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유군직(柳君直) - 유강항(柳强項)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그의 집에 들렀을 때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유굴(纍屈)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유궁씨(有窮氏) - 예(羿)
중국 고대 전설상의 명궁(名弓). 하(夏) 나라 때 유궁씨(有窮氏)의 수령으로 태강(太康)을 축출하고 왕이 되었다가 한착(寒浞)에게 피살되었다는 설과, 요(堯) 임금의 신하로 열 개의 태양 중에 아홉 개를 쏘아 떨어뜨리고 사나운 괴수를 퇴치하였다는 설이 있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유궁후예(有窮后羿) - 예(羿)
중국 고대 전설상의 명궁(名弓). 하(夏) 나라 때 유궁씨(有窮氏)의 수령으로 태강(太康)을 축출하고 왕이 되었다가 한착(寒浞)에게 피살되었다는 설과, 요(堯) 임금의 신하로 열 개의 태양 중에 아홉 개를 쏘아 떨어뜨리고 사나운 괴수를 퇴치하였다는 설이 있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유극기(柳克己) - 유감(柳堪)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정랑(吏曹正郞) 시절 《무정보감(武定寶鑑)》의 간행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 윤원형(尹元衡) 실각 후 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역임하였으며,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14~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유극임(柳克任) - 유감(柳堪)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정랑(吏曹正郞) 시절 《무정보감(武定寶鑑)》의 간행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 윤원형(尹元衡) 실각 후 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역임하였으며,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14~156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유극후(柳克厚) - 유전(柳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상서원 직장(尙瑞院直長) 유예선(柳禮善)의 아들. 정여립(鄭汝立)의 옥사를 다스린 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31~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근(惟謹) - 이유근(李惟謹)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승의랑(承議郞) 이시(李偲)의 맏아들로, 1561년(명종 1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금강록(遊金剛錄)@금강록 - 금강록(金剛錄)@이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이원(李黿)의 잡저(雜著). 저자가 1493년(성종 24)에 파직된 후 금강산 일대를 유람하고 지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유금강산록(遊金剛山錄) - 관동록(關東錄)@홍인우
조선 전기의 학자인 홍인우(洪仁祐)가 관동(關東) 지방을 유람하고 쓴 일기체 기행문 형식의 책. 1책. 목판본.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유기(劉幾) - 유휘(劉煇)
중국 송(宋) 인종(仁宗) 때의 문신. 인종 때 진사(進士)에 합격하여 대리평사(大理評事)ㆍ첨서하중부절도판관(簽書河中府節度判官) 등을 지냈으며, 저서에 《동귀집(東歸集)》이 있음.
1030~106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기(惟幾) - 윤유기(尹惟幾)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아버지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ㆍ판결사(判決事)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기(有奇) - 유유기(柳有奇)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흥(高興). 공민왕(恭愍王) 때 도첨의 시중(都僉議侍中) 등을 지낸 유탁(柳濯)의 아버지로,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유기(裕基) - 이유기(李裕基)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맹진(李孟畛)의 아들로, 도진무(都鎭撫)를 역임하였으며, 세조(世祖) 때 단종복위운동에 가담하였다가 실패하여 죽임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유기노(劉寄奴) - 무제(武帝)@남북조(송)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제1대 황제. 재위 420~422. 동진(東晉)의 공제(恭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송 나라를 건국함.
363~4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기성(兪杞城) - 유홍(兪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여림(兪汝霖)의 손자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과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에는 우의정으로 도성의 질서 회복과 복구에 기여함.
1524~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길(惟吉) - 정유길(鄭惟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영의정(領議政) 정광필(鄭光弼)의 손자. 우의정(右議政)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고, 시문(詩文)과 서예 등에 뛰어나 임당체(林塘體)라는 평을 받음.
1515~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길(裕吉) - 여유길(呂裕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여이징(呂爾徵)의 아버지로, 임진왜란 때 소실된 실록(實錄)의 재간(再刊)에 참여하였으며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이름. 저서에 《춘강집(春江集)》이 있음.
