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인중(仁仲)@정갑손 - 정갑손(鄭甲孫)
조선 태종(太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중추원사(中樞院使)를 지낸 정흠지(鄭欽之)의 아들. 1417년(태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지형조사(知刑曹事)ㆍ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냄.
?~14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인중(仁仲)@호굉 - 호굉(胡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안국(胡安國)의 아들로, 양시(楊時)ㆍ이정(二程)의 이학(理學)을 계승하여 자신의 독창적인 오봉학파(五峯學派)를 창시하였으며, 주희(朱熹)ㆍ장식(張栻)ㆍ여조겸(吕祖謙) 등에게 영향을 미침.
1106?~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인중(仁仲)@이명홍 - 이명홍(李命弘)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천(永川). 간재(艮齋) 이덕홍(李德弘)의 형으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인중(仁仲)@이지성 - 이지성(李之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경주(慶州). 충무위 상호군(忠武衛上護軍) 이화(李譁)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인중(仁仲)@유희춘 - 유희춘(柳希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유계린(柳桂隣)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ㆍ최산두(崔山斗)의 문인(門人).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미암일기(眉巖日記)》등 많은 저술을 남김.
1513~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인중(仁仲) - 두지인(杜知仁)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학자. 어릴 때부터 시문(詩文)을 지었고, 자라서는 육경(六經)과 《논어(論語)》ㆍ《맹자(孟子)》를 공부했음. 저서로는 《시문십오권(詩文十五卷)》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인중(仁仲)@허눌 - 허눌(許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허백영(許伯瑛)의 아들이며 허백기(許伯琦)의 조카로,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정(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인중(仁仲)@남응원 - 남응원(南應元)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본관은 영양(英陽). 효행(孝行)으로 이름이 알려져 선조 때 두 차례 서용(敍用)의 명을 받음. 김성일(金誠一)이 그를 조정에 천거하고 시(詩)를 남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기타인명>효자
-
인지(仁之) - 박지계(朴知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왕자사부(王子師傅)ㆍ동몽교관(童蒙敎官) 등에 임명되나 취임하지 않고,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냄. 주자학에 조예가 깊고, 저서로 《잠야집(潛冶)》등이 있음.
1573~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인지(仁祉) - 홍인지(洪仁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홍덕연(洪德演)의 둘째 아들로, 1546년(명종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좌랑(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인지(引之) - 이계손(李繼孫)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로 있을 때 향교를 후원하여 지방의 학문을 진작시켰으며,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1423~148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인지(引之)@이승손 - 이승손(李承孫)@1394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세종(世宗) 때 북변(北邊)의 이만주(李滿住)를 정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 세조 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의정부 우찬성(議政府右贊成) 등을 역임함.
1394~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인지(引止) - 윤금손(尹金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지강(尹之岡)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찬성(贊成) 등을 역임함.
1458~15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인지(訒之)@유조인 - 유조인(柳祖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이중호(李仲虎)의 문인으로, 충효와 절의로 천거되어 이천 현감(伊川縣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선조와 세자 광해군을 호종한 공으로 호성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에 책록됨.
1522~15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인지(訒之) - 이수인(李守訒)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이행(李荇)과 함께 충주(忠州)로 유배되었다가 다시 거제도(巨濟島)로 이배(移配)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경상도>거제 , 인명>관인>문신
-
완안민(完顔旻) - 태조(太祖)@금
중국 금(金)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1115~1123. 만주 동부와 고려 장성(長城) 밖의 여진 제부(女眞諸部)를 통합하고, 요(遼) 나라 군대를 만주의 영강주(寧江州)에서 격파한 뒤 황제에 오름.
1068~1123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완역당(玩易堂) - 박형덕(朴馨德)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후손으로, 1809년(순조 9) 박광전의 문집 《죽천집(竹川集)》을 중간함.
1731~18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완역재(玩易齋) - 강석덕(姜碩德)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領議政) 심온(沈溫)의 사위이며, 사숙재(私淑齋) 강희맹(姜希孟)의 아버지. 청렴과 효우(孝友)로 명망이 높았음. 인수부 소윤(仁壽府少尹)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냄.
