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왕희(王熙)@숙종 - 숙종(肅宗)@고려
고려 제15대 국왕. 재위 1095~1105. 조카인 헌종(獻宗)이 어린 나이에 즉위한 뒤 이자의(李資義)가 거사하자 그를 주살하고 선위(禪位)를 받아 왕위에 오름.
1054~110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왕희(王羲) - 경종(景宗)@오대십국(민)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민(閩) 나라의 제5대 왕. 재위 939~944.
?~944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왜(倭)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왜관(倭館) - 동평관(東平館)
조선시대에 일본 사신(使臣)이 조선에 왔을 때 그들을 접대하고 머물게 했던 객관(客館). 현재의 서울 인사동(仁寺洞) 자리에 위치했음.
서울 , 유적>건물>관사
-
왜국(倭國)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왜노(倭奴)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외(畏) - 이외(李畏)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정종(定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수도군(守道君) 이덕생(李德生)의 아들이며, 청연수(淸淵守) 이숙의(李淑義)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외(隗) - 곽외(郭隗)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 소왕(昭王)의 모사(謀士). 종횡가(縱橫家)로 연 나라가 제(齊) 나라의 침략을 받고 있을 때 파국면(破局面)을 제시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외각(外閣) - 교서관(校書館)
조선시대 삼관(三館)의 하나로, 태조(太祖) 때 설치되어 경적(經籍)의 인쇄ㆍ반포와 향축(香祝)ㆍ인전(印篆)을 담당하던 관청.
1392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외경(外景) - 황정외경경(黃庭外景經)
중국 위(魏)ㆍ진(晉) 시대에 성행한 도가(道家) 수련비결서.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의 바탕이 됨. 도가에서 중시한 서적으로, 양구자(粱邱子)와 무성자(務成子)의 주석이 유명함.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외경경(外景經) - 황정외경경(黃庭外景經)
중국 위(魏)ㆍ진(晉) 시대에 성행한 도가(道家) 수련비결서.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의 바탕이 됨. 도가에서 중시한 서적으로, 양구자(粱邱子)와 무성자(務成子)의 주석이 유명함.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외산(外山)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외암(畏庵) - 송대립(宋大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청홍도 우후(淸洪道虞候)를 지낸 송옥(宋玉)의 아들.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성혼(成渾)과 교유함. 공조 정랑(工曹正郞)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542~158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외암(畏菴)@김여물 - 김여물(金汝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찰방(察訪) 김훈(金壎)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충주(忠州)에서 왜적과 싸우다 순절함. 뒤에 영의정(領議政)으로 추증됨.
1548~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외암(畏菴)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외암(畏菴)@이식 - 이식(李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승상(李承常)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동서분당(東西分黨)이 일어나자 정희적(鄭熙績) 등과 함께 서인(西人)의 등용을 막으려다 체직됨.
1510~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외재(畏齋)@유종춘 - 유종춘(柳宗春)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유운(柳澐)의 아들로, 도사(都事)를 지냄. 정유일(鄭惟一)의 《문봉집(文峯集)》을 간행할 때 정유일이 수행했던 원접사(遠接使) 일행의 기록을 보내주어 문집 간행에 도움을 줌.
1720~17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외재(畏齋) - 김옹(金顒)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전력(展力) 김삼산(金三山)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외재(畏齋)@이단하 - 이단하(李端夏)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아들로,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가운데 경학(經學)을 대표할 만한 인물로, 저서에 《선묘보감(宣廟寶鑑)》ㆍ《외재집(畏齋集)》 등이 있음.
1625~168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지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외재대야(畏齋大爺) - 이단하(李端夏)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아들로,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가운데 경학(經學)을 대표할 만한 인물로, 저서에 《선묘보감(宣廟寶鑑)》ㆍ《외재집(畏齋集)》 등이 있음.
1625~168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지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외지(畏之) - 이덕언(李德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석성 현감(石城縣監)ㆍ함흥 판관(咸興判官) 등을 지냄.