1558~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유내한(柳內翰) - 유색(柳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유영립(柳永立)의 아들. 근친인 소북(小北)의 영수 유영경(柳永慶)이 전랑(銓郞)에 추천하였으나 사양하였으며,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재임 시절 권신 한계남(韓繼男)을 탄핵함.
1561~16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년(有年) - 양유년(梁有年)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형과 도급사(刑科都給事) 등을 지냈으며, 1606년(조선 선조 39)에 주지번(朱之蕃)과 함께 황제의 원손(元孫) 탄생을 알리는 조서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돌아갈 때 허난설헌(許蘭雪軒)의 《난설헌집(蘭雪軒集)》을 가지고 가서 명에서 간행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녕(有寧) - 방유녕(方有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1489년(성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 등을 지냄.
1460~152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유녕(裕寧) - 명헌왕후(明憲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남양.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낸 홍재룡(洪在龍)의 딸. 자녀는 없음.
1831~1904 한국>근대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유노(劉奴) - 송(宋)@남북조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남조(南朝) 최초의 왕조. 동진(東晉) 말기에 유유(劉裕)가 진(晉) 나라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나라로, 8대 60년간 존속.
420~47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유달(劉炟) - 장제(章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3대 황제. 재위 75~88. 그의 사후 왕후인 두태후(竇太后)가 섭정을 하고, 외척 두헌(竇憲)이 권력을 휘두름.
?~8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대도(劉大刀) - 유정(劉綎)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유현(劉顯)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참전하여 동일원(董一元)과 함께 제독(提督)의 직책을 수행하면서 크게 활약함. 후에 요동(遼東)에서 후금(後金)을 정벌하던 중 전사함.
?~161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유대원(柳大源) - 유도(柳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유진동(柳辰仝)의 아들로, 1560년(명종 1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 등을 지냄.
1520~15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덕(劉德)@소열제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덕(遺德) - 태종(太宗)@조선
조선 제3대 왕. 재위 1400~1418. 신의왕후(神懿王后)의 소생으로, 태조의 즉위에 크게 기여함.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고 정종(定宗)의 양위를 받아 즉위한 후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함.
1367~142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유덕순(柳德純) - 유영길(柳永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참봉(參奉) 유의(柳儀)의 아들이며, 영의정 유영경(柳永慶)의 형으로, 시문(詩文)에 능하였으며, 예조 참판(禮曹參判)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1538~16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도(幼度) - 사현(謝玄)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 효무제(孝武帝) 때의 무신. 재상 사안(謝安)의 조카로, 정예 8천 군사를 이끌고 부견(苻堅)의 백만 대군을 비수(肥水)에서 격파하여 용맹을 떨침.
343~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유도(有道) - 곽태(郭泰)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학문과 인격이 뛰어나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고, 임종건(林宗巾)이라는 고사로도 유명함. 이응(李膺)과 교유하면서 명성이 널리 알려짐.
128~16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도(柚島) - 유자도(柚子島)
경상도 거제(巨濟)의 북쪽에 있던 옛 고을 이름. 2개의 섬이 있으며, 온 섬에 유자나무가 있음. 현재 거제시 신현읍(新縣邑) 교도(橋島)를 말하며, 이순신(李舜臣) 장군이 진을 옮긴 적이 있음.
경상도>거제 , 지명>행정지명
-
유도수재(有道秀才) - 양팽손(梁彭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흠(宋欽)의 문인이며 송순(宋純)ㆍ나세찬(羅世贊) 등과 동문으로서 학문을 연마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어 고향인 능주(綾州)로 돌아와 독서로 소일함.
1488~154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유동(儒童)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유동(惟棟) - 박유동(朴惟棟)
조선 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사삼(朴事三)의 아들.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 등과 친교(親交)가 있었으며,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유동(鍮洞) - 유점동(鍮店洞)
조선시대 한양(漢陽)의 돈화문(敦化門) 밖에 있었던 고을 이름. 규암(圭菴) 송인수(宋麟壽)와 추파(秋坡) 송기수(宋麒壽)의 출생지.
