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덕홍(金德弘)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병. 본관은 광산(光山). 김붕섭(金鵬燮)의 아들로,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함.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싸우다가 고경명(高敬命)과 함께 금산에서 전사함.
?~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김도(金濤)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양백연(楊伯淵)의 옥사에 연루되어 효수당함.
?~137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도(金燾)
조선시대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후릉 참봉(厚陵參奉) 김취빈(金就彬)의 아들.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도화(金道和)
조선 고종(高宗)~순종(純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의병장. 본관은 의성(義城). 김약수(金若洙)의 아들이며, 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의 문인(門人).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의금부 도사를 지냈으며,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항거하여 의병을 일으킴.
1825~1912 한국>근대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독(金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민생의 근본인 농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조선이 개국하자 공주도 유학교수(公州道儒學敎授)에 부임하여 인재를 양성하는데 힘씀.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이산 , 인명>관인>문신
-
김두성(金斗星)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금정도 찰방(金井道察訪) 김세진(金世珍)의 아들이며, 영의정(領議政) 김흥경(金興慶)의 아버지.
16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김득겸(金得謙)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황(金貺)의 장인으로,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득배(金得培)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개경(開京)과 서경(西京)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웠으나, 김용(金鏞)의 모략으로 정세운(鄭世雲)을 살해하고 그 죄로 효수당함.
1312~136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득선(金得先)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가흥(佳興). 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 김윤정(金胤鼎)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득제(金得齊)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개경(開京)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우왕 때에도 여러 번 왜구를 격퇴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무신
-
김득지(金得地)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성균관 직강(行成均館直講) 김세량(金世良)의 아들. 윤두수(尹斗壽)ㆍ임운(林芸)ㆍ정황(丁熿) 등과 교유하여, 《오음유고(梧陰遺稿)》ㆍ《첨모당집(瞻慕堂集》ㆍ《유헌집(游軒集)》에 차운시(次韻詩)ㆍ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락(金樂)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개국공신. 견훤(甄萱)과의 공산전투(公山戰鬪)에서 신숭겸(申崇謙)과 함께 태조를 구하고 전사함. 〈도이장가(悼二將歌)〉의 주인공.
?~927 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련(金璉)@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사원(金士元)의 아버지.
1215~12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련(金璉)@조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안국(金安國)의 아버지.
1452~149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련(金鍊)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화평(化平). 찬성사(贊成事) 김지숙(金之淑)의 아들로,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냄. 행동이 법도에 어긋나지 않아 장자(長者)로 칭송받음.
?~127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령(金坽)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성룡(柳成龍)의 막하로 자진하여 종군하였고,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장령(掌令)ㆍ집의(執義)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않음.
1577~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령(金齡)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1474~154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관인>문신
-
김로(金輅)@고려
고려 후기의 무신. 예안김씨(禮安金氏)의 중시조. 조선 세종(世宗) 때의 천문학자인 김담(金淡)의 할아버지로, 좌우위 보승 낭장(左右衛保勝郞將)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무신
-
김로(金輅)@조선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중의 한 사람으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ㆍ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를 지냄.
1355~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로(金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안동(安東). 대사헌을 지낸 김희수(金希壽)의 아들로 부자가 모두 명필로 유명하였으며, 그의 필적으로 글씨를 새겨 간행한 《이가서법(二家書法)》이 있음.
149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김류(金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으로, 송익필(宋翼弼)의 문인.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였고, 이귀(李貴) 등과 함께 인조반정(仁祖反正)을 주도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시문(詩文)과 서법(書法)에 뛰어남.
1571~164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류(金騮)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1594년(선조 27) 판관(判官)으로서 남원(南原)의 토적(土賊) 고파(高波)를 상대로 패배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김륜(金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김봉(金崶)의 형. 1468년(세조 14)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륜(金倫)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렬왕ㆍ충혜왕(忠惠王) 등을 시종해 원(元) 나라에 가 외교문제를 해결함.
1277~134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률(金硉)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김미(金亹)의 아버지. 1478년(성종 9) 친시(親試) 을과(乙科)에 급제하여 제주 목사(濟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김륭(金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함창(咸昌).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격문을 돌려 기병할 것을 호소함.
