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인손(仁孫)@우인손 - 우인손(禹仁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을 지낸 우상(禹鏛)의 아버지로,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무신
-
인손(仁孫) - 이인손(李仁孫)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세종(世宗) 때 천추사(千秋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세조의 즉위와 함께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 등을 지냄.
1395~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인손(引孫) - 신인손(辛引孫)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평안도 도안무사(平安道都按撫使)를 지낸 신유정(辛有定)의 아들. 1408년(태종 8)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이름.
1384~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인손(麟孫)@구인손 - 구인손(具麟孫)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능성(綾城). 능천부원군(綾川府院君) 구수영(具壽永)의 서자로, 연산군(延山君) 김준손(金浚孫)의 서녀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유학
-
인손(麟孫) - 김인손(金麟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내고,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 시절 황정(荒政)을 바로잡아 칭송받음.
1479~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인수(仁叟)@송영구 - 송영구(宋英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으로, 성혼(成渾)의 문인. 광해군 때 《선조실록(宣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으로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 파직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인수(仁叟)@윤백령 - 윤백령(尹伯齡)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필상(尹弼商)의 손자로, 음보(蔭補)로 빙고 별제(氷庫別提)를 지냈으며, 연산군 때 회인(懷仁)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1475~150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인수(仁叟)@임천령 - 임천령(林千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충순위(忠順衛) 임우형(林遇亨)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인수(仁叟) - 남기제(南紀濟)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용문산문답(龍門山問答)〉과 《아아록(我我錄)》을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인수(仁叟)@성담년 - 성담년(成聃年)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성담수(成聃壽)의 동생. 교리(校理) 등을 지냈으며,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인수(仁叟)@박팽년 - 박팽년(朴彭年)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세조가 단종(端宗)을 내쫓고 왕위를 빼앗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처형됨.
1417~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인수(仁垂) - 이수련(李壽鍊)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둘째 아들로, 선조(宣祖) 때 안남군(安南君)에 추증됨.
1520~156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인수(仁壽)@김인문 - 김인문(金仁問)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의 둘째 아들이며 문무왕(文武王)의 동생. 당(唐) 나라에 파견되어 나당(羅唐) 연합군을 조직하고, 소정방(蘇定方)과 연합하여 백제(百濟)와 고구려(高句麗)를 멸망시킴.
629~694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자
-
인수(仁壽)@강인수 - 강인수(姜仁壽)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동향(同鄕) 사람인 문익성(文益成)ㆍ주이(周怡)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인수(仁壽) - 성담년(成聃年)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성담수(成聃壽)의 동생. 교리(校理) 등을 지냈으며,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인수(仁壽)@박인수 - 박인수(朴仁壽)
고려 말~조선 초의 효자. 하륜(河崙)의 《호정집(浩亭集)》에 그의 효성을 읊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효자
-
인수(仁壽)@인수 - 조인수(趙仁壽)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양(豊壤). 분무공신(奮武功臣) 조현명(趙顯命)의 아버지로, 박세채(朴世采)의 문하에서 수학함.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 등을 지냈으나, 인현왕후(仁顯王后) 폐위 이후 두문불출하고 학문에 전념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인수(仁洙) - 유인수(柳仁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안변 부사(安邊府使)ㆍ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대관재난고(大觀齋亂稿)》에 심의(沈義)가 보낸 글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인수(仁秀) - 김인수(金仁秀)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도(淸道)로,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을 세운 김한귀(金漢貴)의 아버지. 전객령(典客令)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인수(仁粹)@박인수 - 박인수(朴仁粹)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유학 박천우(朴天祐)의 아버지로, 부장(部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인수(仁粹) - 소혜왕후(昭惠王后)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장남인 덕종(德宗)의 비. 본관은 청주(淸州).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확(韓確)의 딸로, 불경(佛經)에 조예가 깊어 불경을 언해(諺解)하였고, 부녀자가 지켜야 할 도리인 《내훈(內訓)》을 간행함.
1437~150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수(麟壽)@송인수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인수(麟壽) - 이인수(李麟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첫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인수대비(仁粹大妃) - 소혜왕후(昭惠王后)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장남인 덕종(德宗)의 비. 본관은 청주(淸州).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확(韓確)의 딸로, 불경(佛經)에 조예가 깊어 불경을 언해(諺解)하였고, 부녀자가 지켜야 할 도리인 《내훈(內訓)》을 간행함.
