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윤수형(尹受亨) - 윤풍형(尹豊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윤석보(尹碩輔)의 아들로,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을 지낼 때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도모한 김안로(金安老)를 탄핵하였으며,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윤숙(允叔) - 안처함(安處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수찬(修撰)ㆍ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하였으며, 형 안처겸(安處謙)이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의 대신을 모해하려 하였다는 혐의로 처형당할 때 처가인 용인(龍仁)으로 낙향하여 죽음을 면하였음.
1488~154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숙(允肅) - 기윤숙(奇允肅)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황후(奇皇后)의 고조(高祖)로 성품이 사치스럽고 호장(豪壯)하였다 함.
?~125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무신
-
윤순(允純) - 이윤순(李允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이서장(李恕長)의 아들로, 사후(死後)에 통정대부(通政大夫)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윤순(允順) - 탁윤순(卓允順)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탁정위(卓廷位)의 맏아들로, 봉선고 판관(奉先庫判官)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윤승(允升) - 나흠순(羅欽順)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왕수인(王守仁)이 쓴 《주자만년정론(朱子晩年定論)》을 비판한 것으로 유명함.
1465~154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윤시회(尹時晦) - 윤흔(尹昕)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亂)ㆍ정묘호란(丁卯胡亂)ㆍ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64~16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식(允植) - 이윤식(李允植)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세조(世祖) 때 사간(司諫)을 지낸 이숙문(李淑文)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윤신(允愼) - 조윤신(曺允愼)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중종(中宗) 때 함안 군수(咸安郡守) 등을 지낸 조효연(曺孝淵)의 아들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윤신(允新) - 박윤신(朴允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무장(茂長). 용양위 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지낸 박성번(朴成蕃)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당진 , 인명>문사>유학
-
윤실(允實) - 이윤실(李允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평(咸平). 선조(宣祖) 때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을 지낸 이관(李瓘)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문사>유학
-
윤심(允深) - 홍윤심(洪允深)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당성부원군(唐城府院君) 홍빈(洪彬)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로부터 집현전 직학사(集賢殿直學士)에 제수되었으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추록되고, 남양군(南陽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윤심(尹深) - 윤심(尹沈)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윤화명(尹化溟)의 아들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안(允安) - 김윤안(金允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현감 김박(金博)의 아들이며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김해(金澥) 휘하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560~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윤안(胤安) - 김윤안(金胤安)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예안(禮安). 1577년(선조 10) 교우들과 송학사(松鶴寺) 세심대(洗心臺)에 올라간 일을 읊은 시가 김륭(金隆)의 《물암집(勿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윤약(允若) - 이돈우(李敦宇)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상두(李相斗)의 아들로, 이상형(李相衡)에게 출계함. 《철종실록(哲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냈으며, 저서에 《갑고(甲藁)》가 있음.
1801~1884 한국>근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양(允讓) - 조윤양(趙允讓)
중국 송(宋) 나라 영종(英宗)의 생부(生父). 영종이 즉위하여 복안의왕(濮安懿王)으로 추숭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윤양(尹暘) - 윤흔(尹昕)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亂)ㆍ정묘호란(丁卯胡亂)ㆍ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64~16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여회(尹汝晦) - 윤엽(尹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극신(尹克新)의 아들이며,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낸 윤돈(尹暾)의 형으로, 서천 군수(舒川郡守) 등을 지냄.
1546~16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윤영광(尹靈光) - 윤홍중(尹弘中)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윤구(尹衢)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였으며, 군수(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윤오음(尹梧陰)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오음집(尹梧陰集) - 오음유고(梧陰遺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윤두수(尹斗壽)의 시문집. 고활자본. 3권 3책. 1635년(인조 13)에 아들 윤방(尹昉)이 편집ㆍ간행함.
163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윤온(允蒕) - 이윤온(李允蒕)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소(李劭)의 아들이며, 낙안백(樂安伯) 이천선(李千善)의 아버지로, 민부 전서(民部典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나라에 공을 세워 선충경절공신(宣忠勁節功臣)에 책록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우(允耦) - 이윤우(李允耦)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의 집에서 술자리를 함께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윤운(允耘) - 정윤운(鄭允耘)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동래(東萊). 정비(鄭秠)의 아들이며,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 정전(鄭荃)의 생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유학
-
윤원(允元) - 신윤원(申允元)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성종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지냄.
