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용연(龍淵)@용천검 - 용천검(龍泉劍)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명검(名劍). 구야자(歐冶子)와 간장(干將)이 함께 만든 세 자루 가운데 하나로,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예장(豫章)의 풍성(豊城) 땅속에서 얻었다는 고사가 전함. 원래는 용연검(龍淵劍)으로 불렸으나 당(唐) 나라 고조의 휘(諱)인 ‘연(淵)’을 피하여 용천(龍泉)이라 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용연(龍淵) - 구룡연(九龍淵)
강원도 고성군(高城郡) 외금강 구룡동 골짜기에 있는 구룡폭포(九龍瀑布) 밑의 못 이름. 옛날에 금강산을 지키는 아홉 마리의 용이 살았다고 하는 전설이 있으며, 주변 반석에 최치원(崔致遠)의 시구가 쓰여 있음.
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용연(龍淵)@박경인 - 박경인(朴慶因)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병장.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종제(從弟)인 박경전(朴慶傳)과 함께 청도(淸道)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싸우다가 서지산(西芝山)에서 전사함.
1542~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용연검(龍淵劍) - 용천검(龍泉劍)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명검(名劍). 구야자(歐冶子)와 간장(干將)이 함께 만든 세 자루 가운데 하나로,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예장(豫章)의 풍성(豊城) 땅속에서 얻었다는 고사가 전함. 원래는 용연검(龍淵劍)으로 불렸으나 당(唐) 나라 고조의 휘(諱)인 ‘연(淵)’을 피하여 용천(龍泉)이라 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용온(用韞) - 풍기(馮琦)
중국 명(明) 나라 신종(明神宗) 때의 문신. 정사에 임하여 부지런하고 엄숙하였으며, 학문에 조예가 깊음.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저서로 《북해집(北海集)》ㆍ《경제유편(經濟類編)》 등이 있음.
1558~160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용와(慵窩) - 유승현(柳升鉉)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조(英祖) 때 학자인 유도원(柳道源)의 아버지로, 1719년(숙종 45)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냄. 저서로 《용와집(慵窩集)》이 있음.
1680~17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용왕담(龍王潭) - 천지(天池)
함경도와 중국 길림성(吉林省)에 걸쳐 있는 백두산(白頭山) 정상의 화구호(火口湖).
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
-
용원부원군(龍原府院君)@윤자신 - 윤자신(尹自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식(尹湜)의 아들로, 정여립(鄭汝立)의 역모사건 때 정즙(鄭緝) 등을 체포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종묘의 신주를 잘 보존하여 죽은 뒤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추록됨.
152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용원부원군(龍原府院君) - 조인벽(趙仁璧)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돈(趙暾)의 아들로, 환조(桓祖)의 딸 정화공주(貞和公主)와 혼인함. 김용(金鏞)의 토벌에 공을 세워 이등공신이 되고, 우왕(禑王) 때 여러 번 왜구를 격퇴하였으며, 위화도 회군(威化島回軍)에도 참여함.
?~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용원부원군(龍源府院君) - 조인벽(趙仁璧)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돈(趙暾)의 아들로, 환조(桓祖)의 딸 정화공주(貞和公主)와 혼인함. 김용(金鏞)의 토벌에 공을 세워 이등공신이 되고, 우왕(禑王) 때 여러 번 왜구를 격퇴하였으며, 위화도 회군(威化島回軍)에도 참여함.
?~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용유사(龍游寺) - 금산사(金山寺)@중국
중국 강소성(江蘇省) 진강(鎭江) 서북쪽 금산(金山) 위에 있는 사찰. 동진(東晉) 때 창건된 중국의 대표적 선찰(禪刹)로, 송(宋) 나라 때 승려 요원(了元)과 소식(蘇軾)이 노닐었던 곳으로 유명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찰
-
용유사(龍遊寺) - 금산사(金山寺)@중국
중국 강소성(江蘇省) 진강(鎭江) 서북쪽 금산(金山) 위에 있는 사찰. 동진(東晉) 때 창건된 중국의 대표적 선찰(禪刹)로, 송(宋) 나라 때 승려 요원(了元)과 소식(蘇軾)이 노닐었던 곳으로 유명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찰
-
용은(舂隱) - 김숙(金淑)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1454년(단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현감(縣監)ㆍ부사(府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용은거사(慵隱居士) - 유대일(兪大逸)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좌의정(左議政) 유홍(兪泓)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지냄. 그의 시문집인 《용은집(慵隱集)》이 《송당집(松塘集)》에 실려 있음.