1571~163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외하(外河) - 노하(潞河)
중국 북경(北京) 근처의 통주(通州)를 흐르는 강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요(姚)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요(憭) - 권료(權憭)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마전 군수(麻田郡守) 권념(權念)의 아들로, 결성 현감(結城縣監)을 지냈으며, 신용개(申用漑)의 《이락정집(二樂亭集)》에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455~150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결성 , 인명>관인>문신
-
요(瑤) - 이요(李瑤)
조선 전기의 종친ㆍ학자.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증손이며, 남언경(南彦經)의 문인으로, 조선 최초의 양명학자(陽明學者). 선조(宣祖) 때 유성룡(柳成龍) 등을 동인(東人)의 괴수로 지목하여 논란을 야기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요경(堯卿)@조순 - 조순(趙舜)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조려(趙旅)의 손자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냄.
1467~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요경(堯卿) - 이당자(李唐咨)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석홍경(石洪慶)ㆍ임이간(林易簡) 등과 함께 월단평(月旦評)으로 추중을 받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요경(堯卿)@조희현 - 조희현(趙希賢)
중국 명(明) 효종(孝宗) 때의 문신. 숭덕현(崇德縣)의 지현(知縣)을 역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요곤(妖髡) - 신돈(辛旽)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僧侶).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師傅)로서 국정을 맡음.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
?~13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종교인>승려
-
요공(姚公) - 요숭(姚崇)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재상. 측천무후(則天武后)에게 발탁되어 관직에 오르고, 현종 초기에 국정을 숙정하고 민생의 안정에 힘씀. 송경(宋璟)과 함께 개원(開元)의 명재상으로 숭앙됨.
650~72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요공(耀空) - 신돈(辛旽)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僧侶).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師傅)로서 국정을 맡음.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
?~13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종교인>승려
-
요공국사(了空國師) - 도선(道詵)
통일신라 문성왕(文聖王)~효공왕(孝恭王) 때의 승려. 15세에 출가하여 23세 때 천도사(穿道寺)에서 구족계를 받고, 전라도 백계산(白鷄山) 옥룡사(玉龍寺)에서 후학들을 가르치다 죽음.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의 대가로 더욱 유명함.
827~898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영암 , 인명>종교인>승려
-
요년(遙年) - 송요년(宋遙年)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1479년(성종 10)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냄.
1429~149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요동공(遼東公) - 광개토왕(廣開土王)
고구려 제19대 왕. 재위 391~412. 고국양왕(故國壤王)의 아들로, 고구려 최대의 영토를 확장한 정복 군주. 내정(內政)의 정비에도 노력하여 중앙 관직을 신설하고, 평양에 구사(九寺)를 창건하여 불교를 장려함.
374~413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인명>왕실>국왕
-
요동총병(遼東摠兵) - 양소훈(楊紹勳)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요동광녕진수총병관(遼東廣寧鎭守總兵官)으로 아우 양소신(楊紹新)과 함께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참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요락지(瑤樂池) - 용흥강(龍興江)
함경도 동부를 거쳐 동해 송전만(松田灣)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함경도>영흥 , 지명>자연지명
-
요명(堯命) - 김요명(金堯命)
조선 전기의 유학. 정곤수(鄭崑壽)의 《백곡집(栢谷集)》에 〈억김요명유감(憶金堯命有感)〉이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요문(堯門) - 요모문(堯母門)
중국 장안(長安)에 있던 구익궁(鉤弋宮)의 문 이름. 한(漢) 무제(武帝) 때 총비(寵妃)인 구익부인(鉤弋夫人)이 소제(昭帝)를 14개월 만에 낳자, 요(堯) 임금의 고사를 인용하여 명명함.
B.C.94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요범(了凡) - 원황(袁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송응창(宋應昌)을 보좌하여 참전하였고, 천문(天文)ㆍ술수(術數)ㆍ의학(醫學)ㆍ수리(水利)에 능통하였으며, 저서에 《역법신서(曆法新書)》ㆍ《요범사훈(了凡四訓)》 등이 있음.
1533~160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요부(堯夫)@소옹 - 소옹(邵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 이지재(李之才)에게 천문(天文)ㆍ역수(易數) 등을 배우고,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易哲學)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數理哲學)을 완성함.
1011~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요부(堯夫)@유요부 - 유요부(劉堯夫)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육구연(陸九淵)의 제자. 주희(朱熹)를 만난 자리에서 육구연의 학문을 비난하다가 주희에게 비난받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요부(堯夫) - 범순인(范純仁)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사마광(司馬光)과 같은 보수파였지만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 중 일부 합리적인 것은 수용하는 등 유연한 자세를 견지함.
