상서(禮部尙書) 정배걸(鄭倍傑)이 세웠으며, 그의 시호인 ‘홍문(弘文)’이 명칭이 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집단>기타집단
-
웅천사(熊天使) - 웅화(熊化)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1609년(광해군 1)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제가 보낸 선조(宣祖)에 대한 제(祭)와 시호(諡號) 및 부의(賻儀)를 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웅천주(熊川州) - 공주(公州)
충청남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백제(百濟)의 도읍 중 하나.
충청도>공주 , 지명>행정지명
-
웅치사(熊峙寺) - 운흥사(雲興寺)
통일신라 효공왕(孝恭王) 때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전라도 나주(羅州)의 덕룡산(德龍山)에 창건한 사찰.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나주 , 유적>건물>사찰
-
웅화(熊鉌) - 웅화(熊禾)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무이산(武夷山)에 들어가 홍원서당(洪源書堂)을 건립하고 강학하였으며, 사서(四書)를 주소(註疏)함.
1135~119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웅횡(熊橫) - 경양왕(頃襄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諸侯). 재위 B.C.298~B.C.263. 간신들을 중용하고 주색(酒色)에 빠져 국정을 돌보지 않음.
?~B.C.26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원(㥳) - 민원(閔㥳)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1498년(연산군 4)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우부승지를 지냈음. 충청도 관찰사를 지낸 민사건(閔師騫)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이호(李浩) - 이잠(李潛)@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종친. 영양군(永陽君) 이거(李岠)의 손자로, 능해군(綾海君) 구성(具宬)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이호(李淏) - 효종(孝宗)@조선
조선 제17대 왕. 재위 1649~1659. 병자호란(丙子胡亂) 직후 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 나라의 볼모로 8년간 머묾. 즉위 후 송시열(宋時烈)을 중용하여 북벌계획을 수립하고, 대동법(大同法) 시행과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조하는 등 경제시책에 업적을 남김.
1619~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호(李祜) - 효령대군(孝寧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의 소생으로,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였고, 세종ㆍ문종ㆍ단종ㆍ세조ㆍ예종ㆍ성종으로부터 극진한 존경과 대우를 받았으며, 많은 불사(佛事)를 주관하여 불교의 보호와 진흥에 공헌함.
1396~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이호(梨湖) - 김안국(金安國)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사림파(士林派)의 학통을 계승하고,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
1478~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호(而灝) - 이혼(李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이석형(李石亨)의 아들로,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ㆍ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지냄.
14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이호(梨湖) - 김만균(金萬均)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장생(金長生)의 증손자로, 김익희(金益熙)의 아들이며 강원 감사(江原監司) 김진옥(金鎭玉)의 아버지.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631~167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이호랑은(梨湖浪隱) - 김안국(金安國)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사림파(士林派)의 학통을 계승하고,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
1478~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홍(以洪) - 박이홍(朴以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함양(咸陽). 조광조(趙光祖)의 문하생으로, 현량과(賢良科)에 추천되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이홍위(李弘暐) - 단종(端宗)
조선 제6대 왕. 재위 1452~1455. 문종(文宗)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폐위되어 상왕(上王)ㆍ노산군(魯山君)ㆍ서인(庶人)으로까지 강등되었다가, 1457년(세조 3) 영월(寧越)에서 죽음을 당함. 1698년(숙종 24) 복위됨.
1441~145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홍재(李弘齋) - 이번(李燔)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희가 죽은 후 백록서원(白鹿書院)의 당장(堂長)을 맡아 학문을 성대히 일으켰으며, 황간(黃榦)과 더불어 ‘황이(黃李)’로 일컬어짐.
1163~123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화(而和)@성황 - 성황(成鎤)
조선 효종(孝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다섯째 아들로, 학문에 힘쓰고, 하진(河溍)ㆍ조임도(趙任道) 등과 교류함.
