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윤희(胤熙) - 한윤희(韓胤熙)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로, 영흥 부사(永興府使)를 지낸 한사개(韓士介)의 장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윤희(胤禧)@권윤희 - 권윤희(權胤禧)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결(權潔)의 아버지. 벼슬하지 못하고 일찍 죽었으나, 후에 사복시 정(司僕寺正)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윤희(胤禧) - 정윤희(丁胤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좌찬성을 지낸 정응두(丁應斗)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인. 문장이 뛰어났고, 특히 사륙문(四六文)에 능하여 홍문관(弘文館)과 예문관(藝文館)의 서책을 많이 찬술하였음.
1531~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율(慄) - 남률(南慄)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중종 때 대사간(大司諫)을 역임함.
14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율(慄)@조선후기 - 권율(權慄)@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명장. 본관은 안동(安東).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6세손이자 영의정을 지낸 권철(權轍)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행주대첩(幸州大捷)을 승리로 이끎.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으로 추봉됨.
1537~15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율(慄)@조선전기 - 권율(權慄)@조선전기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동생인 매헌(梅軒) 권우(權遇)의 손자. 김종직(金宗直)ㆍ장말손(張末孫)ㆍ조극치(曺克治)ㆍ채신보(蔡申保)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율(栗)@성율 - 성율(成栗)
조선 전기의 문신. 초당(草堂) 허엽(許曄)의 형인 종사랑(從仕郞) 허구(許昫)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율(栗) - 박률(朴栗)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북평사(北評事)를 지냄.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율(瑮) - 성률(成瑮)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희안(成希顔)의 아들로,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 등을 지내고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율(硉) - 김률(金硉)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김미(金亹)의 아버지. 1478년(성종 9) 친시(親試) 을과(乙科)에 급제하여 제주 목사(濟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율(𧺝) - 곽율(郭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곽지인(郭之仁)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 임진왜란때 초계 군수(草溪郡守)로 재임되어 왜군을 방어, 강우(江右)지역 방어에 기여함.
1531~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율^우(栗^牛) - 우^율(牛^栗)
조선 선조(宣祖) 때의 성리학자인 문간공(文簡公)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문성공(文成公) 율곡(栗谷) 이이(李珥)를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후기ㅣ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ㅣ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율곡(栗谷)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율곡로(栗谷老)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율곡문집(栗谷文集) - 율곡전서(栗谷全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의 시문집을 집대성한 책. 44권 23책. 목판본. 1611년(광해군 3) 제자 박여룡(朴汝龍) 등에 의해 원집(原集)이 간행된 것을 시초로 하여, 그후 여러 차례 증보ㆍ간행되다가, 1814년(순조 14) 완간됨.
161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서명
-
원(傊) - 이원(李傊)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원천군(原川君) 이의(李宜)의 두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원(元)@곽원 - 곽원(郭元)
고려 성종(成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갑과(甲科)로 급제하여 형부 상서(刑部尙書)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청렴하고 문장을 잘 지음.
?~1029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원(元)@왕융 - 왕융(王戎)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은자. 사도(司徒)의 관직을 지내다 정권교체기에 관직을 버리고 죽림칠현(竹林七賢) 중 한 사람이 됨.
233~305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원(原) - 원(元)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까지 중국 본토와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고족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1271~1368 중국>원 , 중국 , 시간>국명
-
원(原)@이원 - 이원(李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손자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 때 협력하여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국기를 다지고 제도를 확립하는 데 공헌함.
1368~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垣) - 노원(盧垣)
통일신라~고려 전기의 문신. 노수(盧穗)의 아홉째 아들로, 곡산노씨(谷山盧氏)의 득관조(得貫祖). 본래 중국 당(唐)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를 따라 신라(新羅)에 귀화하였으며, 고려 초기에 벼슬하여 곡산백(谷山伯)에 봉해짐.
중국>당ㅣ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중국ㅣ황해도>곡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원(愿) - 이원(李愿)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사도(司徒)를 지냈으나 관직을 그만두고 한가하게 살며 음악과 기생으로 호사함. 벼슬을 그만두고 반곡(盤谷)으로 돌아갈 때 한유(韓愈)가 지어 준 〈송이원귀반곡서(送李愿歸盤谷序)〉로 유명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沅) - 왕원(王沅)
고려 후기의 종친. 현종(顯宗)의 아들 평양공(平壤公) 왕기(王基)의 5대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원(湲) - 심원(沈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청성군(靑城君) 심순경(沈順徑)과 사인(舍人) 심순문(沈順門)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문사>유학
-
원(源)@하원 - 하원(河源)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하소지(河紹地)의 아들. 전력부위(展力副尉)에 오르고, 국명(國命)에 따라 중부(仲父)인 하위지(河緯地)의 후사를 이음.
