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원단(元旦) - 원일(元日)
설날.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名節). 조상에게 차례(茶禮)를 지내고 웃어른들에게 세배(歲拜)를 드리며, 다양한 음식과 놀이를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함.
사건>풍속
-
원달(元達) - 교지명(喬智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 현령(縣令)으로 선정(善政)을 베풀어 고을 백성으로부터 신군(神君)이라는 칭송을 받음. 혜제(惠帝)가 업(鄴)을 정벌할 때 자신의 계략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조(趙) 나라로 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원담(元琰) - 등완(鄧琬)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 명제(明帝) 때 효무제(孝武帝)의 셋째 아들인 유자훈(劉子勛)을 황제로 옹립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살해됨.
407~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당(源塘) - 권문임(權文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규(權逵)의 아들이며,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門人). 1576년(선조 9)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권지(成均館權知)를 지냄.
1530~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덕(元德)@육수정 - 육수정(陸修靜)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명제(明帝) 때의 도사. 효무제(孝武帝) 때 여산(廬山)에 은거하여 도잠(陶潛)ㆍ혜원(慧遠) 등과 교유했다고 하며, 명제 때 초빙되어 도교(道敎) 경전을 정리함. ‘호계삼소(虎溪三笑)’의 고사로 유명함.
406~4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원덕(元德) - 장흡(張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과거에 급제하여 직비각(直秘閣)을 지내고 치사(致仕)한 후에는 주일재(主一齋)를 지어 학문을 강마(講磨)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덕(原德) - 허기(許愭)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전리 판서(典理判書)를 지낸 허금(許錦)의 아들로,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매헌시집(梅軒詩集)》이 있음.
1365~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원덕(原德)@이현 - 이현(李賢)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부 상서(吏部尙書)ㆍ한림원 학사(翰林院學士) 등을 지냈고, 황제의 칙령을 받아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를 찬술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도(元度) - 채변(蔡卞)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채경(蔡京)의 아우이며 왕안석(王安石)의 사위. 철종(哲宗) 때 원우당인(元祐黨人)을 청산하는 데 참여하였으며, 글씨에 뛰어나 명성을 떨침.
1048~111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원도(元道)@최원도 - 최원도(崔元道)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판전의시사(判典醫寺事) 최유진(崔有珍)의 아들. 대사간(大司諫)을 지냈으나, 고려가 기울어가는 것을 보고, 고향 영천(永川)으로 돌아와 은거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원도(元道) - 주술(周術)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은자. 진(秦) 시황(始皇)의 폭정을 피해 섬서성(陝西省) 상산(商山)에 숨어살며 약초 캐고 바둑 두는 것으로 소일했다는 상산사호(商山四皓) 중 한 사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원도도(袁濤塗) - 원도도(轅濤塗)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 선공(宣公) 때의 대부. 제(齊) 나라 환공(桓公)이 채(蔡) 나라와 초(楚) 나라를 치고 회군하는 길에 진 나라를 경유하려고 하자, 길이 험악한 동쪽 길로 가도록 유도하여 붙잡혀 갔다가 후에 돌아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원도도(轅濤涂) - 원도도(轅濤塗)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 선공(宣公) 때의 대부. 제(齊) 나라 환공(桓公)이 채(蔡) 나라와 초(楚) 나라를 치고 회군하는 길에 진 나라를 경유하려고 하자, 길이 험악한 동쪽 길로 가도록 유도하여 붙잡혀 갔다가 후에 돌아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원도주(元道州) - 원결(元結)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
723~77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돈교(圓頓敎) - 화엄종(華嚴宗)
중국 당(唐) 나라 때 성립된 불교의 한 종파. 《화엄경(華嚴經)》을 근본 경전으로 하며, '법계연기론'(法界緣起論)을 중시함. 지엄(智儼)ㆍ법장(法藏)에 의해 종파로 성립했으며 우리나라에는 지엄의 제자인 의상(義相)을 개종조(開宗祖)로 함.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원락자(苑洛子) - 한방기(韓邦奇)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남병부상서(南兵部尙書) 등을 지냄.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ㆍ악률(樂律)ㆍ병법(兵法) 등에 능통하였으며, 저서로 《홍범도해(洪範圖解)》ㆍ《역학계몽의견(易學啓蒙意見)》 등이 있음
1479~155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량(元亮)@박원량 - 박원량(朴元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첨정(僉正) 박난(朴蘭)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원량(元亮)@송여익 - 송여익(宋汝翼)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송순년(宋順年)의 아들로, 1472년(성종 3)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나 과거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의약(醫藥)에 조예가 깊고 부(富)를 축적하여 빈민을 구제함.
