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왕소(王^蘇) - 돈^준(敦^峻)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원제(元帝) 때의 재상 왕돈(王敦)과, 성제(成帝) 때의 무신 소준(蘇峻)을 함께 부르는 말. 난을 일으킨 반역자를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왕소(王昭) - 광종(光宗)@고려
고려 제4대 왕. 재위 949~975. 태조 왕건(王建)의 넷째 아들. 형인 정종(定宗)의 선위(禪位)를 받아 즉위한 뒤 영명(英明)한 통치로 훈신(勳臣)ㆍ장상(將相) 등을 숙청하고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과거제도의 시행, 국방의 강화 등 많은 치적을 쌓음.
925~97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손(王孫) - 두영(竇嬰)
중국 전한(前漢) 때의 외척ㆍ문신. 효문후(孝文后) 두씨(竇氏)의 조카로, 대장군(大將軍)을 거쳐 승상(丞相)에 이르러 천하에 권위를 떨쳤으나, 뒤에 효경후(孝景后)의 노염을 사서 기시(棄市)됨.
?~B.C.13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왕송(王訟) - 목종(穆宗)@고려
고려 제7대 국왕. 재위 997~1009. 전시과(田柴科)를 개정(改定)하고 학문을 장려하는 등 치적을 쌓았으나 강조(康兆)에게 피살됨.
980~100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송(王誦) - 목종(穆宗)@고려
고려 제7대 국왕. 재위 997~1009. 전시과(田柴科)를 개정(改定)하고 학문을 장려하는 등 치적을 쌓았으나 강조(康兆)에게 피살됨.
980~100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숙(王叔) - 왕자호(王子虎)
중국 주(周) 나라 장왕(莊王)의 아들이며, 양왕(襄王)의 숙부. 제(齊) 나라 환공(桓公)이 태자 정(鄭)을 양왕으로 세우는데 밀사로 파견되었고, 후에 그 가족이 왕숙씨(王叔氏)로 봉해짐.
?~B.C.624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왕숙(王璹)@강종 - 강종(康宗)
고려의 제22대 왕. 재위 1211~1213. 명종(明宗)의 맏아들. 1197년 부왕과 함께 최충헌(崔忠獻)에게 쫓겨 강화도로 갔다가, 희종(熙宗)을 폐한 최충헌에 의해 왕위에 오름.
1152~121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숙(王肅)@권숙 - 권숙(權肅)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문신. 왕후(王煦)의 손자이며 왕중귀(王重貴)의 아들.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상주(上奏)로 복성(復姓)되었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왕숙도(王叔度) - 사마영(司馬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의 열여섯째 아들. 교지명(喬智明)과 육기(陸機)를 발탁하여 장군으로 등용하고, 무제가 죽은 후 팔왕(八王)의 난(亂)에 참여하여 한때 권력을 가졌으나 곧 실각하여 목매어 자살함.
279~30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왕순(王詢) - 현종(顯宗)@고려
고려 제8대 왕. 재위 1010~1031.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인 안종(安宗) 왕욱(王郁)의 아들로, 어머니는 헌정왕후(獻貞王后). 헌애왕후(獻哀王后)의 견제를 받다가 강조(康兆)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며, 거란(契丹)과 우호를 다지고 문화 발전을 꾀함.
992~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시걸(王時傑) - 왕희걸(王希傑)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이황(李滉)ㆍ노수신(盧守愼)ㆍ홍섬(洪暹) 등 당대의 명유와 교유하였고, 문장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났으며, 함경도 어사(咸鏡道御史) 시절에 보우(普雨)의 승직을 삭탈하는 계기가 된 장계를 올림.
?~15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왕식(王禃) - 원종(元宗)@고려
고려 제24대 왕. 재위 1260~1274. 고종(高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안혜태후 유씨(安惠太后柳氏). 한때 임연(林衍)에 의해 폐위당하였으나 원(元)의 도움으로 복귀함. 전민변정도감(田民辨整都監)을 설치하고, 강화도(江華島)에서 개성(開城)으로 환도(還都)하였으며,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진압함.