102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요사렴(姚思廉) - 요간(姚簡)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요찰(姚察)의 아들로, 위징(魏徵)과 함께 《양서(梁書)》ㆍ《진서(陳書)》를 편찬하였으며, 산기상시(散騎常侍) 등을 지냄.
557~637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요산(遼山) - 수안(遂安)
황해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시대에 몽고군(蒙古軍)과 거란군(契丹軍)에게 자주 침략을 당한 고을 중의 하나.
황해도>수안 , 지명>행정지명
-
요상인(了上人) - 요환(了幻)
고려 후기의 승려. 이규보(李奎報)와 도의(道義)로 교유하였고, 대나무를 좋아하여 송가도(松家島 : 경기도 강화) 보문정사(普門精舍) 곁에 죽재(竹齋)를 짓고 수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종교인>승려
-
요서(堯瑞)@신명수 - 신명수(申蓂秀)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참봉(參奉) 신광섭(申光涉)의 아들로, 옥계(玉溪) 노진(盧禛)의 문인. 이황(李滉)에게서 역(易)에 대해 배움.
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요서(堯瑞)@남궁명 - 남궁명(南宮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열(咸悅). 부사(府使)를 지낸 남궁제(南宮悌)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사위. 1591년(선조 2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별좌(別坐)를 지냄.
156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요서(堯瑞) - 이명(李蓂)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이보간(李輔幹)의 아들로, 권신(權臣) 이기(李芑)를 탄핵하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화를 입은 사람들의 신원(伸寃)을 주장함. 좌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96~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요서(堯瑞)@탁순창 - 탁순창(卓順昌)
조선 선조(宣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성균관 진사(成均館進士) 탁문상(卓文尙)의 맏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수직(壽職)으로 훈련대장(訓鍊大將)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요수(遼水) - 태자하(太子河)
중국 요양시(遼陽市)에 있는 요하(遼河)의 지류. 요산(遼山)에서 발원하여 서남쪽으로 흘러 요하와 만남. 원명은 연수(衍水)로,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태자 단(丹)이 형가(荊軻)를 시켜 진시황(秦始皇)을 암살하려다 발각되자 피신하여 숨었던 곳이라 하여 ‘태자하(太子河)’로 불림.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요수(樂水) - 정백붕(鄭百朋)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 정탁(鄭鐸)의 아들이며, 우의정 정순붕(鄭順朋)의 형으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요순(姚舜)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요신(堯臣) - 매요신(梅堯臣)
중국 송(宋) 나라의 대표적 시인ㆍ문신. 당시(唐詩)의 섬세하고 교묘한 폐풍을 버리고 고문운동(古文運動)과 관련된 시 형식을 개척하여 새로운 송시(宋詩)의 개조(開祖)가 됨.
1002~106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요씨(饒氏) - 요로(饒魯)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황간(黃榦)의 문인으로, 성학(聖學)에 뜻을 두고 치지역행(致知力行)을 근본으로 삼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요암(療菴) - 영사(瑛師)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과 교유하여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권(書卷)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요양현군(遼陽縣君) - 조공탁(趙公卓)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낭중(郞中)을 지냈으며, 차남인 순창부원군 백안불화(伯顔不花)가 원(元) 나라에서 영록대부(榮祿大夫)에 올라 요양현군(遼陽縣君)으로 봉해짐.
1256~131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요연(妖燕) - 조비연(趙飛燕)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의 황후(皇后). 가무(歌舞)에 뛰어난 절세의 미인으로 황후(皇后)의 지위까지 오르게 되었지만 성제(成帝)가 죽자 자살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요옹(了翁) - 진관(陳瓘)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우사원외랑 겸 권급사중(右司員外郞兼權給事中) 등을 지내면서 직간(直諫)을 잘 함. 역(易)에 통달하고 《사명존요집(四明尊堯集)》등을 저술함.
1057~112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요옹(了翁)@위요옹 - 위요옹(魏了翁)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왕에게 열 가지 폐단을 논하여 정사에 참여하였으나 간신들의 견제로 인해 홀로 경학을 궁구하고 옛것을 배워 일가를 이룸.
1178~123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요우(姚虞)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요원(腰院) - 산요원(山腰院)
경상북도 풍기(豊基) 서쪽 20리 지점에 있었던 역원(驛院).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관사
-
요월정(邀月亭) - 김경우(金景愚)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전한(典翰)을 지낸 김기(金紀)의 아들이며, 김식(金湜)의 문인(門人).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냈으며, 기대승(奇大升)ㆍ김인후(金麟厚)ㆍ양응정(梁應鼎) 등과 시회(詩會)를 만들어 교유함.
