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우(芌) - 토란(土卵)
천남성과(天南星科)의 다년초(多年草). 추석 등의 명절에 먹는 전통음식 중 하나로, 남쪽 지방에서 많이 재배됨. 전통 민화(民畵)나 문양(紋樣)에서 무병장수(無病長壽)를 상징하며, 중국의 민산(岷山) 밑에서는 토란이 많이 생산되어 이곳 사람들은 죽을 때까지 굶주리지 않는다고 함.
자연물>식물
-
우(藕) - 유우(柳藕)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스승 김굉필(金宏弼)이 죽자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과 교육에 전심함. 《주역(周易)》에 정밀하고, 천문ㆍ복서(卜筮)ㆍ음률ㆍ서화에도 정통함.
1473~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우(虞)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우(遇) - 권우(權遇)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 말에 출사하고, 조선 건국 뒤에도 계속 등용되어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 등을 지내면서 정인지(鄭麟趾) 등 여러 문인을 양성함.
136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우(遇)@윤우 - 윤우(尹遇)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형(尹炯)의 아들로, 돈녕부 첨정(敦寧府僉正)과 정선(旌善)ㆍ옥천(沃川)ㆍ배천(白川)등의 군수를 역임함.
1435~150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우(遇)@안우 - 안우(安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김종직(金宗直)에게 수학하고 김굉필(金宏弼)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였으며, 효행(孝行)으로 당대에 이름이 높았음.
1449~152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우(遇)@성우 - 성우(成遇)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조식(曺植)과 교유하고, 제릉 참봉(齊陵參奉)을 지냈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죽임을 당함
?~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우^두(牛^斗) - 두^우(斗^牛)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두성(斗星)과 우성(牛星)을 함께 부르는 말. 모두 북방(北方)의 현무칠수(玄武七宿)에 속한 별로, 두성은 북두칠성(北斗七星)을, 우성은 견우성(牽牛星)을 이름.
자연물>기타자연물
-
우^사(牛^沙) - 파^사(坡^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혼(成渾)과 선조~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장생(金長生)을 함께 부르는 말. 우리나라 십팔현(十八賢)에 속하는 인물들로, 뛰어난 학자를 가리킴.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우^안(虞^顏) - 안^우(顔^虞)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인 안회(顔回)와 중국 고대 황제인 순(舜)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우가(虞家)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우가장(牛家莊) - 우가장(牛家庄)
중국 요동(遼東)에 있던 역참(驛站). 조선시대에 북경(北京)을 왕래할 때 경유하던 요동과 산해관(山海關) 사이의 16개 역참 중의 하나로, 해주위(海州衛)와 사령(沙嶺) 사이에 있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우강(盱江) - 이구(李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친하게 지내던 범중엄(范仲淹)의 추천으로 태학설서(太學說書) 등을 지냈으며, 언변과 문장에 능하고 경술(經術)에 통달함.
1009~105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강선생(盱江先生) - 이구(李覯)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친하게 지내던 범중엄(范仲淹)의 추천으로 태학설서(太學說書) 등을 지냈으며, 언변과 문장에 능하고 경술(經術)에 통달함.
1009~105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우강선생전집(盱江先生全集) - 우강집(盱江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구(李覯)의 문집. 37권. 저자가 일생 동안 지은 글을 모아 엮은 책으로 경학(經學)과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며, 원(元) 나라 때 판각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월창(月牕) - 의침(義砧)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승려. 시승(詩僧)으로 두보(杜甫)의 시에 정통하였으며, 조위(曺偉)ㆍ유윤겸(柳允謙) 등과 함께 《분류두공부시(分類杜工部詩)》를 언해하여 편찬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월창(月窓)@이총 - 이총(李摠)
조선 전기의 종친. 우산군(牛山君) 이종(李踵)의 아들이며, 남효온(南孝溫)의 사위.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됨.
?~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월창(月窓) - 안응세(安應世)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단양군수(丹陽郡守)를 지낸 안중담(安仲聃)의 아들. 남효온(南孝溫)ㆍ김시습(金時習) 등과 교유하고 악부(樂府)에 뛰어났으나, 26세의 나이에 요절함.