1395~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우(頑尤) - 치우(蚩尤)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제왕. 염제(炎帝)의 후예로, 구려족(九黎族)의 수령. 외모가 기이하고 성격이 사나웠으며, 신출귀몰한 재주와 무기로 황제(黃帝)와의 전쟁에서 연전연승했지만, 최후에 탁록(涿鹿)의 전투에서 패하여 죽었다 함. 전쟁의 신으로 받들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완원부원군(完原府院君) - 이양우(李良祐)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서형(庶兄)인 완산군(完山君) 이원계(李元桂)의 아들로,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2차 왕자의 난 때 중립을 지켜 태종(太宗)의 미움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141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완월당(翫月堂) - 오응정(吳應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1574년(선조 7) 무과(武科)에 급제하였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전라도 방어사(全羅道防禦使)로 남원성(南原城) 전투에서 활약하다 전사함. 남원(南原)의 충렬사(忠烈祠)에 배향됨.
1548~159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무신
-
완자홀도(完者忽都) - 기황후(奇皇后)
중국 원(元) 나라 순제(順帝)의 황후(皇后). 본관은 행주(幸州). 고려인 기자오(奇子敖)의 딸로, 북원(北元) 소종(昭宗)의 생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왕실>왕비
-
완장성(薍長城)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완창부원군(完昌府院君) - 이성중(李誠中)@1539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현손이며 금천군(錦川君) 이감(李瑊)의 아들.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되고 완창부원군(完昌府院君)에 봉해짐.
1539~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천군(完川君)@이희 - 이희(李禧)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영춘군(永春君) 이인(李仁)의 아들로 완천군(完川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완천군(完川君) - 이숙(李淑)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서제(庶弟)인 의안대군(義安大君) 이화(李和)의 아들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의정부 찬성사(議政府贊成事) 등을 지냄.
1373~14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완천부정(完川副正) - 이희(李禧)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영춘군(永春君) 이인(李仁)의 아들로 완천군(完川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완천정(完川正) - 이희(李禧)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영춘군(永春君) 이인(李仁)의 아들로 완천군(完川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완택독(完澤禿) - 왕고(王暠)
고려 충렬왕(忠烈王)의 손자. 충숙왕(忠肅王) 때 독로화(禿魯花)로서 원(元) 나라에 머무름. 충숙왕ㆍ충혜왕(忠惠王) 때 고려 왕위를 도모했으나 실패함.
?~134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완택독(完澤篤) - 성종(成宗)@원
중국 원(元)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1295~1307. 세조(世祖)의 손자로, 세조 치세(治世)의 영향이 유지된 데다 재상 합랄합손(哈刺合遜) 등의 보좌를 받아 안정된 정치를 펼침.
1265~1307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완택보화(完澤普化) - 기천린(奇天麟)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자오(奇子敖)의 손자로, 판도총랑(版圖摠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완평(完平) - 이원익(李元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함천군(咸川君) 이억재(李億載)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병제와 조세제도를 정비하고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는 데 공헌함.
1547~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평군(完平君) - 이민상(李敏祥)
조선 전기의 유학.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ㆍ호조 판서(戶曹判書)에 추증됨. 김귀영(金貴榮)의 《동원집(東園集)》에 제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완평부원군(完平府院君) - 이원익(李元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함천군(咸川君) 이억재(李億載)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병제와 조세제도를 정비하고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는 데 공헌함.
1547~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평현군(宛平縣君) - 철철불화(徹徹不花)
중국 원(元) 순제(順帝) 때의 문신. 하남부 총관(河南府摠管)을 지낸 고려인 한영(韓永)의 사위로, 병부 상서(兵部尚書)를 지냄.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완풍군(完豊君) - 이서(李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사공신(靖社功臣)에 봉해지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에서 죽음.
1580~163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완풍부원군(完豊府院君) - 이서(李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사공신(靖社功臣)에 봉해지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에서 죽음.
1580~163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완화수(浣花叟)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완화옹(浣花翁)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완화전(浣花箋) - 설도전(薛濤牋)
중국 당(唐) 나라의 종이. 기생 설도(薛濤)가 만년에 은거해서 심홍색 양질의 종이를 만들게 하여 그것을 이용하여 촉(蜀)의 명사들과 시를 증답(贈答)함.
중국>당 , 중국 , 물품>기타물품
-
완휴재(玩休齋) - 강승(姜昇)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봉서사(鳳棲祠)에 배향됨.
