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유산록(遊山錄)@유두류록 - 유두류록(遊頭流錄)@김종직
조선 성종(成宗) 때 김종직(金宗直)이 지리산(智異山)을 유람하고 지은 기행문(紀行文). 지리산에 관한 기행문 중에 가장 오래되고 상세한 글임.
1472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유산록(遊山錄) - 관동록(關東錄)@홍인우
조선 전기의 학자인 홍인우(洪仁祐)가 관동(關東) 지방을 유람하고 쓴 일기체 기행문 형식의 책. 1책. 목판본.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유산선생문집(遺山先生文集) - 유산선생집(遺山先生集)
중국 금(金) 나라 말기의 시인인 원호문(元好問)의 문집. 40권. 원(元) 나라의 장덕휘(張德輝)가 수합ㆍ정리하여 엄충걸(嚴忠傑)이 간행함.
1262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유산인(兪山人) - 유승종(兪承宗)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으로 가는 명 나라 책사(冊使) 이종성(李宗城)을 수행하여 조선에 왔으며, 접반사(接伴使)인 이항복(李恒福)과 가깝게 지냄. 시문(詩文)에 능하고 서법(書法)에도 뛰어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삼변(柳三變) - 유영(柳永)
중국 북송(北宋)의 문인. 사(詞)에 능숙하여, 북송의 주방언(周邦彦), 남송(南宋)의 강기(姜夔)ㆍ신기질(辛棄疾)과 함께 사대사인(四大詞人)으로 불림. 저서에 《악장집(樂章集)》이 있음.
987~105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유상인(乳上人) - 설우(雪牛)
고려 후기의 승려. 나옹(懶翁) 혜근(惠勤)의 제자로, 이색(李穡)의 《목은문고(牧隱文稿)》에 그에 대해 쓴 〈설우설(雪牛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유상종(有相宗) - 법상종(法相宗)
중국 당(唐) 나라의 현장(玄奬)ㆍ규기(窺基)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唯識思想) 계통의 불교종파. 존재의 공성(空性)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太賢)을 초조로 삼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유새(楡塞) - 산해관(山海關)
중국 하북성(河北省) 진황도(秦皇島)에 있는 관문(關門). 만리장성(萬里長城)이 시작되는 곳으로, 교통ㆍ군사상의 요해지(要害地). 동쪽으로는 바다에 임하고, 북쪽으로는 토이(兎耳)ㆍ복주산(覆舟山)에 접하는 만리장성의 동쪽 끝.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유생(柳甥) - 유경렴(柳景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아들이며,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사위로, 찰방(察訪)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유서분류(遺書分類) - 정서분류(程書分類)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의 저서. 어지러이 뒤섞여 있는 《이정전서(二程全書)》의 편차(編次)를 각각 유형별로 구분하여 정리한 책으로, 1678년(숙종 4) 유배지인 장기(長鬐)에서 저술함.
167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장기 , 문헌>서명
-
유석(劉奭) - 원제(元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0대 황제. 재위 B.C.48~B.C.33. 학문을 좋아했으나 성품이 유약하여 정치를 주관하지 못해 부왕 선제(宣帝)가 이룬 왕업을 쇠미하게 하였음.
B.C.75~B.C.3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석(維石) - 양산축(梁山軸)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본관은 제주(濟州).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넷째 아들.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진주 남쪽 삼향포(三鄕浦)에서 왜적을 만나 일가가 모두 순절함.
1571~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효자
-
유석(謬釋) - 용학석의(庸學釋義)
조선 명종(明宗) 때 안위(安瑋)와 문명개(文命凱)가 이황(李滉)의 확정되지 않은 《대학(大學)》ㆍ《중용(中庸)》에 대한 학설을 모아 간행한 책. 이황의 큰 반발을 샀음.
