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유예(有譽) - 양유예(梁有譽)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부 주사(刑部主事) 등을 지냈으며, 전칠자(前七子)의 복고설(復古說)을 계승하여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
1520~155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오(劉驁) - 성제(成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11대 황제. 재위 B.C.32~B.C.7. 원제(元帝)의 맏아들로, 즉위 후 주색(酒色)을 탐하고 가녀(歌女)인 조비연(趙飛燕)을 황후로 삼았으며, 외척들이 정권을 전횡하는 등 부패하였으므로 백성들의 반란을 초래함.
B.C.52~B.C.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옥(幼玉) - 유경지(柳瓊枝)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청경(淸卿) 유약(柳瀹)의 아들로, 지수(篪叟) 정규양(鄭葵陽)의 문하에서 수학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유온(惟溫) - 백유온(白惟溫)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 백인호(白仁豪)의 아들이며,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백유양(白惟讓)의 형. 장단 부사(長湍府使)ㆍ부평 부사(富平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온(有溫)@구유온 - 구유온(仇有溫)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원(昌原). 학생(學生) 구석종(仇碩種)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유학
-
유온(有溫) - 이유온(李有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선전관(宣傳官)을 지낸 이승원(李承元)의 아들로, 이천 도호부사(利川都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유왕(裕王) - 목종(穆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3대 황제. 재위 1567~1572. 여러 차례 침범한 몽고의 엄답(俺答)을 방어하고, 재초(齋醮)를 파하며 궁궐 건축을 줄여 몸소 절약을 실행함.
1537~157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요(劉曜) - 진왕(秦王)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전조(前趙)의 제5대 황제. 재위 318~328. 고조(高祖)인 유연(劉淵)의 조카로, 즉위 후 국호를 ‘조(趙)’로 고치고 장안(長安)에 도읍하였으나, 후조(後趙)의 석륵(石勒)에게 피살됨.
?~32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용(惟庸) - 호유용(胡惟庸)
중국 원(元) 순제(順帝)~명(明) 태조(太祖) 때의 문신. 원 나라 말기에 명 태조에게 인정을 받아 벼슬하여 명 나라 때 좌승상(左丞相)까지 올랐으나 모역죄(謀逆罪)로 처형됨. 이후 그의 죄에 연좌되어 당여(黨與) 3만여 명이 처형됨.
?~1380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용(有容) - 남유용(南有容)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남용익(南龍翼)의 증손. 이재(李縡)의 문인으로, 양관(兩館) 대제학(大提學)과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냈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음.
1698~17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우(幼遇) - 음유우(陰幼遇)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가 멸망하자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매진하여 《운부군옥(韻府群玉)》등의 저서를 남김.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우(有虞)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유우석문집(劉禹錫文集) - 유몽득문집(劉夢得文集)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인 유우석(劉禹錫)의 문집. 3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유우씨(有虞氏)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유우자(幽憂子) - 노조린(盧照鄰)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익주 신도위(益州新都尉)를 지내고, 왕발(王勃)ㆍ양형(楊炯)ㆍ낙빈왕(駱賓王)과 함께 초당사걸(初唐四傑)로 불림.
636~69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우헌(柳寓軒) - 유세명(柳世鳴)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유원지(柳元之)의 문인으로, 교리(校理) 시절에 송시열(宋時烈)ㆍ김수항(金壽恒)ㆍ김석주(金錫胄)ㆍ민정중(閔鼎重)을 엄벌해야 한다는 차자(箚子)를 올렸으며,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역임함.
1636~169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원강(留元綱) - 유원강(留元剛)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국사원 편수관(國史院編修官)ㆍ실록원 검토관(實錄院檢討官)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운록집(雲麓集)》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원규(庾元規) - 유응규(庾應圭)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음보(蔭補)로 내시가 되었으나 무신의 난 이후 세운 여러 공으로 관직이 공부 시랑(工部侍郞)에 이름.
