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유(愈) - 권유(權愈)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근(權近)의 후손. 1665년(현종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유배되었다가 돌아와 곧 죽음.
1633~17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愈)@서유 - 서유(徐愈)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방원(李芳遠)이 왕위에 오르는 데 기여한 공으로 태종 때에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에 책록됨.
1356~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愉) - 김유(金愉)
조선 전기의 무신. 김건(金鍵)의 아버지로, 부호군(副護軍)ㆍ건공장군(建功將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유(愉)@송유 - 송유(宋愉)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신덕왕후(神德王后)가 붕어(崩御)한 뒤 위패가 태조묘(太祖廟)에 부(附)해지지 않자 이를 한탄하는 글을 올리고 낙향하여 회덕(懷德)에 쌍청당(雙淸堂)을 짓고 은거함.
1388~144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유(攸) - 사마유(司馬攸)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무제(武帝)의 동생. 아버지 사마소(司馬昭)가 차남 사마유(司馬攸)를 세자로 삼으려고 했지만 신하들의 간언에 장자 사마염(司馬炎)을 세자로 삼음. 사공(司空) 등의 벼슬을 지냄.
248~28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유(有) - 신유(愼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신희복(愼希復)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위수(世子翊衛司衛率)ㆍ통례원 상례(通禮院相禮)ㆍ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 등을 지냄.
15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柔) - 유유(柳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를 지낸 유순선(柳順善)과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유종선(柳從善)의 아버지로,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楺) - 심유(沈楺)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참의(參議)를 지낸 심세진(沈世縝)의 아들로 호조 참판(戶曹參判)에 추증(追贈)됨.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유(濡)@권유 - 권유(權濡)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두경(權斗經)의 아버지. 권벌(權橃)의 후손으로 권목(權霂)와 함께 《충재집(冲齋集)》을 간행하는 데 힘씀.
1628~16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유(濡) - 이유(李濡)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며,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ㆍ민진후(閔鎭厚) 등과 교유함. 우의정(右議政)ㆍ좌의정(左議政)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645~17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유(濡)@최유 - 최유(崔濡)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역신(逆臣). 두 차례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횡포로 인해 탄핵을 받자 원 나라로 도망침. 기황후(奇皇后)를 설득하여 덕흥군(德興君) 왕혜(王譓)를 왕으로 세우기로 모의하고 고려에 침입했다가 패한 후 압송되어 처형됨.
?~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瀏)@신유 - 신유(申瀏)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장현광(張顯光)의 문인. 효종(孝宗) 때 나선정벌(羅禪征伐)에 참여해 전공(戰功)을 세우고, 포도대장(捕盜大將)을 지냄.
1619~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관인>무신
-
유(瀏) - 임유(任瀏)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한성 판관(漢城判官)을 지낸 임팽손(任彭孫)의 아들로,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훈련원 부정(訓練院副正) 등을 지냄.
1453~152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유(瑜)@남유 - 남유(南瑜)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남응룡(南應龍)의 아들.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나주 목사(羅州牧使)로서 이순신(李舜臣)을 도와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싸우다가 전사함.
?~159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당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유(瑜) - 왕유(王瑜)
고려 후기의 종친. 보성군(寶城君) 왕희(王熙)의 아들. 《목은고(牧隱藁)》의 〈양주통도사석가여래사리지기(梁州通度寺釋迦如來舍利之記)〉에 그와 관련한 기록이 남아 있음.
?~136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유(瑜)@조유 - 조유(趙瑜)
조선 전기의 유학.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조달생(趙達生)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유(瑜)@이유 - 금성대군(錦城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섯째 아들.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인 의안대군(宜安大君) 이방번(李芳蕃)의 후사로 출계함. 수양대군(首陽大君)에 맞서 조카 단종(端宗)을 보호하다가 삭녕(朔寧)에 유배된 후, 단종복위를 모의한 일이 실패하여 처형당함.
1426~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유(瑜)@박유 - 박유(朴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박민헌(朴民獻)의 아버지로, 좌랑(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유(瑠)@박류 - 박류(朴瑠)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의 셋째 아들인 오암(午巖) 구성윤(具誠胤)의 사위로, 우졸재(迂拙齋) 박한주(朴漢柱)가 죽자 동료들과 여표(閭表)를 세울 것을 계획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유(瑠)@권유 - 권유(權瑠)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금산 군수(金山郡守) 권빈(權璸)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유(瑠) - 이류(李瑠)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형인 월산대군(月山大君) 이정(李婷)의 손자로, 성종의 첫 번째 서자인 계성군(桂城君) 이순(李恂)에게 출계함. 윤임(尹任)이 명종(明宗) 대신 왕으로 추대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아 거열형(車裂刑)을 당하였으나 선조(宣祖) 때 신원됨.