서울 , 지명>행정지명
-
유동년(兪同年) - 유자옥(兪子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임훈(林薰)의 《갈천집(葛川集)》에 그의 〈유두류록(遊頭流錄)〉에 대해 쓴 글이 실려 있으며, 황준량(黃俊良)의 《금계집(錦溪集)》에도 그와 함께 용유담(龍遊潭)을 유람하면서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유랑(劉郞)@무제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랑(劉郞)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랑(劉郞)@소열제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랑(劉郞)@유우석 - 유우석(劉禹錫)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왕숙문(王叔文)ㆍ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정치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낭주 사마(朗州司馬)로 좌천되고, 만년에는 백낙천(白樂天)과 교유함.
772~84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랑(庾郞) - 유고지(庾杲之)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문신ㆍ문인. 재상 왕검(王儉)의 막료를 지낸 일이 있으며, 가세가 청빈(淸貧)하여 조석 때마다 반찬이 오직 부추로 만든 음식뿐이었다고 함.
441~49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량(兪亮) - 유천우(兪千遇)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무안유씨(務安兪氏)의 시조로, 지주사(知奏事)ㆍ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치와 뇌물로 인해 비난을 받았음.
1209~1276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유령(幼寧) - 이유령(李幼寧)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주계군(朱溪君) 이심원(李深源)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제자로,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역임하였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아버지와 함께 직간(直諫)하였다가 화를 당함.
?~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유례왕(儒禮王) -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신라(新羅)의 제3대 국왕. 재위 24~57.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운제부인(雲帝夫人). 6부(六部)의 이름을 고치고 이들에게 이(李)ㆍ최(崔)ㆍ손(孫)ㆍ정(鄭)ㆍ배(裵)ㆍ설(薛)의 성(姓)을 주었으며, 17관등(官等)을 마련하였다고 함.
?~57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유로(劉老) - 유정(劉綎)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유현(劉顯)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참전하여 동일원(董一元)과 함께 제독(提督)의 직책을 수행하면서 크게 활약함. 후에 요동(遼東)에서 후금(後金)을 정벌하던 중 전사함.
?~161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유록(遊錄) - 관동록(關東錄)@홍인우
조선 전기의 학자인 홍인우(洪仁祐)가 관동(關東) 지방을 유람하고 쓴 일기체 기행문 형식의 책. 1책. 목판본.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유류(儒留) - 유리왕(瑠璃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 제2대 왕. 재위 B.C.19~A.D.18. 동명왕(東明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예씨(禮氏). 부여(扶餘)에서 아버지를 찾아 고구려로 와 태자로 책봉되어 동명왕이 사망하자 즉위함. 도읍을 졸본(卒本)에서 국내성(國內城)으로 옮겼으며, 선비(鮮卑)ㆍ부여의 공격을 막아내고 영토를 넓히는 데 힘씀.
?~18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유륜(有倫) - 방유륜(房有倫)
조선 전기의 문신. 성종(成宗) 때 문학(文學)을 지낸 방옥정(房玉精)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유륭(劉隆) - 상제(殤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5대 황제. 재위 105~106. 화제(和帝)가 죽자 태어난 지 백 일 만에 황제가 되었으나 두 살 때 죽음.
105~106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릉(幽陵) - 헌애왕후(獻哀王后)
고려 제5대 경종(景宗)의 비(妃). 어린 아들 목종(穆宗)을 대신해 섭정(攝政)하면서, 정부(情夫)인 김치양(金致陽) 사이에 태어난 아들을 목종의 후사로 삼으려다 강조(康兆)에 의해 유배됨.
964~102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유릉(裕陵) - 의인왕후(懿仁王后)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비. 본관은 반남(潘南). 반성부원군(潘城府院君) 박응순(朴應順)의 딸로, 1569년(선조 2) 왕비에 책봉됨.