1219~12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신백(王信伯) - 왕빈(王蘋)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학자. 정이(程頤)의 문인(門人)으로 정이의 학통을 이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심(王諶) - 충렬왕(忠烈王)
고려 제25대 왕. 재위 1274~1308. 원종(元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순경태후(順敬太后). 원종이 원(元) 나라에 있을 때 태손(太孫)으로서 국사를 담당했으며, 즉위 후 고려 왕권의 위상 확립 및 대몽항쟁(對蒙抗爭) 중 원 나라에 편입된 영토의 수복에 힘씀.
1236~130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씨치언(王氏巵言) - 예원치언(藝苑巵言)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왕세정(王世貞)이 찬술한 시문평론서(詩文評論書). 고대부터 명대(明代)까지의 시문(詩文)ㆍ시문평(詩文評) 등을 수록하고 자신의 의견을 붙임.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왕양(王陽)@왕길 - 왕길(王吉)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문신. 간의대부(諫議大夫) 등을 지냄. 왕길이 공우(貢禹)와 친하였는데, 왕길이 인사를 맡은 자리에 앉자 공우가 갓의 먼지를 털고는 자신을 천거해 주기를 기다렸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엄주(王弇州) - 왕세정(王世貞)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젊을 때부터 문명이 높아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고,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명대 후기 고문사파(古文辭派)의 지도자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526~159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업령(王鄴令) - 왕교(王喬)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 때의 문신. 업현(鄴縣)의 수령을 역임하였으며, 신술(神術)이 있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연희(王延羲) - 경종(景宗)@오대십국(민)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민(閩) 나라의 제5대 왕. 재위 939~944.
?~944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왕영(王韺) - 희종(熙宗)
고려 제21대 왕. 재위 1204~1211. 신종(神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정화태후 김씨(靖和太后金氏).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폐위되고, 최우(崔瑀)에 의해 강화로 유배됨.
1181~123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오(王祦) - 강종(康宗)
고려의 제22대 왕. 재위 1211~1213. 명종(明宗)의 맏아들. 1197년 부왕과 함께 최충헌(崔忠獻)에게 쫓겨 강화도로 갔다가, 희종(熙宗)을 폐한 최충헌에 의해 왕위에 오름.
1152~121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옹(王顒) - 숙종(肅宗)@고려
고려 제15대 국왕. 재위 1095~1105. 조카인 헌종(獻宗)이 어린 나이에 즉위한 뒤 이자의(李資義)가 거사하자 그를 주살하고 선위(禪位)를 받아 왕위에 오름.
1054~110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요(王堯) - 정종(定宗)@고려
고려의 제3대 왕. 재위 946~949. 태조(太祖)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신명순성왕태후(神明順成王太后). 호족들을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서경천도(西京遷都)를 시도했으나 개경(開京)의 호족과 백성들의 불만을 고조시키는 결과만을 초래함.
923~94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요(王瑤) - 공양왕(恭讓王)
고려 제34대 왕. 재위 1389~1392. 고려의 마지막 왕으로, 이성계(李成桂) 등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으나 폐위된 후 삼척부(三陟府)에서 사사됨.
1345~139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우(王俁) - 예종(睿宗)@고려
고려 제16대 국왕. 재위 1105~1122. 재위 중 인재양성에 힘써 무학재(武學齋)와 양현고(養賢庫) 등을 설치하고, 윤관(尹瓘)을 원수(元帥)로 삼아 여진족을 정벌하는 등의 치적을 쌓음.
1079~112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우(王右) - 왕희지(王羲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서예가ㆍ문신. 동진 왕조 건설에 공적이 컸던 왕도(王導)의 조카로, 중국 고금(古今)의 첫째가는 서성(書聖)으로 존경받고 있음.
307~3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왕우(王禑) - 우왕(禑王)
고려 제32대 국왕. 재위 1374~1388. 수시중(守侍中) 이인임(李仁任)의 후원으로 즉위했다가 이인임이 실각한 후 정치적 기반을 잃고 이성계(李成桂)에게 쫓겨나 유배되었다가 죽음.