1454~152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유학
-
원량(元亮)@박종량 - 박종량(朴宗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박은(朴誾)의 아들이며, 참판(參判)을 지낸 박공량(朴公亮)의 아우임.
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원량(元亮)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원량(元亮)@신잠 - 신잠(申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오랜 기간 유배되었음.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는데, 묵죽(墨竹)에 특히 뛰어났다고 함.
1491~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량(元良)@박흥문의아버지 - 박원량(朴元良)@박흥문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유학인 박흥문(朴興門)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원량(元良)@조선전기 - 박원량(朴元良)@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와 함께 술을 마시며 지은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원량(元良) - 덕종(德宗)@고려
고려 제9대 왕. 재위 1031~1034. 천리장성(千里長城)을 쌓았고, 현종(顯宗) 때 시작한 국사편찬사업을 완성함.
1016~1034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원령(元秢) - 박원령(朴元秢)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박유정(朴惟精)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정수강(丁壽崗)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원례(元禮)@위원례 - 위원례(韋元禮)
중국 수(隋) 나라의 문신. 위표미(韋表微)의 7세조(世祖)로 미성공(郿城公)에 봉해짐.
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례(元禮)@이응 - 이응(李膺)@후한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문신. 당고지화(黨錮之禍) 때 두무(竇武)와 함께 환관(宦官)을 숙청하려다가 환관 조절(曹節)에게 피살됨. 공융(孔融)의 집안과 친하게 지냈으며, 청렴하여 당시 청년 관리들이 그를 알게 되는 것을 등용문(登龍門)이라 부름.
110~16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례(元禮) - 윤복(尹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명종(明宗) 때 낙안 군수(樂安郡守)가 되어 왜구의 침략에 대비하고,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로 시절 이황(李滉)과 교유함.
1512~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원로(元老)@송석충 - 송석충(宋碩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야로(冶爐). 현령(縣令) 송륜(宋綸)의 아들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굉필(金宏弼)ㆍ최부(崔溥) 등 교유하던 인물들이 화(禍)를 당하자 향리(鄕里)에 내려가 서사(書史)에 몰두함.
1454~15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원로(元老)@탁기 - 탁기(卓耆)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지현사(知縣事) 탁사준(卓思俊)의 둘째 아들이고, 탁지(卓智)의 동생이며, 탁성손(卓成孫)ㆍ탁성윤(卓成胤)의 아버지. 종숙(從叔) 탁함(卓諴)에게 출계(出系)하였으며, 도사(都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원로(元老) - 이지충(李之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우봉(牛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중종 때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뒤 평생을 경사(經史) 연구와 후진(後進) 양성에 힘씀.
1509~156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문사>학자
-
원로(元老)@이조년 - 이조년(李兆年)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농서군공(隴西郡公) 이장경(李長庚)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심양왕 고(瀋陽王暠)가 충숙왕(忠肅王)의 왕위 찬탈을 도모할 때 원 나라의 중서성(中書省)에 그 부당함을 상소하여 음모를 저지시킴.
1269~134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원로(元老)@이창년 - 이창년(李昌年)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사옹원 별좌(司饔院別坐) 이중희(李仲禧)의 아들이며, 상의원 정(尙衣院正) 이안충(李安忠)의 아버지로, 봉상시 부정(奉常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원로(元老)@윤원로 - 윤원로(尹元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지임(尹之任)의 아들로,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오빠이자 윤원형(尹元衡)의 형. 왕실의 외척으로 득세 후 김안로(金安老)ㆍ윤임(尹任)과 대립하다가 유배되었으며, 후에 윤원형과 권력을 다투다가 사사됨.