1595~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이화(而和) - 김중청(金中淸)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몽호(金夢虎)의 아들. 박승임(朴承任)ㆍ조목(趙穆)ㆍ정구(鄭逑)의 문인. 정언(正言)으로 폐모론을 반대하는 이원익(李元翼)을 탄핵하라는 대북파(大北派) 정인홍(鄭仁弘)의 부탁을 거절하자 파면됨.
1567~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이화(李和)@이화 - 이화(李華)@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응양군 대장군(鷹揚軍大將軍)을 지낸 이천(李仟)의 막내 아들로,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이화보(李和父) - 이재(李宰)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셋째 형인 이의(李漪)의 아들.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유학
-
이화보(李和甫) - 이광우(李光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본관은 합천(陜川).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오건(吳健)ㆍ하항(河沆) 등과 교유함. 저서에 《죽각선생문집(竹閣先生文集)》이 있음.
1529~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이환(李奐) - 헌종(憲宗)@조선
조선 제24대 왕. 재위 1834~1849. 추존왕인 익종(翼宗)의 아들로, 여덟 살에 즉위하여 순조(純祖)의 비인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金氏)가 수렴청정함. 재위 기간 중 세도정치(勢道政治)의 만연으로 삼정(三政)의 문란과 국정의 혼란이 가중됨.
1827~18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환(李峘) - 명종(明宗)@조선
조선 제13대 국왕. 재위 1545~1567. 재위기간 중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을묘왜변(乙卯倭變)을 겪음.
153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환(李環) - 희종(僖宗)
중국 당(唐) 나라의 제18대 황제. 재위 873~888.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고, 재위 중에 황소(黃巢)의 반란군이 장안(長安)을 침략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음.
862~888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환(離幻) - 유정(惟政)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승려ㆍ의병장. 본관은 풍천(豐川).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스승 휴정(休靜)과 함께 승병(僧兵)을 모아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네 차례에 걸쳐 왜장 가등청정(加藤淸正)과 회담을 가짐.
1544~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ㅣ인명>종교인>승려
-
이황(李晄) - 예종(睿宗)@조선
조선의 제8대 국왕. 재위 1468~1469. 세조(世祖)의 아들로, 재위 1년 2개월 만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함.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을 완성함.
1450~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이황강(李黃江) - 이희안(李希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직하고 조식(曺植)과 교우하며 학문을 연마함.
1504~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이회(而晦)@이명민 - 이명민(李命敏)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대사헌(大司憲) 이승직(李繩直)의 아들로, 안악 군수(安岳郡守)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 일파에게 살해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이회(而晦) - 박세희(朴世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강계(江界)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
14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회록(李懷麓) - 이동양(李東陽)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문인. 40여 년 동안 조정의 요직을 두루 지내고, 성당(盛唐)의 시풍(詩風)을 추구하여 당시(唐詩) 부흥 운동에 선구적인 역할을 함.
1447~151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이회숙(李晦叔) - 이휘(李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안세우(安世愚) 등의 무고를 받아 이덕응(李德應)ㆍ이염(李爓)과 함께 효수(梟首)됨.
?~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회재(李晦齋)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효렴재(李孝廉齋) - 이경주(李擎柱)
조선 전기의 문인. 덕계(德溪) 오건(吳健)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이효언(李孝彦)@이호민 - 이호민(李好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명(明) 나라의 군대를 불러오는 데 기여함. 적서(嫡庶)의 구별 없이 장자를 옹립하자는 입장론(立長論)을 주장함.
1553~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효이(李孝移) - 이정면(李廷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호조 참의(戶曹參議) 이민각(李民覺)의 아들로, 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냄.
155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후(李侯)@이욱 - 이욱(李郁)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사공신(靖社功臣) 이후원(李厚源)의 아버지로 봉산 군수(鳳山郡守) 등을 지냄.
1558~161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이후(李侯)@이제민 - 이제민(李齊閔)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신군(永新君) 이이(李怡)의 손자로,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며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오름.