1131~117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유원성(劉元城) - 유안세(劉安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사마광(司馬光)의 제자. 간의대부(諫議大夫)로 직간(直諫)을 잘해 전상호(殿上虎)라는 별명을 얻음. 강직한 성품 때문에 평생 벽지(僻地)로 전전하며 귀양살이를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원순(兪元淳) - 유승단(兪升旦)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몽고(蒙古)의 침략을 피하기 위해 강화(江華)로 천도하려는 최우(崔瑀)의 계획에 반대함. 경사(經史)에 조예가 깊고 불전(佛典)에도 능통했음.
1168~123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관인>문신
-
유원외(劉員外) - 유황상(劉黃裳)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원외랑(兵部員外郞) 등을 역임하였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흠차경략찬획방해어왜군무(欽差經略贊畫防海禦倭軍務)로 참전하여 송응창(宋應昌)의 휘하에서 종사하였으며, 문장에 능하였음.
1529~159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원자(踰垣者) - 단간목(段干木)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은자. 위 문후(文侯)가 그를 보기 위해 집까지 찾아 갔으나 담을 넘어 피해 버렸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유월봉(柳月蓬) - 유영길(柳永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참봉(參奉) 유의(柳儀)의 아들이며, 영의정 유영경(柳永慶)의 형으로, 시문(詩文)에 능하였으며, 예조 참판(禮曹參判)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1538~16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월석(劉越石) - 유곤(劉琨)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문신ㆍ시인. 혜제(惠帝) 때 오랑캐로부터 나라를 지키고자 맹세한 사직지신(社稷之臣). 좌사(左思)ㆍ곽박(郭璞)과 함께 동진(東晉)의 3대 시걸(詩傑)로 꼽힘.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유(劉裕) - 무제(武帝)@남북조(송)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제1대 황제. 재위 420~422. 동진(東晉)의 공제(恭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송 나라를 건국함.
363~4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유인(劉惟寅) - 유청(劉淸)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학자. 《중용장구상설(中庸章句詳說)》을 편집하고, 그 사이에 사백선(史伯璿)의 견해와 팽정견(彭廷堅)의 표제를 덧붙여 《중용(中庸)》을 공부하는 데 지침서를 마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유주(柳柳州) - 유종원(柳宗元)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당송팔대가(唐宋八代家)의 한 사람. 고문(古文)의 대가로서 한유(韓愈)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 우언(寓言) 형식을 취한 풍자문(諷刺文)과 산수(山水)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
773~81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문인
-
유은(庾隱) - 이중량(李仲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효행(孝行)과 학행(學行)이 뛰어났으며,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며 선정(善政)을 베풂.
1504~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유은(遊隱) - 김계보(金季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취려(金就礪)의 8세손이며, 능성 현령(綾城縣令) 김약(金躍)의 아들. 1432년(세종 14) 무과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냈으나, 세조가 즉위하자 남원(南原)으로 내려가 은거했음.
?~14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유은옹(遊隱翁) - 김계보(金季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취려(金就礪)의 8세손이며, 능성 현령(綾城縣令) 김약(金躍)의 아들. 1432년(세종 14) 무과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냈으나, 세조가 즉위하자 남원(南原)으로 내려가 은거했음.
?~14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유은지(柳隱之) - 유은지(柳殷之)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세조(世祖)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이 된 유수(柳洙)의 아버지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를 지냄.
1370~144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음(柳陰) - 한효윤(韓孝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문천 군수(文川郡守)를 지낸 한여필(韓汝弼)의 아들.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경성 판관(鏡城判官)ㆍ종부시 주부(宗簿寺主簿) 등을 지냄.