?~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원로(元老)@이장경 - 이장경(李長卿)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가평(加平). 이철근(李鐵根)의 아들이며, 장령(掌令) 이이(李頤)의 아버지. 음서(蔭敍)로 벼슬하여 안음 현감(安陰縣監) 등을 지냄.
1472~153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가평 , 인명>관인>문신
-
원로(元虜) - 원(元)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까지 중국 본토와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고족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1271~1368 중국>원 , 중국 , 시간>국명
-
원로(元老) - 유희령(柳希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송인수(宋麟壽)의 문인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절도(絶島)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표제음주동국사략(標題音注東國史略)》과 《대동시격(大東詩格)》을 편찬하고, 《몽암집(夢菴集)》을 남김.
1480~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원로(原鲁) - 공도보(孔道輔)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공자의 45대손. 좌정언(左正言)ㆍ권어사중승(權御史中丞) 등을 지냈으며, 맹자의 무덤을 방문하고 그 서남쪽에 맹자묘(孟子廟)를 세움.
985~103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로(猿老) - 최수성(崔壽峸)
조선 중종(中宗) 때의 화가. 유학 최세효(崔世孝)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 등과 교유함. 벼슬을 단념하고 시(詩)ㆍ서(書)ㆍ화(畵)ㆍ음악으로 일생을 보냈으나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처형됨.
1487~152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
-
원로(遠老) - 혜원(慧遠)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에서 염불 수행의 결사(結社)인 백련사(白蓮社)를 결성한 뒤 산문(山門)을 나서지 않고 도중(徒衆)과 정토 수행(淨土修行)에 전념하였으며, 중국 불교를 학문적으로 확립하는 데 기여함.
334~41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원록(元祿) - 신원록(申元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효자ㆍ학자. 본관은 아주(鵝州)로,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8년간 팔공산(八公山)에 올라가 약초를 캐면서 병든 아버지를 보살핌.
151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록(元祿)@이원록 - 이원록(李元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행(李荇)의 아들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당시 권신이던 숙부 이기(李芑)를 비판하고 이황(李滉)ㆍ정황(丁熿) 등 많은 선비들을 구해 주었으며,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역임함.
1514~15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원룡(元龍)@진등 - 진등(陳登)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지모가 출중하고 해박한 지식을 지녔으며 광릉 태수(廣陵太守)와 동성 태수(東城太守)를 지냄. 자신을 크게 자부하여 손님은 아래에 있는 침대에서 자게 하고 자신은 위에 있는 큰 침대에 누웠다 함.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룡(元龍) - 정희등(鄭希登)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종부시 첨정(宗簿寺僉正) 정구(鄭球)의 아들이며, 승지 정원(鄭源)의 조카. 사위로 삼으려는 김안로(金安老)의 청을 거절하여 사복시 첨정(司僕寺僉正) 등의 한직(閑職)에 있었고, 을사사화(乙巳士禍)를 반대하다 유배 됨.
1506~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원릉(元陵)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원릉(元陵) - 헌정왕후(獻貞王后)
고려 제5대 경종(景宗)의 차비(次妃). 종실 대종(戴宗)의 딸이며, 경종의 비인 헌애왕후(獻哀王后)의 친동생. 경종이 죽은 뒤 안종(安宗) 왕욱(王郁)과 가까이 하여 현종(顯宗)을 낳고 곧 죽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원릉(原陵) - 광무제(光武帝)
중국 후한(後漢)의 초대 황제. 재위 25~57.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짐.
B.C.6~A.D.5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릉군(原陵君) - 원균(元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임진왜란 때 이순신(李舜臣)과 합세하여 옥포(玉浦) 등지에서 연승함. 이순신을 대신하여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가 되었으나, 정유재란 때 칠천량(漆川梁) 해전에서 대패하고 전사함.