?~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유(瑬) - 김류(金瑬)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으로, 송익필(宋翼弼)의 문인.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였고, 이귀(李貴) 등과 함께 인조반정(仁祖反正)을 주도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시문(詩文)과 서법(書法)에 뛰어남.
1571~164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由) - 중유(仲由)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자의 훈계로 입문(入門)하여 헌신적으로 공자를 섬김. 정치(政治) 방면에 뛰어난 재능이 있어 노 나라와 위(衛) 나라에서 벼슬하였으나 괴외(蒯聵)의 내란 때 전사함.
B.C.543~B.C.48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留) - 진유(陳留)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흥덕(興德). 선무랑 녹사(宣務郞錄事)를 지낸 진승중(陳承重)의 아들로, 훈도(訓導)를 지내고 1513년(중종 8)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곤양 , 인명>문사>유학
-
유(維)@정유 - 정유(鄭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함종 현령(咸從縣令) 정함도(鄭咸道)의 맏아들. 고산 현감(高山縣監) 등을 지내고, 아버지와 삼형제가 모두 동시에 고을 수령이 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維)@한유 - 한유(韓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領議政) 한효원(韓效元)의 맏아들이고, 정랑(正郞) 한관(韓綰)의 형이며, 풍해군(豊海君) 이함(李菡)의 사위. 감찰(監察)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유(維) - 장유(張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사위이며,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효종비(孝宗妃)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로,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왕을 호종함.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여 양명학적(陽明學的) 사고방식을 보임.
1587~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안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유(裕)@황유 - 황유(黃裕)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부마. 본관은 회덕(懷德). 판사(判事) 황자후(黃子厚)의 아들로, 태종의 열한 번째 딸인 숙안옹주(淑安翁主)와 혼인함.
1421~145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왕실>인척
-
유(裕)@노유 - 노유(盧裕)
고려시대의 유학. 풍천백(豊川伯) 노지(盧址)의 후손으로, 풍천노씨(豊川盧氏)의 일세조(一世祖). 국자 진사(國子進士)를 지냈으며, 풍천(豊川)에 세거(世居)함.
한국>고려시대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유(裕)@정유 - 정유(鄭裕)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서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삼사(三司)를 두루 거쳐 오랫동안 경연(經筵)에서 강론함.
1503~156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유(裕)@나유 - 나유(羅裕)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김방경(金方慶)이 제주(濟州)의 삼별초(三別抄)를 토벌할 때 선봉장으로 참전하여 대장군에 올랐고, 합단(哈丹)이 동북변경을 침범하였을 때 공을 세움.
?~12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무신
-
유(裕)@이배근의아들 - 이유(李裕)@이배근의아들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평(富平). 선공감 정(繕工監正) 이배근(李培根)의 아들로,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관인>문신
-
유(裕)@이승손의아들 - 이유(李裕)@이승손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선사군(仙槎君) 이승손(李承孫)의 아들이며 이희량(李希良)ㆍ이희검(李希儉)의 아버지. 사장(詞章)과 필법이 탁월함.
1488~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유(裕) - 한유(韓裕)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변(安邊).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正妃)인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증조부로,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추록되고, 문하시랑 찬성사(贈門下侍郞贊成事) 안원군(安原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안변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유(逌) - 김유(金逌)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진사(進士) 김걸(金傑)의 아들로, 응교(應敎)를 지냄. 협찬공신(協贊功臣) 김지연(金之衍)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유(鎦) - 이류(李鎦)
조선 후기의 문신. 별좌(別坐)를 지냈으며, 《송강집(松江集)》에 정철(鄭澈)이 성혼(成渾)에게 보내는 편지를 전달해준 기록이 보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유(騮) - 김류(金騮)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1594년(선조 27) 판관(判官)으로서 남원(南原)의 토적(土賊) 고파(高波)를 상대로 패배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유(鮪) - 하유(河鮪)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 하우석(河禹碩)의 아버지로, 사과(司果)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분(黝^賁) - 분^유(賁^黝)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역사(力士)인 맹분(孟賁)과 북궁유(北宮黝)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유^여(游^呂) - 여^유(呂^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유작(游酢)과 여희철(呂希哲)을 함께 부르는 말.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로 일컬어진 두 학자를 말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유가(柔嘉) - 명의태후(明懿太后)
고려 제15대 숙종(肅宗)의 비(妃). 본관은 정주(貞州).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유홍(柳洪)의 딸로, 예종(睿宗)을 비롯하여 7남 4녀를 낳음.