1431~149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원(允源) - 하윤원(河允源)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하즙(河楫)의 아들로, 홍건적(紅巾賊)을 격퇴하여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으며, 신돈(辛旽)이 정사를 전횡할 적에 아첨하지 않고 지조를 지킴.
?~137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원(潤源) - 이윤원(李潤源)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문익성(文益成)과 교유하고, 숙천 도호부사(肅川都護府使)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윤원(胤源)@김윤원 - 김윤원(金胤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연안(延安). 부사(府使)를 지낸 김사결(金事結)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윤원(胤源) - 박윤원(朴胤源)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김창협(金昌協)ㆍ이재(李縡)ㆍ김원행(金元行)의 학통을 계승하여 홍직필(洪直弼)에게 전수함.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고 예학(禮學)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저서로 《근재집(近齋集)》ㆍ《근재예설(近齋禮說)》이 있음.
1734~17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
-
윤원례(尹元禮) - 윤복(尹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명종(明宗) 때 낙안 군수(樂安郡守)가 되어 왜구의 침략에 대비하고,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로 시절 이황(李滉)과 교유함.
1512~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윤월정(尹月汀)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은(允誾) - 김윤은(金允誾)
조선 명종(明宗) 때의 의관. 내의(內醫)인 유지번(柳之蕃)과 함께 《달학이해방(疸瘧易解方)》을 편찬하였으며, 사옹원 주부(司饔院主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술인>의원
-
윤의(允儀) - 최윤의(崔允儀)
고려 인종(仁宗)~의종(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냈으며,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을 편찬함.
1102~1162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의(允宜) - 정윤의(鄭允宜)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로, 예문관 대제학을 지낸 이조년(李兆年)의 장인.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과거를 관장하였으며, 관직은 감찰대부(監察大夫)에 이르렀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윤이율(尹而栗) - 윤관중(尹寬中)
조선 후기의 문신.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사위로, 선전관(宣傳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윤인(允仁) - 김윤인(金允仁)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으로, 순천김씨(順天金氏)의 중시조(中始祖). 중현대부(中顯大夫)로 전객시 영(典客寺令)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윤인(尹仁) - 미우인(米友仁)
중국 남송(南宋)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아버지 미불(米芾)이 대미(大米)라고 불린 데 대해 소미(小米)라고 불림. 운산(雲山) 화법을 발전시켜 ‘미법산수(米法山水)’를 정착시키고, 초서와 예서에 뛰어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윤자고(尹子固)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자앙(尹子仰)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자앙(尹子昂)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자용(尹子用) - 윤현(尹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승홍(尹承弘)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역임함. 행정수완이 탁월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4~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장원(尹長源) - 윤결(尹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시정기(時政記) 필화사건으로 처형된 안명세(安明世)의 정당성을 발설한 것이 빌미가 되어,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수렴청정과 윤원형(尹元衡)의 세력 확장을 비판했다 하여 국문을 받던 중 옥사함.
1517~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윤적(允迪) - 원윤적(元允迪)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천석(元天錫)의 아버지로, 종부시 영(宗簿寺令)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윤정(允精) - 양윤정(梁允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삭녕 군수(朔寧郡守) 양치(梁治)의 아들로, 곡산 군수(谷山郡守) 등을 지냄.
1494~15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윤정(胤鼎) - 김윤정(金胤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가흥(佳興). 김득선(金得先)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직강(直講)ㆍ만경 현령(萬頃縣令)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윤정수(尹汀叟)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정숙(尹鼎叔) - 윤정(尹鼎)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고 특히 《주역(周易)》에 뛰어났으며, 민기(閔箕)ㆍ허엽(許曄)ㆍ이항(李恒)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함.
