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도응(都膺)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계(李成桂)의 죽마지우(竹馬之友)로, 고려 말에 찬성사(贊成事)를 지내다가 조선 건국 후 상장군(上將軍)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은거함.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ㅣ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도의(道義)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가지산파(迦智山派)의 개조(開祖)로, 중국의 남종선(南宗禪)을 처음으로 들여옴. 당시인들이 무위법(無爲法)을 믿지 않자 설악산 진전사(陳田寺)에서 수도하다가 제자 염거(廉居)에게 처음으로 남종선(南宗禪)을 전하고 죽음.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양양 , 인명>종교인>승려
-
도이장가(悼二將歌)
고려 제16대 예종(睿宗)이 지은 향찰표기(鄕札表記)의 가요. 팔관회(八關會) 때 개국공신 김낙(金樂)과 신숭겸(申崇謙)의 가상(假像)을 만들어 참석하게 한 것을 보고, 그들의 공을 추도하여 지음.
112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문헌>작품명
-
도일(道一)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 남악 회양(南岳懷讓)의 법을 이어 종풍(宗風)을 일시에 융성시키고, 후일 임제종(臨濟宗)으로 발전함. 일상생활 속에서 선(禪)을 실천하는, '평생심시도(平生心是道)'를 주창함.
709~788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도잠(道潛)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승려ㆍ시인. 항주(杭州)의 서호(西湖)에서 소식(蘇軾)과 교유하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도재집(陶齋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윤흔(尹昕)의 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도전(道全)
조선 전기의 승려. 《소재집(穌齋集)》에 〈증승도전(贈僧道全)〉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도정(度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의 제자이며, 〈주자연보(周子年譜)〉를 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도정서원(道正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예천(醴泉)에 건립한 서원. 정탁(鄭琢)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되었으며, 정윤목(鄭允穆) 등을 배향함.
17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정현(陶睛賢)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의 무신. 서부(西部) 제일의 영주 대내의륭(大內義隆)의 가신(家臣)으로, 대내의륭을 살해하고 주방(周防)을 지배하다가 엄도(嚴島)에서 모리원취(毛利元就)와의 전투에서 패한 뒤 자결함.
?~1555 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도조(度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조부. 익조(翼祖) 이행리(李行里)의 아들로, 몽고 이름은 발안첩목아(孛顔帖木兒). 비는 원나라의 천호(千戶) 벼슬을 받은 박한보(朴閑甫)의 딸 경순왕후(敬順王后). 1394년(태조 3) 4대조를 추존할 때 도왕(渡王)이라 하였다가 2년 후 도조(度祖)로 격상됨.
?~1342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덕원 , 인명>왕실>국왕
-
도종(度宗)
중국 송(宋)의 제15대 황제. 재위 1264~1274. 이종(理宗)의 조카며 복왕(福王)의 아들로 재임 중 권신(權臣)과 간신(姦臣)들이 권력을 잡았음
1240~127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도척(盜跖)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도둑. 노 나라의 재상인 유하혜(柳下惠)의 아우로, 도둑의 두목이 되어 부녀자를 납치하고 남의 물건을 약탈하였으므로 도둑의 대명사로 불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적
-
도천사(道川祠)
경상남도 함안군(咸安郡) 군북면(郡北面)에 있는 사당. 이문화(李文和)ㆍ이휴복(李休復) 등을 배향함.
한국>근대 , 경상도>함안 , 유적>건물>사당
-
도천서원(道川書院)
조선 태종(太宗) 때 경상도 단성(丹城)에 건립한 서원. 1401년(태종 1) 창건하고 1554년(명종 9)에 사액되었으며, 문익점(文益漸)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남도 산청군(山淸郡)에 속함.
14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천서원(道泉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영산(靈山)에 건립한 서원. 이중(李中)과 배학(裵鶴) 등을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탄(道灘)
조선 전기의 승려. 《백담집(栢潭集)》에 그에 관한 시 〈도탄(道灘)〉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도탄집(桃灘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이자 의병장인 변사정(邊士貞)의 시문집. 시(詩)ㆍ잡저(雜著)ㆍ책(策)ㆍ제문(祭文)ㆍ소(疏)ㆍ서(書)ㆍ부록 등으로 구성됨.
176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도평군(桃平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열두 번째 서자.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의 장인.
1402~14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도포서원(道浦書院)
조선 효종(孝宗) 때 강원도 춘천(春川)에 건립한 서원. 신숭겸(申崇謙)ㆍ신흠(申欽)ㆍ김경직(金敬直) 등을 배향함.