1528~16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이후(李侯) - 이정(李楨)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어려서는 규암(圭菴) 송인수(宋麟壽)로부터 배우고 성장한 뒤에는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홍문관 부제학에 제수되었으나 사천(泗川)에 구암정사(龜巖精舍)를 짓고 후진양성에 힘씀.
1512~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이후(李珝)@이우 - 이우(李瑀)@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이(李珥)의 아우. 시(詩)ㆍ서(書)ㆍ화(畫)ㆍ금(琴)을 잘하여 ‘사절(四絶)’이라 불림.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의 화풍을 따르고, 특히 화훼(花卉)와 초충(草蟲)을 잘 그림.
1542~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후(而厚) - 안종전(安從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안방형(安邦炯)의 아들로,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籖)을 지냄.
1493~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후주(李後主) - 후주(後主)@오대십국(남당)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의 제3대 국왕. 정치가로서의 역량보다 학문ㆍ문예ㆍ서화에 뛰어났으나, 주연(酒宴)에 빠져 국가의 멸망을 초래함. 반비(潘妃)로 인해 유명해진 전족(纏足)의 풍습이 후주 때부터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음.
937~978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이휴(頤休) - 박원응(朴源應)
조선 철종(哲宗) 때의 유학. 본관은 충주(忠州). 눌재(訥齋) 박상(朴祥)의 후손. 박상(朴祥)의 《눌재집(訥齋集)》을 중간(重刊)했으며, 1857년(철종 8)에는 박순(朴淳)의 《사암집(思菴集)》을 전주(全州)에서 중간(重刊)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이휴암(李休庵) - 이숙(李叔)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하여 권호문이 준 시가 《송암집(松巖集)》에 여러 편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이흥(以興) - 남이흥(南以興)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남유(南瑜)의 아들. 이괄(李适)의 난 때 장만(張晚)의 휘하에서 공을 세워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정묘호란 때 안주성(安州城) 전투에서 분전하다가 자결함.
1576~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이희명(李希明) - 이언명(李彦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철성(鐵城)으로,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기묘명현(己卯名賢) 박훈(朴薰)의 사위이며 이순(李淳)의 아버지.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이희윤(李喜胤) - 이영윤(李英胤)
조선 전기의 종친ㆍ화가. 청성군(靑城君) 이걸(李傑)의 셋째 아들이며, 이경윤(李慶胤)ㆍ이중윤(李仲胤)의 아우. 그림을 잘 그리고, 특히 영모(翎毛)ㆍ화조(花鳥)ㆍ말 그림에 뛰어남.
1561~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이희은(李希殷) - 이광로(李光輅)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여주(驪州)로, 좌부승지(左副承旨)를 지낸 이광진(李光軫)의 형. 1531년(중종 2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이희정(李希正) - 이유정(李惟貞)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평난공신(平難功臣) 이준(李準)의 아버지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이희정(李希程) - 이이(李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가평(嘉平). 이장경(李長卿)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장령(掌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가평 , 인명>관인>문신
-
익(杙) - 성익(成杙)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손자로,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성문준(成文濬)의 아들. 수성금화사 별좌(修城禁火司別坐)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익(瀷) - 김익(金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연은전 참봉(延恩殿參奉) 김양준(金良俊)의 아들로, 김양보(金良輔)에게 출계(出系)함.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익(瀷)@나익 - 나익(羅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김안로(金安老)를 비방하는 방서(榜書)를 사초에 써두었다가 김안로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고 죽음을 당함.
1507~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익(瀷)@이익 - 이익(李瀷)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실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농사상(中農思想)에 기반을 두고, 한전론(限田論)ㆍ사농합일론(士農合一論) 등의 사회 개혁론을 주장함. 천문ㆍ지리ㆍ율산(律算)ㆍ의학 등에 능통하고, 저서로 《성호사설(星湖僿說)》ㆍ《곽우록(藿憂錄)》등이 있음.