1451~15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원(源)@정원 - 정원(鄭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김안로(金安老)의 배척을 받아 외직으로 전전하다가 형조 정랑(刑曹正郞)ㆍ사간(司諫)을 역임하였고, 명종 옹립의 공으로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사사(賜死)됨.
1495~15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源)@1448 - 이원(李源)@1448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손자이며, 진례군(進禮君) 이형(李衡)의 맏아들로, 효행과 우애가 돈독하였음.
1448~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원(源) - 유원(柳源)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삼중대광 진천군(三重大匡晉川君)에 봉해진 유지정(柳之淀)의 아들로,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북방 수비에 공을 전력하고, 지공거(知貢擧)로서 과거를 관장함.
1341~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원(源)@1501 - 이원(李源)@1501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조식(曺植)ㆍ이황(李滉)과 교유하면서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아니하고 평생을 학문연구에 바침.
1501~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
-
원(瑗)@허원 - 허원(許瑗)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합천 군수(陜川郡守)를 지낸 허훈(許薰)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의영고 영(義盈庫令) 등을 지냄.
1457~151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원(瑗)@조원 - 조원(趙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조응공(趙應恭)의 아들로, 조응관(趙應寬)에게 출계함.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삼척 부사(三陟府使)ㆍ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냄.
1544~15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瑗)@안원 - 안원(安瑗)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조선 건국 후 정치 참여를 거부하였으나, 태종(太宗)의 간청으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 나라에 다녀왔으며, 외척으로서 횡포를 부리던 민무구(閔無咎) 형제를 탄핵하였음.
1346~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원(瑗) - 이원(李瑗)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의 증손이며, 기묘명현(己卯名賢)인 강녕부정(江寧副正) 이기(李祺)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원(瑗)@황원 - 황원(黃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낸 황대수(黃大受)의 아버지로,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원(瑗)@김원 - 김원(金瑗)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허의(金許義)의 아들이고, 김세헌(金世憲)의 아버지. 1483년(성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원(轅) - 기원(奇轅)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권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황후(奇皇后)의 오빠로 횡포와 사치를 일삼다가 조일신(趙日新) 일당에게 살해됨.
?~135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원(遠)@이원 - 이원(李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명종(明宗) 때 좌부승지(左副承旨)를 지낸 이광진(李光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원(遠) - 서원(徐遠)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서선(徐選)의 아버지로, 죽주(竹州)의 수령을 지냄.
1311~137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원(黿) - 이원(李黿)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종직(金宗直)에게 문충(文忠)의 시호를 줄 것을 제안하였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장류(杖流)되었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참형당함. 문장에 능하고, 특히 행의(行義)로 추앙받음.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원^동(袁^董) - 동^원(董^袁)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장군인 동탁(董卓)과 무신인 원소(袁紹)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원^의(原^誼) - 굴^가(屈^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문인인 굴원(屈原)과 전한(前漢) 때의 문인인 가의(賈誼)를 함께 부르는 말. 사부(辭賦)의 대가를 가리킴.
중국>전한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원가(元價) - 주지번(朱之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냈으며, 1606년(조선 선조 39)에 양유년(梁有年)과 함께 황제의 원손(元孫) 탄생을 알리는 조서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돌아갈 때 허난설헌(許蘭雪軒)의 《난설헌집(蘭雪軒集)》을 가지고 가서 명에서 간행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가강(源家康) - 덕천가강(德川家康)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초대 장군(將軍). 풍신수길(豊臣秀吉) 아래에서 빼어난 전략가로 있었으나 풍신수길 사후 그의 일족을 멸하고 전국(戰國)을 제패하여 강호 막부(江戶幕府)를 세움.