1365~138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우군(王右軍) - 왕희지(王羲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서예가ㆍ문신. 동진 왕조 건설에 공적이 컸던 왕도(王導)의 조카로, 중국 고금(古今)의 첫째가는 서성(書聖)으로 존경받고 있음.
307~3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왕우승(王右丞) - 왕유(王維)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 산수화에 능하고, 문인화(文人畫)의 시조로 추앙됨.
699~759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욱(王旭) - 대종(戴宗)
고려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 제6대 왕인 성종(成宗)의 생부. 성종이 즉위하여 추존함.
?~96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욱(王昱) - 헌종(獻宗)@고려
고려 제14대 왕. 재위 1094~1095. 선종(宣宗)의 아들로, 어머니는 사숙태후(思肅太后) 이씨(李氏). 즉위 후 신병(身病)으로 인해 왕위를 숙부인 숙종(肅宗)에게 물려준 뒤, 후궁에서 지내다가 14세에 요절함.
1084~1097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운(王運) - 선종(宣宗)@고려
고려 제13대 왕. 재위 1083~1094. 문종(文宗)의 둘째 아들. 불교를 장려하여 승과(僧科)를 설치하고, 많은 사탑(寺塔)을 건립함.
1049~1094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원(王謜) - 충선왕(忠宣王)
고려 제26대 왕. 재위 1298, 1308~1313. 충렬왕(忠烈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토지와 관제개혁 등 일련의 혁신정치를 시도하고, 원(元) 나라 연경(燕京)에 만권당(萬卷堂)을 세워 서적수집과 학자들의 문화교류에 큰 영향을 줌.
1275~132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원미(王元美) - 왕세정(王世貞)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젊을 때부터 문명이 높아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고,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명대 후기 고문사파(古文辭派)의 지도자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526~159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위공(王魏公) - 왕단(王旦)
중국 송(宋) 진종(眞宗) 때의 승상(丞相). 병부 시랑(兵部侍郞)을 지낸 진국공(晉國公) 왕호(王祜)의 아들이며,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낸 왕소(王素)의 아버지.
957~101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유(王猷) - 왕휘지(王徽之)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의 아들로, 자유분방한 성격을 지녔고 대나무 그림에 능했음.
?~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왕유격(王遊擊)@왕필적 - 왕필적(王必迪)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부총병(副總兵)으로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참전하여 활약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왕유격(王遊擊) - 왕수관(王守官)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요동광녕진수총병관(遼東廣寧鎭守總兵官) 양응훈(楊應勳) 소속의 구원병으로 참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왕이직(汪易直) - 왕규(汪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이 종학(從學)한 왕응신(汪應辰)의 아들.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일소(王逸少) - 왕희지(王羲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서예가ㆍ문신. 동진 왕조 건설에 공적이 컸던 왕도(王導)의 조카로, 중국 고금(古今)의 첫째가는 서성(書聖)으로 존경받고 있음.
307~3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왕일화(王日華) - 광종(光宗)@고려
고려 제4대 왕. 재위 949~975. 태조 왕건(王建)의 넷째 아들. 형인 정종(定宗)의 선위(禪位)를 받아 즉위한 뒤 영명(英明)한 통치로 훈신(勳臣)ㆍ장상(將相) 등을 숙청하고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과거제도의 시행, 국방의 강화 등 많은 치적을 쌓음.
925~97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자(王子) - 왕양(王陽)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효자. 익주 자사(益州刺史)가 되어 고을을 순시하던 도중 공래현(邛崍縣)의 구절판(九折坂)이라는 험한 길을 지날 때, 부모가 물려준 몸으로 녹봉을 위하여 이런 험한 길을 갈 수 없다 하고는 돌아와 벼슬을 사직한 고사가 전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왕자(王子)@왕촉 - 왕촉(王蠋)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문신. 제 나라가 연(燕) 나라의 공격을 받아 거의 망하게 되었을 때 연 나라 장군 악의(樂毅)가 초빙하자,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고 열녀는 두 남편을 섬기지 않는다.”는 말로 거절하고 스스로 목매어 죽음.