1536~158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유의(惟毅) - 송유의(宋惟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송기(宋圻)의 아버지로,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의(有義) - 정유의(鄭有義)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청주 목사(淸州牧使) 정결(鄭潔)의 아들이며 종부시 첨정(宗簿寺僉正) 정구(鄭球)의 아버지로, 무안 현감(務安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유의(柳醫) - 유지번(柳之蕃)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내의(內醫). 명종(明宗) 때 의원 김윤은(金允誾)과 함께 《달학이해방(疸瘧易解方)》을 편집하였으며, 중궁(中宮)의 산실의원(産室醫員)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술인>의원
-
유의(由誼) - 민유의(閔由誼)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충선왕 때 첨의정승(僉議政丞)을 지낸 민지(閔漬)의 증손으로, 증문하찬성사(贈門下贊成事) 민선(閔璿)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유의경세설(劉義慶世說) - 세설신어(世說新語)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유의경(劉義慶)이 편찬한 일화집(逸話集). 후한(後漢) 말부터 동진(東晉)까지의 명사(名士)들의 생활과 언행 등을 기록한 책으로, 36편(篇) 1000여 항목으로 구성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유의륭(劉義隆) - 문제(文帝)@남북조(송)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송(宋) 나라의 제3대 황제. 재위 424~453. 귀족을 중용하고 문치(文治)를 위주로 하여 원가(元嘉)의 치세(治世)를 주도함.
407~45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이능(柳爾能) - 유세명(柳世鳴)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유원지(柳元之)의 문인으로, 교리(校理) 시절에 송시열(宋時烈)ㆍ김수항(金壽恒)ㆍ김석주(金錫胄)ㆍ민정중(閔鼎重)을 엄벌해야 한다는 차자(箚子)를 올렸으며,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역임함.
1636~169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이발(柳而發) - 유식(柳植)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집(河西集)》에, 그가 술그릇과 화분을 보내준 데 대해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유익(劉翼) - 효숭황(孝崇皇)
중국 후한(後漢)의 추존왕. 후한의 제11대 황제인 환제(桓帝)의 아버지로, 효숭황(孝崇皇)으로 추존(追尊)되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익(惟翊) - 송유익(宋惟翊)
고려 전기의 문신. 여산송씨(礪山宋氏)의 시조로,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에 오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유인(劉駰) - 유인(劉因)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학행(學行)이 뛰어나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함. 정주학(程朱學)을 신봉하여 허형(許衡)과 함께 원 나라의 이대가(二大家)로 일컬어짐.
1249~129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인(惟仁) - 박융(朴融)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부 시랑(禮部侍郞) 박익(朴翊)의 아들이며, 전적(典籍) 박진(朴震)과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 박건(朴乾)의 아버지로, 전한(典翰) 등을 지냄. 아우 박소(朴昭)ㆍ박조(朴調)ㆍ박총(朴聰) 등과 함께 사우당(四友堂)으로 불림.
?~14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유인(惟仁)@정유인 - 정유인(鄭惟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남부 주부(南部主簿)를 지낸 정노겸(鄭勞謙)의 아들이자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정지연(鄭芝衍)의 아버지로, 봉상시 정(奉常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인(有仁) - 이유인(李有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계번(李繼蕃)의 아들로,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4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유인(裕仁) - 이유인(李裕仁)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자(李磁)의 아들로, 1561년(명종 1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함경 감사(咸鏡監司) 등을 지냄. 구사맹(具思孟)의 《팔곡잡고(八谷雜稿)》에 그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음.
153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인중(柳仁仲) - 유희춘(柳希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유계린(柳桂隣)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ㆍ최산두(崔山斗)의 문인(門人).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경사(經史)와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미암일기(眉巖日記)》등 많은 저술을 남김.
1513~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인지(柳訒之) - 유조인(柳祖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이중호(李仲虎)의 문인으로, 충효와 절의로 천거되어 이천 현감(伊川縣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선조와 세자 광해군을 호종한 공으로 호성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에 책록됨.
1522~15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인화(柳仁和) - 유돈(柳墩)@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와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역임함.