1437~150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수대왕대비(仁粹大王大妃) - 소혜왕후(昭惠王后)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장남인 덕종(德宗)의 비. 본관은 청주(淸州).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확(韓確)의 딸로, 불경(佛經)에 조예가 깊어 불경을 언해(諺解)하였고, 부녀자가 지켜야 할 도리인 《내훈(內訓)》을 간행함.
1437~150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수왕대비(仁粹王大妃) - 소혜왕후(昭惠王后)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장남인 덕종(德宗)의 비. 본관은 청주(淸州).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확(韓確)의 딸로, 불경(佛經)에 조예가 깊어 불경을 언해(諺解)하였고, 부녀자가 지켜야 할 도리인 《내훈(內訓)》을 간행함.
1437~150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수왕비(仁粹王妃) - 소혜왕후(昭惠王后)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장남인 덕종(德宗)의 비. 본관은 청주(淸州).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확(韓確)의 딸로, 불경(佛經)에 조예가 깊어 불경을 언해(諺解)하였고, 부녀자가 지켜야 할 도리인 《내훈(內訓)》을 간행함.
1437~150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숙(仁叔) - 최제안(崔濟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화순(和順). 최순(崔順)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의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인숙(仁叔)@심삼근 - 심삼근(沈三近)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심열(沈說)의 아들이자 심위(沈渭)의 아버지로, 통사랑(通仕郞)에 이름.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인숙(仁淑) - 유인숙(柳仁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명종(明宗) 즉위 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종사(宗嗣)를 모위하였다는 죄목으로 귀양가던 도중 사사(賜死)되었다가 선조(宣祖) 때 신원(伸寃)됨.
148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인숙(寅叔)@이시하 - 이시하(李時夏)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쌍계(雙溪) 이재(李梓)의 아들이며, 병조 정랑(兵曹正郞) 최석우(崔錫祐)의 사위로, 젊은 나이에 요절함.
165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인숙(寅叔)@이인숙 - 이인숙(李寅叔)
조선 전기의 유학. 이정(李楨)의 《구암집(龜巖集)》에 그의 연갑(硯匣) 보자기에 써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인숙(寅叔) - 이공량(李公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매부(妹夫)로, 봉사(奉事)를 역임함.
1500~156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인숙(寅叔)@이서 - 이서(李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사공신(靖社功臣)에 봉해지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에서 죽음.
1580~163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인순(仁順) - 임백령(林百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박상(朴祥)의 문인이며, 임억령(林億齡)의 동생.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주도한 공으로 정난위사공신(定難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숭선군(崇善君)에 봉해짐.
?~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인순대비(仁順大妃) - 인순왕후(仁順王后)
조선 제13대 명종(明宗)의 정비(正妃). 명종 즉위년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며, 명종이 죽고 선조(宣祖)가 즉위하자 잠시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532~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신(仁臣) - 이인신(李仁臣)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이몽규(李夢奎)의 생부로, 주부(注簿)를 지내고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인암(忍庵) - 박승간(朴承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1540년(중종 3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인연(仁演) - 윤인연(尹仁演)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무성부원군(茂城府院君) 윤형(尹泂)의 아들로, 충훈부 도사(忠勳府都事)를 지냈으며,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인영(仁塋)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인영(仁英)@고려 - 이인영(李仁英)@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양(光陽). 여말선초의 문신 이무방(李茂芳)의 아버지로, 사후 찬성사(贊成事)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관인>문신
-
인영(仁英)@조선 - 이인영(李仁英)@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인 이엄(李儼)의 아들로, 과거에 급제하여 승지(承旨)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인예순덕태후(仁睿順德太后) - 인예태후(仁睿太后)
고려 제11대 문종(文宗)의 비(妃). 본관은 인주(仁州). 이자연(李子淵)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세 자매 모두 문종의 비가 됨. 순종(順宗)ㆍ선종(宣宗)ㆍ숙종(肅宗) 등 10남 2녀를 둠.
?~109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인옥(仁沃) - 조인옥(趙仁沃)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돈(趙暾)의 아들로, 전법판서(典法判書)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됨.
1347~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인왕(仁王) - 인종(仁宗)@고려
고려 제17대 왕. 재위 1123~1146. 이자겸(李資謙)의 난과 묘청(妙淸)의 난을 겪었고, 김부식(金富軾) 등에게 《삼국사기(三國史記)》를 편찬하게 함.