1567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중화 , 문헌>서명
-
유선(儒仙)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선(劉仙) - 유신(劉晨)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 때의 서생(書生). 전설에 완조(阮肇)와 함께 천태산(天台山)에 약초를 캐러 갔다가 선녀를 만나 혼인한 후 반년 만에 고향이 그리워 돌아와 보니, 자손이 이미 7대까지 내려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유선(劉禪) - 후주(後主)@삼국(촉)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제2대 황제. 재위 223~263. 제갈량(諸葛亮)의 보좌를 받아 정권을 유지하다가 제갈량이 죽은 뒤 위(魏) 나라에 항복하여 안락공(安樂公)에 봉해짐.
207~27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선(惟善)@강유선 - 강유선(康惟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명종 때 발생한 이홍남(李洪男) 형제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살당함.
1520~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학자
-
유선(惟善) - 정유선(鄭惟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도정(都正)을 지낸 정세현(鄭世賢)의 아들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선록(儒先錄) - 국조유선록(國朝儒先錄)
조선 전기의 문신인 유희춘(柳希春)이 선조(宣祖)의 명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ㆍ조광조(趙光祖)ㆍ이언적(李彦迪)의 행적을 모아 엮은 책. 5권 4책. 필사본(筆寫本).
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유설(類說) - 지봉유설(芝峰類說)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수광(李睟光)이 지은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전서. 1614년(광해군 6)에 탈고하였으며, 1633년(인조 11)에 아들 이성구(李聖求)ㆍ이민구(李敏求)가 《지봉집(芝峯集)》과 함께 의령(宜寧)에서 20권 10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문헌>서명
-
유설경학대장(類說經學隊仗) - 경학대장(經學隊仗)
통일신라시대의 학자ㆍ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이 지었다는 책. 경학(經學)의 원리와 그 실용책(實用策)을 종목별로 열거함. 3권 1책. 활자본(活字本).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유성(惟城)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유성(惟誠)@1539 - 정유성(鄭惟誠)@1539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우참찬(右參贊) 정엽(鄭曄)의 아버지로, 1573년(선조 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의정부 영의정(議政府領議政)에 추증됨.
1539~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유성(惟誠)@조선전기 - 정유성(鄭惟誠)@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김안경(金安慶)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유성군(儒城君) - 유희서(柳熙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좌의정(左議政) 유전(柳㙉)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외교 사무를 담당하고,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를 지냄. 1603년(선조 36) 포천(抱川)에서 화적(火賊)에게 살해되었는데, 임해군(臨海君)이 그의 첩(妾) 때문에 암살하였다고도 함.
1559~160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성군(楡城君) - 선형(宣炯)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이시애(李施愛)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야인(野人) 정벌에 공을 세움.
1434~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유성재(柳成梓) - 유성간(柳成澗)
고려 원종(元宗) 때의 문신. 한림학사(翰林學士) 유순(柳淳)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ㆍ영의정(領議政)을 지냄. 서산유씨(瑞山柳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유소(劉邵) - 유소(劉劭)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태자. 문제(文帝)의 맏아들로, 많은 과실을 저지르고서 무고(巫蠱)로 몰아 모면하려다 폐위될 위기에 처하자 문제를 시해하고 스스로 제위(帝位)에 올랐으나, 동생 효무제(孝武帝)에게 죽임을 당함.
424?~45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유소장성(柳韶長城) - 천리장성(千里長城)
고구려 말기와 고려 덕종(德宗) 때 서북 국경에 건립된 장성. 고구려 말에 당(唐) 나라의 침입을 막기 위해 요동(遼東) 지방에 쌓은 토축성이 있고, 고려 덕종 때 북방 유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압록강(鴨綠江) 어귀로부터 함경도 동해안에 이르는 1000여 리에 쌓은 석축성이 있음.
한국>고려시대ㅣ한국>고구려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유소재(柳素齋) - 유순선(柳順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호조 참판(戶曹參判) 유유(柳柔)의 아들이며, 유종선(柳從善)의 형으로,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ㆍ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16~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손(裕孫) - 홍유손(洪裕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김수온(金守溫)ㆍ김시습(金時習)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며 학문과 시율(詩律)을 논함. 무오사화 때 제주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1452~152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문인
-
유송(劉宋) - 송(宋)@남북조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남조(南朝) 최초의 왕조. 동진(東晉) 말기에 유유(劉裕)가 진(晉) 나라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나라로, 8대 60년간 존속.