1543~1616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원각경함허당득통해(圓覺經涵虛堂得通解) - 원각경소(圓覺經疏)
조선 세종(世宗) 때의 승려인 기화(己和)가 지은 《원각경(圓覺經)》에 대한 주석서. 당(唐) 나라 규봉(圭峰)의 《원각경대소(圓覺經大疏)》와 큰 이견이 있어 저술함. 3권 1책. 목판본.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원각조사(圓覺祖師) - 달마(達磨)
중국 남북조시대의 선승(禪僧). 중국 선종(禪宗)의 창시자. 달마(達磨)는 부처로부터는 28번째의 조사(祖師)로 여겨지고, 중국 선종에서는 초조(初祖)로 간주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원간(元幹) - 이원간(李元幹)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이효독(李孝篤)의 아들로, 진주 목사(晉州牧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격이 강직하고 엄격하였음.
?~153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원갈(袁渴) - 원가갈(袁家渴)
중국 호남성(湖南省) 영주(永州)에 있던 명승지의 하나. 지산(芝山)의 성 남쪽에 있으며, 대대로 원씨(袁氏)들이 살던 곳으로, 모래톱에 있는 돌섬으로 인해 물이 역류하는 것처럼 보여서 붙여진 이름이라 함. 유종원(柳宗元)의 〈원가갈기(袁家渴記)〉가 전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원감(圓鑑) - 충지(冲止)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수선사(修禪社)의 제6세 사주(社主). 위호소(魏號紹)의 아들로, 원오국사(圓悟國師) 문하에서 선교일치(禪敎一致)의 종풍(宗風)을 계승하였으며, 유선일치(儒禪一致)의 사상조류를 수용함.
1226~12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종교인>승려
-
원감국사(圓鑑國師) - 충지(冲止)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수선사(修禪社)의 제6세 사주(社主). 위호소(魏號紹)의 아들로, 원오국사(圓悟國師) 문하에서 선교일치(禪敎一致)의 종풍(宗風)을 계승하였으며, 유선일치(儒禪一致)의 사상조류를 수용함.
1226~12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종교인>승려
-
원강(元剛) - 유원강(留元剛)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국사원 편수관(國史院編修官)ㆍ실록원 검토관(實錄院檢討官)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운록집(雲麓集)》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강(元綱) - 조원강(趙元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중종(中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강(元綱)@이원강 - 이원강(李元綱)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에 《성문사업도(聖門事業圖)》ㆍ《후덕록(厚德錄)》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강(沅江) - 원수(沅水)
중국 귀주성(貴州省)의 운무산(雲霧山)과 대산(大山)에서 발원하여 합쳐진 후 동류(東流)하여 호남성(湖南省)의 동정호(洞庭湖)로 흘러드는 강 이름. 상수(湘水)ㆍ자수(資水)ㆍ예수(澧水)와 더불어 ‘사수(四水)’로 불림.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원개(元介) - 주지번(朱之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냈으며, 1606년(조선 선조 39)에 양유년(梁有年)과 함께 황제의 원손(元孫) 탄생을 알리는 조서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 돌아갈 때 허난설헌(許蘭雪軒)의 《난설헌집(蘭雪軒集)》을 가지고 가서 명에서 간행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개(元凱)@윤원개 - 윤원개(尹元凱)
고려 후기의 문신. 안축(安軸)이 준 시(詩)가 《근재집(謹齋集)》에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원개(元凱) - 두예(杜預)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ㆍ학자. 진남대장군(鎭南大將軍)이 되어 오(吳)를 평정하여 당양현후(當陽縣侯)에 봉해짐. 춘추의례설(春秋義例說)을 확립하고, 춘추학으로서의 좌씨학을 집대성함.
222~28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원겸(元謙) - 박원겸(朴元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안(務安). 1514년(중종 9)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양근 군수(楊根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14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경(元卿)@강경선 - 강경선(康景善)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신천(信川). 창원도호부사(昌原都護府使) 강의(康顗)의 아들이고 강유선(康惟善)의 형. 이홍남(李洪男)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평민(平民)으로 강등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문사>유학
-
원경(元卿)@탁빈 - 탁빈(卓斌)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성주(卓成宙)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원경(元卿)@조종영 - 조종영(趙鍾永)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문과에 급제하여 안주 목사(安州牧使)로 홍경래(洪景來)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가 되고, 우참찬(右參贊)에 이름.
1771~182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경(元卿) - 장후(蔣詡)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은사(隱士). 왕망(王莽)이 정권을 쥐고 제멋대로 하자 벼슬을 내놓고 은거하며 양중(羊仲)ㆍ구중(求仲) 두 사람과만 교류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원경(元卿)@이원경 - 이원경(李元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계원군(桂原君) 이의(李艤)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세자시강원 사서(世子侍講院司書) 등을 역임함.
