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유희범(柳希范) - 유중엄(柳仲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유공석(柳公奭)의 아들. 종질인 유성룡(柳成龍)ㆍ유운룡(柳雲龍)과 함께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동문수학함. 황준량(黃俊良)ㆍ오건(吳健) 등과 교유함.
1538~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육(堉) - 김육(金堉)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풍(淸風). 대동법(大同法) 실시, 수차(水車)ㆍ수레 사용, 화폐 통용 등을 주장한 정치관료로서 실학사상에 영향을 주었으며,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580~165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가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육(稑)@박륙 - 박륙(朴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교리(校理)를 지낸 박문간(朴文幹)의 아들로, 1511년(중종 6) 별시(別試)로 급제하여 호조 참의(戶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육(稑)@권육 - 권육(權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의 부친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질서(姪壻).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육(稑) - 권륙(權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명종(明宗) 때의 유학인 권선문(權善文)과 학자인 권호문(權好文)의 아버지로, 안주 교수(安州敎授)를 지냄.
?~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육(育) - 조육(趙育)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낸 조충손(趙衷孫)의 아버지로, 의영고 사(義盈庫使)를 지내고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육(陸)@장륙 - 장륙(張陸)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에 등과하여 창수(倉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구 , 인명>관인>문신
-
육(陸) - 이륙(李陸)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지(李墀)의 아들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438~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육^약(六^略) - 도^약(韜^略)
중국 주(周) 나라의 신하인 여상(呂尙)이 지었다는 《육도(六韜)》와, 진(秦) 나라 말의 병법가(兵法家) 황석공(黃石公)이 지었다는 《삼략(三略)》을 함께 부르는 말. 병법(兵法) 또는 병서(兵書)를 가리킴.
중국>진ㅣ중국>주 ,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육^주(陸^朱) - 주^육(朱^陸)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와 육구연(陸九淵)을 함께 부르는 말. 송대 성리학(性理學)의 발전에 기여한 두 학자를 말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육경여(陸敬輿) - 육지(陸贄)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신. 덕종이 두 차례 피난길에 올랐을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로서 항상 곁에서 조칙(詔勅)의 기초와 정책(政策) 입안을 담당하였으므로 ‘내상(內相)’이라 일컬어짐.
754~80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육곡(六谷) - 서필원(徐必遠)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여(扶餘). 김집(金集)ㆍ정홍명(鄭弘溟)의 문인으로, 강화 유수(江華留守) 등을 지냄.
1614~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육곡선생유고(六谷先生遺稿) - 육곡유고(六谷遺稿)
조선 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서필원(徐必遠)의 문집. 6권 3책. 활자본. 후손인 서영지(徐榮智)와 서영인(徐榮仁)이 편집ㆍ간행함.
186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육구연문집(陸九淵文集) -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인 육구연(陸九淵)의 시문집. 36권 16책. 목판본. 1205년 아들 육지지(陸持之)가 자료를 수집하여 찬하였고, 1212년 원섭(袁燮)이 간행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중간(重刊)됨.
121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육구연집(陸九淵集) -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인 육구연(陸九淵)의 시문집. 36권 16책. 목판본. 1205년 아들 육지지(陸持之)가 자료를 수집하여 찬하였고, 1212년 원섭(袁燮)이 간행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중간(重刊)됨.
121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육국정(陸國正) - 육구연(陸九淵)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지형문군(知荊門軍) 등을 지냄. 주희(朱熹)의 성즉리설(性卽理說)에 반대하여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주장하고, 저서로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을 남김.
1139~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육모정(六慕亭) - 양산수(梁山秀)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병절교위(秉節校尉)를 지낸 양응기(梁應箕)의 아들.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육방옹(陸放翁) - 육유(陸游)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지냄. 조국을 침략한 금(金) 나라에 대한 철저한 항쟁을 주장하고, 시를 통해 그 분노를 표출하는 한편 일상생활의 자적함을 동시에 표현함.
1125~121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육봉(六峯) - 박우(朴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가들의 미움을 받았으나 소신을 굽히지 않았으며, 지방관을 지낼 때 선정(善政)을 베풀어 포상을 받음.