1490~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
-
윤제(允悌) - 김윤제(金允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장례원 사평(掌隷院司評) 김후(金詡)의 아들. 나주 목사(羅州牧使) 등 지방관을 지내고, 고향에 돌아가 정철(鄭澈)ㆍ김성원(金成遠) 등 후학을 양성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제(允濟) - 김윤제(金允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유학. 강응정(姜應貞) 등과 향약(鄕約)을 맺어 《소학(小學)》을 강론하였는데, 세상 사람들이 소학계(小學契)ㆍ효자계(孝子契)라고 칭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윤조(允祖)@원윤조 - 원윤조(元允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원중치(元仲稚)의 아들로, 학문에 힘썼으나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윤조(允祖) - 성윤조(成允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가의(成可義)의 아들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459~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윤조(潤祖) - 신윤조(辛潤祖)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낸 신인손(辛引孫)의 아들로, 제용감 첨정(濟用監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윤조(胤祖)@황윤조 - 황윤조(黃胤祖)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우주(紆州). 좌의정을 지낸 황헌(黃憲)의 아버지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윤조(胤祖)@이윤조 - 이윤조(李胤祖)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의녕감(義寧監)에 봉해짐. 이이(李珥)가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윤조(胤祖) - 원윤조(元允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원중치(元仲稚)의 아들로, 학문에 힘썼으나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윤종(允宗) - 신윤종(申允宗)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상주 목사(尙州牧使)ㆍ돈녕부 정(敦寧府正) 등을 지냈으며, 영천(永川)에 있는 명원루(明遠樓)를 개축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윤종(尹宗) - 이윤종(李尹宗)
조선 전기의 유학. 시문(詩文)에 뛰어났고,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하였으며, 《추강집(秋江集)》에 그와 관련한 글이 여러 편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윤종(胤宗)@고윤종 - 고윤종(高胤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개성(開城). 선조(宣祖) 때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낸 고흥운(高興雲)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유학
-
윤종(胤宗) - 안숙천(安叔千)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당(後唐) 장종(莊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무예에 뛰어났으나 글자를 깨우치지 못해 하는 짓이 비루하였으므로, 당시 사람들에게 몰자비(沒字碑)라고 불렸음.
881~95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윤종(閏宗) - 김윤종(金閏宗)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세조(世祖) 때에 통신사(通信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일본을 다녀옴.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윤준(允峻) - 황윤준(黃允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판결사(判決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준(尹濬) - 윤용(尹湧)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이손(尹李孫)의 아들이며, 윤개(尹漑)의 아우로, 선교랑(宣敎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중(允中) - 김경헌(金景憲)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倡義)한 김광운(金光運)의 아버지로, 담양 부사(潭陽府使) 등을 지냄.
151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윤지(允之) - 이적(李迪)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백손(李伯孫)의 아들이며, 이도남(李圖南)의 아버지로, 외숙인 강문회(姜文會)에게 수학하고, 교서관 교리(校書館校理)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윤지(允祉) - 선윤지(宣允祉)
고려 우왕(禑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중국 명(明) 나라 문연각 학사(文淵閣學士)를 지내다 고려에 귀화하여 보성선씨(寶城宣氏)의 시조가 되었으며, 조선 개국 후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윤지(允祉)@오윤지 - 오윤지(吳允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로, 전생서 봉사(典牲署奉事)를 지낸 오치정(吳致精)의 아들.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문사>유학
-
윤지(胤之) - 조석윤(趙錫胤)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배천(白川). 김상헌(金尙憲)ㆍ장유(張維)의 문인(門人)으로, 효종 때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이 되어 《인조실록(仁祖實錄)》편찬에 참여함.
1605~165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지(贇之) - 선우윤(宣遇贇)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통례문 통찬(通禮門通贊) 선상진(宣尙進)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윤진(允禛) - 정윤진(鄭允禛)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동래(東萊). 종사랑(從仕郞) 정계준(鄭繼俊)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유학
-
윤진안(尹鎭安) - 윤임형(尹任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윤달신(尹達莘)의 아들이며 김인후(金麟厚)의 장인으로, 1525년(중종 2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진안 현감(鎭安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윤차야(尹次野) - 윤훤(尹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넷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정묘호란 때 부체찰사(副體察使)로 적과 싸우다 안주(安州)와 평양(平壤) 일대를 빼앗긴 죄로 체포되어 강화도(江華島)에서 효수됨.
1573~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찬(尹燦) - 윤전(尹烇)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창세(尹昌世)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를 공주(公州)로 호종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강화(江華)에서 순절함.
1575~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창(允昌) - 주윤창(周允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유학(遊學)하였음. 1480(성종 11) 친시(親試)에 급제하였고,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윤창(胤昌)@한윤창 - 한윤창(韓胤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흥 부사(永興府使)를 지낸 한사개(韓士介)의 아들로, 1509년(중종 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ㆍ호조 참판 등을 지냄.