1549~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김륵(金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집사(安集使)로 영남에 가서 민심을 수습하였고,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되어 강릉으로 유배됨.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린(金麟)
조선 전기의 문신.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을 지내다가 1458년(세조 4)에 은퇴하면서 장흥(長興)에 가정사(假亭舍)를 건립하였는데, 선조(宣祖) 때 후손 김성장(金成章)이 중건하고 ‘동백정(冬柏亭)’이라고 개명함.
1392~14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김립(金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서흥(瑞興).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김언상(金彦庠)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생원시에 입격하여, 의흥(義興)ㆍ초계(草溪)의 군수(郡守)를 역임했음.
1497~15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만균(金萬均)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장생(金長生)의 증손자로, 김익희(金益熙)의 아들이며 강원 감사(江原監司) 김진옥(金鎭玉)의 아버지.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631~167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만균(金萬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안로(金安老)를 탄핵하여 삭직되었다가 김안로가 축출되자 다시 서용되어 교리 등의 관직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495~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만근(金萬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병절교위(秉節校尉) 김예범(金禮範)의 아버지로, 진사(進士)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김만기(金萬基)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숙종의 국구(國舅)로, 김만중(金萬重)의 형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내고,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에 봉해짐.
1633~16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김만억(金萬億)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직제학을 지낸 김천령(金千齡)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김만일(金萬鎰)
조선 전기의 문신.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친구 관계로 진원 현감(珍原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김만중(金萬重)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소설가. 예학의 대가인 김장생(金長生)의 증손(曾孫)으로, 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을 지냄. 한글 소설 문학의 선구자로 《구운몽(九雲夢)》ㆍ《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등을 저술함.
1637~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김만채(金萬埰)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좌참찬(左參贊) 김진상(金鎭商)의 아버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장살(杖殺)된 아버지 김익훈(金益勳)의 억울함을 진정하다 절도로 유배되었으며, 갑술환국(甲戌換局)으로 풀려나와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644~171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말(金末)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후진 교육과 경학 발전에 큰 공로가 있어 김구(金鉤)ㆍ김반(金泮)과 더불어 ‘삼김(三金)’ㆍ‘경학삼김(經學三金)’ㆍ‘관중삼김(館中三金)’으로 불림.
1379~14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매순(金邁淳)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거쳐 강화부 유수(江華府留守) 등을 지냈고, 당대의 문장가로 홍석주(洪奭周) 등과 함께 명성이 높아 여한십대가(麗韓十大家)의 한 사람으로 꼽히며 성리학에 뛰어남.
1776~18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맹(金孟)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감찰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 세조(世祖) 때 좌익 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됨.
1410~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김맹강(金孟鋼)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김필(金珌)ㆍ김장(金璋)의 아버지. 1483년(성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에 급제했으며, 승문원 교감(承文院校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맹견(金孟堅)
고려 후기의 무신ㆍ문인. 계림 참군(雞林參軍)을 지냈으며, 이곡(李穀)ㆍ민사평(閔思平)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김맹겸(金孟謙)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해평(海平). 생원(生員) 김백환(金百鍰)의 아버지로, 돈용교위(敦勇校尉)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무신
-
김맹권(金孟權)
조선 세종(世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가 되어 세종의 신임을 받아 왕세손(王世孫)의 보필을 부탁받았으나,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왕위를 찬탈하자 고향으로 돌아감.
?~150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학자
-
김맹달(金孟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상산군(商山君) 김득제(金得齊)의 손자로,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맹성(金孟性)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과 함께 현석규(玄錫圭)를 탄핵한 죄로 고령(高靈)에 유배된 후 향리로 돌아가 후진을 양성함.
1437~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맹함(金孟諴)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김작(金碏)의 아들이며, 정언(正言) 김형(金泂)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김맹화(金孟和)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관련 시편(詩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김면(金沔)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의병장ㆍ학자. 경원 부사(慶源府使) 김세문(金世文)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공조 좌랑(工曹佐郞)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규합하여 많은 전공(戰功)을 세움.