1476~15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육사형(陸士衡) - 육기(陸機)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 육조시대(六朝時代) 화려한 시풍의 선구자로, 동생 육운(陸雲)과 함께 ‘이륙(二陸)’으로 일컬어지고, 《문부(文賦)》 등을 저술함. 혜제(惠帝) 때 팔왕(八王)의 난(亂)에 휘말려 동생과 함께 죽임을 당함.
261~30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육산(六山) - 의무려산(醫巫閭山)
중국 요령성(遼寧省)에 있는 산 이름. 순(舜) 임금이 십이산(十二山)을 봉할 때에 유주(幽州)의 진산(鎭山)으로 삼았고, 산세(山勢)가 6리를 덮으므로 육산(六山)이라고도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육상산(陸象山) - 육구연(陸九淵)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지형문군(知荊門軍) 등을 지냄. 주희(朱熹)의 성즉리설(性卽理說)에 반대하여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주장하고, 저서로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을 남김.
1139~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육상산선생전집(陸象山先生全集) -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인 육구연(陸九淵)의 시문집. 36권 16책. 목판본. 1205년 아들 육지지(陸持之)가 자료를 수집하여 찬하였고, 1212년 원섭(袁燮)이 간행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중간(重刊)됨.
121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육상산집(陸象山集) -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인 육구연(陸九淵)의 시문집. 36권 16책. 목판본. 1205년 아들 육지지(陸持之)가 자료를 수집하여 찬하였고, 1212년 원섭(袁燮)이 간행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중간(重刊)됨.
121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육선공(陸宣公) - 육지(陸贄)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신. 덕종이 두 차례 피난길에 올랐을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로서 항상 곁에서 조칙(詔勅)의 기초와 정책(政策) 입안을 담당하였으므로 ‘내상(內相)’이라 일컬어짐.
754~80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육선공전집(陸宣公全集) - 육선공한원집(陸宣公翰苑集)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신인 육지(陸贄)의 문집. 《육선공주의(陸宣公奏議》와 제고(制告)를 합하여 만든 것으로 총 22권. 그의 상주문은 시폐를 직언하고 자신의 정치에 대한 강한 책임감과 정열을 담고 있어, 치국의 귀감이 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육선생(六先生) - 사육신(死六臣)
조선 세조(世祖) 때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다가 사전에 발각되어 순사(殉死)한 여섯 신하. 생육신(生六臣)의 대칭(對稱)으로 쓰임.
1456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조직
-
육순(陸淳) - 육질(陸質)
중국 당(唐) 나라의 유학자. 유종원(柳宗元)ㆍ여온(呂溫) 등과 교류하고, 《춘추집전찬례(春秋集傳纂例)》ㆍ《춘추집전변의(春秋集傳辨疑)》ㆍ《춘추미지(春秋微旨)》등을 지음.
?~80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육식후(肉食侯) - 반초(班超)
중국 후한(後漢)의 무신. 반표(班彪)의 아들로, 31년간 서역(西域)에 머물면서 흉노(匈奴)의 지배 아래 있던 국가들을 평정하여 서역도호(西域都護)가 되고 정원후(定遠侯)에 봉해짐.
32~10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육신(六臣) - 사육신(死六臣)
조선 세조(世祖) 때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다가 사전에 발각되어 순사(殉死)한 여섯 신하. 생육신(生六臣)의 대칭(對稱)으로 쓰임.
1456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조직
-
육신사당(六臣祠堂) - 육신사(六臣祠)@영월
조선 숙종(肅宗) 때 강원도 영월(寧越)에 세운 사당. 사육신(死六臣)과 엄흥도(嚴興道) 등을 배향함.
168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영월 , 유적>건물>사당
-
육신사우(六臣祠宇) - 육신사(六臣祠)@영월
조선 숙종(肅宗) 때 강원도 영월(寧越)에 세운 사당. 사육신(死六臣)과 엄흥도(嚴興道) 등을 배향함.
168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영월 , 유적>건물>사당
-
육신서원(六臣書院) - 충곡서원(忠谷書院)@연산
조선 숙종(肅宗) 때 충청도 연산(連山)에 건립된 서원. 1692년(숙종 18)에 창건되었으며, 백제의 계백(階伯)과 조선의 사육신(死六臣) 등 모두 18인을 배향함. 지금의 충청남도 논산시(論山市)에 속함.