420~47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유송호(兪松湖) - 유언술(兪彦述)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유복기(兪復基)의 아들. 직간(直諫)을 잘하여 영조에게 인정받았으며,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703~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수(劉秀)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수(裕垂) - 이유수(李裕垂)
조선 후기의 유학. 《백담집(栢潭集)》 속집(續集)을 간행할 때 김성구(金成九)와 함께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의 시문(詩文)을 모아 정리하고 김굉(金㙆)의 서문을 받는 등 실무를 담당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유수(裕壽) - 김유수(金裕壽)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채제공(蔡濟恭)의 《번암집(樊巖集)》에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695~176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수곡(流水曲) - 고산유수(高山流水)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악공 백아(伯牙)가 고산유수곡(高山流水曲)을 타자 그의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진실로 그 뜻을 이해하였다는 데서 나온 고사. 음악을 감상하는 능력이 뛰어남을 비유하거나 지기(知己)를 비유할 때, 또는 미묘한 음악, 특히 거문고 소리를 비유하는 말로 쓰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유수이(劉守伊) - 기화(己和)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승려. 최치원(崔致遠)이 주장했던 불교(佛敎)ㆍ유교(儒敎)ㆍ도교(道敎)의 삼교일치설(三敎一致說)을 전개함.
1376~14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종교인>승려
-
유수조(流水操) - 고산유수(高山流水)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악공 백아(伯牙)가 고산유수곡(高山流水曲)을 타자 그의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진실로 그 뜻을 이해하였다는 데서 나온 고사. 음악을 감상하는 능력이 뛰어남을 비유하거나 지기(知己)를 비유할 때, 또는 미묘한 음악, 특히 거문고 소리를 비유하는 말로 쓰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유수조(流水調) - 고산유수(高山流水)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악공 백아(伯牙)가 고산유수곡(高山流水曲)을 타자 그의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진실로 그 뜻을 이해하였다는 데서 나온 고사. 음악을 감상하는 능력이 뛰어남을 비유하거나 지기(知己)를 비유할 때, 또는 미묘한 음악, 특히 거문고 소리를 비유하는 말로 쓰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유수주(劉隨州) - 유장경(劉長卿)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오언시(五言詩)에 능하여 오언장성(五言長城)이라 불리고, 전원과 산수 묘사는 도연명(陶淵明)ㆍ왕유(王維)ㆍ맹호연(孟浩然) 등과 통함. 육주 사마(陸州司馬)ㆍ수주 자사(隨州剌史) 등을 지냄.
725~79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수주집(劉隨州集) - 유수주시집(劉隨州詩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유장경(劉長卿)의 시집. 11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유숙(劉淑) - 효원황(孝元皇)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의 조부(祖父). 효원황(孝元皇)에 추존(追尊)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순(劉詢) - 선제(宣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9대 황제. 재위 B.C.74~B.C.49. 상평창(常平倉)을 설치하여 빈민구제를 도모하고, 대외적으로는 흉노(匈奴)를 격파하였음.
B.C.91~B.C.4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순(惟諄) - 송유순(宋惟諄)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으로, 풍저창 주부(豊儲倉主簿) 송홍(宋泓)의 아들.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목천 현감(木川縣監)을 지냄.
155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순선(柳純善) - 유순선(柳順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호조 참판(戶曹參判) 유유(柳柔)의 아들이며, 유종선(柳從善)의 형으로,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ㆍ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16~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순중(柳純仲) - 유순선(柳順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호조 참판(戶曹參判) 유유(柳柔)의 아들이며, 유종선(柳從善)의 형으로,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ㆍ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16~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순지(柳詢之) - 유조순(柳祖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우(柳藕)의 아들이고, 유조인(柳祖訒)의 형으로, 현령(縣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박응순(朴應順)ㆍ박응복(朴應福) 형제를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승(柔勝) - 김약온(金若溫)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양감(金良鑑)의 아들로, 이자겸(李資謙)과 인척이면서도 가까이하지 않음. 벼슬이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름.