?~B.C.28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자경(王子敬) - 왕헌지(王獻之)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의 아들로, 예서(隸書)와 초서(草書)를 잘 썼으며, 부친으로부터 서법을 이어받아 호기 있는 서풍(書風)을 완성함.
344~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왕자량(王子良) - 소자량(蕭子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ㆍ문인. 무제(武帝)의 둘째 아들로, 경릉군왕(竟陵郡王)에 봉해졌으며, 《사부요략(四部要略)》을 편찬함. 문인들을 모아놓고 시 짓기 놀이를 할 때 촛불 일촌(一寸)이 탈 동안 완성하기로 규정을 삼은 고사가 전해짐.
460~4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왕자유(王子猷) - 왕휘지(王徽之)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의 아들로, 자유분방한 성격을 지녔고 대나무 그림에 능했음.
?~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왕자진(王子晉) - 왕자교(王子喬)
중국 주(周) 나라 영왕(靈王)의 태자. 이름은 진(晉)으로, 직간(直諫)을 하다가 폐세자(廢世子)가 되어 구씨산(緱氏山)에 들어가 신선(神仙)이 되었다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왕자합(王子合) - 왕우(王遇)
중국 송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요덕명(廖德明)ㆍ황간(黃榦) 등과 교유함. 우사 낭중(右司郞中)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논맹강의(論孟講義)》 등을 남김.
1141~121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장(汪丈) - 왕장(汪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주자대전(朱子大全)》에 주희와 주고받은 서찰의 내용이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장(王嬙) - 왕소군(王昭君)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의 후궁. 흉노(匈奴)와의 화친정책으로 호한야 선우(呼韓邪單于)에게 시집가 연지(閼氏)가 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왕장(王璋) - 충선왕(忠宣王)
고려 제26대 왕. 재위 1298, 1308~1313. 충렬왕(忠烈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토지와 관제개혁 등 일련의 혁신정치를 시도하고, 원(元) 나라 연경(燕京)에 만권당(萬卷堂)을 세워 서적수집과 학자들의 문화교류에 큰 영향을 줌.
1275~132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저(王㫝) - 충정왕(忠定王)
고려 제30대 왕. 재위 1349~1351년. 충혜왕(忠惠王)의 서자(庶子)로, 어머니는 희비윤씨(禧妃尹氏). 12세의 나이로 즉위하였으나 어려서 국정을 감당할 수 없다는 이유로 숙부인 왕기(王祺)가 왕위에 오른 후 강화(江華)로 추방당하여 독살됨.
1337~135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적집(王績集) - 동고자집(東皐子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왕적(王績)의 문집. 《왕적집(王績集)》 5권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동고자집(東皐子集)》3권으로 전함. 〈취향기(醉鄕記)〉ㆍ〈오두선생전(五斗先生傳〉ㆍ〈무심자전(無心子傳)〉 등을 수록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왕전(王倎) - 원종(元宗)@고려
고려 제24대 왕. 재위 1260~1274. 고종(高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안혜태후 유씨(安惠太后柳氏). 한때 임연(林衍)에 의해 폐위당하였으나 원(元)의 도움으로 복귀함. 전민변정도감(田民辨整都監)을 설치하고, 강화도(江華島)에서 개성(開城)으로 환도(還都)하였으며,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진압함.
1219~12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전(王顓) - 공민왕(恭愍王)
고려 제31대 왕. 재위 1351~1374. 반원정책(反元政策)을 중심으로 한 개혁정치를 통하여 고려의 중흥을 모색함.
1330~13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정(王禎) - 충혜왕(忠惠王)
고려 제28대 왕. 재위 1330~1332, 1339~1344. 충숙왕(忠肅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명덕태후(明德太后). 재리(財利)에 밝아 여러 가지 경제정책을 시행하였으나, 탐음부도(貪淫不道)하여 대신들의 탄핵을 받아 원(元) 나라로 귀양가다가 중도에 죽음
1315~134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정(王貞) - 강종(康宗)
고려의 제22대 왕. 재위 1211~1213. 명종(明宗)의 맏아들. 1197년 부왕과 함께 최충헌(崔忠獻)에게 쫓겨 강화도로 갔다가, 희종(熙宗)을 폐한 최충헌에 의해 왕위에 오름.