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경(元慶) - 원경(元鏡)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고구려에 파견된 팔학사(八學士) 가운데 한 명으로,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즉위에 공을 세웠다고 함. 원주원씨(原州元氏)의 시조.
한국>고구려 , 중국ㅣ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원경(元敬) - 척계광(戚繼光)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무신. 연해 지방에 왜구(倭寇)가 기승을 부리자 병사를 모집하고 새로운 진법(陣法)을 마련하여 왜구 격퇴에 많은 공을 세웠으며, 《기효신서(紀效新書)》 등을 저술함.
1528~158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원경(元鏡)@박원경 - 박원경(朴元鏡)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을 세워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공민왕과 왕비 사후 명복을 빌기 위해 짓는 광통 보제선사(廣通普濟禪寺) 공사를 감독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원경(原鏡) - 박원경(朴原鏡)
고려 우왕(禑王) 때의 재신(宰臣). 현감(縣監)을 지낸 양신지(梁信之)의 처조부(妻祖父)임.
?~138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원경(遠卿) - 강서(姜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지감(知鑑)이 있어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와 임진왜란이 일어날 것을 예고함.
1538~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원경충조(圓經冲照) - 일연(一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고종 때 설악산 진전사(陳田寺)로 출가하여 구산문 사선(九山門四選)의 으뜸되어 지눌(知訥)의 법을 계승하고, 충렬왕 때 국존(國尊)으로 책봉됨. 제자로 혼구(混丘)ㆍ죽허(竹虛)가 있고, 대표적 저서로 《삼국유사(三國遺事)》가 유명함.
1206~128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원계(元季) - 김후(金珝)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나주 목사(羅州牧使)를 지낸 김윤제(金允悌)의 아버지. 양곡(陽谷) 소세양(蘇世讓)과 교유하였으며, 장례원 사평(掌隷院司評)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원계(元桂) - 이원계(李元桂)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무신. 조선 태조(太祖)의 이복형(異腹兄). 홍건적(紅巾賊)을 격퇴하여 공신에 책록되고, 황산(荒山) 싸움에서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왜구를 격퇴하였으며,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에 참여하여 회군공신(回軍功臣)에 책록됨.
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원공(元公)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공(原功) - 우현보(禹玄寶)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의 시체를 거둬 장례를 치렀다가 탄핵을 받음. 조선 개국 후 2차 왕자의 난을 이방원(李芳遠)에게 알려준 공으로 공신에 책록됨.
1333~140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공(園公) - 진여의(陳與義)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시에 뛰어나 도연명(陶淵明)ㆍ유종원(柳宗元) 등과 비견됨.
1090~113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공(遠公) - 혜원(慧遠)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에서 염불 수행의 결사(結社)인 백련사(白蓮社)를 결성한 뒤 산문(山門)을 나서지 않고 도중(徒衆)과 정토 수행(淨土修行)에 전념하였으며, 중국 불교를 학문적으로 확립하는 데 기여함.
334~41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원공식(元公植) - 원부(元傅)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충(元忠)의 할아버지. 충렬왕 때 유경(柳璥)ㆍ김구(金坵) 등과 함께 《고종실록(高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함. 《고금록(古今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첨의중찬(僉議中贊)에 오름.
1219~128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원광(元光) - 탁원광(卓元光)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부마.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탁도민(卓道敏)의 맏아들로,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종(宣宗)의 딸과 혼인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원굉(元宏) - 효문제(孝文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6대 황제. 재위 471~499. 5살에 즉위해 490년까지 조모(祖母)인 풍태후(馮太后)의 섭정 하에 있었으며, 집권 후에는 중국의 다민족국가의 형성과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개혁정책을 추진함.
467~49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굉(元綋) - 김륜(金崙)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김봉(金崶)의 형. 1468년(세조 14)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원교(元敎) - 심유(沈楺)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참의(參議)를 지낸 심세진(沈世縝)의 아들로 호조 참판(戶曹參判)에 추증(追贈)됨.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원교(圓嶠) - 이광사(李匡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ㆍ서예가. 본관은 진주(全州)로, 이긍익(李肯翊)의 아버지. 정제두(鄭齊斗)의 문인으로, 양명학(陽明學)에 조예가 깊었으나 당쟁에 휘말려 유배지에서 죽음. 서예에 뛰어나 원교체(圓嶠體)를 확립하고 후세에 많은 영향을 끼침.