1059~114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유시견(柳時見) - 유덕룡(柳德龍)
조선 후기의 유학.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
1563~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유학
-
유식(柳湜) - 유협(柳浹)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종덕(柳種德)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유식종(唯識宗) - 법상종(法相宗)
중국 당(唐) 나라의 현장(玄奬)ㆍ규기(窺基)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唯識思想) 계통의 불교종파. 존재의 공성(空性)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太賢)을 초조로 삼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유식중도종(唯識中道宗) - 법상종(法相宗)
중국 당(唐) 나라의 현장(玄奬)ㆍ규기(窺基)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唯識思想) 계통의 불교종파. 존재의 공성(空性)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太賢)을 초조로 삼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유식파(唯識派) - 유가파(瑜伽派)
인도 육파(六派) 철학(哲學)에서 발전한 대승불교의 한 파. 수행방법으로 유가[Yoga]를 중시하며, 주로 진공묘유(眞空妙有)의 유가사상을 고취함. 법상종(法相宗)이 유가파를 계승함.
고대 , 기타지역 , 사상>이론>교리
-
유식학파(唯識學派) - 유가파(瑜伽派)
인도 육파(六派) 철학(哲學)에서 발전한 대승불교의 한 파. 수행방법으로 유가[Yoga]를 중시하며, 주로 진공묘유(眞空妙有)의 유가사상을 고취함. 법상종(法相宗)이 유가파를 계승함.
고대 , 기타지역 , 사상>이론>교리
-
유신(惟新)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유신(有莘) - 신(莘)
중국 고대의 나라 이름. 이윤(伊尹)이 유신(有莘)의 들에서 밭을 갈다 은(殷) 나라 탕왕(湯王)의 부름을 받고 재상(宰相)이 됨.
중국>은 , 중국 , 시간>국명
-
유신(維新) - 양수진(楊守陳)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헌종(憲宗) 때 《문화대훈(文華大訓)》을 편찬하고, 효종 때 《헌종실록(憲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이부 우시랑(吏部右侍郞) 등을 역임함.
1425~148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신(維新)@애유신 - 애유신(艾維新)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호부 주사(戶部主事)로 종군(從軍)하여 군량(軍糧)을 관리함. 군량 운송의 기일을 지키지 못한 검찰사(檢察使) 김응남(金應南)과 의주 부윤(義州府尹) 황진(黃璡) 등에게 장형(杖刑)을 가했다는 기록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유신(維新)@충주 - 충주(忠州)
충청북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의 중심 고을로, 조선시대에 남한강(南漢江)의 수운(水運)을 이용한 상업 중심지이며, 영남대로(嶺南大路)가 통과하던 지역으로서 도로교통이 발달함.
충청도>충주 , 지명>행정지명
-
유신(纍臣)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유신로(有莘老)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신보(兪新甫) - 유대진(兪大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좌의정 유홍(兪泓)의 아들. 이이(李珥)의 천거로 홍문관(弘文館)에 발탁되고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54~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심(惟深) - 윤유심(尹惟深)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우참찬(右參贊) 윤의중(尹毅中)의 아들이며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생부(生父)로,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심(惟深)@방유심 - 방유심(方惟深)
중국 송(宋) 휘종(徽宗) 때의 문인. 시가 매우 정교하고 뛰어나다는 평을 받았고, 저서로는 《방비교집((方秘校集)》이 있음.
1040~112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유심보(柳深甫) - 유은(柳溵)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유충정(柳忠貞)의 아들로,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좌랑(佐郞)을 역임함.
154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유아두(劉阿斗) - 후주(後主)@삼국(촉)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제2대 황제. 재위 223~263. 제갈량(諸葛亮)의 보좌를 받아 정권을 유지하다가 제갈량이 죽은 뒤 위(魏) 나라에 항복하여 안락공(安樂公)에 봉해짐.
207~27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악(維嶽) - 허교(許喬)@조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문신ㆍ학자인 허목(許穆)의 아버지로, 포천 현감(泡川縣監) 등을 지냄.