1650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춘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도학명신언행록(道學名臣言行錄)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인 이유무(李幼武)가 주자(朱子)의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을 승계하여 편찬한 책.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도향집(道鄕集)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추호(鄒浩)의 저서. 40권(卷)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도홍경(陶弘景)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학자. 유명한 도교 사상가로 수많은 도교 서적을 저술함.
456~53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도황고(悼皇考)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의 아버지. 무제(武帝)의 손자이며, 여태자(戾太子)의 아들.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도희령(都希齡)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도득린(都得麟)의 아들. 당곡(唐谷) 정희보(鄭希輔)의 문인(門人)으로, 홍문관 저작(弘文館著作)을 지냄.
1539~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ㅣ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독고급(獨孤及)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대종(代宗) 때의 문신. 비서감(秘書監)을 지낸 독고욱(獨孤郁)의 아버지로, 상주 자사(常州刺史)를 지냄.
725~77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독고욱(獨孤郁)
중국 당(唐)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상주 자사(常州刺史)를 지낸 독고급(獨孤及)의 아들로, 지제고(知制誥)ㆍ비서감(秘書監) 등을 지냄.
775~81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독락원(獨樂園)
중국 송(宋) 나라 때 사마광(司馬光)이 재상에서 물러난 뒤에 낙양현(洛陽縣) 남쪽에 세운 정원 이름. 사마광이 이곳에서 〈독락원기(獨樂園記)〉를 지어 스스로 한가로이 물러나 지내는 즐거움을 표현함.
중국>송 , 중국 , 유적>시설>기타시설
-
독락팔곡(獨樂八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인 권호문(權好文)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경기체가의 마지막 작품으로 일민(逸民)으로서의 독락(獨樂)과 소외감이 함께 내재되어 있음. 《송암집(松巖集)》에 수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작품명
-
독사관견(讀史管見)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호인(胡寅)이 《자치통감(資治通鑑)》에 대해 논평한 사평집(史評集). 30권. 귀양살이할 때 지은 책으로, 《춘추(春秋)》 대의에 입각하여 자세하게 논평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독서당(讀書堂)
조선 성종(成宗) 때 국가의 중요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세운 전문 독서연구 기구. 1426년(세종 8) 문장이 뛰어난 집현전(集賢殿) 관리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하게 한 사가독서제(賜暇讀書制)로부터 비롯되어, 1492년(성종 23) 서거정(徐居正)의 주청으로 상설국가기구로 설치됨.
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청
-
독서삼품과(讀書三品科)
통일신라 원성왕(元聖王) 때 시행된 관리등용법. 국학(國學)에서 배운 경학(經學)을 독서한 사람 가운데 시험을 봐서 그 성적에 따라 3등급으로 나누어 채용함.
788 한국>통일신라 , 법제>제도
-
독암유고(獨庵遺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조종경(趙宗敬)의 문집. 선조(宣祖) 때 아들 조정추(趙廷樞)가 초간하고, 1760년(영조 36) 조엄(趙曮)이 중간함.
15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문헌>서명
-
독정사(獨亭寺)
황해도 봉산(鳳山) 자비산(慈悲山)에 있는 사찰. 정방산(政方山) 성불사(成佛寺)의 말사였음. 창건 당시 보문사(普門寺)라 하였다가 조선 초 독정사(獨亭寺)로 개명함.
황해도>봉산 , 유적>건물>사찰
-
돈^준(敦^峻)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원제(元帝) 때의 재상 왕돈(王敦)과, 성제(成帝) 때의 무신 소준(蘇峻)을 함께 부르는 말. 난을 일으킨 반역자를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돈암서원(遯巖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충청도 연산(連山)에 건립한 서원. 1660년(현종 1)에 사액(賜額)되었으며, 김장생(金長生)ㆍ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ㆍ김집(金集) 등을 배향함.
163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연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돈의문(敦義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서울 성곽의 사대문(四大門) 가운데 서쪽 성문. 지금의 서울 종로구 신문로에 있었으나 1915년 일제의 도시 계획에 따른 도로 확장으로 철거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돈재집(遯齋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성세창(成世昌)의 저서. 저자는 학식과 문장이 뛰어나고 글씨ㆍ그림ㆍ음률에 정통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동^원(董^袁)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장군인 동탁(董卓)과 무신인 원소(袁紹)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동^철(東^徹)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충신인 진동(陳東)과 구양철(歐陽澈)을 함께 부르는 말. 간신을 배척하고 국사(國事)를 바로잡으려다 피살된 충신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동^한(董^韓)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 동중서(董仲舒)와 당(唐) 나라의 문인 한유(韓愈)를 함께 부르는 말. 한 나라와 당 나라의 대표적인 유학자를 가리킴.
