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유중(維重) - 민유중(閔維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숙종의 비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아버지로 남인(南人)이 집권할 때 흥해(興海)로 유배되었다가, 남인이 실각하자 금위영(禁衛營)의 창설을 주도하여 병권과 재정권을 모두 관장함.
1630~168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유중루(劉中壘) - 유흠(劉歆)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유향(劉向)의 아들로, 황실의 도서를 교감하고 관리하였으며, 중국 최초의 도서목록인 《칠략(七略)》를 편찬함. 뒤에 왕망(王莽)이 국사(國師)로 삼았으나 그를 모살하려다 실패하여 자살함.
B.C.53?~A.D.2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중산(劉中山) - 유우석(劉禹錫)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왕숙문(王叔文)ㆍ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정치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낭주 사마(朗州司馬)로 좌천되고, 만년에는 백낙천(白樂天)과 교유함.
772~84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중승(柳中丞) - 유공작(柳公綽)@당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헌종(憲宗)이 무예를 좋아하여 자주 사냥을 나가자 〈태의잠(太醫箴)〉을 지어 풍간(諷諫)함. 오원제(吳元濟)를 토벌할 때 공을 세우고,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냄.
765~83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중연(柳仲沿) - 유사(柳泗)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유희송(柳希松)의 아들로, 낙안 군수(樂安郡守)ㆍ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지냄.
1502~157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유중정(柳仲精) - 유덕수(柳德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문옥(柳文沃)의 아들로, 1560년(명종 15)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유증(兪證) - 유천우(兪千遇)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무안유씨(務安兪氏)의 시조로, 지주사(知奏事)ㆍ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치와 뇌물로 인해 비난을 받았음.
1209~1276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유지(劉志) - 환제(桓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11대 황제. 재위 147~167. 장제(章帝)의 증손이고, 여오후(蠡吾侯) 유익(劉翼)의 아들. 양태후(梁太后)에 의해서 즉위하였고, 성장 후 환관(宦官) 단초(單超) 등의 힘을 빌어 양태후 일당을 조정에서 몰아냄.
132~16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지(攸之) - 최유지(崔攸之)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최온(崔薀)의 아들로, 사간(司諫) 등을 지냄.
1603~167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유지(有之) - 나덕윤(羅德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산 현감(尼山縣監) 나사침(羅士忱)의 아들이며, 정개청(鄭介淸)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광해군 즉위 후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ㆍ감찰(監察) 등을 지냄.
155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유지(有智) - 문유지(文有智)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조부로, 부사과(副司果)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유지(維之) - 육유지(陸維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 속세를 초월한 뜻을 가지고 대조동천(大滌洞天)의 석실(石室)에 은거하여 시와 술을 즐기며 유유자적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유지(裕之) - 원호문(元好問)
중국 금(金) 나라 말기의 시인. 과거에 급제하여 국사편수관 등을 지냈으나, 나라가 망하자 벼슬을 그만두고 저술에 전념함. 특히 두보(杜甫)의 시에 조예가 깊음.
1190~1257 중국>원ㅣ중국>금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지번(柳枝蕃) - 유지번(柳之蕃)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내의(內醫). 명종(明宗) 때 의원 김윤은(金允誾)과 함께 《달학이해방(疸瘧易解方)》을 편집하였으며, 중궁(中宮)의 산실의원(産室醫員)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술인>의원
-
유지부(劉智夫) - 유숭지(劉崇之)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병부 낭중(兵部郞中)ㆍ호부 낭중(戶部郎中) 등을 역임함.
1154~121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지숙(兪止叔) - 유홍(兪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여림(兪汝霖)의 손자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과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에는 우의정으로 도성의 질서 회복과 복구에 기여함.
1524~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지원(劉知遠) - 고조(高祖)@오대십국(후한)
중국 오대십국 후한(後漢)의 제1대 황제. 재위 947~948. 후진(後晉)이 거란에게 멸망당하자 장군이었던 고조가 후한을 세웠으나 재위한지 일년 만에 죽음.
895~948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직(幼稷) - 정민시(鄭民始)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왕세손 시절의 정조를 보도(輔導)하여 정조 즉위 후 총애를 받았으나, 순조(純祖) 때 정순왕후(貞純王后)에 의해 삭탈관직되었다가 후에 복관됨.
