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김봉조(金奉祖)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산음 현감(山陰縣監) 김대현(金大賢)의 아들로,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 제용감 정(濟用監正) 등을 지냈으며, 아우 김영조(金榮祖)와 함께 영남에서 문명을 떨침.
1572~163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부(金富)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취려(金就礪)의 아버지. 1186년(명종 16) 예부 시랑(禮部侍郞)을 겸함으로써 무신으로서 문한(文翰)을 관장하는 유관직(儒官職)까지 겸한 최초의 인물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무신
-
김부륜(金富倫)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성일(金誠一)ㆍ이발(李潑)과 도의를 강마하였으며, 만년에 설월당(雪月堂)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씀.
1531~15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김부식(金富軾)
고려 숙종(肅宗)~의종(毅宗) 때의 문신ㆍ학자. 《삼국사기(三國史記)》를 편찬함.
1075~1151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부신(金富信)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유학(儒學)에 돈독한 뜻을 두었다는 이황(李滉)의 평을 받음.
1523~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김부원(金溥元)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응회(金應會)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문사>유학
-
김부의(金富儀)@고려
고려 문종(文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국자좨주 좌간의대부(國子祭酒左諫議大夫) 김근(金覲)의 아들. 1134년(인종 12) 형인 김부식(金富軾)과 함께 묘청(妙淸)의 반란을 평정함.
1079~11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부의(金富儀)@조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25~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김부인(金富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ㆍ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낙안 군수(樂安郡守)ㆍ정주 목사(定州牧使)ㆍ경상도 병마절도사(慶尙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냄. 관직에서 물러난 뒤 경학(經學)에 힘쓰면서 근본원리를 종합적으로 통찰함을 학문연구의 토대로 삼음.
1512~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김부일(金富佾)
고려 예종(叡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국자좨주 좌간의대부(國子祭酒左諫議大夫) 김근(金覲)의 둘째 아들로, 수태위 개부의동삼사 비서성사 주국(守太尉開府儀同三司祕書省事柱國)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여 송(宋) 나라에까지 이름이 알려짐.
1071~1132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부필(金富弼)@고려
고려 선종(宣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국자좨주 좌간의대부(國子祭酒左諫議大夫)를 지낸 김근(金覲)의 아들. 1107년(예종 2)에 윤관(尹瓘)이 여진(女眞)을 정벌할 때 출정하여 공을 세움.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부필(金富弼)@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16~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김붕섭(金鵬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임진왜란 때 의병인 김덕홍(金德弘)ㆍ김덕령(金德齡)ㆍ김덕보(金德普)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김비(金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냄. 조선 세종(世宗) 때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하연(河演)의 모부인(母夫人) 진주정씨(晉州鄭氏)의 외조부.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비(金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증좌승지(贈左承旨) 김덕수(金德秀)의 아들로, 군자 판관(軍資判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비궁(金匪躬)
고려 전기의 문신. 김희일(金希逸)의 아들.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냈고, 벽상공신(壁上功臣)이 되어, 상산부원군(商山府院君)에 봉해짐.
1040~?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빈(金濱)
조선 전기의 학자. 남효온(南孝溫)과 죽마고우(竹馬故友)로 담양 교관(潭陽敎官)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학자
-
김사(金嗣)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수원(水原). 벼슬하지 않고 안빈수도(安貧守道)하며 후학을 양성함.
1447~153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학자
-
김사(金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상산(商山).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김석진(金碩振)의 아버지로, 상원군(商原君)으로 추봉(追封)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김사걸(金士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김구손(金龜孫)의 아들이며, 형조 참의(刑曹參議) 김위(金偉)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김사결(金事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윤원(金胤源)의 아들로,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김사고(金師古)
조선 전기의 문신. 강원도 원주(原州)에 있는 빙허루(憑虛樓)의 주인으로 그 내용이 홍귀달(洪貴達)의 《허백정집(虛白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김사렴(金士廉)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천(金蕆)의 아들.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과 교유하고, 신돈(辛旽)이 권력을 갖자 왕에게 직간(直諫)함. 조선이 건국되자 관직에 나가지 않고, 청주의 도산(陶山)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김사명(金士明)
조선 전기의 유학. 박승임(朴承任)의 《소고집(嘯皐集)》에 만사(挽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사문(金士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김우(金佑)의 아들로, 1538년(중종 33) 별시(別試)에 급제한 후 원주 교수(原州敎授)가 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김사수(金師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귀년(金龜年)의 아들로, 음관(蔭官)으로 출사하여 회덕 현감(懷德縣監) 등을 역임함.
