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원서(元瑞)@안영 - 안영(安瑛)@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고경명(高敬命)의 의병(義兵)에 들어가 싸우다가 전사함.
1565~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원서(元瑞) - 도득린(都得麟)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산음 훈도(山陰訓導) 도흥좌(都興佐)의 아들이며 홍문관 저작(弘文館著作) 도희령(都希齡)의 아버지로, 1549년(명종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ㅣ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원석(元石)@김원석 - 김원석(金元石)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선공감 정(繕工監正) 등을 지낸 김약균(金若鈞)의 아버지로, 선공시 판사(繕工寺判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원석(元石) - 왕개(王介)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왕야(王埜)의 아버지로,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에게 배웠음. 직언(直言)을 잘하였고 집영전 수찬(集英傳修撰)을 역임함.
1158~121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석(元碩) - 정원석(鄭元碩)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로, 삼군도진무사(三軍都鎭撫使) 정효전(鄭孝全)의 아들. 감찰(監察)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에 연루되어 죽음.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원선중(轅宣仲) - 원도도(轅濤塗)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 선공(宣公) 때의 대부. 제(齊) 나라 환공(桓公)이 채(蔡) 나라와 초(楚) 나라를 치고 회군하는 길에 진 나라를 경유하려고 하자, 길이 험악한 동쪽 길로 가도록 유도하여 붙잡혀 갔다가 후에 돌아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원성(元成) - 위징(魏徵)
중국 수(隋)~당(唐) 나라의 문신. 수 나라 말기의 동란 때는 이밀(李密)의 서기가 되었다가, 태종(太宗)이 제위에 오르자 간의대부(諫議大夫)가 되어 죽을 때까지 간신(諫臣)으로서 훌륭하게 태종을 보필함.
580~643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성(元聖)@공자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원성(元聖)@주공 - 주공(周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주 나라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무왕을 도와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치고, 성왕(成王)을 도와 예악과 제도를 정비하여 주 나라의 기초를 세우는 데 기여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왕자
-
원성(元聖)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성(元聖)@윤원성 - 윤원성(尹元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훈도(訓導)를 지내고,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해월(海月) 황여일(黃汝一)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원성(元聖)@기자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성(原城) - 원주(原州)
강원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후기에 관동(關東) 제일의 정치ㆍ경제ㆍ문화ㆍ교통의 중심지를 이룸.
강원도>원주 , 지명>행정지명
-
원성공주(元成公主) -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고려 제25대 충렬왕(忠烈王)의 비. 원(元) 세조(世祖)의 딸로 충렬왕이 세자로 원(元)에 체류하였을 때 결혼하여 충선왕(忠宣王)을 낳음. 독실한 불교도로 불사(佛事)에 많은 공을 들임.
1259~1297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원성군(原城君)@이탁 - 이탁(李倬)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원성군(原城君) - 원효연(元孝然)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세조 즉위 후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예조 판서 등을 역임함.
?~146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성도정(原城都正) - 이수(李綏)
조선 전기의 종친.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손자이고, 연창군(延昌君) 이학수(李鶴壽)의 장남. 음악을 좋아하여 훈(壎)과 저(箸)를 잘 연주함.
1527~158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원성령(原城令) - 이수(李綏)
조선 전기의 종친.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손자이고, 연창군(延昌君) 이학수(李鶴壽)의 장남. 음악을 좋아하여 훈(壎)과 저(箸)를 잘 연주함.
1527~158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원성백(原城伯) - 원극유(元克猷)
고려 태조(太祖) 때의 개국공신. 병부령(兵部令)을 지냈으며 원성백(原城伯)에 봉해짐. 원주원씨(原州元氏) 원성백파(原城伯派)의 시조.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원성변씨(原城邊氏) - 원주변씨(原州邊氏)
고려 우왕(禑王) 때 원주부원군(原州府院君)에 봉해진 변안렬(邊安烈)을 시조로 하는 성씨. 황주변씨(黃州邊氏)의 시조인 변여(邊呂)의 후손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집단>성씨
-
원성부원군(原城府院君) - 김응남(金應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김형(金珩)의 아들. 임진왜란 때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냈으며, 이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면서 정국 안정에 힘씀.