1567~163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유안(幼安)@관녕 - 관녕(管寧)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학자. 황건적의 난이 일어났을 때 공손도(公孫度)의 풍도를 듣고 요동(遼東)으로 옮겨 살면서 시서(詩書)를 강론하고 예의(禮儀)를 강명하여 그곳의 민풍(民風)을 크게 진작시킴.
162~24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안(幼安) - 남반(南磐)
조선 후기의 유학. 남재(南在)의 사손(祀孫)으로 남재(南在)의 시(詩) 등 삼대(三代)의 기문(記聞)을 수집하여 “취미(翠微)”라 이름하여 1권을 만들었으나 간행되지 못하고 산일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유안(幼安)@이종 - 이종(李徖)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3남인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차남으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됨.
1432~14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유안(幼安)@신기질 - 신기질(辛棄疾)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무신. 사(詞)에 뛰어나 남송(南宋) 최고의 시인(詩人)으로 평가받음. 북송(北宋)의 유영(柳永)ㆍ주방언(周邦彦), 남송의 강기(姜夔)와 아울러 사대사인(四大詞人)으로 일컬어짐.
1140~12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유암(牖岩) - 사백선(史伯璿)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사서(四書)에 뛰어났고 주희(朱熹)의 뜻을 이어받아 《사서관규(四書管窺)》 및 《외편행세(外篇行世)》를 저술함.
1299~135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암사(留巖寺) - 불은사(佛恩寺)
경기도 개성(開城)의 비슬산(琵瑟山)에 있었던 사찰. 신라 때 창건되었다고 하며, 고려 광종(光宗) 때 대대적으로 중건하고 ‘불은사(佛恩寺)’라 명명함.
한국>신라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찰
-
유야(劉爺) - 유정(劉綎)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유현(劉顯)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참전하여 동일원(董一元)과 함께 제독(提督)의 직책을 수행하면서 크게 활약함. 후에 요동(遼東)에서 후금(後金)을 정벌하던 중 전사함.
?~161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유약(惟約) - 양박(楊博)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세종을 보좌하여 내외직을 오가며 정무에 힘쓰고 외구 및 변방 수비에 공로를 세움. 이부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내며 좌도어사(左都御史) 갈수례(葛守禮)와 함께 당대 명신으로 불림.
?~157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양(惟讓) - 백유양(白惟讓)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으로,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냄.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아들 백수민(白壽民)이 연좌되어 사형당하자 사직하였으나, 서인(西人)에게 숙부 백인걸(白仁傑)이 탄핵될 때 장살(杖殺)됨.
1530~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양(有讓) - 김유양(金有讓)
조선 세종(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김승주(金承霔)의 아들로, 우부 승지(右副承旨)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유양(維揚) - 양주(揚州)
중국 강소성(江蘇省)의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오대십국 중 오(吳) 나라의 수도였으며, 양자강(揚子江) 서쪽 기슭에 있어 수륙 교통이 편리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유언우(柳彦遇) - 유중영(柳仲郢)@조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아버지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로 이름을 떨침.
1515~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언침(柳彦沈) - 유언침(柳彦琛)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유공권(柳公權)의 아들로,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엄(柳淹) - 유엄(柳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1507년(중종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금부도사(禁府都事)로 조광조(趙光祖)에게 사약(賜藥)을 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여(幼與) - 사곤(謝鯤)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노자(老子)》와 《주역(周易)》을 좋아하고 음악을 잘하였으며, 강동(江東)에서 난을 피해 살다가 예장 태수(豫章太守)가 됨.
280~3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여(幼輿) - 사곤(謝鯤)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노자(老子)》와 《주역(周易)》을 좋아하고 음악을 잘하였으며, 강동(江東)에서 난을 피해 살다가 예장 태수(豫章太守)가 됨.
280~3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여견(柳汝見) - 유중룡(柳仲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유춘(柳有春)의 아들이며, 오건(吳健)의 문인.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의병을 일으켜 김면(金沔)ㆍ곽재우(郭再祐)의 휘하에서 활약함.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지냄.
