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익복(益福) - 김익복(金益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찰방(察訪)을 지낸 김광(金光)의 아들이며, 노진(盧禛)의 문인. 군수(郡守)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여러 차례 전공을 세우고 군중에서 전사함.
1551~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익부(益夫)@변익부 - 변익부(邊益夫)
조선 전기의 유학. 이해수(李海壽)의 《약포유고(藥圃遺稿)》에 그에 대한 만사(輓詞)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익부(益夫) - 정윤겸(鄭允謙)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군기시 첨정(軍器寺僉正)에 발탁됨. 전라도 수군절도사(全羅道水軍節度使)로 명(明) 나라를 약탈하고 돌아가는 왜구를 격멸함.
1463~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익부(益夫)@한중겸 - 한중겸(韓重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을 지낸 한효윤(韓孝胤)의 아들로, 1579년(선조 1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55~15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익부(益部) - 익주(益州)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속하는 고을 이름. 한(漢) 나라 때 촉(蜀) 땅에 처음 주(州)로 설치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익비(益妃) - 익비한씨(益妃韓氏)
고려 제31대 공민왕(恭愍王)의 비. 덕풍군(德豊君) 왕의(王義)의 딸로, 왕비로 책봉되고 한씨(韓氏)를 사성(賜姓) 받음. 후사가 없는 공민왕의 강요로 홍륜(洪倫)과 정을 통하여 딸을 낳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익사공신(翊社功臣) - 익사공신(翼社功臣)
조선 광해군(光海君) 5년에 임해군(臨海君)의 옥사를 다스린 여러 신하들에게 주었던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유희분(柳希奮)ㆍ최유원(崔有源)ㆍ윤효전(尹孝全) 등 총 48명에게 내림.
1613 한국>조선후기 , 법제>제도
-
익산군(益山君) - 홍규(洪奎)
고려 충숙왕(忠肅王)의 국구(國舅). 본관은 남양(南陽). 명덕태후(明德太后)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서 귀환하는 원종을 임유무(林惟茂) 등이 배척하자 처단하였으며, 후에 정안공신(安定功臣)에 책록되고, 상의첨의도감사(商議僉議都監事) 등을 지냄.
?~131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익산군(益山君)@왕즙 - 왕즙(王緝)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의 부마(駙馬). 공양왕의 첫째 딸 숙녕궁주(肅寧宮主)와 혼인하였으나, 공양왕이 폐위되기 전 섬으로 귀양감. 조선 태조(太祖)의 서형(庶兄) 사위인 변중량(卞仲良)과 동갑계(同甲契)를 맺어 친분이 있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익산부원군(益山府院君)@홍심 - 홍심(洪深)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덕보(洪德輔)의 아들이며 좌의정 홍응(洪應)의 아버지로, 한성부윤(漢城府尹) 등을 지내고,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됨.
1398~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익산부원군(益山府院君) - 이공수(李公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익산(益山).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민왕을 호종하고, 공민왕 복위에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신돈(辛旽)의 시기를 받아 덕수현(德水縣)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308~136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익생(益生) - 홍익생(洪益生)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공조 전서(工曹典書) 홍자경(洪子儆)의 아들.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등을 지내고 좌익원종훈(左翼原從勳)에 책록되었으며, 정주 목사(定州牧使)에 제수되어 서변(西邊) 방어에 큰 공을 세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익선(翼仙) - 박빈학(朴贇鶴)
조선 전기의 유학.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익선랑(翼仙郞) - 박빈학(朴贇鶴)
조선 전기의 유학.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익성(益城)@홍언필 - 홍언필(洪彦弼)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형(洪泂)의 아들이며, 홍섬(洪暹)의 아버지로, 요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인종(仁宗)의 묘정에 배향됨.
1476~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익성(益城)@금성 - 금성(金城)
강원도 철원(鐵原)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파산(慶把山)ㆍ적산(赤山) 등의 산과, 보리진(菩提津)ㆍ다경진(多慶津) 등의 나루가 있음.
강원도>금성 , 지명>행정지명
-
익성(益城) - 이향령(李享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손자인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의 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宣祖)를 호종하여 익성군(益城君)에 진봉(進封)되었으며,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거제도(巨濟島)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
1566~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익성(益成) - 문익성(文益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에게 《대학(大學)》의 요지를 배우고, 나주 목사(羅州牧使)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26~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익성(翊成) - 문승조(文承祖)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내의시랑(內議侍郞)을 지낸 문주백(文周伯)의 아들로, 대사마(大司馬)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익성(翊聖) - 신익성(申翊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貞淑翁主)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의 척화오신(斥和五臣) 중 한 사람.