1540~159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원리(元履)@유원리 - 유원리(柳元履)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숙종(肅宗) 때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낸 유세명(柳世鳴)의 아버지로,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원리(元履) - 위섬지(魏掞之)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자(朱子)와 교유하였음. 포의(布衣)로 발탁되어 벼슬이 태학록(太學錄)에 이름. 사부(詞賦)를 폐(廢)하기를 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떠나 독서에 전념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린(元璘) - 안원린(安元璘)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중서평장정사(中書平章政事) 안우(安祐)의 아버지로, 검교중추원사(檢校中樞院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원명(元明) - 강희철(姜熙哲)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훈도(訓導)를 지낸 강필주(姜弼周)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함종 , 인명>문사>유학
-
원명(元明)@담약수 - 담약수(湛若水)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양명학(陽明學)을 이룩한 왕수인(王守仁)의 도우(道友). 진헌장(縝獻章)의 영향을 받아, 치양지설(致良知說)을 내세우는 왕수인(王守仁)과 논난(論難)하여 양보하는 일이 없었음.
1466~156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명(元明)@김자지 - 김자지(金自知)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밀직 제학(密直提學) 김도(金濤)의 아들. 배불론자(排佛論者)의 한 사람으로 음양ㆍ복서(卜筮)ㆍ천문ㆍ지리ㆍ의약ㆍ음률 등 여러 학문에 뛰어남.
1367~143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원명(原明)@김약회 - 김약회(金若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강진(康津)으로, 생원 김희윤(金希尹)의 아들.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고, 전라도 태인(泰仁)에 한정(閑亭)을 짓고 살면서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문사>유학
-
원명(原明)@유인숙 - 유인숙(柳仁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명종(明宗) 즉위 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종사(宗嗣)를 모위하였다는 죄목으로 귀양가던 도중 사사(賜死)되었다가 선조(宣祖) 때 신원(伸寃)됨.
148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명(原明)@여희철 - 여희철(呂希哲)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ㆍ문신. 호원(胡瑗)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 등에게서 학문을 배움. 사람됨이 대범하고 신중하여 만년(晩年)에 명성을 더욱 날림.
1039~111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명(原明) - 덕종(德宗)@조선
조선 세조(世祖)의 아들. 1455년(세종 27) 도원군(桃源君)에 봉해지고 1455년(세조 1)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에 병사함. 1471년(성종 2) 덕종으로 추존(追尊)됨.
1438~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원명(原明)@강희철 - 강희철(康希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신천(信川). 충순위 전력부위(忠順衛展力副尉) 강귀형(康貴亨)의 아들로, 명종 때 내금위 어모장군(內禁衛禦侮將軍)ㆍ절충장군(折衝將軍)을 거쳐 무직(武職)으로 당상관에 오름.
1492~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원명(圓明) - 해원(海圓)
고려 후기의 승려. 검교감(檢校監)을 지낸 조혁(趙奕)의 아들로, 원(元) 나라 안서왕(安西王)의 초빙을 받아 원 나라에서 활동함. 무제(武帝)의 원찰(願刹)인 대숭은복원사(大崇恩福元寺)의 초대 주지로 임명되는 등 원 나라 황실의 지극한 예우를 받음.
1262~134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함열 , 인명>종교인>승려
-
원명(源明) - 소원명(蘇源明)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문신.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를 거쳐 국자 사업(國子司業)을 지냄. 두보(杜甫)와 절친하게 지내, 두보가 그를 포함한 여덟 명의 명신(名臣)을 애도하여 지은 팔애시(八哀詩)가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명곡(圓明谷) - 명곡(明谷)
조선 태종(太宗) 때의 승려. 학자이자 문신인 유방선(柳方善)과 교유하여, 《태재집(泰齋集)》에 증시(贈詩)와 〈백련암기(白蓮庵記)〉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ㅣ경상도>영천(永川) , 인명>종교인>승려
-
원문(元文) - 현종(顯宗)@고려
고려 제8대 왕. 재위 1010~1031.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인 안종(安宗) 왕욱(王郁)의 아들로, 어머니는 헌정왕후(獻貞王后). 헌애왕후(獻哀王后)의 견제를 받다가 강조(康兆)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며, 거란(契丹)과 우호를 다지고 문화 발전을 꾀함.