1430~150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문사>학자
-
왈인(曰仁) - 서애(徐愛)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왕수인(王守仁)의 매부(妹夫)로, 남경공부낭중(南京工部郞中) 등을 지내고, 《전습록(傳習錄)》을 편찬함.
1487~151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氵+㞷)) - 소현세자(昭顯世子)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맏아들. 효종(孝宗)의 형이며, 부인은 민회빈강씨(愍懷嬪姜氏). 병자호란 때 아우인 봉림대군(鳳林大君) 등과 함께 심양(瀋陽)에 끌려가 9년간 고초를 겪다가 귀국하였으나, 두 달 만에 원인 모를 병으로 급사함.
1612~16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왕^려(王^呂) - 여이간(呂夷簡)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오랜 기간 재상(宰相)으로서 국정을 좌우하였으나 범중엄(范仲淹)ㆍ왕증(王曾) 등과 대립하다가 인종의 개혁 의지로 파면됨.
979~104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양^노^낙(王^楊^盧^駱) - 초당사걸(初唐四傑)
중국 당(唐) 나라 초기에 시문(詩文)으로 명성을 떨친 왕발(王勃)ㆍ양형(楊炯)ㆍ노조린(盧照隣)ㆍ낙빈왕(駱賓王)을 가리킴. 모두 신분이 낮은 사족(士族) 출신으로, 젊어서 시단(詩壇)에서 이름을 떨친 공통점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왕^육(王^陸) - 육^왕(陸^王)
중국 남송(南宋) 초의 문신ㆍ학자인 육구연(陸九淵)과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왕수인(王守仁)을 함께 부르는 말. 육왕학(陸王學)의 대표적인 인물들로, 정주학자(程朱學者)의 관점에서는 사이비 유학자를 가리킴.
중국>명ㅣ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왕^종(王^鍾) - 종^왕(鍾^王)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서예가인 종요(鍾繇)와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서예가인 왕희지(王羲之)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 고금(古今)의 서성(書聖)인 두 사람을 말함.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왕간(王侃) - 왕창(王淐)
고려 제23대 고종(高宗)의 아들. 원종(元宗)의 동모제(同母弟)로 1269년(원종 10) 임연(林衍) 등에 의해 즉위하였으나, 몽고의 압력으로 곧 폐위되고 원종이 복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왕개보(王介甫) - 왕안석(王安石)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시인. 신종(神宗)에게 발탁되어 신법(新法)이라는 혁신 정책을 단행함.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중 한 사람으로 꼽힘.
1021~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거(王昛) - 충렬왕(忠烈王)
고려 제25대 왕. 재위 1274~1308. 원종(元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순경태후(順敬太后). 원종이 원(元) 나라에 있을 때 태손(太孫)으로서 국사를 담당했으며, 즉위 후 고려 왕권의 위상 확립 및 대몽항쟁(對蒙抗爭) 중 원 나라에 편입된 영토의 수복에 힘씀.
1236~130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건(王建)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건(王建)@고조 - 고조(高祖)@오대십국(전촉)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전촉(前蜀)의 제1대 황제. 당(唐) 나라의 환관 전영자(田令孜)의 양아들로 황소의 난 때 공을 세움. 절도사(節度使)로 갔던 서천(西川)에서 촉(蜀) 나라를 세우고 당 나라가 망하자 황제를 자칭함.
847~918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왕경부(王敬夫) - 왕구사(王九思)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칠재자(七才子)’ 중의 한 사람으로, 사곡(詞曲)에 뛰어났으며 이부 낭중(吏部郞中) 등을 지냄.
1468~155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고려(王高麗) - 고려(高麗)
왕건(王建)이 태봉(泰封)의 궁예(弓裔)를 추방하고 개성(開城)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태조(太祖)에서 공양왕(恭讓王)까지 34대 475년간 존속.
918~1392 한국>고려시대 , 시간>국명
-
왕공(王公)@왕촉 - 왕촉(王蠋)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문신. 제 나라가 연(燕) 나라의 공격을 받아 거의 망하게 되었을 때 연 나라 장군 악의(樂毅)가 초빙하자,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고 열녀는 두 남편을 섬기지 않는다.”는 말로 거절하고 스스로 목매어 죽음.