1588~164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익성(翼城) - 탁원광(卓元光)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부마.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탁도민(卓道敏)의 맏아들로,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종(宣宗)의 딸과 혼인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익성(翼成) - 황희(黃喜)
고려 우왕(禑王)~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8년간 영의정(領議政)으로 있으면서 농사의 개량, 예법의 개정, 서얼(庶孼)의 천역(賤役) 면제 등 많은 업적을 남겨 세종(世宗)에게 신임을 받고, 청렴하여 백성에게서도 존경을 받음.
1376~145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익성경효황제(翼聖景孝皇帝) - 명종(明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12대 황제. 재위 연도 1329. 무종(武宗)의 장자이나 인종(仁宗)에 의해 차카타이 한국으로 망명한 후 정세를 관망하다가, 차카타이 한국의 지원을 받아 1329년에 즉위하였으나 재위 8개월 만에 살해됨.
1314~1329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익성군(益城君)@홍탁 - 홍탁(洪鐸)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외척. 인성군(麟城君) 홍선(洪詵)의 아들로, 충혜왕의 비인 화비(和妃)의 아버지. 경상도 진변사(慶尙道鎭邊使) 등을 지냈으나, 공민왕 때 사위 조일신(趙日新)이 반란을 일으켜 회원 현령(檜原縣令)으로 좌천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익성군(益城君)@홍응 - 홍응(洪應)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심(洪深)의 아들.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리고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 등을 지냄. 문장과 글씨에 능했음.
1428~14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익성군(益城君)@이향령 - 이향령(李享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손자인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의 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宣祖)를 호종하여 익성군(益城君)에 진봉(進封)되었으며,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거제도(巨濟島)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
1566~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익성군(益城君) - 홍성민(洪聖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홍춘경(洪春卿)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 1590년(선조 23)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듬해 건저문제(建儲問題)로 인해 파직당함.
153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익성군(益城君)@홍규 - 홍규(洪奎)
고려 충숙왕(忠肅王)의 국구(國舅). 본관은 남양(南陽). 명덕태후(明德太后)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서 귀환하는 원종을 임유무(林惟茂) 등이 배척하자 처단하였으며, 후에 정안공신(安定功臣)에 책록되고, 상의첨의도감사(商議僉議都監事) 등을 지냄.
?~131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익성도정(益城都正) - 이향령(李享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손자인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의 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宣祖)를 호종하여 익성군(益城君)에 진봉(進封)되었으며,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거제도(巨濟島)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
1566~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익성부수(翼誠副守) - 이규(李珪)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5세손이며, 함라수(咸羅守) 이효원(李孝元)의 첫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익성부원군(益城府院君)@홍응 - 홍응(洪應)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심(洪深)의 아들.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리고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 등을 지냄. 문장과 글씨에 능했음.
1428~14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익성부원군(益城府院君)@홍약 - 홍약(洪瀹)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역임하였으며, 태자부 참군(太子府參軍)으로 남경(南京)에 있을 때 고려에서 온 유연(柳衍)을 도와 경적(經籍) 1만여 권을 사게 하였으며, 또 원(元) 나라에 주청하여 많은 서적을 고려에 주게 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익성부원군(益城府院君) - 홍규(洪奎)
고려 충숙왕(忠肅王)의 국구(國舅). 본관은 남양(南陽). 명덕태후(明德太后)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서 귀환하는 원종을 임유무(林惟茂) 등이 배척하자 처단하였으며, 후에 정안공신(安定功臣)에 책록되고, 상의첨의도감사(商議僉議都監事) 등을 지냄.
?~131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익성부원군(益城府院君)@홍언필 - 홍언필(洪彦弼)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형(洪泂)의 아들이며, 홍섬(洪暹)의 아버지로, 요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인종(仁宗)의 묘정에 배향됨.
1476~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익성정(益城正) - 이향령(李享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손자인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의 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宣祖)를 호종하여 익성군(益城君)에 진봉(進封)되었으며,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거제도(巨濟島)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
1566~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익세(益世) - 문익세(文益世)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幼學). 백광훈(白光勳)과 함께 노수신(盧守愼)의 문하에서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익세(翼世) - 윤민헌(尹民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엄(尹儼)의 아들이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이괄(李适)의 난 때 공주(公州)로 왕을 호종하였으며, 공조 참의 등을 역임함. 경사(經史)와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와 그림에도 뛰어났음.
