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윤경(允卿) - 유승현(柳升鉉)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조(英祖) 때 학자인 유도원(柳道源)의 아버지로, 1719년(숙종 45)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냄. 저서로 《용와집(慵窩集)》이 있음.
1680~17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윤경(潤卿)@홍경림 - 홍경림(洪景霖)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정조사(正朝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54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경(潤卿) - 임각(林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 임희무(林希茂)의 아버지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지냄.
1490~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윤경(潤卿)@이수광 - 이수광(李睟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내고, 사신으로 여러 차례 명(明) 나라에 왕래하면서 천주교 지식과 서양 문물을 소개하여 실학(實學) 발전의 선구자가 됨.
1563~16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경(潤卿)@박윤경 - 박윤경(朴潤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의(文義). 박세연(朴世延)의 아들로, 부제학(副提學) 등을 역임함.
147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문의 , 인명>관인>문신
-
윤경(潤慶) - 이윤경(李潤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명종 때 대윤(大尹) 세력을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완산 부윤(完山府尹)으로서 왜구를 방어하였으며, 병조 판서 등을 역임함.
1498~156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경부(尹敬夫) - 윤긍(尹兢)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우의정 윤사분(尹士昐)의 아들. 이조 참의(吏曹參議) 시절 정여창(鄭汝昌)ㆍ김굉필(金宏弼) 등을 천거하였으며, 호조 판서 등을 역임한 후 사직하고 팔공산(八公山)에 들어가 향풍(鄕風)을 순화함.
1432~14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경인(尹景仁) - 윤강원(尹剛元)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평소 직언(直言)을 잘 하여 윤원형(尹元衡)의 비행을 논하다가 화를 입었고,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윤계초(尹季初) - 윤안성(尹安性)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부(尹釜)의 아들로, 양양 부사(襄陽府使) 등을 지냄.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능창군(陵昌君) 이전(李佺)의 추대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당함.
1542~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공(允恭) - 이돈우(李敦宇)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상두(李相斗)의 아들로, 이상형(李相衡)에게 출계함. 《철종실록(哲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냈으며, 저서에 《갑고(甲藁)》가 있음.
1801~1884 한국>근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관(允寬) - 장헌세자(莊獻世子)
조선 제21대 영조(英祖)의 둘째 아들이자 22대 정조(正祖)의 아버지. 이복형 효장세자(孝章世子)가 요절하자 세자에 책봉되어 1749년(영조 25) 영조의 명을 받고 15세에 대리기무(代理機務)를 봄. 김한구(金漢耉) 일파의 모함을 받아 뒤주에 갇혀 죽음.
1735~17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윤관(允寬)@허윤관 - 허윤관(許允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중종(中宗) 때의 진사(進士) 허벽(許璧)의 아버지로, 금구 현령(金溝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윤구(允懼) - 조윤구(曺允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중종(中宗) 때 함안 군수(咸安郡守) 등을 지낸 조효연(曺孝淵)의 아들로,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윤국간(尹菊磵) - 윤현(尹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승홍(尹承弘)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역임함. 행정수완이 탁월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4~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권(允權) - 강윤권(姜允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달성(姜達成)의 아들로, 1520년(중종 15)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사재감 정(司宰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윤권(胤權) - 채윤권(蔡胤權)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인천군(仁川君) 채수(蔡壽)의 아들이며 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 채무일(蔡無逸)ㆍ무주 현감(茂朱縣監) 채무적(蔡無敵) 형제의 아버지로,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윤규(允珪) - 정윤규(鄭允珪)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사복시 좌윤(司僕寺左尹) 정언(鄭琂)의 아들이며 좌찬성(左贊成) 정역(鄭易)의 아버지로, 판예의사사(判禮儀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윤귤정(尹橘亭) - 윤구(尹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되었다가 복직됨.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윤기(允琦) - 정윤기(鄭允琦)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하동(河東)으로, 한국공(韓國公) 정인(鄭仁)의 둘째 아들. 정윤화(鄭允和)의 동생이며 정독만달(鄭禿滿達)ㆍ정천좌(鄭天佐)의 형으로, 호군(護軍)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무신
-
윤기(尹箕) - 윤기(尹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윤강원(尹剛元)의 아들. 성균관 유생(儒生)으로서 을사사화(乙巳士禍) 공신호(功臣號)의 삭훈(削勳)을 상소하고, 임진왜란(壬辰倭亂)에는 세자를 시종함.