?~111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유가(柳家) - 유종원(柳宗元)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당송팔대가(唐宋八代家)의 한 사람. 고문(古文)의 대가로서 한유(韓愈)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 우언(寓言) 형식을 취한 풍자문(諷刺文)과 산수(山水)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
773~81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문인
-
유가업(瑜伽業) - 법상종(法相宗)
중국 당(唐) 나라의 현장(玄奬)ㆍ규기(窺基)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唯識思想) 계통의 불교종파. 존재의 공성(空性)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太賢)을 초조로 삼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유가장(劉家莊) - 우가장(牛家庄)
중국 요동(遼東)에 있던 역참(驛站). 조선시대에 북경(北京)을 왕래할 때 경유하던 요동과 산해관(山海關) 사이의 16개 역참 중의 하나로, 해주위(海州衛)와 사령(沙嶺) 사이에 있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유가종(瑜伽宗) - 법상종(法相宗)
중국 당(唐) 나라의 현장(玄奬)ㆍ규기(窺基)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唯識思想) 계통의 불교종파. 존재의 공성(空性)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太賢)을 초조로 삼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유가행파(瑜伽行派) - 유가파(瑜伽派)
인도 육파(六派) 철학(哲學)에서 발전한 대승불교의 한 파. 수행방법으로 유가[Yoga]를 중시하며, 주로 진공묘유(眞空妙有)의 유가사상을 고취함. 법상종(法相宗)이 유가파를 계승함.
고대 , 기타지역 , 사상>이론>교리
-
유가홍(劉家紅) - 모란(牡丹)
작약과(芍藥科)에 속하는 낙엽관목(落葉灌木).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 부귀(富貴)를 상징함. 설총(薛聰)의 〈화왕계(花王戒)〉로 유명함.
자연물>식물
-
유각춘(有脚春) - 송경(宋璟)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명재상. 요숭(姚崇)과 함께 개원(開元)의 치세(治世)를 이끌었으며, 그가 지은 〈매화부(梅花賦)〉는 문인들 사이에 널리 회자됨.
663~73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간(劉衎) - 평제(平帝)
중국 전한(前漢)의 마지막 황제. 재위 B.C.1~A.D.5. 애제(哀帝)의 조카로, 애제가 죽은 후 대사마(大司馬) 왕망(王莽)의 추대를 받아 제위에 오르고 그의 딸과 혼인하였으나, 후에 왕망에게 독살됨.
B.C.9~A.D.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간부(柳幹夫) - 유성남(柳成男)
조선 전기의 유학. 정황(丁熿)의 《유헌집(游軒集)》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유간성(柳杆城) - 유공작(柳公綽)@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으로,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조부. 간성 군수(杆城郡守)와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역임함.
1481~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강(劉康)@공황제 - 공황제(恭皇帝)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의 둘째 아들. 아들 애제(哀帝)가 황위에 오른 뒤 공황제(恭皇帝)로 추존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강지(兪絳之) - 유강(兪絳)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예조 판서 유여림(兪汝霖)의 아들. 명종(明宗) 때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ㆍ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510~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개(劉開) - 목황(穆皇)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의 아들. 하간왕(河間王)에 봉해졌으며, 평소 예절을 좋아하여 관리들의 존경을 받았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유개부(庾開府) - 유신(庾信)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詩人). 서능(徐陵)과 함께 화려한 궁체시(宮體詩)를 즐겨 지음. 북조(北朝) 서위(西魏)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당한 뒤 청신한 시풍(詩風)으로 바뀌어 남북조 시문(詩文)을 집대성함.
513~58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유거(劉据) - 여태자(戾太子)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의 태자. 모친은 위황후(衛皇后). 무제로부터 소외당하고 외숙인 위청(衛靑)이 죽자 권신 강충(江充)이 무고하여 거병(擧兵)하였다가 실패하여 자살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유거의진(遊車衣津) - 비류강(沸流江)
평안남도 양덕(陽德)의 오강산(吳江山)과 맹산(孟山) 대모원동(大母院洞)에서 발원하여 대동강(大同江)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평안도>양덕ㅣ평안도>맹산 , 지명>자연지명
-
유겸(由謙) - 임유겸(任由謙)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사은부사(謝恩副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조선 표류민을 데려오는 교섭을 담당함. 《성종실록(成宗實錄)》과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편찬에 참여함.