169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육십사괘원도(六十四卦圓圖) - 육십사괘방위도(六十四卦方位圖)
《주역(周易)》에서 모든 천지만물을 상징하기 위해 64개의 괘(卦)로 설정한 방위도.
중국 , 문헌>작품명
-
육씨경(陸氏經) - 다경(茶經)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 육우(陸羽)가 지은, 대표적인 다도(茶道)에 관한 책. 3권.
760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육양안락향후(育陽安樂鄕侯) - 호광(胡廣)
중국 후한(後漢) 안제(安帝)~영제(靈帝) 때의 문신. 태부(太傅) 등을 지내고, 여섯 명의 황제를 보좌한 나라의 원로(元老)로서 모든 정무(政務)를 잘 처리하여 ‘중용(中庸)의 재상’으로 일컬어짐.
91~17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육양후(育陽侯) - 조절(曹節)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환관. 환관 왕보(王甫)와 함께 진번(陳蕃)ㆍ두무(竇武)ㆍ이응(李膺) 등을 살해하고 청류세력을 탄압하여 제2차 당고(黨錮)의 화(禍)를 일으킴.
?~18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육여(六如) - 당인(唐寅)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화가ㆍ문인. 주신(周臣)의 제자로, 남종화(南宗畵)와 북종화(北宗畵)를 융합하여 이후 오파(吳派)의 문인화풍(文人畵風)에 영향을 주고, 문장에도 뛰어나 《당인집(唐寅集)》을 남김.
1470~1523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육여거사(六如居士) - 당인(唐寅)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의 화가ㆍ문인. 주신(周臣)의 제자로, 남종화(南宗畵)와 북종화(北宗畵)를 융합하여 이후 오파(吳派)의 문인화풍(文人畵風)에 영향을 주고, 문장에도 뛰어나 《당인집(唐寅集)》을 남김.
1470~1523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육영(六霙) - 육영(六英)
중국 고대 제곡(帝嚳) 고신씨(高辛氏)가 지은 음악. 육합(六合), 즉 천지와 사방의 영화(英華)를 총괄하였음을 칭송한 내용임.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육영(六韺) - 육영(六英)
중국 고대 제곡(帝嚳) 고신씨(高辛氏)가 지은 음악. 육합(六合), 즉 천지와 사방의 영화(英華)를 총괄하였음을 칭송한 내용임.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육오당(六吾堂) - 기의헌(奇義獻)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정묘(丁卯)ㆍ병자(丙子)의 난(亂)에 의병을 일으켰고, 역학ㆍ의학에 밝음. 기우만(奇宇萬)이 작성한 묘갈명(墓碣銘)이 있음.
1587~165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육우(六友) - 김구용(金九容)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우왕 때 삼사 좌윤(三司左尹)으로 이숭인(李崇仁)ㆍ정도전(鄭道傳) 등과 북원(北元)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竹州)로 귀양 감. 사장(詞章)에 뛰어나고, 특히 시(詩)로 유명함.
1338~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육우당(六友堂) - 김구용(金九容)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우왕 때 삼사 좌윤(三司左尹)으로 이숭인(李崇仁)ㆍ정도전(鄭道傳) 등과 북원(北元)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竹州)로 귀양 감. 사장(詞章)에 뛰어나고, 특히 시(詩)로 유명함.
1338~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육유(陸遊) - 육유(陸游)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문인.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지냄. 조국을 침략한 금(金) 나라에 대한 철저한 항쟁을 주장하고, 시를 통해 그 분노를 표출하는 한편 일상생활의 자적함을 동시에 표현함.
1125~121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육유당(六有堂) - 권격(權格)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춘추관 기주관(春秋官記注官)을 역임했으며《효종실록(孝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620~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육육(六六) - 이어(鯉魚)
잉어. 효성(孝誠)ㆍ서신(書信)ㆍ길몽(吉夢)ㆍ입신출세(立身出世)를 뜻하는 상징물로 많이 쓰임.
자연물>동물
-
육육린(六六鱗) - 이어(鯉魚)
잉어. 효성(孝誠)ㆍ서신(書信)ㆍ길몽(吉夢)ㆍ입신출세(立身出世)를 뜻하는 상징물로 많이 쓰임.