1681~1763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운산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
-
익(益) - 강익(姜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1538년(중종 33)에 전강(殿講)에 합격해 회시(會試)에 직부(直赴)되었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국장도감(國葬都監)에서 도첨(都僉)을 지냄. 인재(忍齋) 홍섬(洪暹)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익(益)@서익 - 서익(徐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문장과 도덕 등이 뛰어나 이이(李珥)ㆍ정철(鄭澈)로부터 지우(志友)로 인정받았으며, 의주 목사(義州牧使)를 지낼 때 탄핵당한 이이를 변호하다가 파직됨.
1542~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익(翊) - 한익(韓翊)
조선 전기의 외척.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릉부원군(西陵府院君) 한치례(韓致禮)의 아들이며 소혜왕후(昭惠王后)의 조카.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익(翊)@박익 - 박익(朴翊)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고려 때 예부 시랑(禮部侍郞) 등을 지내고 왜구(倭寇)와 여진(女眞) 토벌에 전공을 세웠으나, 조선 개국 후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갔다가 밀양(密陽)의 송계(松溪)에 은거하여 저술에 전념함.
133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익(翊)@이익 - 이익(李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강계부 판관(江界府判官)을 지낸 이계의(李繼義)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문사>유학
-
익(翼)@문익 - 문익(文翼)
고려 문종(文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인종 때 재상을 지낸 문공유(文公裕)ㆍ문공인(文公仁)의 아버지이며, 명종 때의 명재상 문극겸(文克謙)의 조부. 요(遼) 나라에 가서 원자(元子)의 책명(冊命)을 받아왔고, 배불(排佛)를 주장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익(翼)@강익 - 강익(姜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1566년(명종 21) 영남 유생 33인의 소두(疏頭)로 정여창(鄭汝昌)을 제향한 함양의 남계서원(灆溪書院)에 사액을 청하여 성사시킴, 학행으로 추천되어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을 지냄.
1523~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익(翼) - 김익(金翼)
조선 전기의 문신. 양촌(陽村) 권근(權近)과 교유했으며, 양촌이 김익을 희롱한 〈흑옹행(黑翁行)〉이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익(翼)@남익 - 남익(南翼)
고려시대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익(翼)@조익 - 조익(趙翼)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좌의정(左議政)을 역임함.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예학에 밝았으며 음률(音律)ㆍ병법(兵法)ㆍ복서(卜筮)에도 능했음.
1579~165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익(釴) - 김익(金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림(己卯士林)의 일원으로,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유배됨.
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익견(益堅) - 김익견(金益堅)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진주 목사(晉州牧使)를 지낸 김홍(金泓)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익겸(益兼) - 김익겸(金益兼)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의 아버지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에서 항전하다 전황이 불리해지자 김상용(金尙容)ㆍ권순장(權順長)과 함께 자결함. 광원부원군(光源府院君)에 추봉됨.
1614~163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익겸(益謙)@원익겸 - 원익겸(元益謙)
고려시대의 문신.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시중(侍中)을 지냄. 원주원씨(原州元氏)의 중시조가 됨.
한국>고려시대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익겸(益謙) - 고익겸(高益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봉화 훈도(奉化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익경(益卿) - 고양겸(顧養謙)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우첨도어사(右僉都御史)를 거쳐 병부 시랑(兵部侍郞)에 이르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과 화친을 해야겠다는 내용의 자문(咨文)을 보내왔음.
1537~160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익경(翼卿) - 김석량(金錫良)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16년(중종 1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했으나 벼슬하지 않음. 묘지명(墓誌銘)이 조식(曺植)의 《남명집(南冥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익경(翼景) - 정탁(鄭擢)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을 개국할 때 이성계(李成桂)의 추대를 제일 먼저 발의한 공로로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右議政)을 지냈음. 태종의 묘정(廟庭)에 배향(配享)됨.