1455~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유학
-
월창(月窓)@의침 - 의침(義砧)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승려. 시승(詩僧)으로 두보(杜甫)의 시에 정통하였으며, 조위(曺偉)ㆍ유윤겸(柳允謙) 등과 함께 《분류두공부시(分類杜工部詩)》를 언해하여 편찬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월천(月川) - 김길통(金吉通)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1432년(세종 1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한 뒤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어 월천군(月川君)에 봉해짐.
1408~147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월천(月川)@조목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월천군(月川君) - 김길통(金吉通)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1432년(세종 1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한 뒤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어 월천군(月川君)에 봉해짐.
1408~147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월천군(越川君) - 문빈(文彬)
조선 정종(定宗)~태종(太宗) 때의 무신. 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고 이방원(李芳遠)이 왕위에 오르는데 협력한 공으로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에 책록됨.
?~141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월천대형(月川大兄)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월천부원군(月川府院君) - 이정암(李廷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사직서 영(社稷署令) 이탕(李宕)의 아들로, 황해도 관찰사ㆍ병조 참판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연안(延安) 수비의 공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41~16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월천사우(月川祠宇) - 강성서원(江城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장흥(長興)에 건립된 서원. 옛 이름은 월천사(月川祠)였는데, 1785년(정조 9)에 사액되었으며, 문익점(文益漸)ㆍ문위세(文緯世) 등을 배향함.
164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유적>건물>서원,향교
-
월천서사(月川書舍) - 월천서당(月川書堂)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당. 1539년(중종 34) 월천(月川) 조목(趙穆)이 학문을 배우고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건립하였으며, 현판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씀.
153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월천선생문집(月川先生文集) - 월천집(月川集)@조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조목(趙穆)의 문집. 목판본. 6권 3책. 예안 현감(禮安縣監) 이석관(李碩寬)의 청탁에 따라 저자의 아들 조석붕(趙錫朋)이 소장한 초고(草稿) 4권을 허목(許穆)이 산정(刪定)하여 간행함.
16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월천옹(月川翁)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월천유고(月川遺稿) - 월천집(月川集)@조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조목(趙穆)의 문집. 목판본. 6권 3책. 예안 현감(禮安縣監) 이석관(李碩寬)의 청탁에 따라 저자의 아들 조석붕(趙錫朋)이 소장한 초고(草稿) 4권을 허목(許穆)이 산정(刪定)하여 간행함.
16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월천인(月川人)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월천주인(月川主人)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월촌(月村) - 이성임(李聖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태조(太祖)의 7대손이며, 이형(李詗)의 아들. 1583년(선조 16)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냄. 용모ㆍ문사(文辭)ㆍ언론(言論)ㆍ서화(書畵)ㆍ가성(歌聲)이 뛰어나서 오옥(五玉) 선생이라 불렸으며, 김성일(金誠一)과 교유함.
1555~159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월탄(月灘) - 명월탄(明月灘)
충청도 충주(忠州)에 있는 개울 이름. 월락탄(月落灘)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우륵(于勒)이 노닐던 곳이라 함.
충청도>충주 , 지명>자연지명
-
월파(月坡) - 유팽로(柳彭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경안(柳景顔)의 아들로, 성균관 학유(成均館學諭)를 지냈음. 임진왜란 때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금산(錦山) 전투에 참가하였다가 전사함.