1535~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기묘(尹起畝) - 윤기견(尹起畎)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성종(成宗)의 계비(繼妃)인 폐비윤씨(廢妃尹氏)의 아버지. 《세종실록(世宗實錄)》과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의 편찬에 참여하고,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기백(尹起伯) - 윤흥종(尹興宗)
조선 전기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이정형(李廷馨)의 《지퇴당집(知退堂集)》에 옷감을 보내 준 그에게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윤기중(尹期仲) - 윤동로(尹東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공조 좌랑(工曹佐郞) 시절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정유재란 때 재기용되었으나 이원익(李元翼)의 탄핵을 받음. 후에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50~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길(允吉)@황윤길 - 황윤길(黃允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590년(선조 23) 통신정사(通信正使)로 일본에 다녀와 일본의 내침을 예견하고 대책을 강구하였으나, 김성일(金誠一)의 상반된 주장으로 뜻을 이루지 못함.
153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길(允吉) - 이응경(李應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복흥(李復興)의 아들로, 봉산 군수(鳳山郡守)로 있을 때 명(明) 나라의 사신을 접대하는 직무를 수행함.
1513~15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남(允南) - 초주(譙周)
중국 삼국시대 촉(蜀)~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 촉 나라에서 광록대부(光祿大夫)를 지냈으나, 위(魏) 나라의 공격을 받을 때 후주(後主)에게 항복을 권유하고, 진 나라 건국 후 벼슬하지 않음. 천문(天文)ㆍ경서(經書)에 능하고, 저서로 《오경론(五經論)》ㆍ《고사고서(古史考書)》 등이 있음.
200~270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남악(尹南岳) - 윤승길(尹承吉)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홍언(尹弘彦)의 아들이며,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의 장인. 임진왜란 때 군량미 조달 등 많은 공을 세우고,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능성(尹綾城) - 윤존성(尹存性)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부(尹釜)의 아들로, 1567년(선조 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돈용교위(敦勇校尉)ㆍ첨정(僉正) 등을 역임함.
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담수(聃壽) - 윤담수(尹聃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두수(尹斗壽)의 형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승사랑(承仕郞)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대용(尹大用) - 윤행(尹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윤효정(尹孝貞)의 아들로,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목사(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윤덕(潤德)@안윤덕 - 안윤덕(安潤德)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안동 판관(安東判官) 안팽로(安彭老)의 아들. 삼포왜란(三浦倭亂) 때 부원수(副元帥)가 되어 지휘하고,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시절 단군(檀君)과 기자(箕子)의 사당을 수축(修築)함.
1457~153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윤덕(潤德) - 임항(任恒)
조선 전기의 유학. 간우(侃于) 임박(任博)과 함께 무릉도인(武陵道人) 주세붕(周世鵬)과 시를 수창하며 교유한 내용이 《무릉잡고(武陵雜稿)》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윤덕(潤德)@강윤덕 - 강윤덕(姜潤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과 교류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윤덕(潤德)@유윤덕 - 유윤덕(柳潤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을 지낸 유식(柳軾)의 아들. 대사헌(大司憲)ㆍ도승지(都承旨)ㆍ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14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윤덕(潤德)@김윤덕 - 김윤덕(金潤德)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성 소윤(開城少尹)과 창녕 감무(昌寧監務)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문신
-
윤량(允良) - 정윤량(鄭允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연일(延日)로, 이황(李滉)의 문인. 노수(盧遂)ㆍ김응생(金應生) 등과 더불어 부래산(浮來山)에 정몽주(鄭夢周)를 향사(享祀)한 서원(書院)을 창건(創建)하였는데, 임고서원(臨皐書院)이라는 사액(賜額)을 받았음.
1515~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윤량(閏樑) - 이윤량(李閏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서자로, 내의원 판사(內醫院判事) 등을 역임함.