1572~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용은부원군(龍恩府院君) - 윤식(尹湜)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윤시영(尹時英)의 아들로 윤시호(尹時豪)에게 출계함. 윤자신(尹自新)의 아버지. 당제(堂弟)인 윤결(尹潔)이 화를 입자 은둔하였으며, 죽은 후 영의정(領議政) 용은부원군(龍恩府院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용의(容懿) - 원성왕후(元成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3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덕종(德宗)ㆍ정종(靖宗)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ㆍ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음.
?~1028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용이(容耳) - 신항(申沆)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종의 장녀인 혜숙옹주(惠淑翁主)와 혼인하여 고원위(高原尉)에 봉해졌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77~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용익(龍翼) - 남용익(南龍翼)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의령(宜寧).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지내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나 문명을 떨쳤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에 연루되어 명천(明川)에 유배되어 죽음.
1628~16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용재(容齋) - 이행(李荇)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폐비윤씨(廢妃尹氏)의 복위를 반대하여 유배되었고, 중종의 원비 신씨(愼氏)의 복위를 반대함.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찬진함.
1478~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용재(庸齋) - 정문휼(鄭文遹)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주희가 그에게 상례(喪禮)를 편찬하게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용재(慵齋) - 성현(成俔)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副棺斬屍)를 당하였으나 뒤에 신원(伸寃)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시문(詩文)에 능하고 음률(音律)에 정통하여 많은 저술과 작품을 남김.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용재(慵齋)@이종준 - 이종준(李宗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서화(詩書畵)에 능하고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무고를 받아 국문을 받던 중에 죽음.
?~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용재(用梓) - 사용재(謝用梓)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절강인(浙江人). 임진왜란 때 조선에 서일관(徐一貫) 등과 사신(使臣)으로 와서 경성(京城)의 왜적 진영에 들어가 행장(行長)을 타이르는 등 교섭 관계에 힘씀.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용재담화(慵齋談話) - 용재총화(慵齋叢話)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의 잡록류(雜錄類)에 속하는 수필집(隨筆集). 조선시대 수필문학(隨筆文學)의 백미(白眉)로 일컬어짐. 3권 3책,
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용재선생유고(慵齋先生遺稿) - 용재유고(慵齋遺稿)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종준(李宗準)의 시문집. 1책. 목판본. 1824년(순조 24) 후손 이창욱(李昌郁)이 편집하고, 권사협(權思浹)과 이순빈(李淳賓)이 교정하여 간행함.
182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재선생집(容齋先生集) - 용재집(容齋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이행(李荇)의 시문집. 7책. 활자본. 1586년(선조 19) 손자 이광(李洸)이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로 있을 때 간행함. 권두에 주세붕(周世鵬)의 행장(行狀)과 권말에 이안눌(李安訥)의 중간 발문이 실려 있음.
158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용졸재(用拙齋) - 신식(申湜)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ㆍ성운(成運)의 문인으로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학식이 높고, 예악(禮樂)에도 밝았으나, 정여립(鄭汝立)의 일파라는 탄핵을 받아 곤양(昆陽)에 유배됨.
1551~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용주(湧州) - 덕원(德源)
함경도 문천(文川)ㆍ원산(元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태조(太祖)의 4대 선조인 목조(穆祖)ㆍ익조(翼祖)ㆍ도조(度祖)ㆍ환조(桓祖)의 고향이라 하여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켜 부사(府使)를 두고 다스림.
함경도>덕원 , 지명>행정지명
-
용주(龍州) - 용궁(龍宮)
경상도 예천(醴泉)과 상주(尙州) 사이에 있던 고을 이름. 명승지로 수월루(水月樓)ㆍ백화사(白華寺)가 있음. 후에 예천에 병합됨.