1546~159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성부정(原城副正) - 이탁(李倬)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원성원씨(原城元氏) - 원주원씨(原州元氏)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 사신으로 온 당(唐) 나라 팔학사(八學士) 중 한 사람인 원경(元鏡)을 시조로 하는 성씨. 계보(系譜)를 달리하는 운곡공계(耘谷公系)ㆍ원성백계(原城伯系)ㆍ시중공계(侍中公系) 등 세 계통이 있음.
한국>고구려 , 강원도>원주 , 인명>집단>성씨
-
원성유씨(元城劉氏) - 유안세(劉安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사마광(司馬光)의 제자. 간의대부(諫議大夫)로 직간(直諫)을 잘해 전상호(殿上虎)라는 별명을 얻음. 강직한 성품 때문에 평생 벽지(僻地)로 전전하며 귀양살이를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성태후(元城太后) - 원성왕후(元成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3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덕종(德宗)ㆍ정종(靖宗)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ㆍ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음.
?~1028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원소(圓炤) - 혜심(惠諶)
고려 희종(熙宗)~고종(高宗) 때의 고승(高僧). 지눌(知訥)의 제자로, 대선사(大禪師)에 올라 수선사(修禪寺)ㆍ단속사(斷俗寺) 주지를 겸임하였으며, 고려 선종(禪宗)의 위치를 확고히 굳힘.
1178~123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종교인>승려
-
원손(元孫) - 이원손(李元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수에 참여하였으며, 대간(臺諫)으로서 윤원형(尹元衡)을 탄핵하여 외직으로 밀려났다가 뒤에 참의(參議) 등을 지냄.
1498~155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원손(元遜) - 제갈각(諸葛恪)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무신. 대제(大帝)의 총애를 받았고 태자 손량(孫亮)을 영립하여 보필함. 육손(陸遜)이 죽은 후에 대장군(大將軍)으로 무창(武昌)에 주둔하며 형주(荊州)를 다스리다 반대파 손준(孫峻)에 의해 살해당함.
203~25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원수(元秀) - 후주(後主)@남북조(陳)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제5대 국왕. 재위 582~589. 선제(宣帝)의 장자로 주색(酒色)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고, 수(隋) 나라의 군사가 쳐들어와도 음악과 시문을 지으며 노닐다 수 나라의 장수 한금호(韓擒虎)에게 잡힘.
?~58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수(元秀)@이원수 - 이원수(李元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이(李珥)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원수(圓叟) - 정추(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낸 정포(鄭誧)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를 지냈고, 만년에 나라의 일이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한탄하다가 병사함.
1333~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원숙(元叔) - 강유선(康惟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명종 때 발생한 이홍남(李洪男) 형제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살당함.
1520~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학자
-
원숙(元淑) - 홍원숙(洪元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병조 참판(兵曹參判) 홍자아(洪自阿)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유학
-
원숙(原叔) - 왕수(王洙)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벼슬이 시강학사(侍講學士)에 이르고 《역전(易傳)》등의 저술을 남김. 당(唐) 나라 두보(杜甫)의 시문집(詩文集) 《두공부집(杜工部集)》20권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숭(元崇) - 요숭(姚崇)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재상. 측천무후(則天武后)에게 발탁되어 관직에 오르고, 현종 초기에 국정을 숙정하고 민생의 안정에 힘씀. 송경(宋璟)과 함께 개원(開元)의 명재상으로 숭앙됨.
650~72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숭(元崇)@안원숭 - 안원숭(安元崇)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정당문학(政堂文學)ㆍ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 요직(要職)을 지내고, 순성군(順城君)에 봉해짐.
130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원승(元承) - 이원승(李元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손자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1567년(선조 즉위년)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원신(元信) - 정사(淨師)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원천석(元天錫)이 써준 〈서원신권(書元信卷)〉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원신(元臣) - 김원신(金元臣)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수(金脩)의 아들로, 본관은 연안(延安). 안동 부사(安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원신택주(元信宅主) - 신의왕후(神懿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正妃). 본관은 안변(安邊).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한경(韓卿)의 딸로 조선이 개국되기 전에 죽었으며, 소생은 정종(定宗)을 비롯한 6남 2녀임.
1337~1391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안변 , 인명>왕실>왕비
-
원씨(袁氏) - 원자(袁滋)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유벽(劉辟)과 오원제(吳元濟)의 반란 때 평정에 실패하여 좌천되었다가 호남 관찰사(湖南觀察使) 등을 지냈으며, 성품이 너그럽고 글씨에 뛰어났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암(遠巖) - 이교(李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황(李滉)의 조카로,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대흥 현감(大興縣監) 등을 지냄.