1517~155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문신
-
요유(堯兪) - 부요유(傅堯兪)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영종(英宗)의 생부인 복안의왕(濮安懿王)을 추숭하는 일을 반대하다가 파직됨.
1024~109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요은홀차(要隱忽次) - 양구(楊口)
강원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내륙 산간에 위치하며, 산세가 험준함.
강원도>양구 , 지명>행정지명
-
요자(堯咨) - 진요자(陳堯咨)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지개봉부(知開封府)ㆍ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냈으며, 예서(隸書)에 능하고 활쏘기를 잘했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요장(堯章) - 강기(姜夔)
중국 송(宋) 나라 시인ㆍ음악가. 북송의 유영(柳永)ㆍ주방언(周邦彦), 남송의 신기질(辛棄疾) 등과 함께 사대사인(四大詞人)이라 일컬어짐.
1155~1221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문사>문인
-
요재(了齋) - 진관(陳瓘)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우사원외랑 겸 권급사중(右司員外郞兼權給事中) 등을 지내면서 직간(直諫)을 잘 함. 역(易)에 통달하고 《사명존요집(四明尊堯集)》등을 저술함.
1057~112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요정(蓼汀) - 양경우(梁慶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인 양대박(梁大樸)의 아들로, 부친을 따라 종군함. 1597년(선조 30)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ㆍ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56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요좌(堯佐)@진요좌 - 진요좌(陳堯佐)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의 문신. 진요자(陳堯咨)의 형으로 성품이 강직했으며, 평장사(平章事)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요좌(堯佐) - 정흠지(鄭欽之)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정부(鄭符)의 아들. 태종 때 하륜(河崙)과 박은(朴訔) 등을 탄핵하다 유배됨. 세종이 즉위하자 형조 판서(刑曹判書)가 되어 황보인(皇甫仁)과 함께 《진설(陣說)》을 찬진(撰進)함.
1378~14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요지(饒之) - 이유인(李裕仁)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자(李磁)의 아들로, 1561년(명종 1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함경 감사(咸鏡監司) 등을 지냄. 구사맹(具思孟)의 《팔곡잡고(八谷雜稿)》에 그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음.
153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요천(瑶泉) - 신시행(申時行)
중국 명(明)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이부 상서(吏部尙書)ㆍ건극전 대학사(建極殿大學士) 등을 지냈음. 문장에 뛰어났으며, 저서에는 《사한당집(賜閑堂集)》이 있음.
1535~161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요호(么胡)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요황(姚黃) - 모란(牡丹)
작약과(芍藥科)에 속하는 낙엽관목(落葉灌木).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 부귀(富貴)를 상징함. 설총(薛聰)의 〈화왕계(花王戒)〉로 유명함.
자연물>식물
-
욕지도(欲智島) - 욕지도(欲知島)
경상도 고성(固城)에 있는 섬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삼도수군통제영(三道水軍統制營)이 설치되면서 선박의 정박처로 이용되었고, 사슴을 방목하여 녹용(鹿茸)을 조정에 올리기도 함. 지금은 경상남도 통영시(統營市)에 속함.
경상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욕지도(浴池島) - 욕지도(欲知島)
경상도 고성(固城)에 있는 섬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삼도수군통제영(三道水軍統制營)이 설치되면서 선박의 정박처로 이용되었고, 사슴을 방목하여 녹용(鹿茸)을 조정에 올리기도 함. 지금은 경상남도 통영시(統營市)에 속함.
경상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욕질도(欲秩島) - 욕지도(欲知島)
경상도 고성(固城)에 있는 섬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삼도수군통제영(三道水軍統制營)이 설치되면서 선박의 정박처로 이용되었고, 사슴을 방목하여 녹용(鹿茸)을 조정에 올리기도 함. 지금은 경상남도 통영시(統營市)에 속함.
경상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욕질도(褥秩島) - 욕지도(欲知島)
경상도 고성(固城)에 있는 섬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삼도수군통제영(三道水軍統制營)이 설치되면서 선박의 정박처로 이용되었고, 사슴을 방목하여 녹용(鹿茸)을 조정에 올리기도 함. 지금은 경상남도 통영시(統營市)에 속함.