경상도>용궁 , 지명>행정지명
-
용주(龍洲) - 조경(趙絅)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익남(趙翼男)의 아들이며 윤근수(尹根壽)의 문인(門人).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고, 대제학(大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86~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창ㅣ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용주(龍珠) - 김용주(金龍珠)
고려 문종(文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공우(金公祐)의 셋째 아들로, 여진(女眞)의 난을 평정하여 추충공신(推忠功臣)에 녹훈되고, 개성군(開城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용주선생유고(龍洲先生遺稿) - 용주유고(龍洲遺稿)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조경(趙絅)의 시문집. 목판본. 23권 9책. 1674년(숙종 1) 아들 조위봉(趙威鳳)이 교정 편차하고, 1703년(숙종 29) 손자 조구원(趙九畹)이 순천(順天)에서 간행함.
170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문헌>서명
-
용중(用中) - 권용중(權用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풍기 군수(豐基郡守)로 있던 주세붕(周世鵬)에게서 이름과 자(字)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용중(用中)@임용중 - 임용중(林用中)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희ㆍ장식(張栻)과 함께 형산(衡山)에서 노닐며 시를 지어 《남악창수집(南嶽倡酬集)》을 엮음. 저서로 《초당집(草堂集)》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용지(勇智) - 안용지(安勇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산 부사(善山府使) 안우(安宇)의 아버지로, 순천 부사(順天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용지(用之) - 유려(劉礪)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유지(劉砥)의 동생으로, 형과 함께 주희(朱熹)를 스승으로 섬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용진(龍津) - 오희맹(吳希孟)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 중종(中宗) 때 명 나라의 황태자가 태어나자 조사(詔使) 공용경(龔用卿)과 함께 부사(副使)로 조선에 와 황제의 조서(詔書)를 전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용천(龍川) - 진량(陳亮)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학자. 영강(永康) 출신으로, 재기(才氣)가 뛰어나 병법을 담론하길 좋아하고, 일찍이 옛사람이 무력을 사용한 것과 승리하고 패배한 것에 대한 사적을 상고하여 작고론(酌古論)을 저술하기도 함.
1143~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용천(龍泉)@용천검 - 용천검(龍泉劍)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명검(名劍). 구야자(歐冶子)와 간장(干將)이 함께 만든 세 자루 가운데 하나로,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예장(豫章)의 풍성(豊城) 땅속에서 얻었다는 고사가 전함. 원래는 용연검(龍淵劍)으로 불렸으나 당(唐) 나라 고조의 휘(諱)인 ‘연(淵)’을 피하여 용천(龍泉)이라 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용천군(龍川君) - 이수한(李壽鷴)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맏아들이며, 이걸(李傑)ㆍ이탁(李倬)ㆍ이준(李俊)ㆍ이위(李偉)ㆍ이경(李儆)ㆍ이현(李俔)의 아버지로, 용천군(龍川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용천부원군(龍川府院君) - 조림(趙琳)@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총관(摠管)을 지낸 조양기(趙良琪)의 아들이며, 예의 판서(禮儀判書)를 지낸 조돈(趙暾)의 형.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 , 인명>관인>문신
-
용춘(龍春) - 김용춘(金龍春)
신라 진지왕(眞智王)의 아들. 어머니는 지도부인(知道夫人) 박씨.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의 아버지로, 654년(태종무열왕 1) 4월 무열왕에 의해 문흥대왕(文興大王)으로 추봉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국왕
-
용출산(龍出山) - 마이산(馬耳山)
전라도 진안(鎭安) 남쪽에 있는 산 이름. 두 개의 암봉(岩峰)으로 이루어진 산으로, 동봉(東峰)과 서봉(西峰)의 모양이 말의 귀처럼 생겼다 하여 마이산(馬耳山)이라는 이름이 붙음.
전라도>진안 , 지명>자연지명
-
용탄(龍灘) - 이연경(李延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홍문관 교리(弘門館校理)로 재직할 때 조광조(趙光祖)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용탄자(龍灘子) - 이연경(李延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홍문관 교리(弘門館校理)로 재직할 때 조광조(趙光祖)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용필(龍弼) - 김용필(金龍弼)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공우(金公祐)의 둘째 아들로, 수사공(守司空)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용학(龍學) - 장수(張壽)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원풍(元豊) 연간에 문언박(文彥博) 등 13인의 기영(耆英)과 더불어 진솔회(眞率會)를 만들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용학석(庸學釋) - 용학석의(庸學釋義)
조선 명종(明宗) 때 안위(安瑋)와 문명개(文命凱)가 이황(李滉)의 확정되지 않은 《대학(大學)》ㆍ《중용(中庸)》에 대한 학설을 모아 간행한 책. 이황의 큰 반발을 샀음.