1558~163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여장(柳汝章) - 유기(柳裿)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원주 목사(原州牧使) 유운룡(柳雲龍)의 둘째 아들로, 권호문(權好文)에게 《논어(論語)》를 배웠으며, 낭천 현감(狼川縣監)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연(劉淵) - 고조(高祖)@남북조(전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전조(前趙)의 제1대 황제. 재위 304~310. 전조의 기초를 확립함.
?~31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연(悠然) - 김대현(金大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으로, 성혼(成渾)의 문인.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찰방ㆍ현감 등을 지냈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향병을 모아 민심을 수습하는데 공헌함.
1553~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연(惟演) - 전유연(錢惟演)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오월(吳越) 충의왕(忠懿王) 전숙(錢俶)의 둘째 아들로, 한림학사(翰林學士)ㆍ공부 시랑(工部侍郞) 등을 지내고, 시(詩)와 사(詞)에 능했음.
962~103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연(裕延) - 윤유연(尹裕延)
고려 후기의 문신. 태악서 승(太樂署丞) 윤수(尹壽)의 아들이며, 검교상서 호부시랑(檢校尙書戶部侍郞) 윤승해(尹承解)의 아버지로, 검교 호부상서(檢校戶部尙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통진 , 인명>관인>문신
-
유연당(悠然堂)@권균 - 권균(權鈞)@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491년(성종 2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책록됨.
1464~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연당(悠然堂) - 김대현(金大賢)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으로, 성혼(成渾)의 문인.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찰방ㆍ현감 등을 지냈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향병을 모아 민심을 수습하는데 공헌함.
1553~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연당선생문집(悠然堂先生文集) - 유연당문집(悠然堂文集)
조선 선조(宣祖) 때 문신인 김대현(金大賢)의 문집. 4권 2책으로 구성된 목활자본이나, 간행 연대나 편찬 과정은 불확실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유연재(悠然齋) - 김희수(金希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목사(牧使) 김숙연(金叔演)의 아들로, 권벌(權橃) 등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신원(伸冤)을 청함.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해서(楷書)에 뛰어남.
1475~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염(劉冉) - 유효작(劉孝綽)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 7세에 속문(屬文)을 하여 신동(神童)으로 불리고, 양 무제(梁武帝)에게 시 7수를 지어 바쳐 비서승(祕書丞)을 제수받음. 하손(何遜)과 더불어 ‘하유(何劉)’로 병칭됨.
481~53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영(劉盈) - 혜제(惠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2대 황제. 재위 B.C.195~B.C.188. 고조(高祖)의 맏 아들로, 즉위 초에 조참(曹參)을 승상으로 발탁하여 인정(仁政)을 베풀었으나, 성격이 우유부단하여 어머니인 여후(呂后)에게 실권을 빼앗기자 울분을 품고 죽음.
B.C.210~B.C.18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영(劉靈) - 영제(靈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12대 황제. 재위 168~189. 재위 시에 환관들의 농간에 미혹되어 당고지화(黨錮之禍)를 야기 시키는 등 국정이 문란하여 황건(黃巾)의 난이 일어남.
156~18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영(有永) - 정지년(鄭知年)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정효종(鄭孝終)의 아버지.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를 지낼 때 단종(端宗)이 손위(遜位)하자 전리(田里)로 퇴거하여 경서(經書) 연구에 전념함.
1395~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유영(柳營) - 세류영(細柳營)
중국 한(漢) 나라 문제(文帝) 때의 명장인 주아부(周亞夫)가 흉노(匈奴)를 방어하기 위하여 세류(細柳)에 친 진(陣)의 군율(軍律)이 매우 엄정하였던 고사에서 온 말. 장군의 진영, 또는 군기가 엄정한 군영을 일컬음.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유영공(柳令公) - 유희춘(柳希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유계린(柳桂隣)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ㆍ최산두(崔山斗)의 문인(門人).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미암일기(眉巖日記)》등 많은 저술을 남김.
1513~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