1534~15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원암(遠庵) - 이교(李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이황(李滉)의 조카로,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대흥 현감(大興縣監) 등을 지냄.
1534~159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원암(遠庵)@조사하 - 조사하(趙師夏)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영종(寧宗) 때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이자 손서(孫壻)로, 주희의 예서(禮書) 편찬을 도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앙(爰盎) - 원앙(袁盎)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문신. 직간(直諫)하는 신하로 유명했는데 자주 직간하여 농서 도위(隴西都尉)로 좌천되기도 하였으며, 양왕(梁王)에게 원망을 사서 살해당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양군(原陽君) - 변사겸(邊士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중종반정(中宗反正)의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고 원양군(原陽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원어(元馭) - 왕석작(王錫爵)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거쳐 재상을 지냈으며, 성품이 강직하여 조정의 의론과 어긋나는 경우가 많았음.
1534~161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언위(元彦偉) - 원사용(元士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붕(元鵬)의 아들로, 1569년(선조 2)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하였으며, 영천 군수(永川郡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원여(元輿) - 진헌(陳軒)
중국 송(宋)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관직으로 병부 시랑(兵部侍郞)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열(元烈) - 세조(世祖)@고려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의 아버지. 통일신라 송악군(松嶽郡)의 사찬(沙飡)으로 있다가 진성여왕(眞聖女王) 때 궁예(弓裔)에게 귀복하여 금성 태수(金城太守)를 지냈으며, 태조 때에 추존됨.
?~897 한국>통일신라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원영(圓映) - 상주(尙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명종 때 과거에 입격하고 네 곳의 명산(名山)에서 주지(住持)를 지냈으며, 양사언(楊士彦)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회양 , 인명>종교인>승려
-
원영(圓暎) - 상주(尙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명종 때 과거에 입격하고 네 곳의 명산(名山)에서 주지(住持)를 지냈으며, 양사언(楊士彦)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회양 , 인명>종교인>승려
-
원영(源英) - 이원영(李源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중종(中宗) 때의 유학 이창근(李昌根)의 아버지로, 영암 군수(靈巖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원오(元五) - 원개(元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유학(遊學)하였으며, 고행(高行)으로 참봉(參奉)에 천거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원오(圓悟)@혜원 - 혜원(慧遠)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승려. 여산(廬山) 동림사(東林寺)에서 염불 수행의 결사(結社)인 백련사(白蓮社)를 결성한 뒤 산문(山門)을 나서지 않고 도중(徒衆)과 정토 수행(淨土修行)에 전념하였으며, 중국 불교를 학문적으로 확립하는 데 기여함.
334~41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원오(圓悟)@원오 - 원오(圜悟)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임제종(臨濟宗)의 승려. 종고(宗杲)에게 법을 전수함. 저서에 《벽암록(碧巖錄)》이 있음.
1063~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원오노인벽암록(圜悟老人碧嚴錄) - 벽암록(碧巖錄)
중국 송(宋) 나라 때의 임제종(臨濟宗) 승려 원오(圜悟)가 지은 선종(禪宗)의 공안집(公案集). 10권. 중현(重顯)이 지은 《설두송고(雪竇頌古)》를 모체로 하여, 각칙(各則)마다 수시(垂示)ㆍ착어(著語)ㆍ평창(評唱)을 달아 완성함.
112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원옹(元翁) - 윤기헌(尹耆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윤자신(尹自新)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내고, 성리학(性理學)에 밝음.
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옹(圓翁) - 정추(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낸 정포(鄭誧)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를 지냈고, 만년에 나라의 일이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한탄하다가 병사함.
1333~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원완(元琬) - 등완(鄧琬)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 명제(明帝) 때 효무제(孝武帝)의 셋째 아들인 유자훈(劉子勛)을 황제로 옹립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살해됨.
407~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용(元用) - 홍원용(洪元用)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이조 판서 홍여방(洪汝方)의 아들. 한성부윤(漢城府尹) 등을 지냈으며, 공신(功臣)의 적장(嫡長)으로 강녕군(江寧君)에 습봉되고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오름.
?~14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원우(元友) - 소세량(蘇世良)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ㆍ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지내고,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다는 평을 들음.