1490~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사순(金思順)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영광(靈光). 1362년(공민왕 11) 문과에 급제한 김지(金祉)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김사악(金師諤)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하였으며, 《모재집(慕齋集)》에 김안국의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사원(金嗣源)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상의원 정(尙衣院正)을 지내고, 사후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김사원(金士元)@고려후기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문하시랑찬성사 김련(金璉)의 아들. 충선왕 때 권신 이대순(李大順)의 모함으로 장류(杖流)됨. 돌아와 평양 윤(平壤尹) 등을 거쳐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에 이름.
?~131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사원(金士元)@조선전기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흡곡 현령(歙谷縣令)을 지낸 김숙춘(金叔春)의 아들. 1492년(성종 23)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파주 목사(坡州牧使)ㆍ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ㆍ첨지사(僉知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사원(金士元)@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규합하여 정제장(整濟將)으로 추대됨.
1539~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사중(金士重)
조선 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사창(金泗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김수손(金首孫)의 아들로,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참형(斬刑) 당한 이목(李穆)의 처형.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김사혁(金斯革)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개경(開京)에 침입한 홍건적(紅巾賊)을 격퇴함.
?~138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무신
-
김사형(金士衡)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제1차 왕자난 때 태종의 즉위를 도움.
1333~140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김사효(金思孝)
조선 전기의 유학. 율곡(栗谷) 이이(李珥), 등암(鐙巖) 이덕익(李德益)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김삭(金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화(金華)의 아들이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김예몽(金禮蒙)의 아버지로, 사성(司成)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삼계(金三戒)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삼산(金三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김극효(金克孝)의 아들이며,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 김옹(金顒)의 아버지로, 전력(展力)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상(金尙)
고려시대의 호장(戶長). 본관은 예안(禮安). 예안김씨(禮安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아전
-
김상(金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군수(郡守) 김경언(金慶言)의 아버지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김상(金賞)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 때의 무신. 김일제(金日磾)의 아들로, 아우인 김건(金建)과 함께 어려서부터 비슷한 또래인 소제와 친하게 지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김상건(金尙建)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함창(咸昌). 물암(勿巖) 김륭(金隆)의 5대손으로, 1774년(영조 50) 《물암집(勿巖集)》을 편집ㆍ간행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유학
-
김상기(金上琦)
고려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상서 좌복야(尙書左僕射) 김양(金陽)의 아들이며, 문성공(文成公) 김인존(金仁存)의 아버지. 1085년 송(宋) 나라에 다녀와서 국사를 편찬했으며, 태부(太傅) 등을 지냄.
1031~1112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김상묵(金尙默)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현감(縣監) 김성채(金聖采)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김종수(金鍾秀)와 교유함.
17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상성(金尙星)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김시환(金始煥)의 아들. 13세에 영평(永平)의 〈금수정기(金水亭記)〉를 지어 신동(神童)으로 불리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703~175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상양(金尙養)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용담 현령(龍潭縣令) 김호수(金虎秀)의 아들로, 1613년(광해군 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8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김상용(金尙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돈녕부 도정 김극효(金克孝)의 아들이며,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족을 호종하고 강화(江華)로 갔다가 강화성(江華城)이 함락되자 자결함.
1561~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상임(金相任)
조선 정조(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한성부 판관(漢城府判官) 김무택(金茂澤)의 아들로, 1789년(정조 1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남공철(南公轍)과 교유함.
17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김상정(金相定)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군수 김영택(金令澤)의 아들. 승지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정조가 즉위하자 정조와 사이가 나빴던 홍인한(洪麟漢)과 가까웠던 이유로 파직됨. 저서로 《석당유고(石堂遺稿)》가 있음.