?~B.C.28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공(王公) - 왕중서(王仲舒)
중국 당(唐) 헌종(憲宗)~목종(穆宗) 때의 문인ㆍ문신. 홍주 자사(洪州刺史)ㆍ중서사인(中書舍人)ㆍ강남서도 관찰사(江南西道觀察使) 등을 지냈으며, 한유(韓愈)와 교유하였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공사륙화(王公四六話) - 사륙화(四六話)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학자인 왕질(王銍)이 지은 평론서. 2권. 송대(宋代)의 표문(表文)과 계문(啓文) 및 육조(六朝)와 당(唐) 시대의 사(詞)를 평론한 책으로, 송대 사륙변려문(四六騈儷文)의 시초임.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왕교(王喬)@왕자교 - 왕자교(王子喬)
중국 주(周) 나라 영왕(靈王)의 태자. 이름은 진(晉)으로, 직간(直諫)을 하다가 폐세자(廢世子)가 되어 구씨산(緱氏山)에 들어가 신선(神仙)이 되었다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왕구(王構) - 인종(仁宗)@고려
고려 제17대 왕. 재위 1123~1146. 이자겸(李資謙)의 난과 묘청(妙淸)의 난을 겪었고, 김부식(金富軾) 등에게 《삼국사기(三國史記)》를 편찬하게 함.
1109~114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구령(王龜齡) - 왕십붕(王十朋)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시인ㆍ문신. 주희(朱熹)ㆍ왕응신(汪應辰) 등의 학자들과 교유했으며, 소동파(蘇東坡)의 시(詩)를 집주(集註)한 《집주분류동파선생시(集註分類東坡先生詩)》로 유명함.
1112~117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군(王君) - 왕적(王適)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 대리평사(大理評事) 등을 지냈으나, 한유(韓愈)가 지은 그의 묘명(墓銘)에 후고(侯高)를 속이고 그의 딸과 혼인한 일이 실려 있어 세인(世人)들의 조롱을 받음.
770~81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근사(王近思) - 왕역행(王力行)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기(王祈) - 선종(宣宗)@고려
고려 제13대 왕. 재위 1083~1094. 문종(文宗)의 둘째 아들. 불교를 장려하여 승과(僧科)를 설치하고, 많은 사탑(寺塔)을 건립함.
1049~1094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기(王祺) - 공민왕(恭愍王)
고려 제31대 왕. 재위 1351~1374. 반원정책(反元政策)을 중심으로 한 개혁정치를 통하여 고려의 중흥을 모색함.
1330~13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난정(王蘭亭) - 왕희지(王羲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서예가ㆍ문신. 동진 왕조 건설에 공적이 컸던 왕도(王導)의 조카로, 중국 고금(古今)의 첫째가는 서성(書聖)으로 존경받고 있음.
307~3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왕남명(汪南明) - 왕도곤(汪道昆)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의오 현령(義烏縣令) 때 척계광(戚繼光)과 병사를 모집하여 왜구(倭寇)를 격파하고, 병부시랑(兵部侍郞) 등을 지냄. 문장에 뛰어나 이반룡(李攀龍)ㆍ왕세정(王世貞) 등과 함께 학문을 연마함.
1525~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내사(王內史) - 왕공(王恭)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효무제(孝武帝)~안제(安帝) 때의 문신. 왕온(王蘊)의 아들로, 태자 첨사(太子詹事) 등을 지냄. 성격이 검소하고 청렴하였으며, 학창의(鶴氅衣)를 입고 눈 속을 걸어다니자 사람들이 신선에 비유하였다 함.
?~39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노재(王魯齋) - 왕백(王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과 종유(從遊)하였고, 주희(朱熹)의 《경재잠(敬齋箴)》을 도식화(圖式化)함.
1197~127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녹사(王錄事) - 왕홍(王弘)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 도잠(陶潛)을 매우 존경하여, 강주 자사(江州刺史)로 있을 때 중양절(重陽節)에 도잠이 술이 떨어지자 술병을 보냈다는 고사가 전함. 태보(太保) 등을 지냄.
379~43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니(王尼)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왕단명(王端明) - 왕응신(汪應辰)
중국 송(宋)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거쳐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역임함. 주자(朱子)가 선인(善人)의 종주라고 칭함.