1476~152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원우삼당(元祐三黨) - 삭^촉^낙(朔^蜀^洛)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수구파(守舊派)인 삭당(朔黨)ㆍ촉당(蜀黨)ㆍ낙당(洛黨)을 함께 부르는 말. 낙당은 정이(程頤), 촉당은 소식(蘇軾), 삭당은 유지(劉摯)를 영수로 삼아 치열한 정쟁(政爭)을 벌임. 원우삼당(元祐三黨)으로 불림.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원우태후(元祐太后) - 소자성헌황후(昭慈聖獻皇后)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의 황후(皇后). 철종ㆍ휘종(徽宗) 때 폐출되었으나 복위되어 흠종(欽宗)ㆍ고종(高宗)에 걸쳐 두 차례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073~1131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원우황후(元祐皇后) - 소자성헌황후(昭慈聖獻皇后)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의 황후(皇后). 철종ㆍ휘종(徽宗) 때 폐출되었으나 복위되어 흠종(欽宗)ㆍ고종(高宗)에 걸쳐 두 차례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073~1131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원우후(元虞侯) - 원진문(元進文)
조선 전기의 무신. 우후(虞侯)를 지냈으며,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그와 함께 망선대(望仙臺)를 유람하면서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원욱(元旭) - 무쟁(無諍)
삼국시대 신라(新羅)의 승려. 국사(國師)에 추봉(追封)됨.
한국>신라 , 인명>종교인>승려
-
원원(源源) - 한호(韓灝)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당진(唐津). 통사랑(通仕郞) 한근(韓瑾)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판교(判校) 등을 지냄.
151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위(元魏) - 북위(北魏)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조(北朝) 최초의 왕조. 선비족(鮮卑族)인 탁발규(拓跋珪)가 화북(華北) 지역에 세운 나라로, 14대 49년간 존속.
386~53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원유(元瑜)@오원유 - 오원유(吳元瑜)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화가. 합주 단련사(合州團練使)를 지냄. 어려서 최백(崔白)에게 배웠는데, 특히 화훼도(花卉圖)ㆍ영모도(翎毛圖) 등에 뛰어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원유(元瑜) - 완우(阮瑀)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건안칠자(建安七子)의 한 사람으로, 채옹(蔡邕)의 문인(門人)이며 조조(曹操)의 참모가 되어 문서를 관장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유(元裕)@구성 - 구성(具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구사맹(具思孟)의 아들이자 원종(元宗)의 비(妃)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오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고,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참여하지 않은 일로 사후(死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558~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유(元裕) - 송갑조(宋甲祚)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아버지로, 광해군 때 서궁(西宮)에 유폐된 인목대비(仁穆大妃)를 배알하였다가 유적(儒籍)에서 삭제되었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 등을 지냄.
1574~162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원유(元裕)@증원유 - 증원유(曾元裕)
중국 당(唐) 나라 의종(懿宗)~희종(僖宗) 때의 무신. 878년(희종 5) 초토사(招討使)가 되어, 황소(黃巢)의 난을 이끈 왕선지(王仙芝)의 군대를 기주(蘄州)에서 대파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원유산집(元遺山集) - 유산선생집(遺山先生集)
중국 금(金) 나라 말기의 시인인 원호문(元好問)의 문집. 40권. 원(元) 나라의 장덕휘(張德輝)가 수합ㆍ정리하여 엄충걸(嚴忠傑)이 간행함.
1262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원육전(元六典) - 경제육전(經濟六典)
조선 태조(太祖) 때 편찬된 법전(法典). 검상조례사(檢詳條例司)에서 정도전(鄭道傳)ㆍ조준(趙浚) 등이 고려 우왕(禑王) 때부터 당시까지 발표된 조례(條例)를 육전(六典)의 형식을 갖추어 만듦.
139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원윤(遠允) - 김서(金湑)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효자로 이름 높은 김극일(金克一)의 아버지로, 의흥 현감(義興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원융(元戎)@홍백연 - 홍백연(洪伯涓)
조선 전기의 무신. 절도사(節度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부임지로 떠나는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1420~?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원융(元戎)@박성양 - 박성양(朴成陽)
고려 말~조선 초의 무신. 박윤후(朴允厚)의 아들.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으로, 태조(太祖) 때 왜구를 물리치고, 세종(世宗) 때 이종무(李從茂)를 따라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무신
-
원융(元戎) - 강효문(康孝文)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무신. 함길도 절도사(咸吉道節度使)가 되어 진관(鎭管)을 순시하던 중, 이시애(李施愛)가 반란을 일으켜 그 당여에게 살해당함.