1722~178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상철(金尙喆)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김시혁(金始爀)의 아들로, 영의정 등을 지냄. 1770년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를 편찬하게 하고, 《신묘중광록(辛卯重光錄)》을 편집, 간행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상헌(金尙憲)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서인 청서파(淸西派)의 영수이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끝까지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함. 효종이 즉위해 북벌을 추진할 때 그 이념적 상징으로 ‘대로(大老)’라고 존경을 받음.
1570~165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경기도>양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새(金璽)
조선 전기의 유학. 《성암집(省菴集)》에 김효원(金孝元)과 주고받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생(金生)
통일신라의 서예가. 일생을 서예에 바쳤으며, 예서(隸書)ㆍ행서(行書)ㆍ초서(草書)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서성(書聖)’이라 불림.
711~?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충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김생명(金生溟)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을사사화(乙巳士禍) 후 사직하고 학문연구에만 몰두함.
1504~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김생사(金生寺)
신라의 명필(名筆)인 김생(金生)이 만년에 세웠다는 사찰. 충청북도 청원(淸原) 문의면(文義面)에 절터가 있었으나 지금은 수몰되고 없음.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충주 , 유적>건물>사찰
-
김생해(金生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평양부 서윤(庶尹)을 지낸 김번(金璠)의 아들. 1537년(중종 32) 진사시에 입격하여 신천 군수(信川郡守)를 역임하였고,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추증됨.
1512~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김서(金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효자로 이름 높은 김극일(金克一)의 아버지로, 의흥 현감(義興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김서(金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대흥 현감(大興縣監)을 지낸 김계문(金季文)의 아들. 자암(自庵) 김구(金絿)의 동생으로, 영평 현령(永平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서성(金瑞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1544년 중종 비가 죽자 사재감 정(司宰監正)이 되어 일을 처리함.
1497~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서현(金舒玄)
신라 진평왕(眞平王) 때의 귀족ㆍ장군. 김유신(金庾信)의 아버지. 629년(진평왕 51) 고구려의 낭비성(娘臂城:충청북도 청원)을 함락시킴.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김석(金錫)@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나 벼슬하지 않음.
1495~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양산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김석(金錫)@통일신라
신라 제56대 경순왕(敬順王)의 다섯째 아들. 의성군(義城君)에 봉해져 의성김씨(義城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의성 , 인명>왕실>왕자
-
김석량(金錫良)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16년(중종 1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했으나 벼슬하지 않음. 묘지명(墓誌銘)이 조식(曺植)의 《남명집(南冥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석옥(金錫沃)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부령(扶寧)으로,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 김직손(金直孫)의 아들. 곧은 행실로 인망이 높아 김안국(金安國)이 그를 군자(君子)라 하여 조정에 천거함.
1477~153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학자
-
김석윤(金錫胤)
조선 전기의 문신. 풍덕(豊德)의 수령을 역임했으며, 심의(沈義)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김석주(金錫胄)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좌명(金佐明)의 아들. 외척으로 남인(南人)을 배척하는 데 앞장섰으며 숙종의 묘정에 배향됨.
1634~168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풍 , 인명>왕실>인척ㅣ인명>관인>문신
-
김석진(金奭鎭)
조선 철종(哲宗)~순종(純宗) 때의 문신. 의열사(義烈士). 본관은 안동(安東).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오적신(五賊臣)의 처형을 주장하였으며, 1910년 국권이 피탈되자 음독 자결함.
1843~1910 한국>근대ㅣ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석진(金碩振)
조선 후기의 문신. 상원군(商原君)에 추봉된 김사(金泗)의 아들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내고 상성군(商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김석홍(金錫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화를 입은 기묘당인(己卯黨人) 중의 한 명.
1493~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김선(金瑄)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창(咸昌).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김선(金璿)
고려 후기의 문인. 임춘(林椿)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김선(金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원주 목사(原州牧使)를 지낸 김태경(金泰卿)의 아들. 대사성(大司成)ㆍ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김선궁(金宣弓)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태조(太祖)가 선궁(宣弓)이란 이름을 하사함.