1152~121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정승(王政丞) - 왕후(王煦)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충선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왕후(王煦)라는 이름을 하사받음.
1296~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왕제(王弟) - 왕후(王煦)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충선왕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왕후(王煦)라는 이름을 하사받음.
1296~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왕조일기(王朝日記)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조선시대에 승정원(承政院)에서 매일 취급한 문서(文書)와 사건을 기록한 일기. 원래 조선 개국 초부터 일기가 있었으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소실되어 1623년(인조 1)부터 1894년(고종 31)까지 270여 년간의 일기만이 현존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문헌>서명
-
왕주(王伷) - 경종(景宗)@고려
고려 제5대 왕. 재위 975~981. 전시과(田柴科)를 제정하였음.
955~98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주(王鑄) - 원충(元忠)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부(元傅)의 손자. 충선왕(忠宣王)의 총애로 왕씨(王氏)를 하사받아 이름을 왕주(王鑄)로 바꾸고, 찬성사(贊成事)를 지냄. 추성좌리공신(推誠佐理功臣)에 봉해짐.
1290~1337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왕주사(王主事) - 왕사기(王士騏)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왕세정(王世貞)의 아들로, 이부 원외랑(吏部員外郞) 등을 지내고, 《제갈량집(諸葛亮集)》ㆍ《무후전서(武侯全書)》등을 편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주진(王洲津) - 대왕포(大王浦)
충청남도 부여(扶餘)의 금강(錦江)가에 있던 포구(浦口) 이름. 백제 무왕(武王)의 유람지로 전해짐.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왕준(王準) - 준왕(準王)
고대 기자조선(箕子朝鮮)의 마지막 국왕. 망명하여 온 연(燕) 나라 사람 위만(衛滿)이 모반을 일으키자 마한(馬韓) 땅으로 도망하여 유민(流民)을 수습하고 한왕(韓王)이라 칭하였음.
고대 , 인명>왕실>국왕
-
왕중엄(王仲淹) - 왕통(王通)
중국 수(隋) 나라의 학자. 기본 바탕은 유학에 두고 유ㆍ불ㆍ도 합일을 주장했으며, 제자 중에서 당(唐) 나라의 문무대관이 된 사람들이 많음.
584~617 중국>수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중임(王仲任) - 왕충(王充)
중국 후한(後漢) 때의 학자. 반표(班彪)의 제자이며, 틀에 짜인 유교 사상을 철저히 거부하고 독창성이 넘치는 자유주의적 사상을 추구한 사상적 전환기의 선구자로, 당시의 전통적 정치와 학문을 비판하며 《논형(論衡)》을 저술함.
27~9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증(王蒸) - 선종(宣宗)@고려
고려 제13대 왕. 재위 1083~1094. 문종(文宗)의 둘째 아들. 불교를 장려하여 승과(僧科)를 설치하고, 많은 사탑(寺塔)을 건립함.
1049~1094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진(王晉) - 왕자교(王子喬)
중국 주(周) 나라 영왕(靈王)의 태자. 이름은 진(晉)으로, 직간(直諫)을 하다가 폐세자(廢世子)가 되어 구씨산(緱氏山)에 들어가 신선(神仙)이 되었다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왕진(王瞋) - 고종(高宗)@고려
고려의 제23대 왕. 재위 1213~1259. 거란ㆍ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고통을 받음. 팔만대장경을 조판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등 문화적인 업적도 남김.
1192~12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진경(王晉卿) - 왕선(王詵)
중국 북송(北宋) 때의 서화가. 시(詩)와 사(詞)를 잘 지었고 서예에 능했으며, 특히 산수화를 잘 그림. 소동파(蘇東坡)ㆍ황정견(黃庭堅)ㆍ미불(米芾) 등과 친교가 깊었음.