중국>당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동강서원(東江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경주(慶州)에 건립된 서원. 중종(中宗) 때의 문신 손중돈(孫仲暾)을 배향함.
16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동강유집(東江遺集)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신익전(申翊全)의 문집. 아들 신정(申晸)이 편집한 유고를 바탕으로 다시 산정하고 부록을 추가하여 1690년(숙종 16)경 19권 3책이 한구자(韓構字)로 간행됨.
169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동강집(東岡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우옹(金宇顒)의 시문집. 21권 10책. 목판본. 후손들이 문집을 수집ㆍ정리ㆍ편차하여 1723~1755년 사이에 간행한 것으로 추정되며, 허목(許穆)의 서문과 이현일(李玄逸)의 발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동강집(東江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여이징(呂爾徵)의 문집. 저자는 성리학에 밝고 시문에 능하였으며, 천문(天文)ㆍ역산(曆算)ㆍ서화(書畵)에도 뛰어났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동경대전(東經大全)
조선 후기에 동학(東學)의 제1대 교조인 최제우(崔濟愚)가 지은 동학의 기본 경전. 1권 1책. 최시형(崔時亨)이 1880년(고종 17) 강원도 인제(麟蹄)에서 간행함. 포덕문(布德文)ㆍ논학문(論學文)ㆍ수덕문(修德文)ㆍ불연기연(不然其然)의 4편으로 구성됨.
1880 한국>근대 , 강원도>인제 , 문헌>서명
-
동계문집(東溪文集)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권도(權濤)의 문집. 11권 4책. 권두에 정종로(鄭宗魯)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굉(金㙆)의 발(跋)이 수록됨.
180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동계서원(東溪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예안(禮安)에 건립한 서원. 이황(李滉)의 장손(長孫)인 몽재(蒙齋) 이안도(李安道)와 이황(李滉)의 제자인 성성재(惺惺齋) 금난수(琴蘭秀) 등을 배향함.
16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동고유고(東皐遺稿)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이준경(李浚慶)의 시문집(詩文集). 14권 7책. 활자본. 시(詩)ㆍ상소(上疏)ㆍ서간(書簡)이 주종을 이루며, 허목(許穆)의 발문(跋文)이 있음.
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충청도>청주 , 문헌>서명
-
동고자집(東皐子集)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왕적(王績)의 문집. 《왕적집(王績集)》 5권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동고자집(東皐子集)》3권으로 전함. 〈취향기(醉鄕記)〉ㆍ〈오두선생전(五斗先生傳〉ㆍ〈무심자전(無心子傳)〉 등을 수록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동고집(東皐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 문신인 이희검(李希儉)의 문집.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동관집(東觀集)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의 문인인 위야(魏野)의 시집. 아들 위한(魏閑)이 아버지의 시 359편을 중편(重編)하여 엮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동괴(董槐)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보광(輔廣)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관직은 승상(丞相)까지 이르렀음.
?~12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국문감(東國文鑑)
고려 후기의 문신인 김태현(金台鉉)이 고대부터 고려 말엽까지의 여러 사람의 시문(詩文)을 모아 편집한 우리나라 최초의 시문선집(詩文選集). 6권 2책. 활자본.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
조선 영조(英祖) 46년에 우리나라의 상고시대부터 내려오는 모든 문물제도를 모아 역은 백과사전. 목판본. 100권 40책. 원(元) 나라의 마단림(馬端臨)이 엮은 《문헌통고(文獻通考)》의 체제를 바탕으로 13개 문(門)으로 나누어 수록함.
17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동국병감(東國兵鑑)
조선 문종(文宗) 때 간행된 대외 전쟁기록을 엮은 서적. 고조선부터 고려 말까지 우리나라와 이민족과의 전쟁을 계통적으로 정리한 역사서.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동국사략(東國史略)
조선 태종(太宗) 때 권근(權近) 등이 왕명에 따라 단군조선(檀君朝鮮)에서 삼국시대(三國時代)까지의 역사를 강목체(綱目體)로 기술한 관찬사서(官撰史書). 8권. 활자본.
140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조선 성종(成宗) 때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에 우리나라 문사(文士)들의 시문(詩文)을 첨가하여 편찬한 관찬 지리서(官撰地理書). 50권.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대성.