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윤린(允潾) - 하윤린(河允潾)
고려 충정왕(忠定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륜(河崙)의 아버지로, 선관서 승(膳官署丞)을 거쳐 순흥 부사(順興府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후에 협찬공신(協贊功臣)에 추록되고, 진양부원군(晉陽府院君)에 봉해짐.
1321~139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명(允明) - 김윤명(金允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현감 김박(金博)의 아들로, 1568년(선조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안음 현감(安陰縣監) 등을 지냈으며, 유성룡(柳成龍)ㆍ정사성(鄭士誠)과 교유함.
1545~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윤명(允明)@나윤명 - 나윤명(羅允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유학(幼學)으로 왕 앞에서 《대학》을 강론한 것이 인정되어 회시에 응시할 수 있는 특혜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윤명(潤明) - 최윤명(崔潤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수산군(隨山君) 최보한(崔輔漢)의 아버지로, 당진 현감(唐津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윤명(胤明) - 한윤명(韓胤明)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일재(一齋) 이항(李恒)과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이(李珥)ㆍ박광전(朴光前)과 교유하고, 선조(宣祖)가 세자로 있을 때 사부(師傅)를 지냄.
1526~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문(允文)@이계장의아버지 - 이윤문(李允文)@이계장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계장(李繼長)의 아버지. 전생서 주부(典牲署主簿)를 지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윤문(允文) - 박윤문(朴允文)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참의정승(參議政丞)을 지낸 김태현(金台鉉)의 사위로,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역임하였으며, 모친상 때 예를 다하여 칭송받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윤문(允文)@성윤문 - 성윤문(成允文)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세조 때 등준시(登俊試)에 급제하였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ㆍ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윤문(允文)@홍인지의장인 - 이윤문(李允文)@홍인지의장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때의 유학. 본관은 충주(忠州)이며, 홍인지(洪仁祉)의 장인. 중종때 별과시(別科試)로 천거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유학
-
윤문(允文)@신윤문 - 신윤문(辛允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관찰사(觀察使) 신영손(辛永孫)의 손자로 용강 현령(龍岡縣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문옥(尹文玉) - 윤보(尹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순(尹純)의 아들로, 수첨의찬성사(守僉議贊成事) 등을 지내고,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에 봉해짐.
?~132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문정(尹文貞)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문정(尹文靖)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문헌(尹文獻) - 윤봉구(尹鳳九)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권상하(權尙夏)의 문인(門人).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 호론(湖論)을 주장한 중심인물이며, 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
1681~176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물(潤物) - 함부림(咸傅霖)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검교 중추원학사(檢校中樞院學士) 함승경(咸承慶)의 아들.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360~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반(尹磻) - 윤번(尹璠)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윤승례(尹承禮)의 아들이며, 세조(世祖) 비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아버지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384~14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방경(尹方慶) - 윤저(尹抵)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태조 때 형조 전서(刑曹典書)로서 고려 왕족을 강화(江華) 나루에 수장(水葬)하는 데 앞장섰으며, 태종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함.
?~14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방경(尹邦慶) - 윤저(尹抵)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태조 때 형조 전서(刑曹典書)로서 고려 왕족을 강화(江華) 나루에 수장(水葬)하는 데 앞장섰으며, 태종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함.
?~14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백소(尹伯昭) - 윤경(尹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선철(尹先哲)의 아들로, 1569년(선조 22) 별시 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역임함.
154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백승(尹伯昇) - 윤현(尹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담수(尹聃壽)의 아들로, 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냈으며, 서인(西人)의 거두인 윤두수(尹斗壽)ㆍ윤근수(尹根壽)와 함께 ‘삼윤(三尹)’으로 일컬어짐.
1536~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번(允藩) - 이윤번(李允藩)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가 얻은 그림에 대한 설(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윤별동(尹別洞) - 윤상(尹祥)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인 조용(趙庸)에게 수학하였으며, 세종(世宗) 때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으로 세손(世孫)이던 단종을 가르침. 경학(經學)에 밝고 문장에도 매우 능하였으며 후진양성에 힘씀.