경상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용(墉) - 이용(李墉)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성종(成宗)의 아들인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증손이며, 의성부정(義城副正) 이강(李鋼)의 셋째 아들.
157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용(墉)@유용 - 유용(柳墉)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도호부사(都護府使) 유백손(柳伯孫)의 아들로, 양산 군수(梁山郡守)ㆍ전라우도 절도사(全羅右道節度使)를 지냈음.
1470~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무신
-
용(墉)@박용 - 박용(朴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인종(仁宗)의 장인. 딸이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자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이 되었고, 후에 금성부원군(錦城府院君)에 추봉됨.
1468~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용(容)@안용 - 안용(安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안승명(安承命)의 아들로, 1558년(명종 3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냄.
152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용(容)@이용 - 이용(李容)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굉(李肱)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후릉 참봉(厚陵參奉)을 지내다가 곧 낙향하여 유유자적하며 특히 국문가시(國文歌詩)를 잘 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용(容)@권용 - 권용(權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권응정(權應挺)의 아들.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을 지냈으며,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했고, 적서(嫡庶)의 구별을 엄히 할 것과 언로(言路)의 개방을 주장함.
1509~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용(容) - 구용(具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좌찬성 구사맹(具思孟)의 아들로, 금화 현감(金化縣監)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필(權韠)과 함께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함. 전쟁 중에 겪은 고뇌와 갈등을 담은 작품을 많이 남김.
156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용(庸) - 중용(中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공급(孔伋)이 저술한 유교 경전. 《예기(禮記)》의 제31편이었던 것을 송(宋) 나라의 주희(朱熹)가 따로 떼어서 사서(四書)에 포함시킴. 유교의 철학적 배경을 천명하여, 중화사상(中和思想)ㆍ성(誠) 등의 내용을 33장에 담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용(庸)@조용 - 조용(趙庸)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 조선 개국 후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대사성(大司成)ㆍ세자우빈객(世子右賓客) 등을 지냄. 진보조씨(眞寶趙氏)의 시조.
?~142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용(涌) - 김용(金涌)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싸웠으며, 《선조실록(宣祖實錄)》 수찬(修撰)에 참여함.
1557~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용(湧) - 윤용(尹湧)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이손(尹李孫)의 아들이며, 윤개(尹漑)의 아우로, 선교랑(宣敎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용(瑢) - 안평대군(安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셋째 아들. 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세력에 맞서다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역모 혐의로 유배된 후 사사됨.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렸고, 당대 제일의 명필(名筆)로 꼽힘.
1418~14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왕자
-
용(用) - 왕용(王用)
고려 때의 문신.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그의 신도비(神道碑)에 대한 토석(吐釋)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시대 , 인명>관인>문신
-
용(鏞)@성용 - 성용(成鏞)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둘째 아들로, 아버지의 학문을 계승함.
1576~162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용(鏞) - 권용(權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첨의찬성(僉議贊成) 권렴(權廉)의 아들. 아들 권진(權瑨)이 공민왕의 시역(弑役)에 가담하여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무신
-
용(鏞)@김용 - 김용(金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공민왕을 시해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사형당함.
?~136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안성 , 인명>관인>무신
-
용(龍)@심룡 - 심룡(沈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세종(世宗) 때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심온(沈溫)의 조부로,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추증(追贈)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용(龍) - 용수(龍樹)
인도 대승불교의 승려ㆍ학자. 인도 대승불교사상(大乘佛敎思想)의 기초를 확립하고, 공사상(空思想)을 전개하여 중관학파(中觀學派)로 불림. 저서로 《중론(中論)》등이 있음.
150?~250?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학자
-
용^비(龍^比) - 방^간(逄^干)
중국 하(夏) 나라 걸왕(桀王) 때의 충신인 관용방(關龍逄)과 은(殷) 나라 주왕(紂王) 때의 충신인 비간(比干)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은ㅣ중국>하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용^학(庸^學) - 학^용(學^庸)
《대학(大學)》과 《중용(中庸)》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용강(龍岡)@신함 - 신함(申涵)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낸 신종옥(申從沃)의 아들. 용강 현령(龍岡縣令)을 지냈으며, 신광한(申光漢)의 《기재집(企齋集)》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용강(龍岡)@신윤문 - 신윤문(辛允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관찰사(觀察使) 신영손(辛永孫)의 손자로 용강 현령(龍岡縣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