1567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중화 , 문헌>서명
-
용향(龍鄕) - 용인(龍仁)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예로부터 풍수지리상 명당(明堂)이 많은 곳으로 일컬어졌으며, 지금의 용인은 옛 용인ㆍ양지(陽智)ㆍ죽산(竹山)의 일부가 합해 이루어짐.
경기도>용인 , 지명>행정지명
-
용헌(容軒) - 이원(李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손자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 때 협력하여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국기를 다지고 제도를 확립하는 데 공헌함.
1368~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용헌(慵軒)@황사우 - 황사우(黃士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친척인 김안로(金安老)가 정권을 잡자 권세를 부리며, 뇌물을 받고 벼슬을 팔아 치부했다는 비판을 받음.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486~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용헌(慵軒) - 이종준(李宗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서화(詩書畵)에 능하고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무고를 받아 국문을 받던 중에 죽음.
?~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용헌(慵軒)@조세영 - 조세영(趙世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지부(趙之孚)의 아들. 학문이 널리 알려져 1535년에 조사수(趙士秀) 등과 함께 사유록(師儒錄)에 올랐고, 사성(司成)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용헌선생문집(容軒先生文集) - 용헌집(容軒集)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이원(李原)의 시문집. 1476년(성종 7) 손자 이륙(李陸)에 의해 《철성연방집(鐵城聯芳集)》에 편입시켜 간행되었으며, 1957년 후손 이우기(李宇基)ㆍ이정태(李庭泰) 등에 의해 중간됨.
14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문헌>서명
-
용현(用賢)@박용현 - 박용현(朴用賢)
조선 전기의 화가. 본관은 밀양(密陽). 구암(龜巖) 이정(李楨)이 지은 제시(題詩) 〈제화병(題畫屛)〉이 《구암집(龜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예술인>서화가
-
용현(用賢) - 고용현(高用賢)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고경(高慶)의 아들로,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과 교유하였음.
1302~136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용현(龍縣) - 용인(龍仁)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예로부터 풍수지리상 명당(明堂)이 많은 곳으로 일컬어졌으며, 지금의 용인은 옛 용인ㆍ양지(陽智)ㆍ죽산(竹山)의 일부가 합해 이루어짐.
경기도>용인 , 지명>행정지명
-
용현(龍縣)@용궁 - 용궁(龍宮)
경상도 예천(醴泉)과 상주(尙州) 사이에 있던 고을 이름. 명승지로 수월루(水月樓)ㆍ백화사(白華寺)가 있음. 후에 예천에 병합됨.
경상도>용궁 , 지명>행정지명
-
용협(用協) - 김극일(金克一)@1382
조선 전기의 문신ㆍ효자.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냄. 효성이 지극하여 세종(世宗) 때 효자 정려(孝子旌閭)가 건립되고, 성종(成宗) 때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효자 비문(孝子碑文)이 세워짐.
1382~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용혜(容惠) - 정종(靖宗)
고려 제10대 왕. 재위 1035~1046. 현종(顯宗)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원성왕후 김씨(元成王后金氏). 형인 덕종(德宗)의 유업을 이어받아 천리장성을 완성하는 등 변방의 수비를 강화하고 거란과 화친하여 나라를 태평하게 함.
1018~104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용호(龍湖)@박문영 - 박문영(朴文楧)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1606년(선조 3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박이장(朴而章)이 덕천서원(德川書院)에 왔을 때 함께 원록(院錄)을 중수(重修)함.