1118~117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당(王戇) - 왕굉(王竤)
중국 명(明) 나라 때의 문신. 섬서성(陝西省) 하주(河州) 사람으로,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역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대(王大) - 왕휘지(王徽之)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의 아들로, 자유분방한 성격을 지녔고 대나무 그림에 능했음.
?~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왕대령(王大令) - 왕헌지(王獻之)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의 아들로, 예서(隸書)와 초서(草書)를 잘 썼으며, 부친으로부터 서법을 이어받아 호기 있는 서풍(書風)을 완성함.
344~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왕대부(王大夫) - 왕촉(王蠋)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문신. 제 나라가 연(燕) 나라의 공격을 받아 거의 망하게 되었을 때 연 나라 장군 악의(樂毅)가 초빙하자,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고 열녀는 두 남편을 섬기지 않는다.”는 말로 거절하고 스스로 목매어 죽음.
?~B.C.28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대성(王大成) - 광종(光宗)@고려
고려 제4대 왕. 재위 949~975. 태조 왕건(王建)의 넷째 아들. 형인 정종(定宗)의 선위(禪位)를 받아 즉위한 뒤 영명(英明)한 통치로 훈신(勳臣)ㆍ장상(將相) 등을 숙청하고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과거제도의 시행, 국방의 강화 등 많은 치적을 쌓음.
925~97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덕(王悳) - 희종(熙宗)
고려 제21대 왕. 재위 1204~1211. 신종(神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정화태후 김씨(靖和太后金氏).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폐위되고, 최우(崔瑀)에 의해 강화로 유배됨.
1181~123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도(王燾) - 충숙왕(忠肅王)
고려 제27대 왕. 재위 1313~1330, 1332~1339. 충선왕(忠宣王)의 둘째 아들. 원(元) 나라의 세공(歲貢)을 삭감하고 공녀(貢女)ㆍ환자(宦者)의 선발을 중지시키는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나, 뒤에 사냥과 연회 등에 빠져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않음.
1294~133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려(王麗) - 고려(高麗)
왕건(王建)이 태봉(泰封)의 궁예(弓裔)를 추방하고 개성(開城)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태조(太祖)에서 공양왕(恭讓王)까지 34대 475년간 존속.
918~1392 한국>고려시대 , 시간>국명
-
왕륭(王隆) - 세조(世祖)@고려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의 아버지. 통일신라 송악군(松嶽郡)의 사찬(沙飡)으로 있다가 진성여왕(眞聖女王) 때 궁예(弓裔)에게 귀복하여 금성 태수(金城太守)를 지냈으며, 태조 때에 추존됨.
?~897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마힐(王摩詰) - 왕유(王維)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 산수화에 능하고, 문인화(文人畫)의 시조로 추앙됨.
699~759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만(王卍) - 충숙왕(忠肅王)
고려 제27대 왕. 재위 1313~1330, 1332~1339. 충선왕(忠宣王)의 둘째 아들. 원(元) 나라의 세공(歲貢)을 삭감하고 공녀(貢女)ㆍ환자(宦者)의 선발을 중지시키는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나, 뒤에 사냥과 연회 등에 빠져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않음.
1294~133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명군(王明君) - 왕소군(王昭君)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의 후궁. 흉노(匈奴)와의 화친정책으로 호한야 선우(呼韓邪單于)에게 시집가 연지(閼氏)가 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왕모(王母) - 서왕모(西王母)
중국 고대 전설상의 선녀. 《산해경(山海經)》에서는 곤륜산(崑崙山)에 사는, 사람 얼굴에 표범 꼬리와 호랑이 이빨을 가진 신인(神人)이라고 하였으나, 일반적으로 불사약(不死藥)을 가지고 있는 선녀로 전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왕목지(王穆之) - 애정왕황후(哀靖王皇后)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 제10대 애제(哀帝)의 황후. 태원(太原) 진양(晉陽) 사람으로, 황후가 된 지 3년 만에 죽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왕무(王武) - 혜종(惠宗)
고려 제2대 왕. 재위 943~945. 태조(太祖)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장화왕후(莊和王后). 지용(智勇)이 뛰어나 후백제(後百濟)를 칠 때 큰 공을 세웠으나, 즉위 후에는 왕권이 미약하여 왕규(王規)에게 암살 위협을 당하기도 함.