1562~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익손(益孫) - 송익손(宋益孫)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처남 홍달손(洪達孫)을 따라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세조(世祖) 때 나주 목사(羅州牧使)로 여산군(礪山君)에 봉해짐.
1419~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익수(益壽) - 김익수(金益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중종 때 진하사(進賀使)로 중국에 다녀왔으며, 충청도 관찰사, 형조ㆍ병조 참판 등을 역임함.
14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익승(翼承) - 오장(吳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오건(吳健)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고, 광해군 때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옥사와 폐모론(廢母論)에 맞서다가 삭직되어 낙향한 후, 정온(鄭蘊)을 비호하다가 토산(兎山)으로 유배됨.
?~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익신(益臣) - 배익신(裵益臣)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1492년(성종 2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익안군(益安君) - 익안대군(益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셋째 아들.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 소생으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이방원(李芳遠)을 보좌하여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제2차 왕자의 난 때에는 중립을 지킴.
?~140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익양(益陽)@永川 - 영천(永川)@경상도
경상도 남동부에 있는 지명. 동쪽으로 경주(慶州), 서쪽으로 대구(大丘)와 접함. 진산(鎭山)으로 모자산(母子山)이 있고, 사찰로 운부사(雲浮寺) 등이 있음.
경상도>영천(永川) , 지명>행정지명
-
익양(益陽)@익양군 - 익양군(益陽君)
조선 제11대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 어머니는 숙의홍씨(淑儀洪氏).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어 종부시(宗簿寺) 등의 제조(提調)와 종친부의 유사당상(有司堂上)을 겸임함.
1488~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익양(益陽) - 영양(英陽)
경상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영해 , 지명>행정지명
-
익양(翼陽)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
-
익양군(益陽君)@이극인 - 이극인(李克仁)@고려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천(永川). 김취려(金就勵)의 휘하에서 거란(契丹)의 침입을 방어함. 대장군(大將軍)으로서 상장군 최유공(崔愈恭) 등과 함께 최우(崔瑀)를 죽이려다 실패하고 죽임을 당함.
?~122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무신
-
익양군(翼陽君) - 익양군(益陽君)
조선 제11대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 어머니는 숙의홍씨(淑儀洪氏).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어 종부시(宗簿寺) 등의 제조(提調)와 종친부의 유사당상(有司堂上)을 겸임함.
1488~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익양군충의군(益陽郡忠義君)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익양군충의백(益陽郡忠義伯)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익양백(益陽伯) - 박첨(朴瞻)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문하시중(門下侍中)ㆍ우문관 대제학(右文館大提學)ㆍ춘추관사(春秋館事)ㆍ영경연사(領經筵事) 등을 역임(歷任)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익양부원군(益陽府院君)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익옹(益翁)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익왕(翼王) - 익조(翼祖)@조선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증조부. 1394년(태조 3)에 익왕(翼王)으로 추존되고, 태종(太宗) 때 익조(翼祖)로 추존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ㅣ함경도>경흥 , 인명>왕실>국왕
-
익원(翼元) - 김사형(金士衡)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제1차 왕자난 때 태종의 즉위를 도움.
1333~140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익원군(益原君) - 홍경림(洪景霖)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정조사(正朝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54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익이(益二) - 익주(益州)
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속하는 고을 이름. 한(漢) 나라 때 촉(蜀) 땅에 처음 주(州)로 설치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익장(翼莊) - 고형산(高荊山)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 남곤(南袞) 일파와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조광조(趙光祖) 등을 축출함.
1453~1528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횡성 , 인명>관인>문신
-
익재(益齋)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익재집(益齋集) - 익재난고(益齋亂藁)
고려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이제현(李齊賢)의 시문집(詩文集). 10권 4책. 목판본. 이색(李穡)의 서문(序文)이 있음.
1363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익전(翊全) - 신익전(申翊全)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영의정을 지낸 신흠(申欽)의 아들. 1636년(인조 14)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저서로 《동강유집(東江遺集)》이 있음.
1605~166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익점(益漸) - 문익점(文益漸)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원(元) 나라에서 목화씨를 몰래 가져와서 장인 정천익(鄭天益)과 함께 고향에서 재배하는 데 성공함.
132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산음 , 인명>관인>문신
-
익주(益周) - 문익주(文益周)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효렴(孝廉)으로 이후백(李後白)의 천거를 받아 낭천 현감(狼川縣監)ㆍ태인 현감(泰仁縣監)을 지냈으며, 청렴한 목민관으로 칭송받았음.