992~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원미(元美) - 왕세정(王世貞)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젊을 때부터 문명이 높아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고,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명대 후기 고문사파(古文辭派)의 지도자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526~159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방(元放) - 좌자(左慈)
중국 후한(後漢) 때의 도술가(道術家). 도술을 배워 육갑(六甲)ㆍ신술(神術)에 정통함. 조조(曹操)가 농어(鱸魚)가 먹고 싶다고 하자 대야 물에서 송강(松江)의 농어를 낚아 올렸는데 이를 두려워한 조조가 죽이려 하자 양이 되어 양의 무리 속에 들어가서 잡지 못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원방(元方)@한기 - 한기(韓紀)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형윤(韓亨允)의 아들로, 성종의 열 번째 서녀(庶女)인 정혜옹주(靜惠翁主)와 혼인함.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안산(安山)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복관(復官)됨.
1490~15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원방(元方) - 진기(陳紀)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헌제(獻帝) 때의 학자. 동생 진심(陳諶)과 더불어 높은 덕망을 지님. 아버지 진식(陳寔)으로부터 난형난제(難兄難弟)라 일컬어짐.
129~19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백(元伯)@정선 - 정선(鄭歚)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광산(光山). 그림에 뛰어나 현실감 넘치는 독창적인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를 완성하고, 금강전도(金剛全圖)ㆍ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등 많은 명작을 남김.
1676~17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원백(元伯) - 완간(阮簡)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 때의 문인.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완함(阮咸)의 조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원백(元伯)@장소 - 장소(張劭)
중국 후한(後漢) 때의 유학. 태학(太學)에서 사귀게 된 범식(范式)과 절친한 우애를 다져 거경지신(巨卿之信), 소거(素車) 등의 고사를 남김.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원백(遠伯) - 이덕형(李德泂)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후손. 한성 판윤(漢城判尹)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내고, 저서로 《송도기이(松都記異)》 등이 있음.
1566~164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원범(元範) - 강원범(姜元範)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군기감 정(軍器監正)을 지낸 강숙경(姜叔卿)의 아들.
1447~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보(元甫) - 김응인(金應寅)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산(梁山). 김량(金亮)의 아들.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해남 현감(海南縣監)ㆍ좌랑(佐郞) 등을 지냈고, 백광훈(白光勳)과 교유함.
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양산 , 인명>관인>문신
-
원보(元輔) - 허원보(許元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진사(進士) 허찬(許瓚)의 아버지로, 1495년(연산군 1)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원보(原父) - 유창(劉敞)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강릉유씨(江陵劉氏)의 시조로,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태조(太祖)에게 여러 차례 《대학연의(大學衍義)》를 진강함.
?~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보(原甫) - 장지효(張至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지례(知禮). 별좌(別坐)를 지낸 장관(張寬)의 아들로, 울진 현령(尉珍縣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원보(遠甫) - 강수학(康邃學)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승의랑(承議郞) 강권(康錈)의 아들로, 안동 부사(安東府使)ㆍ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냄.
161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원보거(元寶炬) - 문제(文帝)@남북조(서위)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의 제1대 황제. 재위 535~551. 북위(北魏) 효문제(孝文帝)의 손자로, 선비족(鮮卑族)인 우문태(宇文泰)에 의해 옹립되어 즉위하였으며, 대통(大统) 연호를 사용함.
507~55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복(元福) - 금원복(琴元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음보(蔭補)로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거쳐 성주 판관(星州判官) 등을 역임하였고 예조에 재직하는 동안 대례(大禮)의 모든 절차를 담당함.
1480~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원봉성(元鳳省) - 예문관(藝文館)
고려~조선시대 왕의 칙령(勅令)과 교명(敎命)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청.
한국>고려전기 , 법제>관청
-
원봉제(元鳳帝) - 소제(昭帝)
중국 한(漢)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B.C.87~B.C.74. 여덟 살에 즉위하였으나 곽광(霍光) 등의 보필을 받아 여러 차례 농민의 부담을 경감하였고, 흉노(匈奴)와 우호관계를 유지함.
