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용강(龍江) - 양세남(梁世南)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손자인 양만용(梁曼容)의 아들. 증조부 양응정의 문집을 간행하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
1627~168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용강처사(龍江處士) - 양세남(梁世南)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손자인 양만용(梁曼容)의 아들. 증조부 양응정의 문집을 간행하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
1627~168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용개(用漑) - 신용개(申用漑)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명(明) 나라에 가서 고명(誥命)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3~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용건(龍建) - 세조(世祖)@고려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의 아버지. 통일신라 송악군(松嶽郡)의 사찬(沙飡)으로 있다가 진성여왕(眞聖女王) 때 궁예(弓裔)에게 귀복하여 금성 태수(金城太守)를 지냈으며, 태조 때에 추존됨.
?~897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용검(龍劍) - 용천검(龍泉劍)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명검(名劍). 구야자(歐冶子)와 간장(干將)이 함께 만든 세 자루 가운데 하나로,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예장(豫章)의 풍성(豊城) 땅속에서 얻었다는 고사가 전함. 원래는 용연검(龍淵劍)으로 불렸으나 당(唐) 나라 고조의 휘(諱)인 ‘연(淵)’을 피하여 용천(龍泉)이라 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용겸(用謙) - 김용겸(金用謙)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창즙(金昌緝)의 아들. 이재(李縡)와 박필주(朴弼周)에게 경서(經書)와 예서(禮書)를 배웠으며,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등을 지냄.
1702~17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용경(用卿) - 공용경(龔用卿)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내고, 1537년(중종 32)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태자가 탄생하였다는 조서(詔書)를 반포함.
1500~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용경(龍卿) - 유희량(柳希亮)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이며, 광해군의 처남. 사복시 정(司僕寺正)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5~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용계(龍溪)@민덕봉 - 민덕봉(閔德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낸 민우필(閔友弼)의 아들. 1573년(선조 6) 명(明) 나라 사신을 영접하기 위하여 나갔다가 객사(客舍)에서 죽음.
1514~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용계(龍溪) - 이수준(李壽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청강(淸江) 이제신(李齊臣)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왜적을 방어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정조사(正朝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병사(病死)함.
1559~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용계(龍溪)@김지남 - 김지남(金止男)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김표(金彪)의 아들로, 경상 감사(慶尙監司) 등을 지냈음. 광해군(光海君) 때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죽이고 인목왕후(仁穆王后)를 폐하려는 이이첨(李爾瞻) 일당의 죄상을 폭로함.
1559~163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용계거사(龍溪居士) - 남치형(南致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양(英陽)으로, 공보(公輔) 남신신(南藎臣)의 아들.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동생 남치리(南致利)와 함께 평생 강학(講學)에 힘씀.
1540~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용계사(龍溪祠) - 내산서원(內山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영광(靈光)에 세운 서원. 처음엔 용계사(龍溪祠)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고, 1868년(고종 5)에 내산서원(內山書院)으로 개칭함. 강항(姜沆)과 윤순거(尹舜擧)를 배향함.
163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계사우(龍溪祠宇) - 내산서원(內山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영광(靈光)에 세운 서원. 처음엔 용계사(龍溪祠)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고, 1868년(고종 5)에 내산서원(內山書院)으로 개칭함. 강항(姜沆)과 윤순거(尹舜擧)를 배향함.
163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공(用恭)@엄용공 - 엄용공(嚴用恭)
조선 전기의 학자. 문인으로 송인수(宋麟壽)ㆍ남치근(南致勤)ㆍ이구(李球) 등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용공(用恭) - 유용공(柳用恭)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유희저(柳希渚)의 아들이며,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낸 유몽익(柳夢翼)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용공(龍公) - 장노사(張路斯)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안휘성(安徽省) 영상현(潁上縣) 사람으로, 사후(死後)에 용왕이 되어 수한(水旱)을 다스린다는 설화가 전함. 소식(蘇軾)이 영주 지사(潁州知府)가 되었을 때 《소령후비기(昭靈侯碑記)》를 지어 그 덕을 기렸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용구(龍駒) - 용인(龍仁)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예로부터 풍수지리상 명당(明堂)이 많은 곳으로 일컬어졌으며, 지금의 용인은 옛 용인ㆍ양지(陽智)ㆍ죽산(竹山)의 일부가 합해 이루어짐.
경기도>용인 , 지명>행정지명
-
용궁(龍宮)@김팔원 - 김팔원(金八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예조 좌랑(禮曹佐郞)ㆍ용궁 현감(龍宮縣監) 등을 지냄.