1555~16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유리(類利) - 유리왕(瑠璃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 제2대 왕. 재위 B.C.19~A.D.18. 동명왕(東明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예씨(禮氏). 부여(扶餘)에서 아버지를 찾아 고구려로 와 태자로 책봉되어 동명왕이 사망하자 즉위함. 도읍을 졸본(卒本)에서 국내성(國內城)으로 옮겼으며, 선비(鮮卑)ㆍ부여의 공격을 막아내고 영토를 넓히는 데 힘씀.
?~18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유리명왕(瑠璃明王) - 유리왕(瑠璃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 제2대 왕. 재위 B.C.19~A.D.18. 동명왕(東明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예씨(禮氏). 부여(扶餘)에서 아버지를 찾아 고구려로 와 태자로 책봉되어 동명왕이 사망하자 즉위함. 도읍을 졸본(卒本)에서 국내성(國內城)으로 옮겼으며, 선비(鮮卑)ㆍ부여의 공격을 막아내고 영토를 넓히는 데 힘씀.
?~18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유리왕(儒理王) -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신라(新羅)의 제3대 국왕. 재위 24~57.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운제부인(雲帝夫人). 6부(六部)의 이름을 고치고 이들에게 이(李)ㆍ최(崔)ㆍ손(孫)ㆍ정(鄭)ㆍ배(裵)ㆍ설(薛)의 성(姓)을 주었으며, 17관등(官等)을 마련하였다고 함.
?~57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유린(有隣)@영해 - 영해(寧海)
경상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 서쪽으로 진보(眞寶), 북쪽으로 강원도 평해(平海)와 접해있으며 현재는 경상북도 영덕군(盈德郡)에 속함.
경상도>영해 , 지명>행정지명
-
유린(有隣) - 노한(盧閈)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좌의정을 지낸 민제(閔霽)의 사위로, 태종(太宗)과 동서간. 처남 민무구(閔無咎) 형제의 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 세종(世宗) 때 무죄가 밝혀져 복직됨.
1376~14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유림(幼臨) - 정장(鄭莊)@조선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진사(進士) 정희수(鄭熙叟)의 아들로 통덕랑(通德郞) 정희조(鄭熙朝)에게 출계함. 1754년(영조 3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운곡행록(耘谷行錄)》의 서(序)를 지음.
171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유립(裕立) - 오유립(吳裕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오명립(吳名立)ㆍ오시립(吳時立) 등과 함께 문의(文義)에 송인수(宋麟壽)를 모실 노봉서원(魯峯書院)을 건립했음.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유학
-
유마(維摩)@유마힐 - 유마힐(維摩詰)
석가(釋迦)의 속제자(俗弟子). 인도 비사리국(毗舍離國)의 장자(長者)로, 속가에 있으면서 보살(菩薩)의 행업을 닦았으며, 그 수행이 높아서 불자제로도 미칠 수 없었다고 함.
고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유마(維摩) - 소통(蕭統)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태자ㆍ문인. 제1대 황제인 무제(武帝)의 맏아들로, 유교(儒敎)와 불교(佛敎)에 조예가 깊고 특히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양 나라 이전 문인들의 명작을 모아 《문선(文選)》을 편찬함.
501~53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유명(惟明)@정유명 - 정유명(鄭惟明)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로, 정온(鄭蘊)의 아버지. 갈천(葛川) 임훈(林薰)의 문인으로 1573년(선조 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임진왜란 때 의병장 김면(金沔)을 도와 공을 세움.
1539~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유학
-
유명(惟明) - 박순충(朴純冲)
고려 인종(仁宗)~의종(毅宗) 때의 문신. 서리(胥吏) 출신으로 내시(內侍)에 임명되었다가 여러 관직을 거쳐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치사하였음.
?~1162 한국>고려전기 , 인명>관인>문신
-
유명(惟明)@박융 - 박융(朴融)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부 시랑(禮部侍郞) 박익(朴翊)의 아들이며, 전적(典籍) 박진(朴震)과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 박건(朴乾)의 아버지로, 전한(典翰) 등을 지냄. 아우 박소(朴昭)ㆍ박조(朴調)ㆍ박총(朴聰) 등과 함께 사우당(四友堂)으로 불림.