?~130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유일(惟一) - 이순(李純)@조선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성혼(成渾)ㆍ이위빈(李渭濱)ㆍ김경삼(金景參)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유일(惟一)@1525 - 정유일(鄭惟一)@1525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충의위 어모장군(忠義衛禦侮將軍) 정황(鄭璜)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525~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유일(惟一)@1533 - 정유일(鄭惟一)@1533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한 뒤 대사간(大事諫)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시부(詩賦)에 뛰어났으며, 성리학에 있어서는 퇴계설(退溪說)을 발전시킴.
1533~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일(有一)@김유일 - 김유일(金有一)
조선 전기의 유학. 정황(丁熿)의 《유헌집(游軒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유일(有一) - 함유일(咸有一)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항양(恒陽)으로,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인 함순(咸淳)의 아버지. 1135년(인종 13) 묘청(妙淸)의 난에 공이 있어 서경유수 녹사(西京留守錄事)가 되고, 병부 낭중(兵部郞中)ㆍ공부 상서(工部尙書) 등을 지냄.
1106~118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근 , 인명>관인>문신
-
유일재(惟一齋) - 김언기(金彦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도산(陶山) 근처에서 후진을 양성함. 이황이 죽은 후 여강(廬江)에 서원을 세우고, 백련사(白蓮寺)를 철거하는 등 숭유억불(崇儒抑佛)에 노력함.
1520~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유자(孺子)@안유자 - 안유자(晏孺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 경공(景公)의 총첩(寵妾)인 예희(芮姬)의 소생으로, 경공이 죽자 국하(國夏)와 고장(高張)의 도움으로 왕에 올랐으나, 천첩 출신임을 꺼려 양생(陽生)을 추대한 대부 전걸(田乞) 등에 의해 살해됨.
?~B.C.4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유자(孺子) - 서치(徐穉)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고사(高士). 예장 태수(豫章太守) 진번(陳蕃)이 빈객을 접대하는 일이 없었으나, 오직 그를 위해 하나의 의자를 마련하여 그가 오면 내어놓고 떠난 후에 다시 걸어두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97~16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유자(有子) - 유약(有若)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자의 모습과 닮아 공자가 죽은 뒤 제자들이 그를 스승처럼 섬기려 하였으나 증삼(曾參)의 반박으로 무산됨.
B.C.51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자(柳子) - 유종원(柳宗元)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당송팔대가(唐宋八代家)의 한 사람. 고문(古文)의 대가로서 한유(韓愈)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 우언(寓言) 형식을 취한 풍자문(諷刺文)과 산수(山水)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
773~81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문인
-
유자산(庾子山) - 유신(庾信)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詩人). 서능(徐陵)과 함께 화려한 궁체시(宮體詩)를 즐겨 지음. 북조(北朝) 서위(西魏)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당한 뒤 청신한 시풍(詩風)으로 바뀌어 남북조 시문(詩文)을 집대성함.
513~58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유자후(柳子厚) - 유종원(柳宗元)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당송팔대가(唐宋八代家)의 한 사람. 고문(古文)의 대가로서 한유(韓愈)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 우언(寓言) 형식을 취한 풍자문(諷刺文)과 산수(山水)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
773~81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문인
-
유작(劉灼) - 유극장(劉克莊)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육유(陸游)를 본받아 시국을 걱정하는 시풍의 작품을 많이 남겼으며, 강호시파(江湖詩派)를 주도함.
1187~126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장(劉莊) - 명제(明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2대 황제. 재위 57~75. 재위기간 중 불교가 유입된 것으로 전해지며, 흉노족을 평정하여 북방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재확립함.
28~7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장(劉萇) - 효인황(孝仁皇)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의 아버지. 효원황(孝元皇)에 추존(追尊)된 유숙(劉淑)의 아들로, 영제 즉위 후 효인황(孝仁皇)으로 추존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장(幼章) - 하소지(河紹地)
조선 세종(世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전력부위(展力副尉) 하원(河源)의 생부이자, 하위지(河緯地)의 동생. 1447년(세종 2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유장(柳庄) - 유가장(柳家庄)
중국 북경(北京)으로 가는 길에 있는 상가촌(上家村)에 속한 마을 이름. 김성일(金誠一)의 《학봉속집(鶴峯續集)》 〈조천기행(朝天紀行)〉에 이곳에 대한 언급이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유장(柳蔣) - 유보(柳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로 파직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호조(戶曹)와 공조(工曹)의 판서(判書)를 거쳐 우의정(右議政)을 역임함. 주계군(朱溪君) 이심원(李深源)의 사위.