1570~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ㅣ경상도>산음 , 인명>문사>유학
-
용호(龍湖)@조존성 - 조존성(趙存性)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창원(趙昌遠)의 아버지로, 성혼(成渾)ㆍ박지화(朴枝華)의 문하에서 수학함. 강화 부사(江華府使) 등 외직 재임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으며,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554~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용호(龍湖) - 맹호성(孟好性)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고려가 망한 뒤 조선 태조(太祖)가 과거를 실시하였으나 이에 응하지 않고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충의를 지킨 태학생(太學生) 72명 중 한 사람.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용호(龍浩) - 김용호(金龍浩)
조선 고종(高宗) 때의 유학. 순국지사 송병순(宋秉珣)의 문인.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용호문집(龍湖文集) - 용호집(龍湖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인 박문영(朴文楧)의 시문집. 2책. 목활자본. 1862년(철종 13) 9세손 박경기(朴慶基)에 의해 간행되었으며, 조병덕(趙秉悳)의 서문과 박경기의 발문이 실려 있음.
186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호방(龍虎榜) - 무과(武科)
조선시대에 무관(武官)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 대개 3년마다 한 번씩 식년(式年)에 실시하였으며, 초시(初試)ㆍ복시(覆試)ㆍ전시(殿試)의 3단계를 거쳐 선발함.
1408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용호선생문집(龍湖先生文集) - 용호집(龍湖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인 박문영(朴文楧)의 시문집. 2책. 목활자본. 1862년(철종 13) 9세손 박경기(朴慶基)에 의해 간행되었으며, 조병덕(趙秉悳)의 서문과 박경기의 발문이 실려 있음.
186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화(龍火) - 화성(火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남방(南方)을 상징하는 별. 나타나고 사라지는 것이 일정하지 않아 사람을 미혹시킨다고 해서 ‘형혹(熒惑)’이라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용회(用晦)@허혼 - 허혼(許渾)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영주 자사(郢州刺史) 등을 지냈으나 몸이 병약하여 윤주(潤州)의 정묘교(丁卯橋) 촌사로 낙향함. 율시(律詩)에 뛰어나고, 시국을 우려하는 내용의 시를 많이 지음.
791~85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용회(用晦)@정환 - 정환(丁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사산 감역관(四山監役官)을 지낸 정세명(丁世明)의 아들이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형조 좌랑(刑曹佐郞)ㆍ경상도 도사(慶尙道都事) 등을 지내고, 영천서원(寧川書院)에 배향됨.
1497~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용회(用晦)@성희 - 성희(成熺)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문종 때 급제하여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를 지내고, 《세종실록(世宗實錄)》과 《문종실록(文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당질(堂姪)인 성삼문(成三問)의 단종복위(端宗復位)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용회(用晦) - 김훤(金晅)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별초(三別抄)의 잔적(殘賊)을 격퇴하고,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였음.
1234~130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용회(用晦)@심석 - 심석(沈晳)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7대손.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용후(用厚) - 고용후(高用厚)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판결사(判決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청사집(晴沙集)》ㆍ《정기록(正氣錄)》 등이 있음.
157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용후(龍喉) - 김도(金濤)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양백연(楊伯淵)의 옥사에 연루되어 효수당함.
?~137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용휘(湧輝) - 김용휘(金湧輝)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언양(彦陽).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낸 김계보(金季甫)의 증조부. 예의 판서(禮儀判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무신
-
용휴(用休) - 강귀손(姜龜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강희맹(姜希孟)의 아들.
1450~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용희(用羲) - 신용희(申用羲)
고려 후기의 학자. 본관은 영해(寧海). 문정공(文貞公) 신현(申賢)의 아들로,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의 스승.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학자
-
우(㝢) - 정우(鄭㝢)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관직은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이르렀으며, 정몽주(鄭夢周)와 교유하였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우(佑) - 구우(瞿佑)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ㆍ문인. 주왕부(周王府) 우장사(右長史)를 지냄. 관리로서는 불우하였으나 문재(文才)가 뛰어나 《전등신화(剪燈新話)》ㆍ《귀전시화(歸田詩話)》 등 시ㆍ소설 분야에서 많은 저작을 남김.
1347~142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우(佑)@조우 - 조우(趙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가 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파방(罷榜)되었다가 음보(蔭補)로 현감(縣監) 등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우(佑)@송우 - 송우(宋佑)
조선 전기의 유학. 심언광(沈彥光)의 《어촌집(漁村集)》에 그에 대한 이별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우(堣) - 이우(李堣)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숙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협력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안동 부사(安東府使) 등을 지냄. 시에 뛰어났고, 최숙생(崔淑生) 등의 사류와 교유함.