14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창(胤昌) - 심찬문(沈贊文)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8대손으로, 백린(伯鱗) 심반(沈攀)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윤창주(尹滄洲) - 윤춘년(尹春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안인(尹安仁)의 아들로, 윤원형(尹元衡)의 세력에 가담하여 대윤(大尹) 일파와 윤원로(尹元老) 제거에 앞장서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1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철(尹哲) - 윤상(尹祥)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인 조용(趙庸)에게 수학하였으며, 세종(世宗) 때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으로 세손(世孫)이던 단종을 가르침. 경학(經學)에 밝고 문장에도 매우 능하였으며 후진양성에 힘씀.
1373~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칠계(尹漆溪) - 윤탁연(尹卓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윤이(尹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 때 공을 세워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시문에 능하여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8~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칠원(尹漆原)@윤탁연 - 윤탁연(尹卓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윤이(尹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 때 공을 세워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시문에 능하여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8~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칠원(尹漆原) - 윤환(尹桓)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을 시종한 공으로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역임함.
?~138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윤탁(允濯) - 이윤탁(李允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문건(李文楗)ㆍ이충건(李忠楗)의 아버지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윤탕(尹宕)@윤횡 - 윤횡(尹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의신(尹宜臣)의 아들로, 1594년(선조 27)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함.
156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평사(尹評事) - 윤홍중(尹弘中)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윤구(尹衢)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였으며, 군수(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윤포암(尹圃巖) - 윤봉조(尹鳳朝)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명원(尹明遠)의 아들로, 《경종실록(景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특히 소차(疏箚)에 뛰어남.
1680~176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학음(尹學音) - 윤춘년(尹春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안인(尹安仁)의 아들로, 윤원형(尹元衡)의 세력에 가담하여 대윤(大尹) 일파와 윤원로(尹元老) 제거에 앞장서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1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해(允諧) - 성윤해(成允諧)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성근(成近)의 아들로, 학행(學行)으로 여러 번 추천되어 왕자사부(王子師傅)ㆍ태인 현감(泰仁縣監) 등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상주(尙州)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
-
윤해원(尹海原)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헌(允獻) - 기윤헌(奇允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奇大恒)의 손자. 형 기자헌(奇自獻)이 폐모론에 반대하다 유배될 때 함께 유배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장살됨.
1575~162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윤호(允浩) - 김윤호(金允浩)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안동 판관(安東判官)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윤호(潤瑚) - 정윤호(丁潤瑚)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유학 정몽열(丁夢說)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 , 인명>문사>유학
-
윤화(允和) - 정윤화(鄭允和)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한국공(韓國公) 정인(鄭仁)의 맏아들로, 정윤(正尹)에 이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윤화정(尹和靖) - 윤돈(尹焞)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학자. 정이(程頤)의 문인(門人)으로, 평생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저서에 《논어해(論語解)》ㆍ《화정집(和靖集)》 등이 있음.
1071~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윤효선(尹孝先) - 윤효전(尹孝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윤휴(尹鑴)의 아버지. 민순(閔純)ㆍ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서경덕(徐敬德)을 존숭하여 《화담집(花潭集)》 간행에 참여하고, 계축화옥(癸丑禍獄)에 가담하여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록됨.
1563~16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후(允厚) - 박윤후(朴允厚)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함양(咸陽). 무신 박성양(朴成陽)의 아버지로, 중랑장(中郞將)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무신
-
윤흘(允屹) - 탁정화(卓挺華)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운한(卓雲翰)의 장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윤흠(尹欽) - 윤긍(尹兢)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우의정 윤사분(尹士昐)의 아들. 이조 참의(吏曹參議) 시절 정여창(鄭汝昌)ㆍ김굉필(金宏弼) 등을 천거하였으며, 호조 판서 등을 역임한 후 사직하고 팔공산(八公山)에 들어가 향풍(鄕風)을 순화함.
1432~14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희(允熙) - 황윤희(黃允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회덕(懷德). 유학 황균(黃均)의 아버지로, 북부 참봉(北部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윤희(允禧) - 강윤희(康允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1519년(중종 14)에 사림파가 박원종(朴元宗) 등 정국공신(靖國功臣)을 배척하려 한다는 김우증(金友曾)의 말을 고변(告變)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윤희(尹禧) - 윤희(尹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경승부윤(敬承府尹) 윤규(尹珪)의 아들이며, 중부 참봉(中部參奉) 윤귀몽(尹龜蒙)의 아버지로, 선공감 직장(繕工監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