1745~18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진(有珍) - 최유진(崔有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공민왕(恭愍王)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최원도(崔元道)의 아버지로, 판전의시사(判典醫寺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유진장(劉眞長) - 유담(劉惔)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명제(明帝)의 부마(駙馬). 사안(謝安)의 장인이자, 왕희지(王羲之)의 절친한 벗으로, 단양 윤(丹楊尹) 등을 지냈으며, 당대의 인걸로 칭송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유진정(柳震禎) - 유진정(柳震楨)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인홍(鄭仁弘)의 생질로, 폐모론(廢母論)에 찬성하였다가 인조반정 후 금성(金城)에 유배되고, 아들 유지욱(柳之煜)이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을 추대하려다 역모죄로 처형될 때 함께 사사됨.
1563~162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유찬(劉纘) - 질제(質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9대 황제. 재위 145~146. 장제(章帝)의 현손이고 발해왕(渤海王) 유홍(劉鴻)의 아들. 충제(冲帝) 때 즉위하여 1년 만에 독살당함.
138~146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창(幼瑒) - 기소유(紀少瑜)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 무제(武帝) 때의 문신ㆍ문인. 일찍이 문장 육수(陸倕)로부터 청루 붓을 받는 꿈을 꾼 뒤 문장이 크게 진보되었다고 함. 초서에 능하고, 기실참군(記室參軍) 등을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천(柳川) - 한준겸(韓浚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을 지낸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인조의 장인. 예학(禮學)과 국가의 고사(故事)에 밝고,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편찬에 참여함.
1557~16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천문집(柳川文集) - 유천유고(柳川遺稿)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한준겸(韓浚謙)의 시문집. 목판본. 2권 1책. 1639년(인조 17)경에 아들 한회일(韓會一)이 간행함.
163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유천자(劉天子)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천집(柳川集) - 유천유고(柳川遺稿)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한준겸(韓浚謙)의 시문집. 목판본. 2권 1책. 1639년(인조 17)경에 아들 한회일(韓會一)이 간행함.
163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유천태산부(遊天台山賦) - 천태산부(天台山賦)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인 손작(孫綽)이 지은 작품. 천태산의 멋진 경치를 섬세한 필치로 묘사하고, 친구인 범계(范啓)에게 문장을 자랑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유철(劉徹)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철(維喆) - 하원길(夏原吉)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다섯 명의 황제를 보좌한 명대신으로, 호부 상서(戶部尙書) 등을 지냈으며, 죽은 후 대신 최고의 영예인 ‘태사(太師)’에 추증됨. 저서에 《하충정집(夏忠靖集)》 등이 있음.
1366~143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청(幼淸)@권결 - 권결(權潔)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幼學). 권윤희(權胤禧)의 아들로, 과거에는 뜻을 두지 않고 경서를 깊이 연구하며 이이(李珥)ㆍ성혼(成渾)과 교유함. 이이가 전형(銓衡)으로 있을 때 그의 명석함을 알고 벼슬할 것을 권하였으나 끝내 나아가지 않음.
1534~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유청(幼淸)@이형 - 이형(李泂)@이효충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전첨사 녹사(典籤司錄事)를 지낸 이효충(李孝忠)의 아들.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청(幼淸) - 오징(吳澄)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천문학(天文學)에 밝아 《찬언(纂言)》을 저술하였는데, 조선시대에 혼천의(渾天儀)를 만드는 데 기본틀이 됨.
1249~133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유청(惟淸)@최유청 - 최유청(崔惟淸)
고려 예종(睿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주(東州)로, 최석(崔奭)의 아들. 사신으로 송(宋) 나라와 금(金) 나라에 다녀오고, 집현전 대학사(集賢殿大學士) 등을 지냄. 경사(經史)와 불경(佛經)에 밝았으며 글씨에도 뛰어남.
1095~1174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유청(惟淸) - 이유청(李惟淸)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난공신(定難功臣)에 책록되고,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을 몰아내는 데 가담하였으며, 좌의정 등을 지냄.
1459~153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초(有初) - 김수성(金遂性)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성균관 유생으로 조광조(趙光祖)의 석방을 탄원했으며, 주로 삼사(三司)의 언관직(言官職)을 역임함.