1469~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우(宇) - 권우(權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생원 권대기(權大器)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에 밝았고 광해군(光海君)의 사부(師傅)에 제수되었으며, 사후(死後)에 좌의정(左議政)에 추증됨.
1552~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우(宇)@김우 - 김우(金宇)
조선 정종(定宗)~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희천(熙川).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좌군 도총제와 병조 판서를 역임하였음.
?~1418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희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우(宇)@안우 - 안우(安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밀양(密陽)ㆍ평산(平山)ㆍ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우(瑀)@김우 - 김우(金瑀)
조선 전기의 문신. 노수신(盧守愼)과 교유하였고, 훈도(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우(瑀)@최우 - 최우(崔瑀)
고려 무신정권기의 무신. 최충헌(崔忠獻)의 아들로, 아버지의 사후 집권하여 전대(前代)의 부패를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이름난 유학자를 등용하였으며, 몽고의 침입에 대비하여 강화(江華)로 천도(遷都)함. 만년에 횡포와 사치가 심해져 백성들의 원망을 샀음.
?~124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우(瑀) - 왕우(王瑀)@왕온의아들
고려 후기의 종친. 예성부원대군(蘂城府院大君) 왕온(王昷)의 둘째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우(瑀)@박우 - 박우(朴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우고, 이괄(李适)의 난(亂)에 공을 세워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쌍령(雙嶺)에서 전사함.
1576~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우(瑀)@조선 - 이우(李瑀)@조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덕수(德水)로, 이이(李珥)의 아우. 시(詩)ㆍ서(書)ㆍ화(畫)ㆍ금(琴)을 잘하여 ‘사절(四絶)’이라 불림.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의 화풍을 따르고, 특히 화훼(花卉)와 초충(草蟲)을 잘 그림.
1542~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우(瑀)@강우 - 강우(姜瑀)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수의부위(修義副尉)를 지낸 강세응(姜世應)의 아들. 효행으로 정려각(旌閭閣)이 세워짐.
1495~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우(瑀)@공양왕의동생 - 왕우(王瑀)@공양왕의동생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종친. 신종(神宗)의 7대손이며 공양왕(恭讓王)의 아우. 조선 개국 후 왕씨 일족이 유폐될 때, 고려 왕조의 제사를 받들기 위해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우(瑀)@고려 - 이우(李瑀)@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암(李嵒)과 어사대부(御史大夫) 이교(李嶠)의 아버지로, 여러 지역의 외관을 거쳤으며 철원군(鐵原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우(祐) - 권우(權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관직은 직장(直長) 등을 역임하였고 충주(忠州)에 정자(亭子)를 지었는데, 황정욱(黃廷彧)이 호서 방백(湖西方伯)으로 부임했을 때 정자에 시를 남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우(祐)@안우 - 안우(安祐)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탐진(耽津). 최영(崔瑩) 등과 함께 조일신(趙日新)의 난을 평정하고 기철(奇轍)을 주살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록됨. 재상 김용(金鏞)과 함께 정세운(鄭世雲)을 살해한 뒤, 그 또한 김용의 하수인에게 살해됨.
?~136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우(祐)@김우 - 김우(金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김륵(金玏)의 조부이며, 박임종(朴林宗)의 사위. 성주 목사(星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우(祐)@박우 - 박우(朴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가들의 미움을 받았으나 소신을 굽히지 않았으며, 지방관을 지낼 때 선정(善政)을 베풀어 포상을 받음.
1476~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우(禹)@공우 - 공우(貢禹)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 때의 문신. 현량(賢良)으로 천거되어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냄. 왕길(王吉)과 절친한 친구 사이로, 세간에 “왕길이 먼저 벼슬길에 오르니 공우가 갓의 먼지를 털고 임금의 소명(召命)을 기다린다”라는 말이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우(芋) - 토란(土卵)
천남성과(天南星科)의 다년초(多年草). 추석 등의 명절에 먹는 전통음식 중 하나로,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재배됨. 전통 민화(民畵)나 문양(紋樣)에서 무병장수(無病長壽)를 상징하며, 중국의 민산(岷山) 밑에서는 토란이 많이 생산되어 이곳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굶주리지 않는다고 함.
자연물>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