1554~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옥과 , 인명>관인>문신
-
월파옹(月波翁) - 차종로(車宗老)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여말 선초의 학자이자 화가인 차원부(車原頫)의 아버지로, 지방어사(知防禦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월포(月圃) - 최충(崔冲)
고려 목종(穆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문헌공도(文憲公徒)의 창시자로, 구재학당(九齋學堂)을 세워 유학을 보급하고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문교(文敎) 진흥과 사학(私學) 발전에 크게 공헌함.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984~1068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월포(月浦)@강사상 - 강사상(姜士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강온(姜溫)의 아들. 1568년(선조 1) 조광조(趙光祖)의 신원과 추숭을 건의했으며, 이조 판서ㆍ한성부 판윤ㆍ우의정 등을 지냄.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월포(月浦)@홍경우 - 홍경우(洪儆禹)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천석(洪天錫)의 아들로, 곽산 현령(郭山縣令)ㆍ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60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월포(月浦) - 나영걸(羅英傑)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조일신(趙日新)의 난 때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에 올랐으나, 조일신이 처형당하자 그 당류로 지목되어 장류(杖流)당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월헌(月軒)@황맹헌 - 황맹헌(黃孟獻)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장수(長水).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이며 김해 부사(金海府使) 황관(黃瓘)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고, 이과(李顆)의 옥사(獄事)를 다스린 공으로 정난공신(定難功臣)에 책록됨.
1472~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월헌(月軒) - 정수강(丁壽崗)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중종반정 때 다시 등용되어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동지중추부사 등을 지내고, 저서로 《월헌집(月軒集)》이 있음.
1454~152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월형산(月兄山) - 월악산(月岳山)
충청도 충주(忠州)와 청풍(淸風) 경계에 있는 산 이름. 예로부터 뛰어난 풍광(風光)으로 유명하며, 소백산맥(小白山脈)의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함. 현재 충청북도 제천시(堤川市) 한수면(寒水面)과 덕산면(德山面)의 경계에 속함.
충청도>충주ㅣ충청도>청풍 , 지명>자연지명
-
월호(月湖) - 양렴(楊廉)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양숭(楊崇)의 아들로, 성력(星曆)과 산수(算數)에 능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월호(月湖)@이정은 - 이정은(李貞恩)
조선 태종(太宗)의 아들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둘째 아들. 음률(音律)과 시(詩)에 뛰어나고 청담파(淸談派)의 일원이 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월휘당(月暉堂) - 이희증(李希曾)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귀(李龜)ㆍ정여창(鄭汝昌)의 문인(門人)으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ㆍ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을 역임함.
1486~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위(偉)@김위 - 김위(金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이이(李珥)와 교유함. 임진왜란 때 병든 몸으로 어가를 호종하였고, 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위(偉)@한위 - 한위(韓偉)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 한확(韓確)의 손자이며 덕종비(德宗妃) 소혜왕후(昭惠王后)의 조카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65~151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위(偉) - 이위(李偉)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위(偉)@조위 - 조위(曺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조계문(曺繼門)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김일손(金馹孫)이 준 사초(史草)를 실록(實錄)에 기록한 일로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54~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위(偉)@강위 - 강위(姜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예조 참판(禮曹參判) 강징(姜澂)의 아들로, 경상도 도사(慶尙道都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위(圍) - 영왕(靈王)@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재위B.C.540~B.C.529. 토목과 사치를 좋아하여 장화대(章華臺)를 만들고, 음탕한 생활을 하였으나 뒤에 공자비(公子比)에게 패하여 자결함.
?~B.C.52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위(威) - 유창예(劉昌裔)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무신. 양혜림(楊惠琳)이 반란을 일으키자 그를 설복(說服)시킴. 검교상서좌복야 겸 좌룡무통군(檢校尙書左僕射兼左龍武統軍) 등을 지내고 팽성군공(彭城郡公)에 봉해짐.
?~81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위(威)@윤위 - 윤위(尹威)
고려 명종(明宗)~희종(熙宗) 때의 문신. 윤관(尹瓘)의 증손이며, 남원윤씨(南原尹氏)의 시조로, 신종(神宗) 때 남원에서 반란을 일으킨 복기남(卜奇男)을 평정하고 남원백(南原伯)에 봉해졌으며, 서경 유수(西京留守)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위(徫) - 이위(李徫)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위(暐) - 권위(權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정탁(鄭琢)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했고, 해미(海美)ㆍ강진(康津)의 현감(縣監)과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위(渭) - 허위(許渭)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뒤 공무(公務)에 뛰어난 능력을 보여 초자(超資)되기도 하였으며, 병조 참의(兵曹參議) 등을 지냄.