1524~158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용근(庸謹) - 유용근(柳庸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유빈(柳濱)의 아들.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지목되어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진원(珍原)에 유배됨.
1485~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용기(湧奇) - 지용기(池湧奇)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이성계(李成桂) 등과 함께 공양왕을 세워 중흥공신(中興功臣)의 호를 받고 충의군(忠義君)에 봉해졌으나,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유배지에서 죽음.
?~139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용길(龍吉) - 배용길(裵龍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 홍문관 부교리(弘文館副校理) 배삼익(裵三益)의 아들로, 김성일(金誠一)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義兵)으로 활약하였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화의(和議)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림.
1556~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용담(龍潭) - 손여성(孫汝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으로, 손형(孫蘅)의 아들. 효성이 지극하였고,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ㆍ남원 부사(南原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용담(龍潭)@박이장 - 박이장(朴而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승지(承旨)를 지낸 박양좌(朴良佐)의 아들로, 노수신(盧守愼)의 문인.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의 주청으로 종사관이 되어 활약하였고,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함.
1547~162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ㅣ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용담(龍潭)@서응기 - 서응기(徐應麒)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당성(唐城).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의 아들로, 장례원 사의(掌隸院司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용담(龍潭) - 강윤성(康允成)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상산백(象山伯) 강서(康庶)의 아들로, 이부 시랑(吏部侍郞)ㆍ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냄. 조선 태조의 계비(繼妃) 신덕왕후(神德王后)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용담선생문집(龍潭先生文集) - 용담집(龍潭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박이장(朴而章)의 시문집. 7권 3책. 활자본. 8대손 박규환(朴奎煥)이 간행을 도모하였으며, 1911년 9대손 박인현(朴寅鉉)ㆍ박윤현(朴允鉉) 등이 간행함.
191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용도(龍韜) - 육도(六韜)
중국 주(周) 나라의 신하인 여상(呂尙)이 지었다는 병서(兵書). 무경칠서(武經七書)의 하나로, 문도(文韜)ㆍ무도(武韜)ㆍ용도(龍韜)ㆍ호도(虎韜)ㆍ견도(犬韜)ㆍ표도(豹韜)로 구성됨.
중국>주 , 중국 , 문헌>서명
-
용도노자(龍圖老子) - 범중엄(范仲淹)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곽황후(郭皇后)의 폐립 문제로 여이간(呂夷簡)과 대립하고, 구양수(歐陽修)ㆍ한기(韓琦) 등과 붕당을 형성함.
989~105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용동(龍洞) - 용추동(龍湫洞)
경상도 문경(聞慶)에 있던 마을 이름. 김안국(金安國)이 신연(申淵)과 이곳에서 술을 마시며 즐겼던 일을 회상하는 내용이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경상도>문경 , 지명>자연지명
-
용동서원(龍洞書院) - 문충사(文忠祠)
조선 순종(純宗) 때 충청도 영동(永同)에 건립된 사당. 한말(韓末)의 유학자이자 우국지사인 송병선(宋秉璿)ㆍ송병순(宋秉珣) 형제를 배향한 곳으로, 1966년에 지금의 대전광역시 동구(東區) 용운동(龍雲洞)으로 이전함.
1908 한국>근대 , 충청도>영동 , 유적>건물>사당
-
용두봉(龍頭峯) - 잠두봉(蠶頭峯)
서울 마포 일대의 한강변에 위치한 산 이름.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에 의해 천주교 박해가 시작되면서 이 곳에서 많은 신자들이 참수당함.
서울 , 지명>자연지명
-
용량(用良) - 유용량(柳用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유희저(柳希渚)의 아들이며, 임진왜란 때 성절사(聖節使)로 공을 세웠던 유몽정(柳夢鼎)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용로(容老) - 이행(李荇)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폐비윤씨(廢妃尹氏)의 복위를 반대하여 유배되었고, 중종의 원비 신씨(愼氏)의 복위를 반대함.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찬진함.
1478~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용릉(舂陵)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용릉군(龍陵君) - 윤우신(尹又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징(尹澄)의 아들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용릉수(舂陵叟)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용릉옹(舂陵翁)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용릉절후(舂陵節侯) - 유매(劉買)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고조. 장사정왕(長沙定王) 유발(劉發)의 아들.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용릉후(舂陵侯) - 유발(劉發)
중국 전한(前漢)의 제6대 경제(景帝)의 열째 아들.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의 5대조.