?~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재(劉載) - 무제(武帝)@남북조(전조)
중국 남북조시대 전조(前趙)의 왕. 재위 310~318. 고조(高祖) 유연(劉淵)의 넷째 아들로, 형인 태자 유화(劉和)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함. 즉위 후 진(晉) 나라를 공격하여 회제(懷帝)와 민제(愍帝)를 사로잡는 등 폭정을 일삼다가 국란(國亂) 속에 죽음.
?~3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재(幼材) - 이재(李栽)
조선 효종(孝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재령(載寧). 주리론(主理論)으로 영남학파를 이끈 성리학의 대가로 많은 문인을 배출했으며, 저서로 《성유록(聖喩錄)》ㆍ《금수기문(錦水記聞)》ㆍ《주서강록간보(朱書講錄刊補)》 등이 있음.
1657~173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유재(裕哉) - 유공작(柳公綽)@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으로,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조부. 간성 군수(杆城郡守)와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역임함.
1481~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유절(幼節) - 육항(陸抗)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무신. 육손(陸遜)의 둘째 아들로, 무장(武將)으로 활약함. 손호(孫皓)가 즉위하자 17조목의 건의를 하고, 서진(西晉)의 장수 양호(羊祜)와의 싸움에서 일화를 남김.
226~27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유정(惟精)@박유정 - 박유정(朴惟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박원령(朴元秢)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문사>유학
-
유정(惟精) - 김유정(金惟精)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김승주(金承霔)의 아버지로, 정주 목사(定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유정(惟貞) - 이유정(李惟貞)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평난공신(平難功臣) 이준(李準)의 아버지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정(有定) - 신유정(辛有定)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 1386년(우왕 12) 남해에서 왜구를 격퇴시키고, 이성계(李成桂)의 휘하에서 무공을 세움. 조선 건국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으며, 평안도 도안무사(平安道都安撫使) 등을 지냄.
134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유정(柳亭) - 양여공(梁汝恭)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1431년(세종 13) 유연생(柳衍生)의 무고(誣告)로 사형됨. 효성이 지극하고 시와 글씨에 능했음.
1378~143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유정(柳亭)@장옥 - 장옥(張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유배당했고, 김안로(金安老) 일당에게 몰려 또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음.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한 뒤 판교(判校) 등을 역임함.
149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유정(維禎) - 허국(許國)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1567년 목종(穆宗)이 등극하였을 때 한림 검토(翰林檢討)로서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 위시량(魏時亮)과 함께 반조(頒詔)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저서에 《조선일기(朝鮮日記)》ㆍ《문목공집(文穆公集)》 등이 있음.
1527~159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정량(劉貞亮) - 구문진(俱文珍)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환관. 순종(順宗) 때 왕숙문(王叔文) 일당을 몰아내고 위기에 처한 조정을 구신(舊臣)에게 돌려주는 데 공을 세움.
?~81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유정보(柳靜甫) - 유발(柳潑)@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백광훈(白光勳)의 《옥봉시집(玉峯詩集)》에, 그와 이별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유정부(柳正夫) - 유격(柳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선릉 참봉(宣陵參奉)을 지내고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에 다섯 차례나 임명되었으며, 서예에 뛰어났음.
1545~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정부(游定夫)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정수(劉靜修) - 유인(劉因)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학행(學行)이 뛰어나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등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함. 정주학(程朱學)을 신봉하여 허형(許衡)과 함께 원 나라의 이대가(二大家)로 일컬어짐.