1485~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위(渭)@심위 - 심위(沈渭)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통사랑(通仕郞) 심삼근(沈三近)의 아들로 사복시 정(司僕寺正)에 추증(追贈)됨.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위(瑋) - 안위(安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명종 때 병조 판서가 되어 국방을 주관하면서 병학(兵學)에 재능을 나타내고, 양계(兩界)에 대한 국방을 강화하고자 진보(鎭堡)의 설치를 장려함.
1491~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위(瑋)@조위 - 조위(趙瑋)
고려 충선왕(忠宣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숙왕과 심양왕 고(瀋陽王暠) 사이에 알력이 있을 때 형들은 심양왕 편을 들었으나 그는 이에 가담하지 않아 지밀직(知密直)에 특진되고, 충목왕 때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으로 진봉됨.
1287~1348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위(葳) - 박위(朴葳)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하였으며, 창왕(昌王)을 폐하고 공양왕(恭讓王)을 즉위시키는 데 공을 세움.
?~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위(褘) - 구위(具褘)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등을 역임하고 뒤에 문하정승(門下政丞)에 추증(追贈)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위(韋) - 이위(李韋)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용인(龍仁). 태천 현감(泰川縣監) 이윤검(李允儉)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위(韙) - 권위(權韙)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조부. 원조(遠祖)는 태사(太師) 김행(金幸)인데, 고려 태조(太祖)에게서 권(權)이라는 성을 하사받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위(魏) - 북위(北魏)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조(北朝) 최초의 왕조. 선비족(鮮卑族)인 탁발규(拓跋珪)가 화북(華北) 지역에 세운 나라로, 14대 49년간 존속.
386~53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위(魏)@서위 - 서위(西魏)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에 선비족(鮮卑族) 출신의 우문태(宇文泰)가 북위(北魏)의 종실을 받들어 세운 왕조. 3대 22년간 존속.
535~55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위^경(渭^涇) - 경^위(涇^渭)
중국 섬서성(陝西省)에 있는 경수(涇水)와 위수(渭水)를 함께 부르는 말. 경수는 탁하고 위수는 맑기 때문에 옳고 그름과 청탁(淸濁)에 대한 분별이 엄격함을 뜻함.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위^병(魏^丙) - 병^위(丙^魏)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선제(宣帝) 때의 문신인 병길(丙吉)과 위상(魏相)을 함께 부르는 말. 선제 때 승상(丞相)으로 국정을 보좌하여 중흥(中興)을 이룩함.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위감(魏鑑) - 위징(魏徵)
중국 수(隋)~당(唐) 나라의 문신. 수 나라 말기의 동란 때는 이밀(李密)의 서기가 되었다가, 태종(太宗)이 제위에 오르자 간의대부(諫議大夫)가 되어 죽을 때까지 간신(諫臣)으로서 훌륭하게 태종을 보필함.
580~643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거(衛蘧) - 거원(蘧瑗)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大夫). 50세가 되도록 항상 과거의 잘못을 반성하면서 언행을 고쳐 나갔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위곡(位谷) - 위라곡(位羅谷)
경상도 예천(醴泉)의 남부에 있던 고을 이름. 약포(藥圃) 정탁(鄭琢)의 묘소가 있음.
경상도>예천 , 지명>행정지명
-
위공(衛公)@이덕유 - 이덕유(李德裕)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 아버지 이길보(李吉甫)와 함께 당을 결성하여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의 당파와 40여 년간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임. 위구르 등 외족의 격퇴를 통해 중앙집권 강화를 도모하고, 폐불(廢佛)을 단행함.
787~84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공(衛公) - 이정(李靖)@당
중국 수(隋) 말~당(唐) 초의 명장. 처음에는 수 나라를 섬겼으나, 당 나라 태종(太宗) 때 행군총관(行軍總管)이 되어 돌궐(突厥) 등 서역(西域)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움.