922~?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무신
-
김선초(金善初)
조선 전기의 문신. 《구암집(龜巖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안악 , 인명>관인>문신
-
김선치(金先致)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홍건적(紅巾賊)을 평정시켜 일등공신(一等功臣)이 되어 그 형상이 벽상(壁上)에 그려짐.
1318~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김선평(金宣平)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신안동김씨(新安東金氏)의 시조. 권행(權幸)ㆍ장길(張吉) 등과 함께 태조를 도와 후백제의 견훤(甄萱)을 고창군에서 대파하는 데 공을 세워 아부공신(亞父功臣)을 받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김섬(金贍)
고려 후기의 문신. 문하주서(門下注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김성(金成)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역적. 판사(判事) 역임. 임중보(林仲甫)가 꾸민 역모에 연좌되어 참수 당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문신
-
김성(金城)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김종손(金宗孫)의 아들로, 오위 부장(五衛副將)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김성구(金成九)
조선 후기의 유학. 《백담집(栢潭集)》속집(續集)을 간행할 때 이유수(李裕垂)와 함께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의 시문(詩文)을 모으고 정리하여 김굉(金㙆)의 서문을 받는 등 실무를 담당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김성구(金聲久)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추길(金秋吉)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 등을 지냄. 안동(安東)의 백록사(栢麓祠)에 배향(配享)됨.
1641~17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김성벽(金成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 김송무(金松茂)의 아들이며, 김응회(金應會)의 아버지로, 광양 훈도(光陽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김성벽(金成璧)
조선 전기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김성원(金成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김인후(金麟厚)와 임억령(林億齡)의 문인(門人).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과 제휴하여 현민(縣民)을 잘 보호하였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어머니와 피신하던 중 왜적에게 살해됨.
152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김성원(金聲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조헌(趙憲)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금산 전투(錦山戰鬪)에서 전사함.
1565~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산 , 인명>문사>학자
-
김성익(金聖翼)
조선 영조(英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김시찬(金是瓚)의 아버지로, 1756년(영조 3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7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김성일(金誠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으로, 청계(靑溪) 김진(金璡)의 아들. 이황(李滉)의 고제(高弟)로, 주리론(主理論)을 계승하여 영남학파의 중추 구실을 함. 이황(李滉)의 《자성록(自省錄)》ㆍ《퇴계집(退溪集)》 등을 편집ㆍ간행함.
1538~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김성장(金成章)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선조(先祖)인 동촌(桐村) 김린(金麟)이 은거했던 곳에 동백정(冬栢亭)을 세웠는데, 박광전(朴光前)이 쓴 〈동백정기(冬栢亭記)〉가 《죽천집(竹川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유학
-
김성지(金誠之)
조선 전기의 문인.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문인
-
김성휘(金成輝)
조선 중종(中宗)~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훈벌가문(勳閥家門)이었으나 생활이 어려워 어려서부터 치산(治産)에 힘써 당대의 거부(巨富)가 되고, 임진왜란 때 군량미를 조달한 공으로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지냄.
1535~162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김세걸(金世傑)
조선 전기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관산(冠山)으로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김세규(金世奎)
조선 후기의 문인. 정개청(鄭介淸)의 문인(門人)으로, 정경세(鄭經世)ㆍ이수광(李睟光) 등과 교유하고, 저서에 《우송집(友松集)》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화순 , 인명>문사>문인
-
김세균(金世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김익수(金益壽)의 아버지로, 1506년(중종 1년)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참의(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김세남(金世南)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김종직(金宗直)이 현량과(賢良科)로 여러 번 천거했지만 출사하지 않음.
1462~1542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
-
김세량(金世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진해(鎭海)ㆍ청도(淸道)의 현감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김세렴(金世濂)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군수 김극건(金克鍵)의 아들로,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는 자를 탄핵하다가 유배됨.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재기용되어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등을 지내며 《근사록(近思錄)》ㆍ《소학(小學)》등을 간행함.
1593~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김세묵(金世默)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공조 참판(工曹參判) 김굉(金硡)의 아들로, 수의부위(修義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김세문(金世文)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임진왜란(壬辰倭亂) 의병장인 김면(金沔)의 아버지로, 경원 부사(慶源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