1541~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명리(金明理)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구용(金九容)의 둘째 아들. 부사(府使)를 지냈으며, 1400년(정종 2) 아버지의 시문집(詩文集)인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을 편찬, 간행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명석(金命錫)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이재(李栽)의 문인(門人). 문학으로 일가를 이루었고, 특히 시(詩)는 독보적 존재로 평가됨.
1675~176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학자
-
김명성(金鳴盛)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1590년(선조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박승임(朴承任)에게 배웠고, 김륵(金玏)ㆍ김륭(金隆)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명순(金明淳)
조선 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좌의정(左議政) 김홍근(金弘根)ㆍ영의정(領議政) 김흥근(金興根)의 아버지. 1801년(순조 1) 별시(別試) 갑과(甲科)에 급제했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7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명언(金明彦)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윤원형(尹元衡)일파가 국정을 장악하자 외직으로 전전하면서 바른 정사와 청렴결백함으로 백성들에게 칭송을 받았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김명원(金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황(李滉)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수습한 공으로 경림군(慶林君)에 봉해졌으며, 임진왜란 이후에 이조 판서ㆍ좌의정을 지냈음.
1534~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명윤(金明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김극핍의 아들로, 윤원형(尹元衡)과 함께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킴.
1493~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명일(金明一)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김진(金璡)의 아들로 5형제가 모두 학행으로 뛰어나 일가를 이룸.
1534~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김명종(金鳴鍾)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셋째 아들. 본관은 경주(慶州). 손국(遜國) 후 경주군(慶州君)에 봉해짐.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자
-
김모(金瑁)
조선 전기의 문신. 김근공(金謹恭)의 아버지로, 목사(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김몰(金圽)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김필(金㻶)의 아들이자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김괴(金塊)의 동생. 1489년(성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한(典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김몽득(金夢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연안(延安). 예조 정랑(禮曹正郞) 김개국(金蓋國)의 아버지로, 장사랑(將仕郞)에 오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김몽호(金夢虎)
조선시대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 김중청(金中淸)의 아버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묘(金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서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를 지낸 김승택(金承澤)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무(金楙)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전라도 관찰사를 지낸 김징(金澄)의 아들. 1718년(숙종 44) 금산 태수(金山太守)가 되어 조위(曺偉)의 문집인 《매계집(梅溪集)》을 간행함.
165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무(金畝)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고령김씨의 시조인 김남득(金南得)의 아들로, 공양왕(恭讓王) 때 간관(諫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김문(金問)
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대사헌(大司憲) 김약채(金若采)의 아들로, 1392년(태조 1) 을과(乙科)에 합격하여 예문관 검열(藝文官檢閱)에 보임(補任)되었으나, 다음 해 죽음.
1373~13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문경(金文卿)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김안민(金安民)의 아들이며, 목사(牧使) 김세준(金世俊)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김문기(金文起)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1456년(세조 2) 단종 복위(端宗復位) 모의에 가담하였다가 죽임을 당함.
1399~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관인>문신
-
김문열공집(金文烈公集)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부식(金富軾)의 저서. 20권. 현전하지 않아 내용은 알 수 없음. 문열(文烈)은 김부식의 시호.
한국>고려전기 , 문헌>서명
-
김문행(金文行)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화음동주(華陰洞主) 김수증(金壽增)의 증손이며, 밀양 부사(密陽府使)를 지낸 김이탁(金履鐸)의 아버지. 좌승지(左承旨)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701~175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미(金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으로, 제주 목사(濟州牧使) 김률(金硉)의 아들. 우승지ㆍ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고, 명종 초에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박(金博)
조선시대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김윤명(金允明)ㆍ김윤안(金允安)의 아버지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반(金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익산 군수(益山郡守) 김장생(金長生)의 아들이고, 김익훈(金益勳)의 아버지. 송익필(宋翼弼)의 문인(門人)으로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인조를 호종한 공이 있음. 대사간(大司諫)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내고, 영의정에 추증됨.
1580~164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산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반(金泮)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강서(江西). 권근(權近)의 문인으로 경서에 정통하여 김구(金鉤)ㆍ김말(金末)과 함께 경학삼김(經學三金)으로 불림.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강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반천(金半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김사창(金泗昌)의 아들로, 정종(定宗)의 증손인 안현군(安賢君) 이성동(李盛同)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김방(金放)
조선 전기의 유학. 유방선(柳方善)과 교유하여, 그의 문집인 《태재집(泰齋集)》에 관련 시편(詩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방경(金方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효인(金孝印)의 아들로,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평정하고 원(元) 나라가 일본을 정벌할 때 참여함.