571~649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위공(韋公) - 위단(韋丹)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안진경(顔眞卿)의 외손으로, 신라 원성왕(元聖王)의 국상(國喪) 때 조위사(弔慰使)로 나왔다가 도중에 소성왕(昭聖王)의 훙서(薨逝) 소식을 듣고 본국으로 돌아감. 한유(韓愈)가 그의 묘지(墓誌)를 지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공(魏公) - 왕단(王旦)
중국 송(宋) 진종(眞宗) 때의 승상(丞相). 병부 시랑(兵部侍郞)을 지낸 진국공(晉國公) 왕호(王祜)의 아들이며,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낸 왕소(王素)의 아버지.
957~101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공(魏公)@장준 - 장준(張浚)
중국 송(宋) 나라의 무신. 남헌(南軒) 장식(張栻)의 아버지로, 고종(高宗) 때 선무사(宣撫使)로 나라의 회복에 뜻을 두고 금(金) 나라의 세력을 막다가 진회(秦檜)에 의해 폄적(貶謫)됨.
1097~116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위국(魏國)@한기 - 한기(韓琦)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재상. 인종 때 재상에 올라 십여 년간 국정에 참여하여 치적을 쌓았으나, 신종 때 왕안석(王安石)의 청묘법(靑苗法) 실시와 거란(契丹)에 대한 영토할양에 적극 반대하며 관직에서 물러남.
1008~107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국(魏國) - 왕단(王旦)
중국 송(宋) 진종(眞宗) 때의 승상(丞相). 병부 시랑(兵部侍郞)을 지낸 진국공(晉國公) 왕호(王祜)의 아들이며,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낸 왕소(王素)의 아버지.
957~101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국공(衛國公) - 이덕유(李德裕)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 아버지 이길보(李吉甫)와 함께 당을 결성하여 우승유(牛僧孺)ㆍ이종민(李宗閔)의 당파와 40여 년간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임. 위구르 등 외족의 격퇴를 통해 중앙집권 강화를 도모하고, 폐불(廢佛)을 단행함.
787~84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국공(魏國公)@유정 - 유정(留正)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영종(寧宗) 때의 문신. 광종(光宗) 때 좌승상(左丞相)이 되어 조여우(趙汝愚)ㆍ황상(黃裳)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였으나, 영종 때 한탁주(韓侂冑)와의 불화로 인해 파직되었으며, 후에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짐.
1129~12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국공(魏國公)@한기 - 한기(韓琦)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재상. 인종 때 재상에 올라 십여 년간 국정에 참여하여 치적을 쌓았으나, 신종 때 왕안석(王安石)의 청묘법(靑苗法) 실시와 거란(契丹)에 대한 영토할양에 적극 반대하며 관직에서 물러남.
1008~107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국공(魏國公)@서달 - 서달(徐達)
중국 명(明) 태조(太祖) 때의 무신. 태조를 따라 사방을 정략(征略)하였고, 중서 우승상(中書右丞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지고 죽은 뒤에 중산왕(中山王)에 추봉(追封)됨.
1332~138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위국공(魏國公) - 장준(張浚)
중국 송(宋) 나라의 무신. 남헌(南軒) 장식(張栻)의 아버지로, 고종(高宗) 때 선무사(宣撫使)로 나라의 회복에 뜻을 두고 금(金) 나라의 세력을 막다가 진회(秦檜)에 의해 폄적(貶謫)됨.
1097~116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위국공(魏國公)@조맹부 - 조맹부(趙孟頫)
중국 원(元) 나라의 서화가ㆍ문인. 송(宋) 나라의 종실이면서 원 나라에서 한림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를 지내고, 사후 위국공(魏國公)에 추봉됨. 서화(書畵)와 시문에 뛰어나서 원 나라의 4대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힘.
1254~132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위국공(魏國公)@유갑 - 유갑(劉韐)
중국 송(宋) 나라의 충신. 흠종(欽宗) 때 금(金) 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모욕을 당하자 스스로 자결함.