1373~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병계(尹屛溪) - 윤봉구(尹鳳九)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권상하(權尙夏)의 문인(門人).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 호론(湖論)을 주장한 중심인물이며, 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
1681~176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보(允寶) - 조등(曺璒)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감사(監司) 조한필(曺漢弼)의 아버지로, 삼척 부사(三陟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윤보(允甫) - 구충윤(具忠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구봉령(具鳳齡)의 아들이며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별좌(別坐)를 지냄.
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윤보(允甫)@이원보 - 이윤보(李允甫)
고려 후기의 문신ㆍ문인. 이규보(李奎報)ㆍ이인로(李仁老)ㆍ최자(崔滋) 등과 교유하였으며, 학식이 매우 정박(精博)하고 시문은 간결하고 고아(古雅)하며 정교하고 빼어났다는 평을 받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윤보(尹甫)@윤길보 - 윤길보(尹吉甫)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태사(太師). 호경(鎬京)에 침입한 험윤(玁狁)을 격퇴하는 등 소목공(召穆公) 등과 함께 선왕을 보좌하여 쇠락한 주 나라를 중흥시키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윤보(潤甫)@양순석 - 양순석(梁順石)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상호군(上護軍) 정효충(鄭孝忠)의 사위로,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윤보(潤甫)@임상덕 - 임상덕(林象德)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강목체(綱目體)의 역사서인 《동사회강(東史會綱)》 등이 있음.
1683~17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보(潤甫) - 방옥정(房玉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방유륜(房有倫)의 아들로, 1472년(성종 3)에 춘당대시(春塘臺試)에 급제하여 문학(文學)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윤보(潤甫)@우관 - 우관(禹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 등과 죽마계(竹馬契)를 만들어 서로 숙식을 함께 하며 교유했던 일이 《십성당집(十省堂集)》에 실려 있음.
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윤보(潤甫)@신영 - 신영(申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상촌(象村) 신흠(申欽)의 조부.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明賢)의 한 사람임.
1499~155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윤보(潤輔) - 신윤보(申潤輔)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해주 목사(海州牧使) 등을 역임하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순천(順天)에 오림정(五林亭)을 짓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윤보(胤保) - 이승소(李承召)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편찬함. 당대의 문장가로 예악(禮樂)ㆍ음양(陰陽)ㆍ율력(律曆) 등 여러 방면에 조예가 깊음.
1422~148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윤보(胤父) - 조계문(曺繼門)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위(曺偉)의 아버지이며, 김종직(金宗直)의 장인.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과 울진 현령(蔚珍縣令) 등을 역임함.
1414~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윤보(胤甫) - 한장손(韓長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철원 부사(鐵原府使) 한증(韓曾)의 아버지. 1458년(세조 5)에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판관(漢城府判官)ㆍ내자시 정(內資寺正) 등을 지냄.
1422~149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윤보(閏甫) - 이축(李蓄)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광주 목사(光州牧使) 이숙야(李叔野)의 아들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고양(高陽)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마침.
1402~147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윤복(胤福) - 정윤복(丁胤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정응두(丁應斗)의 아들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44~159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윤부(允夫) - 정순(程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저서에는 《존덕성재집(尊德性齋集)》이 있음. 주희(朱熹)의 진외가(眞外家) 육촌동생.
1135~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윤부(潤夫) - 민형남(閔馨男)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찬성(左贊成) 민효증(閔孝曾)의 증손이며, 풍저창 수(豊儲倉守) 민복(閔福)의 아들로,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613년(광해군 5) 익사(翼社)ㆍ형난(亨難)의 두 공신에 책록(策錄)됨.
1564~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사강(尹思康) - 윤이(尹彝)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역신(逆臣). 한때 중이 되었다가 장죄(贓罪)를 범하고 명(明) 나라로 도망하였으며, 명 나라에 공양왕(恭讓王)과 이성계(李成桂)를 무고(誣告)하였다가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사초(尹士初) - 윤존성(尹存性)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부(尹釜)의 아들로, 1567년(선조 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돈용교위(敦勇校尉)ㆍ첨정(僉正) 등을 역임함.
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산(輪山) - 남해(南海)
경상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여러 개의 도서(島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시대의 유배지 가운데 하나로, 많은 인물들의 자취가 남아 있음.