1456~152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유경(劉慶) - 효덕황(孝德皇)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의 장남. 황태자가 되었다가 훼참(毁讒)으로 폐위되어 청하왕(淸河王)에 봉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경(劉敬)@유창 - 유창(劉敞)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강릉유씨(江陵劉氏)의 시조로,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태조(太祖)에게 여러 차례 《대학연의(大學衍義)》를 진강함.
?~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경(劉景) - 공황제(恭皇帝)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의 둘째 아들. 아들 애제(哀帝)가 황위에 오른 뒤 공황제(恭皇帝)로 추존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경(幽經) - 상학경(相鶴經)
중국 주(周) 나라 영왕(靈王) 때의 신선인 부구공(浮丘公)이 지은 선술(仙術)에 관한 책. 왕자 진(王子晉)과 학을 타고 놀면서 그에게 가르쳤다는 책. 1권.
중국>주 , 중국 , 문헌>서명
-
유경(惟敬) - 심유경(沈惟敬)
중국 명(明) 나라의 사신. 임진왜란 때 요양부총병(遼陽副摠兵) 조승훈(祖承訓)의 유격장군(遊擊將軍)으로 와서 소서행장(小西行長)과 강화를 의논함. 강화가 결렬된 후 일본에게 항복하려다가 명 나라 장수 양원(楊元)에게 체포되어 처형됨.
?~159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유경(有慶)@민유경 - 민유경(閔有慶)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고, 이괄(李适)의 난(亂) 때 행재소(行在所)에 호종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나 곧 복직되어 예빈시 정(禮賓寺正)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65~163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유경(有慶)@조선후기 - 이유경(李有慶)@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목사(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유경(有慶)@이수원의아들 - 이유경(李有慶)@이수원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 이수원(李守元)의 아들.
1497~155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유경(有慶) - 박흥문(朴興門)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박원량(朴元良)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석성 , 인명>문사>유학
-
유경(有慶)@이현보 - 이현보(李賢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홍귀달(洪貴達)의 문인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음률에 밝아 전래하던 〈어부가(漁夫歌)〉를 정리하여 장가 9장과 단가 5장으로 만듦.
1467~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경(有慶)@이해의증손 - 이유경(李有慶)@이해의증손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해(李蟹)의 증손으로, 나주(羅州)의 영강서원(榮江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유경(有慶)@윤효손 - 윤효손(尹孝孫)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세조(世祖)와 성종(成宗)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성종실록(成宗實錄)》 등의 수찬에 참여하였으며,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냄.
1431~150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경(有慶)@최유경 - 최유경(崔有慶)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우왕(禑王)에게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고변하였으나, 훗날 태조(太祖)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고위관직을 두루 지내고,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녹훈됨.
1343~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경(有經) - 진유경(秦有經)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기(豊基). 진호(秦浩)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유경당(幽敬堂) - 김의정(金義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중종의 총애를 받자 김안로(金安老)에게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김안로가 처형된 후에 다시 등용됨.
1495~15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경문(柳景文) - 유중엄(柳仲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유공석(柳公奭)의 아들. 종질인 유성룡(柳成龍)ㆍ유운룡(柳雲龍)과 함께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동문수학함. 황준량(黃俊良)ㆍ오건(吳健) 등과 교유함.
1538~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유경서(柳景瑞) - 유몽정(柳夢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희저(柳希渚)의 손자로, 남원 현감(南原縣監) 등을 지냄.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정암수(丁巖壽)ㆍ오희길(吳希吉) 등의 무고(誣告)로 인해 옥중에서 장사(杖死)함.
1529~158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경임(柳景任) - 유몽정(柳夢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유용량(柳用良)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성절사(聖節使)로 명(明) 나라에 파견되어 구원병을 요청하여 일을 성사시켰으며, 귀국 도중 병사함.
1527~159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경현(柳景顯) - 유원지(柳元之)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손자이며,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으로, 경서(經書)ㆍ제자서(諸子書)에 능통함. 이황(李滉)의 이발기발설(理發氣發說)에 동조하고, 효종(孝宗)의 복상문제(服喪問題) 때 삼년설을 주장함.
1598~167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경휴(兪景休) - 유대정(兪大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단성 현감(丹城縣監) 유호(兪灝)의 아들. 기축옥사(己丑獄死)에 관련되어 파직되었다가 다시 등용되었으며,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시절 이이첨(李爾瞻) 등 대북파(大北派)의 전횡이 심하자 사직하고 낙향함.