914~94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무자(王武子) - 왕제(王濟)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의 부마(駙馬). 왕혼(王渾)의 아들로,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고 용력(勇力)이 뛰어났으며, 상산공주(尙山公主)와 혼인하여 극도의 호사를 누림.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왕무홍(王茂弘) - 왕도(王導)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재상(宰相). 원제(元帝)의 총애로 정승에 오르고, 명제(明帝)와 성제(成帝)를 보좌하여 동진의 기초를 다짐.
276~33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민(王旼) - 신종(神宗)@고려
고려의 제20대 국왕. 재위 1197~1204. 인종(仁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명종(明宗)의 동모제(同母弟)로, 최충헌(崔忠獻) 형제가 명종을 폐하고 왕으로 추대하였는데, 재위 중 잇따라 민란이 일어남.
1144~120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반산(王半山) - 왕안석(王安石)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시인. 신종(神宗)에게 발탁되어 신법(新法)이라는 혁신 정책을 단행함.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중 한 사람으로 꼽힘.
1021~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백옥(汪伯玉) - 왕도곤(汪道昆)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의오 현령(義烏縣令) 때 척계광(戚繼光)과 병사를 모집하여 왜구(倭寇)를 격파하고, 병부시랑(兵部侍郞) 등을 지냄. 문장에 뛰어나 이반룡(李攀龍)ㆍ왕세정(王世貞) 등과 함께 학문을 연마함.
1525~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별가(王別駕) - 왕희걸(王希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이황(李滉)ㆍ노수신(盧守愼)ㆍ홍섬(洪暹) 등 당대의 명유와 교유하였고, 문장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났으며, 함경도 어사(咸鏡道御史) 시절에 보우(普雨)의 승직을 삭탈하는 계기가 된 장계를 올림.
?~15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왕보사(王輔嗣) - 왕필(王弼)@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학자. 어려서부터 지혜로 명성을 떨치고 상서랑(尙書郞)을 지냈으며, 하안(何晏)ㆍ하후현(夏侯玄) 등과 함께 현학(玄學)의 청담기풍(淸談氣風)을 창시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226~24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부자(王夫子) - 왕희지(王羲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서예가ㆍ문신. 동진 왕조 건설에 공적이 컸던 왕도(王導)의 조카로, 중국 고금(古今)의 첫째가는 서성(書聖)으로 존경받고 있음.
307~3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왕비박씨(王妃朴氏) - 의인왕후(懿仁王后)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비. 본관은 반남(潘南). 반성부원군(潘城府院君) 박응순(朴應順)의 딸로, 1569년(선조 2) 왕비에 책봉됨.
1555~16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왕산악(王山嶽) - 왕산악(王山岳)
고구려 양원왕(陽原王) 때의 국상(國相). 거문고의 대가. 552년(양원왕 8)에 진(晉) 나라에서 도입한 칠현금(七絃琴)을 개조하여 100여 악곡을 지어 연주함.
한국>고구려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왕서(王敍) - 왕즙(王緝)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의 부마(駙馬). 공양왕의 첫째 딸 숙녕궁주(肅寧宮主)와 혼인하였으나, 공양왕이 폐위되기 전 섬으로 귀양감. 조선 태조(太祖)의 서형(庶兄) 사위인 변중량(卞仲良)과 동갑계(同甲契)를 맺어 친분이 있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왕서(王瑞) - 왕석(王奭)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의 맏아들. 순비 노씨(純妃盧氏)의 소생으로, 1389년(공양왕 1) 세자로 책봉되었으며, 1391년 하정사(賀正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왕서(王緖) - 문종(文宗)@고려
고려 제11대 왕. 재위 1046~1083. 각종 법률 제정으로 내치(內治)를 다지고 국방ㆍ외교에도 힘썼으며, 유학을 장려하고 송(宋) 나라 문화를 수입하여 문화의 황금기를 이룸.
1019~108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성(王姓) - 고려(高麗)
왕건(王建)이 태봉(泰封)의 궁예(弓裔)를 추방하고 개성(開城)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태조(太祖)에서 공양왕(恭讓王)까지 34대 475년간 존속.
918~1392 한국>고려시대 , 시간>국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