1109~114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인왕사(人王寺) - 약사암(藥師庵)
통일신라 때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라도 광산(光山)의 무등산(無等山)에 있는 사찰. 철감선사(澈鑑禪師) 도윤(道允)이 증심사(證心寺)를 창건하기 위해 지었다 하며, 지금의 광주광역시(光州光域市)에 속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찰
-
인왕산(仁旺山) - 인왕산(仁王山)
서울 북부에 있는 산 이름. 서울 진산(鎭山) 중 하나로, 조선시대부터 명산(名山)으로 불림.
서울 , 지명>자연지명
-
인우(仁佑) - 이인우(李仁佑)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도안(道安). 이승(李勝)의 아들로, 1472년(성종 3)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안 , 인명>관인>문신
-
인우(仁祐) - 홍인우(洪仁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덕연(洪德演)의 맏아들.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심경(心經)》ㆍ《근사록(近思錄)》ㆍ《중용(中庸)》ㆍ《대학(大學)》에 전심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1515~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인우(仁雨) - 유인우(柳仁雨)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1356년(공민왕 5)에 동북면 병마사(東北面兵馬使)로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에 나가 이자춘(李子春) 부자의 내응을 얻어 총관부를 수복하고 옛 땅을 되찾음. 최유(崔濡)와 함께 덕흥군(德興君) 왕혜(王譓)를 옹립하려다가 잡혀 죽음.
?~1364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인우위문(仁右衛門) - 증전장성(增田長盛)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서울 점령 소식을 들은 풍신수길(豊臣秀吉)이 명(明) 나라의 후원을 염려하여 파견한 소위 '삼봉행(三奉行)' 중의 한 사람.
1545~1615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인원(仁元) - 서인원(徐仁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진주 목사(晉州牧使) 서예원(徐禮元)의 형으로, 학행(學行)이 빼어나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
-
인원(仁原) - 김인원(金仁原)
조선 전기의 유학. 황준량(黃俊良)이 지은 〈차청양헌증주인김동년인원(次靑陽軒贈主人金同年仁原)〉이라는 시가 《금계집(錦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인원(仁遠) - 오언의(吳彦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으로, 현감(縣監)을 지낸 오석복(吳碩福)의 아들. 이우(李堣)의 문인이며,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치적을 많이 쌓았음.
1494~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인위(仁渭) - 문인위(文仁渭)
고려 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문정(文証)의 아들로, 김치양(金致陽)의 무리가 숙청될 때 강조(康兆)의 도움으로 죽음을 면하였으며,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등을 지냄.
?~1019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인윤(仁胤) - 이인윤(李仁胤)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麒)의 손자이며 평릉부수(平陵副守) 이엄(李儼)의 아들로, 1617년(광해군 9)에 금산군(錦山君) 이성윤(李誠胤) 등과 함께 이이첨(李爾瞻)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림.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인을(仁乙) - 박인을(朴仁乙)
고려 후기의 문신. 지간성군사(知杆城郡事)를 지냈으며, 이색(李穡)의 《목은문고(牧隱文稿)》에 그에게 지어준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간성 , 인명>관인>문신
-
인임(仁任) - 이인임(李仁任)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권신. 본관은 성주(星州).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크게 활약하고,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됨. 공민왕(恭愍王)이 피살되자 우왕을 즉위시킨 뒤 임견미(林堅味)ㆍ염흥방(廉興邦) 등과 함께 권력을 휘두름.
?~138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인장(隣丈) - 이대(李薱)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며 여양군(呂陽君) 이자겸(李子謙)의 아들로, 용강 현령(龍岡縣令)ㆍ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 등을 지냄.
1488~154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인재(仁齋)@성희 - 성희(成熺)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문종 때 급제하여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를 지내고, 《세종실록(世宗實錄)》과 《문종실록(文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당질(堂姪)인 성삼문(成三問)의 단종복위(端宗復位)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인재(仁齋) - 강희안(姜希顔)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시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림.
1417~14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인재(仁齋)@성희안 - 성희안(成希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원종(朴元宗) 등과 함께 중종반정(中宗反正)을 주도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주청사(奏請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반정의 당위성을 설명함.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461~15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인재(寅在) - 이인재(李寅在)
조선 후기의 문신. 1843년(헌종 9) 밀양 부사(密陽府使) 재임시 임진왜란 때 소실된 우리나라 3대 명루(名樓)의 하나인 영남루(嶺南樓)를 중건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인재(寅齋) - 신개(申槩)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1417년(태종 17)에 집현전 제학(集賢殿提學)이 되고, 1436년(세종 18)에 《고려사(高麗史)》수찬에 참여함. 1439년(세종 21) 우의정에 올라 야인의 침입을 막기 위한 장성 축조를 건의함.