경상도>남해 , 지명>행정지명
-
윤산군(輪山君) - 이탁(李濯)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세 번째 서자이고, 이함(李涵)ㆍ이린(李潾)의 아우이며, 이옥(李沃)의 형.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윤산부정(輪山副正) - 이탁(李濯)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세 번째 서자이고, 이함(李涵)ㆍ이린(李潾)의 아우이며, 이옥(李沃)의 형.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윤상주(尹尙州) - 윤국형(尹國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희렴(尹希廉)의 아들. 임진왜란 때 왜적 방어에 실패하여 파직되고, 재기용된 뒤 난리 후의 혼란한 업무들을 처리함.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543~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생(尹甥) - 윤황(尹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윤창세(尹昌世)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내고, 정묘호란(丁卯胡亂)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함.
1571~163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생(閏生) - 이윤생(李閏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목(李穆)의 아버지로, 부사과(副司果)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윤석(崙石) - 정윤석(鄭崙石)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수운판관(水運判官) 정억(鄭億)의 아버지로, 찰방(察訪)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윤석(胤錫) - 황윤석(黃胤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종래의 이학(理學)과 서구 지식의 조화를 시도함. 《이재유고(頤齋遺藁)》에 실린 운학(韻學)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사의 연구대상이 됨.
1729~17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성(允成) - 강윤성(康允成)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상산백(象山伯) 강서(康庶)의 아들로, 이부 시랑(吏部侍郞)ㆍ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냄. 조선 태조의 계비(繼妃) 신덕왕후(神德王后)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성(允成)@홍윤성 - 홍윤성(洪允成)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회인(懷仁).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적극 가담하고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ㆍ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성종의 즉위를 도와 좌리공신(佐理功臣)에도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25~14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산ㅣ충청도>회인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성(允成)@탁윤성 - 탁윤성(卓允成)
고려 후기의 진사. 본관은 광산(光山). 성균 이택재생(成均麗澤齋生)이었던 탁낙정(卓犖正)의 아들로, 국학(國學)의 진사(進士)였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윤성(允誠) - 팽정견(彭庭堅)
중국 원(元) 나라 순제(順帝) 때의 문신. 지방관이 되어 선정을 베풀고 여러 차례 도적을 격퇴하여 공을 세웠으나, 포악한 진무만호(鎭撫萬戶) 악환(岳煥)을 처벌하려다 역공(逆攻)에 밀려 피살됨.
1312~1354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윤성(允誠)@조윤성 - 조윤성(曺允誠)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수성(壽城).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지낸 조극치(曺克治)의 아버지로,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윤성(胤聖) - 최윤성(崔胤聖)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최서림(崔瑞琳)의 아버지로, 통덕랑(通德郞)에 오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윤성주(尹城主) - 윤복(尹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명종(明宗) 때 낙안 군수(樂安郡守)가 되어 왜구의 침략에 대비하고,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로 시절 이황(李滉)과 교유함.
1512~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윤손(允孫) - 이윤손(李允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가평(加平). 1455년(세조 1)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원종공신(元從功臣)에 녹훈되고,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를 지냄.
1414~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윤손(潤孫) - 안윤손(安潤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종 때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이 되어 기강을 확립하고, 회령 통판(會寧通判)으로 있을 때 선정으로 칭송을 받음. 중종 때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450~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윤손(閏孫) - 박윤손(朴閏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 한강(漢江) 하류에 만경정(萬景亭)을 짓고 은거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윤수(允秀) - 여윤수(呂允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장악원 첨정(掌樂院僉正) 여세침(呂世琛)의 아버지로, 만경 현령(萬頃縣令)ㆍ사섬시 부정(司瞻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윤수(允綏) - 이윤수(李允綏)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백운거사(白雲居士) 이규보(李奎報)의 아버지로, 호부낭중(戶部郎中) 등을 지냄. 평생을 청렴한 관직생활과 치가(治家)에 전력함.
1130~119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윤수부(尹粹夫) - 윤국형(尹國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희렴(尹希廉)의 아들. 임진왜란 때 왜적 방어에 실패하여 파직되고, 재기용된 뒤 난리 후의 혼란한 업무들을 처리함.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543~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