1363~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익공(益恭) - 오경(吳儆)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 오부(吳俯)와 함께 학문과 문장으로 이름을 날려 '강동이오(江東二吳)'로 불렸으며, 안무도감(安撫都監) 등을 지냄.
1125~118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익기(益基) - 김익기(金益基)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낸 김세호(金世鎬)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익남(翼男) - 조익남(趙翼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인조(仁祖) 때 대제학(大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낸 조경(趙絅)의 아버지로, 사섬시 참봉(司贍寺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시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익녕부원군(益寧府院君) - 홍온(洪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만전당(晩全堂) 홍가신(洪可臣)의 아버지로, 직장(直長)ㆍ장원서 장원(掌苑署掌苑)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익당(益堂) - 공민왕(恭愍王)
고려 제31대 왕. 재위 1351~1374. 반원정책(反元政策)을 중심으로 한 개혁정치를 통하여 고려의 중흥을 모색함.
1330~13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익대(翊戴) - 김전(金佺)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문하시중을 지낸 김취려(金就礪)의 아들로,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역임함.
?~12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익대(翼戴) - 김전(金佺)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문하시중을 지낸 김취려(金就礪)의 아들로,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역임함.
?~12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익대공신(翼戴功臣) - 익대공신(翊戴功臣)
조선 예종(睿宗) 즉위년에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분류하여 유자광(柳子光)ㆍ신숙주(申叔舟) 등 총 36명에게 내림.
1468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 - 좌명공신(佐命功臣)
조선 태종(太宗) 1년에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태종의 즉위에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네 등급으로 나누어 이저(李佇)ㆍ이거이(李居易) 등 총 47명에게 내림. 후에 태종의 왕권강화책에 따라 일부가 제거됨.
1401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익덕(益德) - 장비(張飛)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무장. 유비(劉備)ㆍ관우(關羽)와 의형제를 맺어 촉 나라를 세우는 데 많은 공을 세우고, 거기장군(車騎將軍)ㆍ사례교위(司隷校尉) 등을 지냄. 오(吳) 나라 정벌을 준비하던 중 부하에게 피살됨.
?~22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익덕(翼德) - 장비(張飛)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무장. 유비(劉備)ㆍ관우(關羽)와 의형제를 맺어 촉 나라를 세우는 데 많은 공을 세우고, 거기장군(車騎將軍)ㆍ사례교위(司隷校尉) 등을 지냄. 오(吳) 나라 정벌을 준비하던 중 부하에게 피살됨.
?~22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익도후(益都侯) - 번수(樊須)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자에게 인(仁)과 농사 등에 관해 가르침을 받음.
B.C.50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익돈(益敦) - 김익돈(金益敦)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김광범(金光範)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유학
-
익렬(翊烈) - 이익렬(李翊烈)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영조(英祖) 때 참판(參判)을 지낸 이기경(李基敬)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익로(益老) - 이달(李達)@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시인. 본관은 신평(新平). 최경창(崔慶昌)ㆍ백광훈(白光勳)과 어울리며 시사(詩社)를 결성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 일컬어짐. 제자 허균(許筠)이 그의 전기(傳記)인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을 지음.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문인
-
익로(益老)@이제현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익명(益明) - 문익명(文益明)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이며,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형.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1558년(명종 13) 생진 양시(生進兩試)에 입격함.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익모(翼謨) - 한익모(韓翼謨)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신원(伸寃) 과정에서 삭직되고 유배되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70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익번(益蕃) - 이익번(李益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중종(中宗) 때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낸 이장(李璋)의 아버지로, 충좌위 부호군(忠佐衛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
-
익보(翼甫) - 김덕붕(金德鵬)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수성금화사 제검(修城禁火司提檢)을 지낸 김해(金瀣)의 아들. 청도 군수(淸道郡守)를 지냈으며, 《초간집(草澗集)》에 권문해(權文海)가 지은 만시(輓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