1212~130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김방려(金方礪)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이첨(李詹)ㆍ전녹생(田祿生)ㆍ몽주(鄭夢周) 등과 이인임(李仁任)의 친원정책을 배척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김백겸(金伯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광성군(光城君) 김혁(金革)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구성군(龜城君) 이준(李浚)의 군관으로 출정하여 공을 세움.
1429~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김백경(金伯卿)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으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김순(金詢)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김백순(金伯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희천(熙川). 경학에 밝아 정사룡(鄭士龍)ㆍ박세호(朴世豪) 등과 함께 사유(師儒)에 뽑힘.
1494~1548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희천 , 인명>관인>문신
-
김백영(金百英)
조선 후기의 유학. 선조(宣祖) 때의 직장(直長) 김태명(金泰溟)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김천일(金千鎰)의 의병(義兵)에 형제인 김천영(金千英)과 함께 참가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김백환(金百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평(海平). 돈용교위(敦勇校尉) 김맹겸(金孟謙)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김번(金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관서지방에 전염병이 만연하자, 둔전책(屯田策)을 건의하고 군졸의 잡다한 세를 없애주어 백성의 주거를 편안하게 하였음.
1479~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범(金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내고, 만년에 주자학에 전심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
1512~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
-
김벽(金璧)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하고, 창평 현령(昌平縣令)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김벽(金碧)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증손(金曾孫)의 아들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김변(金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부사직(副司直)을 지낸 김세광(金世光)의 아들. 1535년(중종 30) 급제하여 훈련 참군(訓鍊參軍)ㆍ서산 군수(瑞山郡守) 등을 지냄.
1501~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김변(金賆)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충렬왕이 세자로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예부 낭중(禮部郞中)으로 4년간 보좌하여 이등공신(二等功臣)에 녹훈됨.
1248~130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김보(金寶)
조선 전기의 유학. 이삼택(李三宅)ㆍ오건(吳健)과 교유함. 《덕계집(德溪集)》의 〈덕계선생연보(德溪先生年譜)〉에 환아정(換鵝亭)에서 놀면서 시(詩)를 주고받은 기록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보(金保)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김전(金佺)의 아들이며, 문하시중(門下侍中) 김취려(金就礪)의 손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문사>유학
-
김보(金普)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판도판서(版圖判書)로서 공민왕이 세자로 원(元) 나라에 있을 때 시종한 공으로 일등공신(一等功臣)에 오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김보중(金寶重)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진사(進士) 김옥려(金玉礪)의 아버지로, 선무랑(宣務郞)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김복(金復)
조선 전기의 유학. 양사언(楊士彥)의 《봉래시집(蓬萊詩集)》에 차운한 시가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복경(金復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서산 군수(瑞山郡守)를 지낸 김변(金汴)의 아들. 1573년(선조 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과 싸우다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복억(金福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진(康津)으로, 통훈대부(通訓大夫) 김약묵(金若默)의 맏아들.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으로, 1573년(선조 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 등을 지냄.
15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복일(金復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이황(李滉)의 문인이며,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동생. 경주 교수(慶州敎授)ㆍ울산 군수(蔚山郡守)ㆍ창원 부사(昌原府使) 등을 지냈으며, 경주 교수로 있을 때 학생들을 경학으로써 인도하여 도의를 크게 일으킴.
1541~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예천ㅣ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봉(金崶)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조 정랑(吏曹正郞) 김륜(金崙)의 동생.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갑자사화(甲子士禍)로 파직되었다가 중종 때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1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봉상(金鳳祥)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청도(淸道). 김현(金俔)의 아들로, 영릉 참봉(英陵參奉) 등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보련산(寶蓮山)에 은거함.
1496~154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김봉서(金鳳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김경근(金敬近)의 아들로, 40세에 벼슬하여 내외직을 두루 거친 뒤 한성부윤(漢城府尹) 등을 지냄.
1454~153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