?~14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유명기(幽冥記) - 유명록(幽明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유의경(劉義慶)이 지은 지괴집(志怪集). 30권. 한(漢) 나라에서 송(宋) 나라 때까지의 인물, 야담, 전설, 불교와 도교의 종교 설화 등을 담음. 현재는 소실되어 일부만 전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유명록(幽冥錄) - 유명록(幽明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유의경(劉義慶)이 지은 지괴집(志怪集). 30권. 한(漢) 나라에서 송(宋) 나라 때까지의 인물, 야담, 전설, 불교와 도교의 종교 설화 등을 담음. 현재는 소실되어 일부만 전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유몽(諭蒙) - 유중영(柳仲郢)@당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낸 유공작(柳公綽)의 아들로, 이부 낭중(吏部郞中)ㆍ형부 상서(刑部尚書) 등을 지내고 학문이 뛰어나 《상서이십사사잠(尙書二十四司箴)》등의 저술을 찬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몽득(劉夢得) - 유우석(劉禹錫)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왕숙문(王叔文)ㆍ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정치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낭주 사마(朗州司馬)로 좌천되고, 만년에는 백낙천(白樂天)과 교유함.
772~84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몽득집(劉夢得集) - 유몽득문집(劉夢得文集)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인 유우석(劉禹錫)의 문집. 3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유무(幼武) - 이유무(李幼武)
중국 송(送)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을 승계하여 《도학명신언행록(道學名臣言行錄)》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무(惟茂) - 임유무(林惟茂)
고려 원종(元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鎭州). 권신 임연(林衍)의 아들. 원종(元宗)을 폐하고 안경공 창(安慶公淐)을 즉위시켰는데, 몽고의 압력에 따라 원종은 복위되고 자형인 대장군 최종소(崔宗紹)와 함께 저자에서 살해됨.
?~1270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무신
-
유문(有文) - 박유문(朴有文)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1361년(공민왕 10)에 홍건적(紅巾敵)이 침입하여 공민왕이 남천(南遷)할 때 호종한 공으로 신축호종공신(辛丑扈從功臣)에 책록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문(有紋) - 한유문(韓有紋)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거쳐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등을 역임함.
?~143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유문숙(劉文叔)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문요(劉文饒) - 유관(劉寬)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문신. 태위(太尉)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품이 온순하고 인자하여 남양 태수(南陽太守)로 있을 때 아전이나 백성들이 과실을 범하면 아프지 않은 부들 채찍으로 벌을 주었다고 함.
120~18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문절(柳文節) - 유희춘(柳希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유계린(柳桂隣)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ㆍ최산두(崔山斗)의 문인(門人).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미암일기(眉巖日記)》등 많은 저술을 남김.
1513~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미암(柳眉巖) - 유희춘(柳希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유계린(柳桂隣)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ㆍ최산두(崔山斗)의 문인(門人).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미암일기(眉巖日記)》등 많은 저술을 남김.
1513~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민(惟敏) - 이유민(李惟敏)
조선 전기의 유학. 임운(林芸)이 그에게 보내는 시가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유반(幼槃) - 사매(謝邁)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사일(謝逸)의 종제로, 시문(詩文)에 뛰어나 사조(謝脁)에 비견됨.
1074~111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유발(柳浡) - 유흡(柳洽)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종덕(柳種德)의 아들로, 유종학(柳種學)에게 출계(出系)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방(劉邦)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방원(流芳院) - 유천조신(柳川調信)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대마도주(對馬島主) 종의지(宗義智)의 가신(家臣). 풍신수길(豐臣秀吉) 때부터 덕천막부(德川幕府) 초까지 아들 유천지영(柳川智永)ㆍ손자 유천조흥(柳川調興) 삼대가 조선과 일본의 강화 회담 및 외교 사무를 담당함.
1539~1605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유벽(劉闢) - 유벽(劉辟)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역적. 어사 중승(御史中丞)ㆍ탁지 부사(支度副使) 등을 지냈으나, 서천 절도사(西川節度使)를 지낼 때 난을 일으켜 동천 절도사(東川節度使) 고숭문(高崇文)에게 토벌당함.