1535~160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익주(益州)@남양 - 남양(南陽)
경기도 수원(水原)과 화성(華城) 일대의 옛 고을 이름. 조선 전기에 경기수군절도사영(京畿水軍節度使營)이 화량진(花梁鎭)에 설치되어 경기도 해안 방어의 중심지 역할을 함.
경기도>남양 , 지명>행정지명
-
익주(益州)@익산 - 익산(益山)
전라도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남으로 전주(全州), 북으로 여산(礪山)과 접하였으며, 마한(馬韓)이 세워진 곳.
전라도>익산 , 지명>행정지명
-
익주(翼州)@개천 - 개천(价川)
평안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시대에 조양진(朝陽鎭)으로 불렸으며, 1413년(태종 13)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침.
평안도>개천 , 지명>행정지명
-
익주(翼州)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
-
익주강(益州江)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익중(益仲) - 우준겸(禹俊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우성윤(禹成允)의 아들이며,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우성전(禹性傳)의 아버지.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익중(翊仲) - 곽지견(郭之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곽간(郭趕)의 아버지로, 통선랑(通善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익지(益之)@허겸 - 허겸(許謙)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김이상(金履祥)의 제자로, 사서(四書) 등을 깊이 연구하여 주소(註疏)를 내었으며, 《모시명물초(毛詩名物鈔)》 등의 저서가 있음.
1270~133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익지(益之)@한준겸 - 한준겸(韓浚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을 지낸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인조의 장인. 예학(禮學)과 국가의 고사(故事)에 밝고,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편찬에 참여함.
1557~16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익지(益之)@윤계겸 - 윤계겸(尹繼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고,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도 책록됨.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442~148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익지(益之)@임수겸 - 임수겸(林守謙)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음(安陰)으로, 부제학(副提學)ㆍ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ㆍ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문신
-
익지(益之)@이성익 - 이성익(李星益)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로, 통덕랑(通德郞) 이효민(李孝閔)의 아들. 1663년(현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권상하(權尙夏)와 두터운 정의(情誼)를 나눔.
1639~167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태인ㅣ경기도>광주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익지(益之)@우언겸 - 우언겸(禹彦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여 대사성(大司成) 등을 지낸 우성전(禹性傳)의 생부. 1537년(중종 3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ㆍ안동 판관(安東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익지(益之)@이달 - 이달(李達)@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시인. 본관은 신평(新平). 최경창(崔慶昌)ㆍ백광훈(白光勳)과 어울리며 시사(詩社)를 결성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 일컬어짐. 제자 허균(許筠)이 그의 전기(傳記)인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을 지음.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문인
-
익지(益之) - 안목(安牧)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검교찬성사(檢校贊成事)를 지낸 안우기(安于器)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진현관 대제학(進賢館大提學) 등을 지내고, 충숙왕 때 이군해(李君侅) 등과 함께 인사권을 관장함.
1290~136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익지(益知) - 송익손(宋益孫)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처남 홍달손(洪達孫)을 따라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세조(世祖) 때 나주 목사(羅州牧使)로 여산군(礪山君)에 봉해짐.
1419~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익지(益祉) - 송익지(宋益祉)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그의 당호(堂號)에 대한 제시(題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익지(翊之) - 이익(李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강계부 판관(江界府判官)을 지낸 이계의(李繼義)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문사>유학
-
익지(翼之)@호원 - 호원(胡瑗)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이(程頤)의 스승. 범중엄(范仲淹)ㆍ손복(孫復)과 함께 '송초(宋初)의 세 선생'으로 일컬어지는 송학(宋學)의 선도자로,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내고, 많은 제자를 배출함.
993~105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익지(翼之) - 이암(李嵒)
고려 충선왕(忠宣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철원군(鐵原君) 이우(李瑀)의 아들. 찬화공신(贊化功臣)ㆍ익조공신(翊祚功臣)에 책록되고, 좌정승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동국(東國)의 조자앙(趙子昻)으로 불리고, 묵죽화(墨竹畫)에도 능함.
1297~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익지(翼之)@정홍익 - 정홍익(鄭弘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사섬시 정(司贍寺正)을 지낸 정사신(鄭思愼)의 아들.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유배되었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풀려나 부제학(副提學)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기 전에 죽음.