1374~14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인재(寅齋)@유희춘 - 유희춘(柳希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유계린(柳桂隣)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ㆍ최산두(崔山斗)의 문인(門人).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미암일기(眉巖日記)》등 많은 저술을 남김.
1513~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인재(忍齋)@김성원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인재(忍齋)@기효간 - 기효간(奇孝諫)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고흥군(高興君) 기대유(奇大有)의 아들로, 김인후(金麟厚)ㆍ이항(李恒)의 문인(門人). 학문과 후진양성에 주력하여 호남의 은덕군자(隱德君子)로 불렸음.
1530~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ㅣ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인재(忍齋)@정사룡 - 정사룡(鄭士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명종 때 이량(李樑)의 일당으로 지목되어 삭직(削職)당함. 시문(詩文)ㆍ음률(音律)에 뛰어나고,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申光漢)과 쌍벽을 이룸.
149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인재(忍齋) - 장옥(張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유배당했고, 김안로(金安老) 일당에게 몰려 또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음.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한 뒤 판교(判校) 등을 역임함.
149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인재(忍齋)@권대기 - 권대기(權大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황(李滉)의 문인. 1552년(명종 7)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후학을 양성함.
1523~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인재(忍齋)@홍섬 - 홍섬(洪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언필(洪彦弼)의 아들이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안로(金安老)ㆍ이량(李樑)ㆍ남곤(南袞)의 횡포를 탄핵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경서에 밝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04~15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인재(訒齋) - 최현(崔晛)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전주(全州).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선조실록(宣祖實錄》편찬에 참여하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인재(訒齋)@민시중 - 민시중(閔蓍重)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민광훈(閔光勳)의 아들이며, 좌의정(左議政) 민정중(閔鼎重)ㆍ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형.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냈고, 학행(學行)으로 이름이 남.
1625~167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인재(訒齋)@홍진 - 홍진(洪進)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치재(耻齋) 홍인우(洪仁祐)의 맏아들이며, 홍적(洪迪)의 형.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41~16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인재(認齋)@김현도 - 김현도(金玄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김여정(金汝鼎)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해주 목사(海州牧使) 재직 중 황해도 어사(黃海道御史) 김치(金緻)의 상소로 파직 당하였으나, 모함이었음이 드러나 복직되어 양재 찰방(良才察訪)을 지냄.
15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인재(認齋) - 박세후(朴世煦)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 박사화(朴士華)의 아들로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 등을 역임하였으며, 1545년 하절사(賀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1494~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인재(鄰哉) - 김광우(金光佑)@김응귀의아버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성균관 박사(成均館博士)를 지낸 김응귀(金應龜)의 아버지로,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정랑(工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인재(隣哉)@김양좌 - 김양좌(金良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1495년(연산군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전주 판관(全州判官) 등을 지냄. 전라도 장흥(長興)에서 남효온(南孝溫)ㆍ윤구(尹遘) 등이 회동할 때 참석한 내용이 《추강집(秋江集)》 〈조대기(釣臺記)〉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관인>문신
-
인재(隣哉)@윤원필 - 윤원필(尹元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윤지임(尹之任)의 아들이며, 중종 계비(繼妃)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오빠. 용양위 대호군(龍驤衛大護軍) 등을 역임하였으며,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1496~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인재(隣哉) - 김언필(金彦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1522년(중종 1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유학
-
인재(麟齋) - 이종학(李種學)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둘째 아들로, 진현관 제학(進賢館提學) 등을 지냄. 1392년 정몽주(鄭夢周)가 살해된 뒤 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살해됨.
1361~139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문인
-
인재선생문집(寅齋先生文集) - 인재집(寅齋集)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신개(申槩)의 문집. 1929년 후손 신현국(申鉉國)ㆍ신우균(申佑均) 등이 문경(聞慶)에서 4권 2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929 한국>근대 , 경상도>문경 , 문헌>서명
-
인재선생문집(忍齋先生文集) - 인재집(忍齋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홍섬(洪暹)의 문집. 1693년(숙종 19) 외속(外屬)인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박경후(朴慶後)가 전주(全州)에서 목판으로 간행함.