1249~129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제(劉帝) - 문제(文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5대 황제. 재위 B.C.180~B.C.157. 전조(田租)ㆍ인두세(人頭稅) 감면, 가혹한 형벌 폐지, 흉노에 대한 화친정책 등으로 민생 안정과 국력 배양에 힘씀.
B.C.202~B.C.15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조(劉肇) - 화제(和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4대 황제. 재위 89~105년. 장제(章帝)의 넷째 아들로, 10세에 즉위하여 두태후(竇太后)가 수렴청정을 함. 환관들과 연합하여 두태후 일당을 척결했으나 환관들의 전횡 때문에 다시 정치가 문란해지고, 그 우울증에 시달리다 죽음.
79~10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조계(柳潮溪) - 유종지(柳宗智)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노신(盧禛)ㆍ임훈(林薰)ㆍ최영경(崔永慶)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하였으나, 정여립(鄭汝立)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옥중에서 장살(杖殺)됨.
1546~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유졸재(柳拙齋) - 유원지(柳元之)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손자이며,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으로, 경서(經書)ㆍ제자서(諸子書)에 능통함. 이황(李滉)의 이발기발설(理發氣發說)에 동조하고, 효종(孝宗)의 복상문제(服喪問題) 때 삼년설을 주장함.
1598~167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종(劉琮)@왕유종 - 왕유종(王劉琮)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아버지 왕찬(王粲)의 권유로 조조(曹操)에게 귀의하여 보좌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종(有宗) - 하유종(河有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부사(府使)를 역임하였으며, 정도전(鄭道傳)의 《삼봉집(三峰集)》에 그의 고결한 인품을 매화에 비유하여 읊은 〈매천부(梅川賦)〉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종(有悰) - 최유종(崔有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을 지낸 최경지(崔敬止)의 아버지로, 1414년(태종 14) 친시(親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필선(弼善)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유주(儒州) - 문화(文化)
황해도 삼천(三泉), 신천(信川) 서부, 안악(安岳) 남부 일대에 있었던 옛 고을 이름. 단군(檀君)의 전설이 깃들어 있으며 구월산(九月山)이 있는 곳으로 유명함.
황해도>문화 , 지명>행정지명
-
유주(幽州)@광녕 - 광녕(廣寧)
중국 요동(遼東)에 위치한 지역 이름. 지역적 요충지로 군사적 충돌이 빈번하였고, 조선시대에는 명(明) 나라로 가는 사신을 위한 역참(驛站)이 설치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유주(柳州) - 유종원(柳宗元)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당송팔대가(唐宋八代家)의 한 사람. 고문(古文)의 대가로서 한유(韓愈)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 우언(寓言) 형식을 취한 풍자문(諷刺文)과 산수(山水)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
773~81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문인
-
유주유씨(儒州柳氏) - 문화유씨(文化柳氏)
고려 태조(太祖) 때 익찬벽상공신(翊贊壁上功臣)에 서훈된 유차달(柳車達)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집단>성씨
-
유준(劉駿) - 효무제(孝武帝)@남북조(송)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453~464. 아버지 문제(文帝)를 시해하고 제위에 앉은 형을 죽이고 즉위함.
430~46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중(惟中) - 엄숭(嚴嵩)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벼슬이 태자 태사(太子太師)에 이르렀으며, 왕의 총애만 믿고 권력을 마음대로 휘두르고 뇌물을 탐하여 크게 치부(致富)함. 급사중(給事中) 양계성(楊繼盛)이 세 번이나 상소하여 그의 죄악를 논박하다가 살해됨.
1480~156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중(惟中)@이유중 - 이유중(李惟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이정중(李精中)의 형으로, 1588년(선조 2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유중(有中) - 이중(李中)@오대십국(남당)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의 문신ㆍ문인. 신도 영(新塗令)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저서에 《벽운집(碧雲集)》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중(柔仲) - 박응남(朴應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유조인(柳祖訒)ㆍ성제원(成悌元)ㆍ이중호(李仲虎)에게 수학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함. 직간(直諫)으로 이름이 높았음.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