1048~1104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왕진보(王晉輔) - 왕현(王峴)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이며, 여조검(呂祖儉)의 사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질(王晊) - 고종(高宗)@고려
고려의 제23대 왕. 재위 1213~1259. 거란ㆍ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고통을 받음. 팔만대장경을 조판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등 문화적인 업적도 남김.
1192~12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찰자(王札子) - 왕자첩(王子捷)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선공(宣公) 때의 무인. 경대부 왕손소(王孫蘇)의 부하로서, 당시 왕손소와 정치적으로 대립하고 있는 소백(召伯)과 모백(毛伯)을 죽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왕참정(王參政) - 왕차옹(王次翁)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진회(秦檜)와 결탁하여 금군(金軍)과의 화친을 강력히 주장하고, 한세충(韓世忠)ㆍ장준(張浚)ㆍ악비(岳飛) 등을 모함하여 탄핵함. 저서에 《양하집(兩河集)》이 있음.
1079~114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천사(王天使) - 왕새(王璽)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569년(조선 선조 2)에 황태자 책립조서(皇太子冊立詔書)를 전달하기 위해 조선에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철(王㬚) - 고종(高宗)@고려
고려의 제23대 왕. 재위 1213~1259. 거란ㆍ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고통을 받음. 팔만대장경을 조판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등 문화적인 업적도 남김.
1192~12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철(王徹) - 의종(毅宗)@고려
고려 제18대 왕. 재위 1146~1170. 인종(仁宗)의 맏아들로, 무신들을 천대하다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 등에게 폐위당함. 김보당(金甫當)의 복위운동 실패 후 이의민(李義旼)에게 살해됨.
1127~117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춘(王暙) - 충렬왕(忠烈王)
고려 제25대 왕. 재위 1274~1308. 원종(元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순경태후(順敬太后). 원종이 원(元) 나라에 있을 때 태손(太孫)으로서 국사를 담당했으며, 즉위 후 고려 왕권의 위상 확립 및 대몽항쟁(對蒙抗爭) 중 원 나라에 편입된 영토의 수복에 힘씀.
1236~130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측(王則) - 왕칙(王則)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때의 역적. 일개 군졸로서 패주(貝州)에서 반란을 일으켜 자칭 동평군왕(東平郡王)이라 하고 연호도 득승(得勝)이라 하였으나 문언박(文彥博)에 의해 평정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왕치(王治) - 성종(成宗)@고려
고려 제6대 왕. 재위 981~991. 중앙에 3성(省) 6부(府)를 설치하고, 지방에 12목(牧)과 10도(道)를 설치하여 유교정치 이념에 의한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마련함.
960~997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탁(王晫) - 신종(神宗)@고려
고려의 제20대 국왕. 재위 1197~1204. 인종(仁宗)의 다섯째 아들이며 명종(明宗)의 동모제(同母弟)로, 최충헌(崔忠獻) 형제가 명종을 폐하고 왕으로 추대하였는데, 재위 중 잇따라 민란이 일어남.
1144~120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태조(王太祖)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태초(汪太初) - 왕초재(汪楚材)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와 오경(吳儆) 등에게 배우면서 기대를 한몸에 받았으며, 석유(碩儒)로 명성을 떨침. 호남 안무사(湖南按撫司)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한(王翰) - 왕한(王瀚)
중국 당(唐)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시인. 14편의 시가 전해지고 있으며, 그중 〈양주사(凉州詞)〉가 당대(唐代) 칠언절구(七言絶句) 중 걸작으로 인정받음.
687~72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왕해(王楷) - 인종(仁宗)@고려
고려 제17대 왕. 재위 1123~1146. 이자겸(李資謙)의 난과 묘청(妙淸)의 난을 겪었고, 김부식(金富軾) 등에게 《삼국사기(三國史記)》를 편찬하게 함.
1109~114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행인(王行人) - 왕학(王鶴)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1546년(명종 1)에 태감(太監) 유원(劉遠)과 함께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인종(仁宗)에 대한 사제(賜祭)ㆍ시호(諡號)ㆍ부의(賻儀)를 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현(王晛) - 의종(毅宗)@고려
고려 제18대 왕. 재위 1146~1170. 인종(仁宗)의 맏아들로, 무신들을 천대하다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 등에게 폐위당함. 김보당(金甫當)의 복위운동 실패 후 이의민(李義旼)에게 살해됨.