14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동국역대기사(東國歷代紀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오여벌(吳汝橃)의 저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동국연대(東國年代)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권제(權踶)의 저서. 1436년(세종 18)에 찬진(撰進)함.
143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규보(李奎報)의 시문집. 목판본. 1241년(고종 28) 아들 이함(李涵)이 초고를 수집 편차하여 총 53권 14책으로 초간(初刊)함.
1241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동국정운(東國正韻)
조선 세종(世宗) 때 신숙주(申叔舟)ㆍ최항(崔恒)ㆍ박팽년(朴彭年)ㆍ성삼문(成三問)ㆍ이개(李塏)ㆍ강희안(姜希顔) 등이 세종의 명으로 편찬하여 1448년(세종 30)에 간행한 우리나라 최초의 운서(韻書). 6권 6책. 활자본.
1448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동국지리지(東國地理志)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문신인 한백겸(韓百謙)이 지은 역사지리서. 1책 60장. 목판본. 1640년(인조 18) 아들 한흥일(韓興一)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이명웅(李命雄)에게 부탁하여 대구 감영(大丘監營)에서 간행함. 여러 사서(史書)에서 관련 내용을 뽑아 엮고 사견(私見)을 더함.
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문헌>서명
-
동국통감(東國通鑑)
조선 성종(成宗) 때 서거정(徐居正) 등이 왕명을 받아 신라 초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 사실을 모아 편찬한 사서(史書). 56권 28책. 활자본. 조선 전기 대표적 관찬 사서(官撰史書)의 하나.
148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동귀집(東歸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인 유휘(劉煇)의 문집. 1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동락서원(東洛書院)
조선 효종(孝宗) 때 경상도 인동(仁同)에 세운 서원. 장현광(張顯光)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되어, 1676년(숙종 2)에 사액됨. 후에 장경우(張慶遇)를 추가로 배향함.
165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인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동래(東萊)
경상남도 남동부 일대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 대일 외교를 총관하던 중요한 관문이었고, 군사상으로도 중요한 요충지.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동래정씨(東萊鄭氏)
신라 말 안일 호장(安逸戶長)을 지낸 정회문(鄭繪文)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동래 , 인명>집단>성씨
-
동래좌씨박의(東萊左氏博議)
중국 남송(南宋) 때의 학자인 여조겸(呂祖謙)이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대하여 논평하고 주석(註釋)한 책. 과거문(科擧文)에 사용되어 문과 시험의 규범이 됨. 25권.
1168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동래집(東萊集)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여조겸(呂祖謙)의 문집. 4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동림산성(東林山城)
평안북도 선천(宣川)에 위치한 산성. 고려 전기에 강동육주(江東六州)를 수복한 다음 여진족을 방어하기 위해 쌓음. 둘레 약 5.4km, 높이 5m. 의주(義州)로 통하는 관문에 위치함.
한국>고려전기 , 평안도>선천 , 유적>시설>성,진,책
-
동명(東銘)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인 장재(張載)가 학당(學堂)의 동쪽 창에 학자의 언행(言行)에 관해 쓴 글. 원래 명칭은 〈폄우(砭愚)〉인데 정이(程頤)의 조언을 받아 개칭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동명왕편(東明王篇)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장편 서사시. 고구려 시조 동명왕(東明王)의 전설을 오언시체(五言詩體)로 엮은 영웅 서사시로, 기사체(記事體) 문학의 선구가 됨. 저자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실려 있음.
1193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동명집(東溟集)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 문인 정두경(鄭斗卿)의 시집. 목판본. 11권 3책. 간행 연대는 미상이나 권두에 1646년(인조 24)에 쓴 윤신지(尹新之)의 서(序)가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동몽선습(童蒙先習)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 유학자 박세무(朴世茂)가 서당에 처음 입학한 학동을 위하여 지은 책. 1책. 목판본. 학동들의 필수 교양서적으로, 오륜(五倫)의 요점과 중국ㆍ한국 역사를 간략하게 서술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동몽수지(童蒙須知)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喜)가 초학 아동이 학문에 들어가기에 앞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자세와 예절을 기록한 책. 1책. 목판본. 고려 말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시대에 아동교육용으로 널리 사용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동몽정(董夢程)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황간(黃榦)의 문인으로 호방평(胡方平)에게 역학(易學)을 전수함. 황간과 동수(董銖)에서 비롯한 주자(朱子) 계통의 학문을 계승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문선(東文選)
조선 성종(成宗) 때 서거정(徐居正) 등이 왕명을 받아 신라 때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시문(詩文)을 모아 엮은 시문집. 이후 숙종(肅宗) 때 당시까지의 시문을 추가하여 개편(改編)한 것까지 통틀어 이르기도 함.