자연물>동물
-
육을(六乙) - 정육을(鄭六乙)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정여창(鄭汝昌)의 아버지로, 의주 통판(義州通判)ㆍ함길도 병마우후(咸吉道兵馬虞侯)를 지냈고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피살당함.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에 추증되었음.
?~14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무신
-
육의(陸議) - 육손(陸遜)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무신. 대제(大帝)의 도독(都督)으로서 형주(荊州)를 쳐 빼앗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함. 유비(劉備)를 이릉(夷陵)에서 패퇴시키고, 조휴(曹休)의 군대를 무찌르는 등 많은 전공을 세움.
183~24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육익(六翼) - 음성(陰城)
충청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북쪽으로는 충주(忠州), 남쪽으로는 괴산(槐山)ㆍ청안(淸安), 서쪽으로는 진천(鎭川)에 접해 있음.
충청도>음성 , 지명>행정지명
-
육인(六人) - 생육신(生六臣)
조선시대 단종(端宗)이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절의(節義)를 지킨 여섯 신하. 사육신(死六臣)의 대칭(對稱)으로 쓰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조직
-
육일(六一) - 구양수(歐陽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유(韓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古文) 부흥에 힘씀. 추밀부사(樞密副使)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육일(六逸) - 죽계육일(竹溪六逸)
중국 당(唐) 나라 천보(天寶) 연간에 태안부(泰安府) 조래산(徂徠山) 아래 죽계(竹溪)에 모여 날마다 술과 노래를 즐기며 세속을 초일(超逸)한 여섯 명의 문인. 이백(李白)ㆍ공소보(孔巢父)ㆍ한준(韓準)ㆍ배정(裵政)ㆍ장숙명(張叔明)ㆍ도면(陶沔)을 말함.
중국>당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육일거사(六一居士) - 구양수(歐陽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유(韓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古文) 부흥에 힘씀. 추밀부사(樞密副使)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육일옹(六一翁) - 구양수(歐陽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유(韓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古文) 부흥에 힘씀. 추밀부사(樞密副使)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육일우(六日雨) - 세거우(洗車雨)
칠석(七夕) 전날인 음력 7월 6일에 내리는 비를 일컫는 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서로 타고 갈 수레를 씻기 때문에 내리는 비라 함.
사상>현상>자연현상
-
육자수(陸子壽) - 육구령(陸九齡)
중국 송(宋) 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아우 육구연(陸九淵)과 더불어 서로 사우(師友)가 되어 아호(鵝湖)에서 강학하면서 ‘이륙(二陸)’으로 일컬어졌으며, 전주 교수(全州敎授) 등을 역임함.
1132~118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육자전서(陸子全書) -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인 육구연(陸九淵)의 시문집. 36권 16책. 목판본. 1205년 아들 육지지(陸持之)가 자료를 수집하여 찬하였고, 1212년 원섭(袁燮)이 간행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중간(重刊)됨.
121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육자정(陸子靜) - 육구연(陸九淵)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지형문군(知荊門軍) 등을 지냄. 주희(朱熹)의 성즉리설(性卽理說)에 반대하여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주장하고, 저서로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을 남김.
1139~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육전(六典) -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 세조(世祖) 때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成宗) 때 완성된 조선시대 통치의 기본 법전. 조선 건국 전후부터 1484년(성종 15)에 이르기까지 약 100년간의 왕명ㆍ교지(敎旨)ㆍ조례(條例) 중 영구히 준수할 것을 모아 엮음. 6권 4책. 인본(印本).
1485 한국>조선전기 , 법제>법률ㅣ문헌>서명
-
육조(六祖) - 혜능(慧能)@당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선종(禪宗)의 제6조(第六祖). 신수(神秀)와 함께 홍인(弘忍) 문하의 이대선사(二大禪師)로, 후에 북종선(北宗禪)은 신수의 점수설(漸修說)을, 남종선(南宗禪)은 혜능의 돈오설(頓悟說)을 계승함.
638~71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육조대사(六祖大師) - 혜능(慧能)@당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선종(禪宗)의 제6조(第六祖). 신수(神秀)와 함께 홍인(弘忍) 문하의 이대선사(二大禪師)로, 후에 북종선(北宗禪)은 신수의 점수설(漸修說)을, 남종선(南宗禪)은 혜능의 돈오설(頓悟說)을 계승함.