1067~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국충헌왕(魏國忠獻王) - 한기(韓琦)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재상. 인종 때 재상에 올라 십여 년간 국정에 참여하여 치적을 쌓았으나, 신종 때 왕안석(王安石)의 청묘법(靑苗法) 실시와 거란(契丹)에 대한 영토할양에 적극 반대하며 관직에서 물러남.
1008~107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금산성(位金山城) - 우금산성(禹金山城)
삼국시대 전라북도 부안(扶安)에 축조한 산성. 복신(福信) 등의 백제부흥군이 나당연합군(羅唐聯合軍)의 김유신(金庾信)ㆍ소정방(蘇定方)에 맞서 싸우다가 패배한 곳으로, 백제 최후의 항거 거점이 됨.
한국>백제 , 전라도>부안 , 유적>시설>성,진,책
-
위급사(魏給事) - 위시량(魏時亮)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목종(穆宗) 때의 문신ㆍ학자. 1567년 목종이 등극하였을 때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으로서 한림 검토(翰林檢討) 허국(許國)과 함께 반조(頒詔)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옴. 저서에 《대유학수(大儒學粹)》 등이 있음.
1529~159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기후(魏其侯) - 두영(竇嬰)
중국 전한(前漢) 때의 외척ㆍ문신. 효문후(孝文后) 두씨(竇氏)의 조카로, 대장군(大將軍)을 거쳐 승상(丞相)에 이르러 천하에 권위를 떨쳤으나, 뒤에 효경후(孝景后)의 노염을 사서 기시(棄市)됨.
?~B.C.13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위남(葦南) - 박희중(朴熙中)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구례 감무(求禮監務)를 지낸 박온(朴溫)의 아들로, 영암 군수(靈巖郡守)ㆍ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 등을 지냄. 문장과 서도에 탁월하여 《해동필원(海東筆苑)》에 이름이 오름.
1364~14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위당(僞唐) - 남당(南唐)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때 이변(李昪)이 오국(吳國)의 예제(睿帝)를 몰아내고 금릉(金陵)에 세운 나라. 3대 38년 만에 송(宋) 나라에게 멸망됨.
937~975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시간>국명
-
위도(衛道) - 진공(陳鞏)
중국 송(宋)의 유학. 선학(禪學)에 심취하여 주희(朱熹)와 함께 선학(禪學)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은 편지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위도(魏都) - 문후(文侯)@춘추전국(魏)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제후. 재위 B.C.445~B.C.396. 무후(武侯)의 아버지로, B.C.403년에 주(周) 나라로부터 제후에 책봉됨. 단간목(段干木)ㆍ악양(樂羊) 등의 인재를 적소에 등용하여 부국강병을 이룩함.
?~B.C.39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위라(韋羅) - 가비마라(迦毘摩羅)
2세기경 인도 마갈타국(摩竭陀國) 승려. 남인도에서 설법하였으며, 《무아론(無我論)》100게송을 지음. 대승불교를 일으킨 용수(龍樹)의 스승.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위령백(威寧伯) - 왕월(王越)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환관 왕직(汪直) 등과 결탁하여 권세를 누림. 조선 성종(成宗) 때 경복궁(景福宮) 안에서 멀리 바람에 날려온 그의 시권(詩券)을 주워 주년사(奏年使) 편에 부쳤다 함.
1423~149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위례(慰禮) - 직산(稷山)
충청도 천안(天安) 직산면(稷山面) 일대 지역의 옛 이름.
충청도>직산 , 지명>행정지명
-
위례성(慰禮城)@직산 - 직산(稷山)
충청도 천안(天安) 직산면(稷山面) 일대 지역의 옛 이름.
충청도>직산 , 지명>행정지명
-
위로(渭老)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위로(衛老) - 등경(鄧絅)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근사록(近思錄)》에 주희(朱熹)와 주고받은 문답이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위룡(渭龍) - 강위룡(姜渭龍)
조선 전기의 유학. 유희춘(柳希春)에게 배우고 임운(林芸)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