?~B.C.12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용만(龍巒) - 권기(權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권호문(權好文)의 문인(門人)으로, 김성일(金誠一)ㆍ유성룡(柳成龍)에게서도 배웠음. 육경(六經)에 통달하고, 예문(禮文)ㆍ법률ㆍ지리 등에도 박식했음.
1546~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용만(龍灣)@서중행 - 서중행(徐中行)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복건 부사(福建副使)ㆍ강서 포정사(江西布政使)를 지냈으며,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여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
1517~157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용만(龍灣)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용만(龍灣)@압록강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용만록(龍灣錄) - 용만문견록(龍灣聞見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정탁(鄭琢)의 저서. 1책. 필사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주(義州)에서 명(明) 나라와 교섭한 내용을 정리함.
159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만성(龍灣城) - 의주성(義州城)
평안도 의주(義州)에 위치한 성곽. 1520년(중종 15) 확장 개축하고, 국경 방비와 중국 사신을 접견하는 장소로 알려짐.
평안도>의주 , 유적>시설>성,진,책
-
용만진(龍灣鎭)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용만현(龍灣縣)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용맹(龍猛) - 용수(龍樹)
인도 대승불교의 승려ㆍ학자. 인도 대승불교사상(大乘佛敎思想)의 기초를 확립하고, 공사상(空思想)을 전개하여 중관학파(中觀學派)로 불림. 저서로 《중론(中論)》등이 있음.
150?~250?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학자
-
용면(龍眠) - 이공린(李公麟)@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화가. 병을 핑계로 벼슬을 그만두고 용면산(龍眠山)에 은거함. 시에 뛰어나고 골동품 감정에 정통하였으며, 특히 그림에 능하여 명성을 떨쳤음.
1049~1106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용면거사(龍眠居士) - 이공린(李公麟)@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화가. 병을 핑계로 벼슬을 그만두고 용면산(龍眠山)에 은거함. 시에 뛰어나고 골동품 감정에 정통하였으며, 특히 그림에 능하여 명성을 떨쳤음.
1049~1106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용면산장도(龍眠山庄圖) - 산장도(山庄圖)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화가인 이공린(李公麟)의 그림. 당시 '세상의 보물'로 불렸으며, 그림의 묘사에 백묘법(白描法)이 고도로 발휘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용문(龍門)@남격 - 남격(南格)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동강(東岡) 남언경(南彦經)의 아들. 조식(曺植)과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용문(龍門)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용문문답(龍門問答) - 용문산문답(龍門山問答)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인 남기제(南紀濟)가 지은 《아아록(我我錄)》에 실려 있는 작품. 노론ㆍ소론ㆍ남인ㆍ북인의 네 당파를 대표하는 인물들이 경기도 양평(楊平)의 용문산(龍門山) 설암(雪庵)에서 토론하는 형식으로 당쟁의 전말을 서술함.
18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용문선생집(龍門先生集) - 용문집(龍門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조욱(趙昱)의 시문집(詩文集). 6권 3책. 활자본.
177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문처사(龍門處士) - 남격(南格)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동강(東岡) 남언경(南彦經)의 아들. 조식(曺植)과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용방(龍逄) - 관용방(關龍逄)
중국 하(夏) 나라 걸왕(桀王) 때의 충신. 걸왕의 무도함을 간(諫)하다가 처형됨.
중국>하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용백고(龍伯高) - 용술(龍述)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마원(馬援)이 조카들에게 용백고(龍伯高)를 본받으라고 할 정도로 청렴ㆍ근검했음. 광무제(光武帝)가 마원의 글을 보고 용백고를 영릉 태수(零陵太守)로 삼았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용봉(龍逢) - 관용방(關龍逄)
중국 하(夏) 나라 걸왕(桀王) 때의 충신. 걸왕의 무도함을 간(諫)하다가 처형됨.
중국>하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용부(容夫) - 권중화(權仲和)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한공(權漢功)의 아들로, 의약ㆍ지리ㆍ복서(卜筮)에 통달하고, 전서(篆書)에도 능함.
1322~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용부(庸夫) - 권중화(權仲和)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한공(權漢功)의 아들로, 의약ㆍ지리ㆍ복서(卜筮)에 통달하고, 전서(篆書)에도 능함.