638~71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육지(陸之) - 장륙(張陸)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에 등과하여 창수(倉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구 , 인명>관인>문신
-
육질(陸疾) - 육우(陸羽)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인. 고조시가(古調詩歌)에 뛰어났으며, 특히 다도(茶道)에 정통하여 차에 관한 전문서적인《다경(茶經)》을 저술하였고, 후세에 ‘다성(茶聖)’으로 일컬어짐.
733~80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육충신(六忠臣) - 사육신(死六臣)
조선 세조(世祖) 때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다가 사전에 발각되어 순사(殉死)한 여섯 신하. 생육신(生六臣)의 대칭(對稱)으로 쓰임.
1456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조직
-
육편(六篇) - 육경(六經)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6가지 경서(經書). 《시경(詩經)》ㆍ《서경(書經)》ㆍ《예기(禮記)》ㆍ《악기(樂記)》ㆍ《역경(易經)》ㆍ《춘추(春秋)》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육평원(陸平原) - 육기(陸機)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 육조시대(六朝時代) 화려한 시풍의 선구자로, 동생 육운(陸雲)과 함께 ‘이륙(二陸)’으로 일컬어지고, 《문부(文賦)》 등을 저술함. 혜제(惠帝) 때 팔왕(八王)의 난(亂)에 휘말려 동생과 함께 죽임을 당함.
261~30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육현(六賢) - 생육신(生六臣)
조선시대 단종(端宗)이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절의(節義)를 지킨 여섯 신하. 사육신(死六臣)의 대칭(對稱)으로 쓰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집단>조직
-
윤(倫)@채륜 - 채륜(蔡倫)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평해 현감(平海縣監) 채신보(蔡申保)의 아버지로, 필선(弼善)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윤(倫)@정륜 - 정륜(鄭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영의정(領議政) 정인홍(鄭仁弘)의 아버지로, 영의정(領議政)에 추봉됨.
15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윤(倫)@성륜 - 성륜(成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세정(成世貞)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냈으나, 김안로(金安老)와 편당(偏黨)을 짓는다는 세평(世評)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윤(倫) - 김륜(金倫)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렬왕ㆍ충혜왕(忠惠王) 등을 시종해 원(元) 나라에 가 외교문제를 해결함.
1277~134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允) - 고윤(高允)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 태무제(太武帝) 때의 문신. 청렴결백하여 국사필화사건(國史筆禍事件) 때 죽음을 면함.
390~4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윤(奫) - 지윤(池奫)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충주(忠州). 이성계(李成桂)의 맏아들 진안대군(鎭安大君)의 장인.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지냈으며, 고려 말 친원파(親元派)로서 이인임(李仁任) 등과 함께 친원정책을 비판하는 정도전(鄭道傳)ㆍ박상충(朴尙衷) 등을 비판하였으나, 1375년(우왕 1) 이인임에게 숙청당함.
?~1377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무신
-
윤(姜綸)@강륜 - 강륜(姜綸)
조선 중종(中宗) 때 남해(南海)의 유학. 대유(大柔) 김구(金絿)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남해에 유배되었을 때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문사>유학
-
윤(崙) - 김륜(金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김봉(金崶)의 형. 1468년(세조 14)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윤(崙)@신륜 - 신륜(辛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예조 참의(禮曹參議) 신필주(辛弼周)의 아들로, 조식(曺植)과 교유하였으며, 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역임함.
1504~15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윤(崙)@하륜 - 하륜(河崙)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동국사략(東國史略)》과 《태조실록(太祖實錄)》 등을 편찬함. 외교정책에 능하여 명(明) 나라와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등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함.
1347~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崙)@이륜 - 이륜(李崙)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우봉(牛峯).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를 지낸 이응원(李應元)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문사>유학
-
윤(康崙)@강륜 - 강륜(康崙)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신천(信川). 절충장군(折衝將軍) 강희철(康希哲)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종 때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윤(潤) - 박윤(朴潤)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고령(高靈). 박계조(朴繼祖)의 아들로, 고령에 죽연정(竹淵亭)을 지어 그곳에서 심성을 도야함. 《남명집(南冥集)》에 〈죽연정증윤진사규(竹淵亭贈尹進士奎)〉라는 작품이 실려 있음.