?~806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유별좌(柳別坐) - 유몽익(柳夢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유용공(柳用恭)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사포서 별좌(司圃署別坐)에 제수되었으며,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역임함.
1522~159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병(劉炳) - 충제(冲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8대 황제. 재위 144~145년. 순제(順帝)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우귀인(虞貴人). 두 살 때 즉위하여 순제의 황후인 양씨(梁氏)가 섭정하고, 조준(趙峻)과 이고(李固) 등이 정사를 보좌했지만 양씨 외척들이 득세하여 정권을 전횡함.
143~14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병산(劉屛山) - 유자휘(劉子翬)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스승으로, 저서에는 《병산집(屛山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보(劉保) - 순제(順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7대 황제. 재위 125~144. 재위기간에 외척인 양기(梁冀) 등으로 인해 내정이 문란하고, 천재지변의 속출로 사회가 혼란해짐.
?~14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봉(有鳳) - 어유봉(魚有鳳)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1722년(경종 2) 신임사화(申壬士禍) 때 김창협이 화를 당하자 유생들과 함께 변호하다가 파직됨. 세자시강원 찬선(世子侍講院贊善)을 지내고, 저서로 《기원집(杞園集)》 등이 있음.
1672~17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봉(留封) - 장량(張良)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공신. 유방(劉邦)에게 적재의 간언을 올려 항우(項羽)를 제압하고 한(漢) 왕조를 여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말년에 유방의 시의심(猜疑心)을 알아채고 적송자(赤松子)처럼 은거함.
?~B.C.168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봉(酉峯) - 윤증(尹拯)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윤선거(尹宣擧)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박세당(朴世堂)ㆍ박세채(朴世采)ㆍ민이승(閔以升) 등과 교유함. 후에 송시열과 대립하여 소론(少論)의 영수로 추대됨.
1629~171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이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부(兪拊) - 유부(兪跗)
중국 고대 황제(黃帝) 때의 의관(醫官). 탕약(湯藥)이나 침구(鍼灸)를 사용하지 않고 수술로 병을 치료하였다고 하며, 편작(扁鵲)과 함께 명의(名醫)로 일컬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유불(劉黻) - 유보(劉黼)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참지정사(參知政事)ㆍ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불릉(劉弗陵) - 소제(昭帝)
중국 한(漢)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B.C.87~B.C.74. 여덟 살에 즉위하였으나 곽광(霍光) 등의 보필을 받아 여러 차례 농민의 부담을 경감하였고, 흉노(匈奴)와 우호관계를 유지함.
B.C.94~B.C.7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비(劉備)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비(柳庇) - 유청신(柳淸臣)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몽골어를 배워 여러 차례 원(元) 나라에 다녀왔으며, 원 나라에 있을 때 왕위를 노리는 심양왕(瀋陽王) 왕고(王暠)에게 가담하여 반역 행위를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원 나라에 머물다가 죽음.
?~1329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유빈객(劉賓客) - 유우석(劉禹錫)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왕숙문(王叔文)ㆍ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정치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낭주 사마(朗州司馬)로 좌천되고, 만년에는 백낙천(白樂天)과 교유함.
772~84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빈객문집(劉賓客文集) - 유몽득문집(劉夢得文集)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인 유우석(劉禹錫)의 문집. 3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유빈객집(劉賓客集) - 유몽득문집(劉夢得文集)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인 유우석(劉禹錫)의 문집. 3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유사영(兪思永) - 유대수(兪大脩)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진사(進士) 유함(兪涵)의 아들.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내섬시 정(內贍寺正)ㆍ안동 부사(安東府使) 등을 지냄.
1546~15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산(遺山) - 원호문(元好問)
중국 금(金) 나라 말기의 시인. 과거에 급제하여 국사편수관 등을 지냈으나, 나라가 망하자 벼슬을 그만두고 저술에 전념함. 특히 두보(杜甫)의 시에 조예가 깊음.
1190~1257 중국>원ㅣ중국>금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