?~154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촌(柳村)@한응인 - 한응인(韓應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부사직(副司直) 한경남(韓敬男)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하여 수차례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임진왜란 때 원군을 이끌고 온 이여송(李如松)의 접반관(接伴官)이 됨.
1554~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촌(柳村) - 황여헌(黃汝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장수(長水).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으로,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낸 황관(黃瓘)의 아들이며 황맹현(黃孟獻)의 아우. 문장과 글씨에 능하며, 〈죽지사(竹枝詞)〉라는 작품은 명(明) 나라에서도 격찬을 받음.
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총(劉聰) - 무제(武帝)@남북조(전조)
중국 남북조시대 전조(前趙)의 왕. 재위 310~318. 고조(高祖) 유연(劉淵)의 넷째 아들로, 형인 태자 유화(劉和)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함. 즉위 후 진(晉) 나라를 공격하여 회제(懷帝)와 민제(愍帝)를 사로잡는 등 폭정을 일삼다가 국란(國亂) 속에 죽음.
?~3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총병(劉總兵) - 유정(劉綎)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유현(劉顯)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참전하여 동일원(董一元)과 함께 제독(提督)의 직책을 수행하면서 크게 활약함. 후에 요동(遼東)에서 후금(後金)을 정벌하던 중 전사함.
?~161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유최기(兪最基) - 유최기(兪㝡基)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정미환국 때 소론의 거두 이광좌(李光佐)의 횡포를 반박하고, 신임사화로 죽은 노론의 거두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의 신원(伸寃)과 소론의 음모사실을 논박함.
1689~17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유추(有秋)@이치 - 이치(李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인로(李仁老)의 아들로, 판교(判校)를 지냄. 동생 이여(李畬)와 함께 진천(鎭川)에 거주하면서 풍속 교화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유추(有秋)@임흥 - 임흥(任興)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장악원(掌樂院)의 직장(直長)과 주부(主簿)를 역임함. 어려서부터 음악을 배워서 관현(管絃)에 조예가 깊었고, 특히 거문고에 능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유추(有秋) - 이여(李畬)@1503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인로(李仁老)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문학(文學) 등을 지내고 학문연구에 힘써 역학(易學)에 정통함. 형 이치(李菑)와 함께 진천(鎭川)에 거주하면서 풍속 교화에 힘씀.
1503~154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유추(有秋)@전유추 - 전유추(田有秋)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담양(潭陽)으로, 전영발(田穎發)의 아들. 장흥(長興)의 감호(甘湖)에 은거하여 평생 후학 교육에 힘썼으며, 감호사(鑑湖祠)에 배향됨.
1594~167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학자
-
유춘(囿春) - 정태화(鄭太和)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효종(孝宗)의 부마인 정재륜(鄭載崙)의 생부. 뛰어난 문재(文才)와 바른 처신으로 주요 관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領議政) 재임시 예송(禮訟) 논쟁, 대동법(大同法) 시행 등의 국무를 처결함.
1602~16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춘(有春) - 유유춘(柳有春)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문화(文化). 선조(宣祖) 때 교리(校理)를 지낸 유중룡(柳仲龍)의 아버지로 충의위(忠義衛)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무신
-
유충(惟忠) - 오유충(吳惟忠)
중국 명(明) 나라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조선에 원군으로 파견되어 참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유충(有忠) - 송유충(宋有忠)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서원군(西原君) 송훤(宋暄)의 아버지로,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청주군(淸州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유충(有忠) - 송유충(宋有忠)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서원군(西原君) 송훤(宋暄)의 아버지로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청주군(淸州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유취(類聚) - 의방유취(醫方類聚)
조선 세종(世宗) 때 왕명으로 편찬된 의학사전.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ㆍ《동의보감(東醫寶鑑)》과 함께 조선시대 3대 의서(醫書)로 꼽힘.
14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유치산(游廌山)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칠(柳七) - 유영(柳永)
중국 북송(北宋)의 문인. 사(詞)에 능숙하여, 북송의 주방언(周邦彦), 남송(南宋)의 강기(姜夔)ㆍ신기질(辛棄疾)과 함께 사대사인(四大詞人)으로 불림. 저서에 《악장집(樂章集)》이 있음.