1322~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용비(龍庇) - 김용비(金龍庇)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금오위 별장(金吾衛別將)을 지낸 김공우(金公祐)의 아들로, 태자 첨사(太子詹事)를 지냈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용비시(龍飛詩)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조선 세종(世宗) 때 정인지(鄭麟趾) 등이 왕명으로 지은 악장(樂章) 이름. 건국의 시조와 왕조의 창건을 송영(頌詠)한 장편 서사시로,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작품.
14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용비신악(龍飛新樂)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조선 세종(世宗) 때 정인지(鄭麟趾) 등이 왕명으로 지은 악장(樂章) 이름. 건국의 시조와 왕조의 창건을 송영(頌詠)한 장편 서사시로,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작품.
14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용빈(用賓) - 유관현(柳觀鉉)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학자 유도원(柳道源)의 생부로, 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냄. 외직(外職)에 있을 때 선정을 베풀어 《목민심서(牧民心書)》에 치적이 기록되었으며, 저서로 《양파집(陽坡集)》이 있음.
1692~17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용사(龍社) - 용수사(龍壽寺)
경상도 안동(安東)의 용두산(龍頭山)에 있는 사찰. 고려 의종(毅宗) 때 세워졌으며, 이황(李滉)과 이현보(李賢輔) 등이 학문을 탐구하고 강학하던 곳.
114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찰
-
용사록(龍蛇錄) - 용사일기(龍蛇日記)
조선 선조(宣祖) 때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도(慶尙右道) 초유사(招諭使) 김성일(金誠一)의 막료였던 이로(李魯)의 일록(日錄). 1책. 활자본. 1762년(영조 38) 간행됨. 김성일의 활약을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며, 서명서(徐命瑞)의 서문과 이상정(李象靖)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6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사사적(龍蛇事蹟) - 용사일기(龍蛇日記)
조선 선조(宣祖) 때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도(慶尙右道) 초유사(招諭使) 김성일(金誠一)의 막료였던 이로(李魯)의 일록(日錄). 1책. 활자본. 1762년(영조 38) 간행됨. 김성일의 활약을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며, 서명서(徐命瑞)의 서문과 이상정(李象靖)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6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산(龍山)@구찬록 - 구찬록(具贊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퇴계(退溪)가 그 학문에 뜻이 있음을 칭찬함. 벼슬은 감정(監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용산(龍山)@귀룡산 - 귀룡산(歸龍山)
경상도 사천(泗川)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사천 , 지명>자연지명
-
용산(龍山)@용수산 - 용수산(龍壽山)
경상도 예안(禮安)에 있던 산 이름.
경상도>예안 , 지명>자연지명
-
용산서원(龍山書院)@주계서원 - 주계서원(周溪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된 서원. 1612년(광해군 40에 창건되고 1633년(인조 11)에 사액(賜額)되었으며, 구봉령(具鳳齡)ㆍ권춘란(權春蘭)을 배향함.
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산원(龍山院) - 용산서원(龍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보성(寶城)에 건립한 서원. 1707년(숙종 33)에 사액되었으며, 박광전(朴光前)을 배향함.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복원됨.
160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석(用石) - 김용석(金用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동문수학하였음.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태백산(太白山)으로 들어갔음.
1453~152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용석(用錫) - 신경진(辛慶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신응시(辛應時)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문무(文武)의 재능을 겸비하여 명성이 높았고 예조 참판(禮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54~161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용성(龍城)@의주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용성(龍城) - 남원(南原)
전라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과 영남을 잇는 교통의 요지임.
전라도>남원 , 지명>행정지명
-
용성군(龍城君) - 윤기헌(尹耆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윤자신(尹自新)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내고, 성리학(性理學)에 밝음.
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용성군(龍城君)@조돈 - 조돈(趙暾)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대대로 용진(龍津)에 살다가 고려에 귀부하여 충숙왕을 섬기고, 홍건적이 침략하자 안우(安祐)의 휘하에서 공을 세워 1등공신에 녹명됨.
1308~1380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문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용성부원군(龍城府院君)@최유 - 최유(崔濡)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역신(逆臣). 두 차례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횡포로 인해 탄핵을 받자 원 나라로 도망침. 기황후(奇皇后)를 설득하여 덕흥군(德興君) 왕혜(王譓)를 왕으로 세우기로 모의하고 고려에 침입했다가 패한 후 압송되어 처형됨.
?~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용성부원군(龍城府院君) - 조돈(趙暾)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대대로 용진(龍津)에 살다가 고려에 귀부하여 충숙왕을 섬기고, 홍건적이 침략하자 안우(安祐)의 휘하에서 공을 세워 1등공신에 녹명됨.