1517~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학자
-
윤(潤)@유윤 - 유윤(柳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문화(文化). 대구부 교수(大丘府敎授)를 지낸 유종(柳從)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윤(綸)@송륜 - 송륜(宋綸)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야로(冶爐). 송석충(宋碩忠)의 아버지로, 현령(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윤(綸) - 권륜(權綸)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대사성(大司成)ㆍ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냄.
1415~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윤(胤)@김윤 - 김윤(金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백광훈(白光勳)ㆍ최경창(崔慶昌) 등과 동문수학한 사실이 《옥봉집(玉峯集)》에 실려 있으며, 문장과 학문에 뛰어나 팔문장(八文章)의 한 사람으로 인정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
-
윤(胤) - 이윤(李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김일손(金馹孫)ㆍ권오복(權五福) 등과 교유하였으며,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재등용되어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냄.
14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윤^사(尹^謝) - 사^윤(謝^尹)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사양좌(謝良佐)와 윤돈(尹焞)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사람 모두 정이(程頤)의 제자임.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윤^열(尹^說) - 부^신(傅^莘)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재상인 부열(傅說)과, 탕(湯) 임금 때의 재상인 이윤(伊尹)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사람이 각각 은거하던 부암(傅巖)과 유신(有莘)에서 유래했으며, 뛰어난 현신(賢臣)을 가리킴.
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윤^이(尹^夷) - 이^윤(夷^尹)
중국 은(殷) 나라의 충신ㆍ은자인 백이(伯夷)와 재상인 이윤(伊尹)을 함께 부르는 말. 유교에서 성인(聖人)을 가리킴. 《맹자(孟子)》 〈만장(萬章)〉에, “백이는 성인으로서 청렴한 자이고, 이윤은 성인으로서 사명감이 투철한 자이다.”라고 함.
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윤가회(尹可晦) - 윤방(尹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에서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이르는 혼란기 속에서 정사를 잘 보살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갱(尹鍞) - 윤휴(尹鑴)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주자(朱子)의 학설과 사상을 비판ㆍ반성하는 독자적 학문체계를 수립하고,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참최설(斬衰說)을 주장하여 서인(西人)과 대립함. 경신출척(庚申黜陟) 때 유배되었다가 사사(賜死)됨.
1617~168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검(允儉)@이위의아버지 - 이윤검(李允儉)@이위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중종(中宗) 때의 유학 이위(李韋)의 아버지로, 태천 현감(泰川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윤검(允儉)@이순생의아들 - 이윤검(李允儉)@이순생의아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합천(陜川). 의주 목사(義州牧使) 재임시에 선정으로 표리(表裏)를 하사받았고, 호조 참판(戶曹參判)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낙향함.
1451~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무신
-
윤검(胤儉) - 이윤검(李胤儉)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이덕연(李德淵)의 아들이자 이민각(李民覺)의 아버지로, 음덕(陰德)으로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벼슬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문인
-
윤견(允堅) - 배윤견(裵允堅)
고려 후기의 문신. 중국 원(元) 나라의 과거에 급제하고, 황제의 천수절(天壽節)을 하례하기 위한 사신으로 선발됨. 이곡(李穀)이 지은 호설(號說)이 《가정집(稼亭集)》에 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윤견오(尹肩吾) - 윤희성(尹希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당한 사림(士林)의 억울함을 상소하여 조광조의 관작을 회복시킴. 사헌부 지평(司憲府持評)ㆍ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겸(允謙) - 오윤겸(吳允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성혼(成渾)의 문인. 일본에 가서 임진왜란 때 잡혀갔던 포로 150여 명을 쇄환하고, 하극사(賀極使)로 명(明) 나라를 다녀옴.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559~163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겸(允謙)@유윤겸 - 유윤겸(柳允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25권을 완성하여 강희안(姜希顔)의 필체인 을해자(乙亥字)로 간행하고, 서거정(徐居正)ㆍ노사신(盧思愼) 등과 함께 《연주시격(聯珠詩格)》과 《황산곡시집(黃山谷詩集)》을 번역함.
142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윤겸(允謙)@정윤겸 - 정윤겸(鄭允謙)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군기시 첨정(軍器寺僉正)에 발탁됨. 전라도 수군절도사(全羅道水軍節度使)로 명(明) 나라를 약탈하고 돌아가는 왜구를 격멸함.
1463~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