14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동문오(東門吳)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魏) 나라 사람. 자식이 죽었는데 슬퍼하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동방삭(東方朔)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ㆍ문신. 기언 기행(奇言奇行)으로 무제(武帝)의 총애를 받음. 속설에 서왕모(西王母)의 선도(仙桃)를 훔쳐 먹고 장수하여 삼천갑자(三千甲子)를 살았다 하여 삼천갑자동방삭(三千甲子東方朔)으로 일컬어짐.
B.C.154~B.C.9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동방연원록(東方淵源錄)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학자인 범세동(范世東)이 편찬한 책.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동백(冬柏)
차나뭇과의 상록활엽 교목. 겨울에서 봄까지 꽃이 귀한 시기에 피는 데서 붙여진 이름으로, 설중사우(雪中四友)의 하나. 열매는 약용(藥用)으로 사용하거나 머릿기름, 등잔기름 등으로 사용함.
자연물>식물
-
동백우(童伯羽)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스승과 주고받은 문답이 전함. 《효경연의(孝經衍義)》ㆍ《오경훈해(五經訓解)》 등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백정(冬柏亭)
전라남도 장흥군(長興郡) 장동면(長東面)에 있는 정자 이름. 1458년(세조 4) 좌찬성 김린(金麟)이 건립한 가정사(假亭舍)를, 1584년(선조 17)에 그의 후손인 김성장(金成章)이 중건하면서 동백정이라고 개명함.
145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유적>건물>누정
-
동복(同福)
전라도 화순(和順) 지역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동사(東事)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허목(許穆)이 쓴 기전체(紀傳體) 형식의 역사서. 허목의 문집인 《기언(記言)》권32~36에 〈동사〉 17편을 수록함.
166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동사강목(東史綱目)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정복(安鼎福)이 고조선(古朝鮮)부터 고려 말기(高麗末期)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술한 책. 20권 20책. 필사본. 1915년 조선고서간행회(朝鮮古書刊行會)에서 활자본으로 간행함.
175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동사상일록(東槎上日錄)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회답사(回答使)의 상사(上使)로서 일본에 다녀온 오윤겸(吳允謙)의 사행일기. 일본에서 지낸 4개월간의 경과와 견문(見聞) 및 지방의 형세, 현지에서 술회(述懷) 및 증답(贈答)에 관한 시율(詩律)을 수록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동사일록(東槎日錄)
조선 숙종(肅宗) 때 역관(譯官) 김지남(金指南)이 압물통사(押物通事)로 일본에 다녀오면서 적은 사행기록(使行記錄). 사행 중의 중요한 사건과 일본의 산천ㆍ지리ㆍ명승고적ㆍ사찰 등에 대해 자세하게 기술함.
168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동사찬요(東史纂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오운(吳澐)이 지은 역사책. 8권 8책. 목판본. 신라 시조(始祖)에서부터 고려 공양왕(恭讓王)까지의 사적을 기술하였는데, 1609년(광해군 1)에 계림부(鷄林府)에서 처음 간행함.
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동사회강(東史會綱)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임상덕(林象德)이 편찬한 강목체(綱目體)의 역사서. 27권 10책. 목활자본.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동산악부(東山樂府)
중국 송(宋)~금(金)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오격(吳激)의 문집. 현재는 전하지 않음.
중국>금ㅣ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동산집(東山集)@오격
중국 송(宋)~금(金)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오격(吳激)의 문집. 현재는 전하지 않음.
중국>금ㅣ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동산집(東山集)@조방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조방(趙汸)의 저서. 15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동선(董宣)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광무제(光武帝) 때 잘못을 한 호양공주(湖陽公主)에게 머리를 조아리지 않은 강직함으로 유명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수(董銖)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자어류(朱子語類)》에 그와 주고받은 문답이 실려 있음.
1152~121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쌍성(董雙成)
중국 고대 전설 속에 나오는 선녀. 서왕모(西王母)의 시녀(侍女).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동악신묘(東嶽神廟)
중국 광녕(廣寧)의 동쪽 성 밖에 있는 묘우(廟宇). 동악(東嶽), 즉 대악(岱岳)의 신인 제천인성제(齊天仁聖帝)를 모심. 중국을 오가는 길목에 있어 김성일(金誠一)의 〈조천기행(朝天紀行)〉 등 사신 길에 이곳을 기행한 글이 있음.
중국 , 유적>건물>사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