1552~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계(劉啓) - 경제(景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6대 황제. 재위 B.C.157~B.C.141.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반란을 진압하고, 중앙집권제를 확립함.
B.C.188~B.C.14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계(劉季)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계(柳季) - 유하혜(柳下惠)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사사(士師)의 직책을 수행할 때 세 번이나 쫓겨나면서도 직도(直道)를 견지하였던 고사로 유명하며, ‘화성(和聖)’으로 일컬어짐.
B.C.720~B.C.6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유계(柳溪) - 이준(李準)@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증손인 결기수(結己守) 이현(李玄)의 맏아들이며, 삼휴자(三休子) 윤관(尹寬)의 문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유계(酉溪) - 이준(李埈)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흥양(興陽).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남인(南人) 세력을 결집하고 여론을 주도함.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ㆍ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의병을 모집하고 군량미를 조달함.
1560~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계지(兪繼之) - 유언술(兪彦述)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유복기(兪復基)의 아들. 직간(直諫)을 잘하여 영조에게 인정받았으며,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703~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곡(幽谷) - 굉상인(宏上人)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상원사(上院寺) 주변에 무주암(無住菴)을 짓고 원천석(元天錫)과 시를 수창(酬唱)하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창 , 인명>종교인>승려
-
유공(幼公) - 두연년(杜延年)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어 곽광(霍光)과 함께 국정을 조율하여 현사(賢士)로 칭송됨. 공신으로 기린각(麒麟閣)에 화상이 걸림.
?~B.C.5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공(愈恭) - 최유공(崔愈恭)
고려 후기의 무신. 상장군(上將軍)으로서 대장군(大將軍) 이극인(李克仁) 등과 함께 최우(崔瑀)의 제거를 모의하던 중 사실이 누설되어 피살됨.
?~1224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유공(遊公) - 나암(懶庵)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세족(世族)으로 불가에 귀속하여 양가도승록대사(兩街都僧錄大師)가 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홍천 , 인명>종교인>승려
-
유관(有寬) - 원고옥(元高沃)
고려 후기의 유학. 그를 전송하는 시(詩)가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유관(柳觀) - 유관(柳寬)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책록되고,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태종실록(太宗實錄)》을 편찬하고 《고려사(高麗史)》를 수교(讎校)함.
1346~143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관(楡關) - 산해관(山海關)
중국 하북성(河北省) 진황도(秦皇島)에 있는 관문(關門). 만리장성(萬里長城)이 시작되는 곳으로, 교통ㆍ군사상의 요해지(要害地). 동쪽으로는 바다에 임하고, 북쪽으로는 토이(兎耳)ㆍ복주산(覆舟山)에 접하는 만리장성의 동쪽 끝.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유관(游觀) - 김흥근(金興根)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김명순(金明淳)의 아들. 《헌종실록(憲宗實錄)》ㆍ《철종실록(哲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796~18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광문(柳廣文) - 유조순(柳祖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우(柳藕)의 아들이고, 유조인(柳祖訒)의 형으로, 현령(縣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박응순(朴應順)ㆍ박응복(朴應福) 형제를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굉(劉宏) - 영제(靈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12대 황제. 재위 168~189. 재위 시에 환관들의 농간에 미혹되어 당고지화(黨錮之禍)를 야기 시키는 등 국정이 문란하여 황건(黃巾)의 난이 일어남.
156~18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교(劉翹) - 효목황제(孝穆皇帝)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ㆍ추존황제. 송(宋) 무제(武帝)의 아버지로, 아들이 즉위하여 효목황제(孝穆皇帝)로 추존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국왕
-
유구(流求) - 유구(琉球)
대만과 일본 사이에 있는 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 1879년 일본이 점령하여 충승(沖繩 : 오키나와)으로 이름을 고침.
기타지역 , 시간>국명
-
유구(流球) - 유구(琉球)
대만과 일본 사이에 있는 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 1879년 일본이 점령하여 충승(沖繩 : 오키나와)으로 이름을 고침.
기타지역 , 시간>국명
-
유구(瑠球) - 유구(琉球)
대만과 일본 사이에 있는 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 1879년 일본이 점령하여 충승(沖繩 : 오키나와)으로 이름을 고침.
기타지역 , 시간>국명
-
유구사(游九思) - 유구언(游九言)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초명은 구사(九思). 장식(張栻)의 문인으로, 저서에 《묵재유고(默齋遺稿)》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군실(柳君實) - 유세무(柳世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예천 군수(醴泉郡守)를 역임하였으며, 권문해(權文海)ㆍ조목(趙穆)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