1571~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익지례보화(益智禮普化) - 충선왕(忠宣王)
고려 제26대 왕. 재위 1298, 1308~1313. 충렬왕(忠烈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토지와 관제개혁 등 일련의 혁신정치를 시도하고, 원(元) 나라 연경(燕京)에 만권당(萬卷堂)을 세워 서적수집과 학자들의 문화교류에 큰 영향을 줌.
1275~132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익지례보화(益知禮普化) - 충선왕(忠宣王)
고려 제26대 왕. 재위 1298, 1308~1313. 충렬왕(忠烈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토지와 관제개혁 등 일련의 혁신정치를 시도하고, 원(元) 나라 연경(燕京)에 만권당(萬卷堂)을 세워 서적수집과 학자들의 문화교류에 큰 영향을 줌.
1275~132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익지례보화(益知禮普花) - 충선왕(忠宣王)
고려 제26대 왕. 재위 1298, 1308~1313. 충렬왕(忠烈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토지와 관제개혁 등 일련의 혁신정치를 시도하고, 원(元) 나라 연경(燕京)에 만권당(萬卷堂)을 세워 서적수집과 학자들의 문화교류에 큰 영향을 줌.
1275~132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익지례불화(益知禮不花) - 충선왕(忠宣王)
고려 제26대 왕. 재위 1298, 1308~1313. 충렬왕(忠烈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토지와 관제개혁 등 일련의 혁신정치를 시도하고, 원(元) 나라 연경(燕京)에 만권당(萬卷堂)을 세워 서적수집과 학자들의 문화교류에 큰 영향을 줌.
1275~132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익천군(益川君) - 왕즙(王緝)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의 부마(駙馬). 공양왕의 첫째 딸 숙녕궁주(肅寧宮主)와 혼인하였으나, 공양왕이 폐위되기 전 섬으로 귀양감. 조선 태조(太祖)의 서형(庶兄) 사위인 변중량(卞仲良)과 동갑계(同甲契)를 맺어 친분이 있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익청(益淸) - 조익청(曺益淸)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공민왕이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시종(侍從)한 공으로 수종공신(隨從功臣)에 책록됨.
?~135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익취(翼就) - 황일호(黃一皓)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황척(黃惕)의 아들로, 큰아버지 황신(黃愼)에게 출계함.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호종하고, 의주 부윤(義州府尹)으로 있던 1638년(인조 16)에 명(明) 나라를 도와 청(淸) 나라를 치고자 모의하였으나 발각되어 청 나라 병사에게 피살됨.
1588~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익평(翼平)@권람 - 권람(權攬)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조 즉위의 기반을 마련함. 《국조보감(國朝寶鑑)》ㆍ《동국통감(東國通鑑)》 편찬에 참여함.
1416~14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익평(翼平)@이극돈 - 이극돈(李克墩)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성종(成宗)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훈구파(勳舊派)의 거물로서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일으켜 사림파(士林派)의 많은 학자들을 제거함.
1435~15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익평(翼平)@이극배 - 이극배(李克培)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인손(李仁孫)의 아들로, 세조(世祖)와 성종(成宗)의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 및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임명되자 노병으로 사양함.
1422~149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익평(翼平) - 이계남(李季男)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가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호조 판서를 지낼 때 국가재정 운용에 뛰어난 능력을 발휘함.
1448~1512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익평공(翼平公) - 권람(權攬)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조 즉위의 기반을 마련함. 《국조보감(國朝寶鑑)》ㆍ《동국통감(東國通鑑)》 편찬에 참여함.
1416~14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익평군(益平君) - 이석근(李石根)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셋째 아들인 익안대군(益安大君) 이방의(李芳毅)의 아들이며, 백파도정(白波都正) 이상(李常)의 아버지.
?~14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익평부원군(益平府院君)@홍형 - 홍형(洪泂)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홍귀해(洪貴海)의 아들로, 연산군의 생모인 윤비(尹妃) 폐출사건에 적극 개입하였다 하여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처형됨.
1446~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익평부원군(益平府院君) - 이석근(李石根)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셋째 아들인 익안대군(益安大君) 이방의(李芳毅)의 아들이며, 백파도정(白波都正) 이상(李常)의 아버지.
?~14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익풍부원군(益豊府院君) - 홍재룡(洪在龍)
조선 헌종(憲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동부승지(同副承旨)ㆍ대사성(大司成)ㆍ광주 유수(廣州留守) 등을 지냈으며, 1844년(헌종 10) 딸이 헌종의 계비(繼妃) 명헌왕후(明憲王后)로 책봉되자, 익풍부원군(益豊府院君)에 봉해짐.
1794~186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