16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인재선생문집(訒齋先生文集) - 인재집(訒齋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최현(崔晛)의 문집. 1778년(정조 2) 6대손 최광벽(崔光璧)이 원집(原集) 13권, 별집(別集) 2권, 습유(拾遺) 1권, 연보(年譜) 1권, 부록(附錄) 1권, 총 18권 9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77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인재선생집(寅齋先生集) - 인재집(寅齋集)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신개(申槩)의 문집. 1929년 후손 신현국(申鉉國)ㆍ신우균(申佑均) 등이 문경(聞慶)에서 4권 2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929 한국>근대 , 경상도>문경 , 문헌>서명
-
인적(麟跡) - 박인적(朴麟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성혼(成渾)ㆍ이해수(李海壽)ㆍ이제신(李濟臣)과 교유했으며, 둔전 판관(屯田判官) 등을 지냈음. 《우계집(牛溪集)》과 《약포유고(藥圃遺稿)》에 성혼ㆍ이해수의 편지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인전(仁全) - 이인전(李仁全)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만간(李萬幹)의 아들로, 세조 즉위 후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감정(監正)ㆍ시정(寺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인정서원(仁政書院) - 송곡서원(松谷書院)@서산
조선 숙종(肅宗) 때 충청도 서산(瑞山)에 건립된 서원. 유방택(柳方澤)ㆍ유백유(柳伯濡)ㆍ정인경(鄭仁卿)ㆍ정신보(鄭臣保) 등을 배향함.
169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인제(仁悌) - 이인제(李仁悌)
조선 전기의 유학. 덕계(德溪) 오건(吳健)과 교유했으며, 오건이 그를 위해 쓴 제문(祭文)이 《덕계집(德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인조(仁祖)@인종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인조대왕실록(仁祖大王實錄) - 인조실록(仁祖實錄)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재위 27년간의 실록. 이경여(李敬與)ㆍ김육(金堉) 등이 찬수하고 춘추관(春秋館)에서 편집함. 50권 50책.
16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인존(仁存) - 김인존(金仁存)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학문과 문장이 뛰어나 중국에 여러 번 사신으로 다녔으며, 중요한 국사(國事)마다 왕의 자문역을 했음.
?~1127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인종영정헌문의무장숙흠효대왕실록(仁宗榮靖獻文懿武章肅欽孝大王實錄) - 인종실록(仁宗實錄)
조선 제12대 인종(仁宗)의 재위 8개월간의 실록. 1546년(명종 1) 《중종실록(中宗實錄)》과 함께 편찬이 계획되어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 심연원(沈連源) 등에 의해 1550년(명종 5)에 완성됨. 2권 2책.
15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인종왕후(仁宗王后) - 인성왕후(仁聖王后)
조선 제12대 인종(仁宗)의 정비(正妃). 1524년(중종 19)에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고, 인종(仁宗)이 즉위하자 왕비가 됨.
1514~15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주(仁州) - 인천(仁川)
경기도 중서부 서해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는 안산(安山)ㆍ금천(衿川)을, 북쪽으로는 부평(富平)을 경계로 하고 있음.
경기도>인천 , 지명>행정지명
-
인주(仁州)@아산 - 아산(牙山)
충청도 서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초기에는 인주(仁州)ㆍ아주(牙州)라 불렀으며, 이순신(李舜臣)의 영정(影幀)을 모신 현충사(顯忠祠)가 있음.
충청도>아산 , 지명>행정지명
-
인주(麟州) - 인산진(麟山鎭)
평안도 의주(義州)에 있는 석성(石城). 본래 인주(麟州)였으나 고려 고종(高宗) 때 반란이 일어나 인산(麟山)으로 강등되고, 조선 세종(世宗) 때 진(鎭)이 설치되었으며, 선조(宣祖) 때 이제신(李濟臣)이 이곳에 유배됨.
평안도>의주 , 유적>시설>성,진,책
-
인주이씨(仁州李氏) - 인천이씨(仁川李氏)
고려 현종(顯宗) 때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지내고 소성백(邵城伯)에 봉해진 이허겸(李許謙)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집단>성씨
-
인주장씨(仁州張氏) - 인동장씨(仁同張氏)
고려 태사(太師)를 지낸 장정필(張貞弼)을 도시조로 하며,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오른 장금용(張金用)을 시조로 하는 계통과 충렬왕 때 옥산군(玉山君)에 봉해진 장계(張桂)를 시조로 하는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인동 , 인명>집단>성씨
-
인준(仁俊) - 조인준(趙仁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제주 판관(濟州判官)으로 있을 때 제주에서 사사된 김정(金淨)을 추모하기 위해 충암묘(冲菴廟)를 건립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