1308~1380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문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용성윤씨(龍城尹氏) - 남원윤씨(南原尹氏)
고려 신종(神宗) 때 남원(南原)의 적을 토평하고 남원군(南原君)에 봉해진 윤위(尹威)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집단>성씨
-
용수(容叟) - 조한보(曺漢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사용(司勇) 조변옹(曺變雍)의 아들. 성리학(性理學)ㆍ선학(禪學) 등에 뛰어나며, 당시 이언적(李彦迪)과 벌인 성리학 논쟁이 유명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
-
용순(用順) - 엄용순(嚴用順)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문사>유학
-
용승(龍勝) - 용수(龍樹)
인도 대승불교의 승려ㆍ학자. 인도 대승불교사상(大乘佛敎思想)의 기초를 확립하고, 공사상(空思想)을 전개하여 중관학파(中觀學派)로 불림. 저서로 《중론(中論)》등이 있음.
150?~250?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학자
-
용식(容式) - 금용식(琴容式)
고려 전기의 문신. 봉화금씨(奉化琴氏)의 시조. 태사(太師) 등을 역임했으며,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오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용심(用諶) - 유용심(柳用諶)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로, 영암 군수(靈巖郡守)를 지낸 유희정(柳希汀)의 아들. 김안국(金安國)의 문하에서 유학하였으며, 문장(文章)에 능하였고 해서(楷書)를 잘 썼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용암(龍岩) - 사용재(謝用梓)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절강인(浙江人). 임진왜란 때 조선에 서일관(徐一貫) 등과 사신(使臣)으로 와서 경성(京城)의 왜적 진영에 들어가 행장(行長)을 타이르는 등 교섭 관계에 힘씀.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용암(龍巖)@와룡암 - 와룡암(臥龍巖)
경상도 합천(陜川) 수옥동(漱玉洞)에 있는 바위 이름.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이 말년에 그 아래에 집을 짓고 거처함.
경상도>합천 , 지명>자연지명
-
용암(龍巖) - 박운(朴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효자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박영(朴英)의 문인(門人). 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 등과 교유하였으며, 효행이 뛰어나 선조(宣祖) 때 고향에 정문(旌門)이 세워짐.
1493~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학자
-
용암(龍巖)@박숙 - 박숙(朴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경연(朴慶延)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숙부인 박경신(朴慶新)ㆍ박경인(朴慶因), 형제, 조카들과 함께 경상도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하여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용암문집(龍巖文集) - 용암집(龍巖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박운(朴雲)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778년(정조 2) 정간(鄭幹)에 의해 간행됨. 정간과 이상정(李象靖)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7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암선생문집(龍巖先生文集) - 용암집(龍巖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박운(朴雲)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778년(정조 2) 정간(鄭幹)에 의해 간행됨. 정간과 이상정(李象靖)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7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애(龍崖) - 진린(陳璘)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수군 제독(水軍提督)으로 참전하여, 유정(劉綎)ㆍ왕사기(王士琦) 등과 무공을 세움.
1543~160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용액후(龍額侯) - 한증(韓增)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선제(宣帝) 때의 장군, 거기장군(車騎將軍) 등을 지내고, 선제가 기린각(麒麟閣)에 공신의 초상을 그릴 때 곽광(霍光)ㆍ장안세(張安世)와 함께 그려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용양(龍驤) - 왕준(王濬)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 때의 장군. 누선(樓船)을 제조하여 오왕(吳王) 손호(孫皓)를 사로잡고 오 나라를 멸하였으며, 익주 자사(益州刺史)를 거쳐 무군대장군(撫軍大將軍) 등을 역임함.
206~2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용여(勇汝) - 탁지(卓智)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지현사(知縣事)를 지낸 탁사준(卓思俊)의 맏아들로, 직장(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용연(龍延) - 민지(閔漬)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266년(원종 7)에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하여 지후(祗候)가 되었고, 충선왕 때 첨의정승(僉議政丞)에 이르러 사직하였음. 충숙왕 때 다시 수정승(守政丞)이 되고 여흥군(驪興君)에 봉하여졌음.
1248~132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용연(龍涎) - 민지(閔漬)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266년(원종 7)에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하여 지후(祗候)가 되었고, 충선왕 때 첨의정승(僉議政丞)에 이르러 사직하였음. 충숙왕 때 다시 수정승(守政丞)이 되고 여흥군(驪興君)에 봉하여졌음.
1248~132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