B.C.94~B.C.7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부(元夫)@설융 - 설융(薛戎)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구주(衢州)ㆍ호주(湖州)ㆍ상주(常州)의 자사(刺史)를 거쳐 절동 관찰사(浙東觀察使) 등을 지냄. 사후에 한유(韓愈)가 묘지(墓誌)를 짓고, 원진(元稹)이 신도비를 씀.
747~82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부(元夫) - 박민헌(朴民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을 공부하였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상호군(上護軍) 등을 지냄.
151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원부(元富) - 이원부(李元富)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를 지낸 이나해(李那海)의 아들로, 정의대부(正議大夫)를 거쳐 응양상장군(鷹揚上將軍)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원부(原頫) - 차원부(車原頫)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연안(延安). 두문동(杜門洞) 72현 중 한 사람.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내고,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 등과 성리학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매화 그림을 특히 잘 그림.
132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원비장군(猿臂將軍) - 이광(李廣)
중국 전한(前漢) 때의 장군. 문제(文帝)ㆍ경제(景帝)ㆍ무제(武帝)를 차례로 섬기면서 70여 차례에 걸쳐 변방의 흉노(匈奴)를 평정한 공이 컸으나, 위청(衛靑)을 따라 흉노를 공격하다가 길을 잃어 견책을 받자 목을 베어 자살함.
?~B.C.11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원빈(元賓) - 이관(李觀)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이화(李華)의 조카로, 태자교서랑(太子校書郞) 등을 지내고, 문장에 능하여 당대에 한유(韓愈)와 막상막하로 일컬어짐.
766~79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빙(元聘) - 서원빙(徐元聘)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어릴 적 친구로, 그와 이동기이(理同氣異)에 관해 논변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사(元思) - 채염성(蔡念成)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에게 배우고 주희가 죽자 황간(黃幹)에게 배움. 연평서원(延平書院)에서 강학(講學)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사(原思) - 원헌(原憲)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의 제자로, 가난하면서도 도(道)를 즐겼음. 공자가 노(魯) 나라에서 재상이 되었을 때 원헌은 읍재(邑宰)가 되었으며, 공자가 돌아가시자 위(衛) 나라로 물러나 숨어 지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사(原賜) - 원헌(原憲)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의 제자로, 가난하면서도 도(道)를 즐겼음. 공자가 노(魯) 나라에서 재상이 되었을 때 원헌은 읍재(邑宰)가 되었으며, 공자가 돌아가시자 위(衛) 나라로 물러나 숨어 지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사(袁絲) - 원앙(袁盎)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문신. 직간(直諫)하는 신하로 유명했는데 자주 직간하여 농서 도위(隴西都尉)로 좌천되기도 하였으며, 양왕(梁王)에게 원망을 사서 살해당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산(園山) - 용궁(龍宮)
경상도 예천(醴泉)과 상주(尙州) 사이에 있던 고을 이름. 명승지로 수월루(水月樓)ㆍ백화사(白華寺)가 있음. 후에 예천에 병합됨.
경상도>용궁 , 지명>행정지명
-
원산군(原山君) - 원황(元晃)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호(元昊)의 형. 1405년(태종 5)에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우정언(右正言)을 지냈고, 원산군(原山君)에 추봉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원산군(園山君) - 이행(李行)@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여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원산정(園山正) - 이행(李行)@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여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원상(元常) - 종요(鍾繇)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 문제(文帝) 때의 문신ㆍ서예가. 호소(胡昭)와 함께 유덕승(劉德升)에게 글씨를 배우고, 해서(楷書)로 발전해가는 새로운 시대를 개척함으로써 왕희지(王羲之)와 더불어 ‘종왕(鍾王)’으로 병칭됨.
151~23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원상(元祥) - 남경춘(南慶春)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맹하(藍孟夏)의 아버지로, 통례(通禮)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원상공(袁相公) - 원자(袁滋)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유벽(劉辟)과 오원제(吳元濟)의 반란 때 평정에 실패하여 좌천되었다가 호남 관찰사(湖南觀察使) 등을 지냈으며, 성품이 너그럽고 글씨에 뛰어났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생(元生) - 의평군(義平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첫 번째 서자. 숙의지씨(淑儀池氏)의 소생으로, 금천 감무(衿川監務) 최치숭(崔致崇)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