987~105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유침(劉枕) - 유령(劉伶)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술을 좋아하여 항상 술을 지니고 다녔으며, 〈주덕송(酒德頌)〉을 지어 술을 예찬함. 세속을 초월한 애주가(愛酒家)의 전형으로 일컬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유침(惟沈) - 정유침(鄭惟沈)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문신인 정자(鄭滋)ㆍ정철(鄭澈)과 인종(仁宗)의 후궁인 귀인정씨(貴人鄭氏)의 아버지로, 돈녕부 판관(敦寧府判官)을 지냄.
1493~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탄(柳灘) - 진호(秦浩)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풍기(豊基). 예조 참의(禮曹參議) 진유경(秦有經)의 아버지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선공감 정(繕工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유태(惟泰) - 이유태(李惟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동부승지(同副承旨) 등을 지내고 예학(禮學)에 뛰어났으며,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ㆍ윤선거(尹宣擧)ㆍ유계(兪棨)와 더불어 호서산림(湖西山林) 오현(五賢)으로 일컬어짐. 저서로는 《초려집(草廬集)》 등이 있음.
1607~168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유태감(劉太監) - 유원(劉遠)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1545년 조선 인종(仁宗)의 국상(國喪) 때 태감(太監)으로서 행인(行人) 왕학(王鶴)과 함께 황제가 내린 제전(祭典)ㆍ시호(諡號)ㆍ부의(賻儀)를 가지고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유통군(劉統軍) - 유창예(劉昌裔)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무신. 양혜림(楊惠琳)이 반란을 일으키자 그를 설복(說服)시킴. 검교상서좌복야 겸 좌룡무통군(檢校尙書左僕射兼左龍武統軍) 등을 지내고 팽성군공(彭城郡公)에 봉해짐.
?~81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유파산(柳巴山) - 유중엄(柳仲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유공석(柳公奭)의 아들. 종질인 유성룡(柳成龍)ㆍ유운룡(柳雲龍)과 함께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동문수학함. 황준량(黃俊良)ㆍ오건(吳健) 등과 교유함.
1538~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유패공(劉沛公)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평(游平) - 두무(竇武)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의 비(妃)인 두후(竇后)의 아버지. 진번(陳蕃)과 함께 국정을 보필하였으며, 환제가 죽은 뒤 영제(靈帝)를 옹립하여 이응(李膺)ㆍ두밀(杜密)과 함께 환관 조절(曹節)ㆍ왕보(王甫) 등을 죽이려다 발각되어 자결함.
?~16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유평보(劉平甫) - 유평(劉玶)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유자휘(劉子翬)의 아들로, 소무군사호참군(邵武軍司戶參軍) 등을 역임하였으며 주희(朱熹) 등과 교유함.
1138~11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포(柳浦) - 구인후(具仁垕)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무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국왕을 호위한 공으로 어영대장(御營大將)이 되고 영국공신(寧國功臣)에 책록됨. 벼슬은 좌의정(左議政)에 이름.
1578~165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유풍악록(遊楓嶽錄) - 관동록(關東錄)@홍인우
조선 전기의 학자인 홍인우(洪仁祐)가 관동(關東) 지방을 유람하고 쓴 일기체 기행문 형식의 책. 1책. 목판본.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유필(惟弼) - 문유필(文惟弼)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덕병(德柄) 문극겸(文克謙)의 아들로, 추밀원사(樞密院使)ㆍ판삼사사(判三司事) 등을 지냄.
?~122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유하(劉賀) - 폐제(廢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황제. 무제(武帝)의 손자로, 소제(昭帝)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으나 음란하고 무절제한 생활로 인해 27일만에 곽광(霍光) 등 대신들에 의하여 폐위됨.
?~B.C.5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하(柳下)@김진옥 - 김진옥(金鎭玉)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승지(承旨)를 지낸 김만균(金萬均)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음보(蔭補)로 기용된 뒤 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대보단(大報壇)을 건의(建議)하여 설치됨.
1659~17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유하(柳下) - 황여헌(黃汝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장수(長水).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으로,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낸 황관(黃瓘)의 아들이며 황맹현(黃孟獻)의 아우. 문장과 글씨에 능하며, 〈죽지사(竹枝詞)〉라는 작품은 명(明) 나라에서도 격찬을 받음.