1127~117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형(王亨) - 정종(靖宗)
고려 제10대 왕. 재위 1035~1046. 현종(顯宗)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원성왕후 김씨(元成王后金氏). 형인 덕종(德宗)의 유업을 이어받아 천리장성을 완성하는 등 변방의 수비를 강화하고 거란과 화친하여 나라를 태평하게 함.
1018~104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혜(王譓)@왕순 - 왕순(王恂)
고려 제21대 희종(熙宗)의 손자. 아버지는 경원공(慶原公) 왕조(王祚)로, 원종(元宗)의 딸 함녕궁주(咸寧宮主)과 결혼하였고, 1279년(충렬왕 5) 일본 정벌에 쓸 전함(戰艦)을 감독함.
?~128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호(王晧) - 명종(明宗)@고려
고려 제19대 국왕. 재위 1170~1197. 의종(毅宗)을 몰아낸 정중부(鄭仲夫) 등의 추대로 즉위하였으며, 무신들을 제거하려 노력하였으나 실패하고, 최충헌(崔忠獻)에 의하여 폐위됨.
1131~120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효백(王孝伯) - 왕공(王恭)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효무제(孝武帝)~안제(安帝) 때의 문신. 왕온(王蘊)의 아들로, 태자 첨사(太子詹事) 등을 지냄. 성격이 검소하고 청렴하였으며, 학창의(鶴氅衣)를 입고 눈 속을 걸어다니자 사람들이 신선에 비유하였다 함.
?~39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후(王煦)@의천 - 의천(義天)@고려
고려 문종(文宗)~숙종(肅宗) 때의 승려. 문종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출가함. 송(宋) 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해동 천태종(海東天台宗)을 개창함. 흥왕사(興王寺)의 주지가 되어 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세웠으며, 《교장(敎藏)》 등을 간행함.
1055~110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왕실>왕자
-
왕후신씨(王后愼氏) - 단경왕후(端敬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비(妃). 본관은 거창(居昌).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 신수근(愼守勤)의 딸로, 중종반정(中宗反正) 직후 폐위(廢位)되었다가 영조(英祖) 때 복위(復位)됨.
1487~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왕후한씨(王后韓氏) - 공혜왕후(恭惠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비(妃). 본관은 청주(淸州)로, 영의정 한명회(韓明澮)의 딸.
1456~14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왕휘(王徽) - 문종(文宗)@고려
고려 제11대 왕. 재위 1046~1083. 각종 법률 제정으로 내치(內治)를 다지고 국방ㆍ외교에도 힘썼으며, 유학을 장려하고 송(宋) 나라 문화를 수입하여 문화의 황금기를 이룸.
1019~108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휴(王烋) - 순종(順宗)@고려
고려 제12대 국왕. 재위 1083~1083. 1054년(문종 8) 왕태자(王太子)에 책봉되고, 문종(文宗)이 죽자 즉위하나 그해에 죽음.
1046~108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흔(王昕)@충목왕 - 충목왕(忠穆王)
고려 제29대 왕. 재위 1344~1348. 충혜왕(忠惠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덕녕공주(德寧公主). 정방(政房)을 혁파하고 녹과전(祿科田)을 복구하였으며, 정치도감(整治都監)ㆍ진제도감(賑濟都監)을 설치하여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백성들을 구휼하는 데 힘씀.
1337~134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흔(王昕) - 명종(明宗)@고려
고려 제19대 국왕. 재위 1170~1197. 의종(毅宗)을 몰아낸 정중부(鄭仲夫) 등의 추대로 즉위하였으며, 무신들을 제거하려 노력하였으나 실패하고, 최충헌(崔忠獻)에 의하여 폐위됨.
1131~120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흠(王欽) - 덕종(德宗)@고려
고려 제9대 왕. 재위 1031~1034. 천리장성(千里長城)을 쌓았고, 현종(顯宗) 때 시작한 국사편찬사업을 완성함.
1016~1034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