1705~177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원교국사(圓敎國師) - 의상(義湘)
신라 진평왕(眞平王)~성덕왕(聖德王) 때의 승려. 우리나라 화엄종(華嚴宗)의 개조(開祖). 중국 승려 지엄(智儼)의 제자이며, 제자들을 육성하고 사찰을 건립하는 등 실천수행을 근본으로 하여 화엄의 선양에 전념함. 대표작으로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가 있음.
625~70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원교집선(圓嶠集選) - 원교집(圓嶠集)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인 이광사(李匡師)의 문집. 10권 4책. 필사본. 이광사가 유배 때에 지은 시문을 모아둔 것을 바탕으로 편찬했으나, 간행 연대나 편찬 과정이 불확실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원구(元具) - 이원구(李元具)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성주(星州).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의 아버지로, 신돈(辛旽)의 총애를 받았으며, 판태복사(判太僕事) 등을 지냄.
129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무신
-
원구(元龜) - 김개물(金開物)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훤(金咺)의 아들로, 성품이 강직하였으며,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능하였음.
1272~132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원규(元規) - 유량(庾亮)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명제(明帝)의 비(妃)인 명목유황후(明穆庾皇后)의 오빠로, 조카인 성제(成帝) 때 권력을 휘둘러 비난을 받음.
289~34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원균(元均)@전황 - 전황(田況)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지성도부(知成都府)를 지낼 때 촉(蜀)에서 일어난 이순(李順)ㆍ왕균(王均)의 난(亂)을 잘 다스려 백성들이 널리 칭송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근(元謹) - 박원근(朴元謹)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박효순(朴孝順)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문사>유학
-
원기(元基) - 박원기(朴元基)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부사직(副司直)을 지낸 박지몽(朴之蒙)의 아들이고, 호조 정랑(戶曹正郞)을 지낸 박전(朴全)의 아버지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유학
-
원기(元紀) - 조원기(趙元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정랑(正郞) 조충손(趙衷孫)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숙부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냄.
1457~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기(圓機) - 오상(吳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예조 좌랑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이조ㆍ예조ㆍ형조의 판서(判書)를 지내고, 문장에 뛰어나 8문장(八文章)의 한 사람으로 불림.
1512~15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기(遠期) - 이영성(李永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이홍간(李弘幹)의 아들로,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원기중(袁機仲) - 원추(袁樞)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학자.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이 지나치게 방대한 점을 문제로 삼아 《통감기사본말(通鑑紀事本末)》을 저술함으로써 기사본말체(紀事本末體)를 확립함.
1131~120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길(元吉)@안선원 - 안선원(安善元)
조선 전기의 유학. 이산해(李山海)의 《아계유고(鵝溪遺稿)》에 안선원의 전기(傳記)인 〈안당장전(安堂長傳)〉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문사>유학
-
원길(元吉)@채원길 - 채원길(蔡元吉)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두문동(杜門洞) 72현 중 한 사람인 채귀하(蔡貴河)의 아버지로, 형부 상서(刑部尙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원길(元吉)@한원길 - 한원길(韓元吉)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화정(和靖) 윤돈(尹焞)의 문인(門人)으로, 일찍이 여조겸(呂祖謙)과 더불어 덕청(德淸)의 자상사(慈相寺)에서 강독하고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냄.
1118~118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길(元吉)@조원길 - 조원길(趙元吉)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옥천(玉川)으로, 조전(趙佺)의 아들. 정몽주(鄭夢周)ㆍ설장수(楔長壽)와 함께 공양왕을 옹립하여 1등공신이 되고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짐. 고려가 망하자 순창(淳昌)으로 내려가 벼슬을 하지 않고 절의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길(元吉)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길(原吉)@하원길 - 하원길(夏原吉)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다섯 명의 황제를 보좌한 명대신으로, 호부 상서(戶部尙書) 등을 지냈으며, 죽은 후 대신 최고의 영예인 ‘태사(太師)’에 추증됨. 저서에 《하충정집(夏忠靖集)》 등이 있음.
1366~143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길(原吉)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니(圓尼) - 도원(道圓)
조선 전기의 비구니. 안림역리(安林驛吏)의 아내였으나 남편이 죽은 후 재가하지 않다가 만년에 가야산(伽倻山)의 도엄(道嚴) 승려에게 선(禪)을 배우고 정각암(淨覺庵)을 짓고 기거함. 김종직(金宗直)이 그에게 보낸 시가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