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유하동(柳河東) - 유종원(柳宗元)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당송팔대가(唐宋八代家)의 한 사람. 고문(古文)의 대가로서 한유(韓愈)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 우언(寓言) 형식을 취한 풍자문(諷刺文)과 산수(山水)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
773~81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문인
-
유함(惟咸) - 백유함(白惟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조 정랑(吏曹正郞)이 되었을 때 당쟁이 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다가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 때 복직함. 임진왜란 때 의주(義州)로 왕을 호종(扈從)했고, 명사(明使) 정응태(丁應泰)를 접반(接伴)함.
1546~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유함(惟諴) - 이유함(李惟諴)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하수일(河受一)의 매서(妹壻)로, 1591년(선조 2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장원하여 영천 군수(榮川郡守) 등을 지냄.
1557~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유합(類合) - 신증유합(新增類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유희춘(柳希春)이 《유합(類合)》을 증보하고 수정하여 편찬한 한자 입문서. 《천자문(千字文)》ㆍ《훈몽자회(訓蒙字會)》등과 함께 널리 이용됨. 2권 1책.
157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유항(劉恒) - 문제(文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5대 황제. 재위 B.C.180~B.C.157. 전조(田租)ㆍ인두세(人頭稅) 감면, 가혹한 형벌 폐지, 흉노에 대한 화친정책 등으로 민생 안정과 국력 배양에 힘씀.
B.C.202~B.C.15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항(有恒) - 탁유항(卓有恒)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련(卓璉)의 맏아들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정주 , 인명>관인>문신
-
유항(柳巷) - 한수(韓脩)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서예가. 이제현(李齊賢)에게 경사(經史)와 서법(書法)을 배우고,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하였으며, 찬화공신(贊化功臣)에 책록됨. 지행과 식견이 뛰어나고, 특히 글씨에 능하여 많은 필적을 남김.
1333~138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유항선생시집(柳巷先生詩集) - 유항시집(柳巷詩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서예가인 한수(韓脩)의 저서. 저자의 문인(門人)인 성석용(成石瑢)과 이통훈(李通訓)이 1400년(정종 2) 전라도 금산(錦山)에서 간행함. 1책. 목판본.
140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산 , 문헌>서명
-
유항선생집(柳巷先生集) - 유항시집(柳巷詩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서예가인 한수(韓脩)의 저서. 저자의 문인(門人)인 성석용(成石瑢)과 이통훈(李通訓)이 1400년(정종 2) 전라도 금산(錦山)에서 간행함. 1책. 목판본.
140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산 , 문헌>서명
-
유해(幼海) - 소해(少海)
《산해경(山海經)》에 무고산(無皐山)의 남쪽에 있다는 바다. 천자(天子)는 대해(大海)에 비유하고 태자(太子)는 소해(少海)에 비유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유해(有海) - 최유해(崔有海)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1624년(인조 2) 안변 부사(安邊府使) 시절 명(明) 나라의 모문룡(毛文龍)에게 군량을 공급함. 지방관으로 재직하면서 선정을 베풀어 곳곳에 송덕비(頌德碑)가 세워지고, 의약ㆍ복서ㆍ천문에 밝음.
1587~164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유행(攸行) - 성봉조(成奉祖)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엄(成揜)의 아들이며, 세조(世祖)의 동서(同壻)로, 성종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 등을 역임함.
1401~14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유헌(游軒) - 정황(丁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사산감역(四山監役) 정세명(丁世明)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이기(李芑)의 논계로 파직되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유배됨.
1512~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유헌선생유고(游軒先生遺稿) - 유헌집(游軒集)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정황(丁熿)의 문집. 5대손인 정재흥(丁載興)에 의해 편집ㆍ간행되고, 송상기(宋相琦)의 서문과 민진후(閔鎭厚)의 발문이 있음.
17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문헌>서명
-
유헌선생집(游軒先生集) - 유헌집(游軒集)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정황(丁熿)의 문집. 5대손인 정재흥(丁載興)에 의해 편집ㆍ간행되고, 송상기(宋相琦)의 서문과 민진후(閔鎭厚)의 발문이 있음.
17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문헌>서명
-
유현(劉玄) - 경시제(更始帝)
중국 후한(後漢)의 황제. 재위 23~25. 광무제(光武帝)의 족형(族兄). 평림병중(平林兵中)에 있으면서 경시 장군(更始將軍)이라 불렸으며, 그 후 추대되어 황제(皇帝)의 자리에 올랐으나 군중의 여망(輿望)을 잃고 적미군(赤眉軍)에게 살해됨.
?~2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현덕(劉玄德) - 소열제(昭烈帝)
중국 삼국시대 촉(蜀)의 제1대 황제. 재위 221~223. 후한(後漢)의 영제(靈帝) 때 황건적을 쳐서 공을 세우고, 후에 제갈량(諸葛亮)의 도움을 받아 오(吳) 나라의 손권(孫權)과 함께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격파함.
161~223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협(劉協) - 헌제(獻帝)
중국 후한(後漢) 최후의 황제. 재위 189~220. 영제(靈帝)의 아들로, 아홉 살 때 동탁(董卓)에 의해 왕위에 오르고 조조(曹操)의 도움으로 자리를 유지하였으나, 후에 위(魏) 나라 문제(文帝)로 등극한 조비(曹丕)에 의해 폐위됨.
181~23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혜(柳惠) - 유하혜(柳下惠)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사사(士師)의 직책을 수행할 때 세 번이나 쫓겨나면서도 직도(直道)를 견지하였던 고사로 유명하며, ‘화성(和聖)’으로 일컬어짐.
B.C.720~B.C.6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유호(劉祜) - 안제(安帝)@후한
중국 후한(後漢)의 제6대 황제. 재위 106~125. 청하왕(淸河王) 유경(劉慶)의 아들로, 상제(殤帝)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되었으나 등태후(鄧太后)의 섭정으로 실권을 행사하지 못함.
94~12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호(有怙) - 탁유호(卓有怙)
조선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지낸 탁련(卓璉)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정주 , 인명>문사>유학
-
유호호(柳浩浩) - 유회(柳淮)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흥양(興陽). 유서량(柳恕良)의 아들로, 1558년(명종 1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팔곡(八谷) 구사맹(具思孟)과는 죽마지우(竹馬之友) 사이.
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유화부인(柳花婦人) - 유화(柳花)
고구려(高句麗)의 시조(始祖)인 동명왕(東明王) 주몽(朱蒙)의 어머니. 고구려 건국 신화에 따르면 아버지는 수신(水神)인 하백(河伯)이고, 천제(天帝)의 아들 해모수(解慕漱)를 만나 주몽을 낳았다고 함.
?~B.C.24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후궁
-
유회중(柳晦仲) - 유종일(柳宗日)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유함(柳諴)의 아들이며, 조계(潮溪) 유종지(柳宗智)의 동생.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그가 병문안을 온 데 대해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유후(劉后) - 문덕왕후(文德王后)
고려 제6대 성종(成宗)의 비(妃). 고려 제4대 왕인 광종(光宗)의 딸.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유후(留侯) - 장량(張良)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공신. 유방(劉邦)에게 적재의 간언을 올려 항우(項羽)를 제압하고 한(漢) 왕조를 여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말년에 유방의 시의심(猜疑心)을 알아채고 적송자(赤松子)처럼 은거함.
?~B.C.168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유후(裕後) - 김지경(金之慶)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중종(中宗) 때 좌의정을 지낸 김응기(金應箕)의 아버지로, 공조 참판(工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19~14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유훤(劉烜) - 장제(章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3대 황제. 재위 75~88. 그의 사후 왕후인 두태후(竇太后)가 섭정을 하고, 외척 두헌(竇憲)이 권력을 휘두름.
?~8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흔(劉欣) - 애제(哀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0대 황제. 재위 B.C.7~B.C.1. 재위 중에 외척 세력을 조정에서 척결했으나, 말년에 다시 외척이 정치에 깊이 간여하여 조정이 혼란에 빠지고 정치도 부패해짐.
B.C.26~B.C.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유흥백(柳興伯) - 유창문(柳昌門)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예빈시 별제(禮賓寺別提) 유윤(柳潤)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도승지(都承旨) 유인숙(柳仁淑)의 일가라는 이유로 이조 정랑(吏曹正郞) 직책을 삭탈당하였으며, 후에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역임함.
1514~1570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유희로(柳希魯) - 유중련(柳仲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豐山). 권호문(權好文)과 함께 안동(安東)의 학가산사(鶴駕山寺)에서《서경(書經)》ㆍ《주역(周易)》을 강독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