?~146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원융종(圓融宗) - 화엄종(華嚴宗)
중국 당(唐) 나라 때 성립된 불교의 한 종파. 《화엄경(華嚴經)》을 근본 경전으로 하며, '법계연기론'(法界緣起論)을 중시함. 지엄(智儼)ㆍ법장(法藏)에 의해 종파로 성립했으며 우리나라에는 지엄의 제자인 의상(義相)을 개종조(開宗祖)로 함.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원응(源應) - 박원응(朴源應)
조선 철종(哲宗) 때의 유학. 본관은 충주(忠州). 눌재(訥齋) 박상(朴祥)의 후손. 박상(朴祥)의 《눌재집(訥齋集)》을 중간(重刊)했으며, 1857년(철종 8)에는 박순(朴淳)의 《사암집(思菴集)》을 전주(全州)에서 중간(重刊)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원익(元翼)@탁원익 - 탁원익(卓元翼)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탁도민(卓道敏)의 셋째 아들로, 중랑장(中郞將)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원익(元翼) - 이원익(李元翼)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함천군(咸川君) 이억재(李億載)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병제와 조세제도를 정비하고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는 데 공헌함.
1547~16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일(原日) - 원일(元日)
설날.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名節). 조상에게 차례(茶禮)를 지내고 웃어른들에게 세배(歲拜)를 드리며, 다양한 음식과 놀이를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함.
사건>풍속
-
원자(元子) - 환온(桓溫)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장군. 명제(明帝)의 딸인 남강공주(南康公主)와 혼인하여 부마도위(駙馬都尉)를 제수받음. 혁(奕)을 황제에서 폐하고 간문제(簡文帝)를 세우는 등 정권을 장악하였으나, 간문제가 죽은 이듬해에 병사함.
312~37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원자유(元子攸) - 효장제(孝莊帝)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위(北魏)의 제9대 국왕. 재위 528~530. 효명제(孝明帝)를 이어 국왕이 됨.
507~53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작(元作) - 이각(李恪)
조선 전기의 문인.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문인으로, 《미암집(眉巖集)》 〈일기(日記)〉에 유희춘(柳希春)을 방문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문인
-
원장(元章) - 미불(米芾)
중국 북송(北宋)의 서예가ㆍ화가. 소동파(蘇東坡)ㆍ황정견(黃庭堅) 등과 친교가 있었고, 미점법(米點法)이라는 독자적인 점묘법(點描法)을 창시함.
1051~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원장(元長)@범충 - 범충(范冲)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고종(高宗) 때 사관(史官)으로 《신종실록(神宗實錄)》ㆍ《고이(考異)》 등을 편찬함. 《자치통감(資治通鑑)》 편찬에 참여한 범조우(范祖禹)의 아들.
1067~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장(元長) - 채경(蔡京)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흠종(欽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글씨에 뛰어났으며 태사(太師) 등을 지냄. 채양(蔡襄)ㆍ서호(徐浩)ㆍ심전사(沈傳師) 등을 스승으로 삼았으나, 자주 스승을 배신하고 교체한 탓에 간사하다는 평을 받음.
1047~1126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원재(圓齋)@문헌 - 원재고(圓齋槀)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인 정추(鄭樞)의 문집. 1418년(태종 18) 아들 정탁(鄭擢)이 영월(寧越)에서 3권 1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418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문헌>서명
-
원재(圓齋) - 정추(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낸 정포(鄭誧)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를 지냈고, 만년에 나라의 일이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한탄하다가 병사함.
1333~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원재(源齋) - 박세희(朴世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강계(江界)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
14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재선생문고(圓齋先生文槀) - 원재고(圓齋槀)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인 정추(鄭樞)의 문집. 1418년(태종 18) 아들 정탁(鄭擢)이 영월(寧越)에서 3권 1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418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문헌>서명
-
원적(元寂) - 도의(道義)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가지산파(迦智山派)의 개조(開祖)로, 중국의 남종선(南宗禪)을 처음으로 들여옴. 당시인들이 무위법(無爲法)을 믿지 않자 설악산 진전사(陳田寺)에서 수도하다가 제자 염거(廉居)에게 처음으로 남종선(南宗禪)을 전하고 죽음.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양양 , 인명>종교인>승려
-
원전(元典) - 원육전(元六典)
조선 태종(太宗) 때 하륜(河崙) 등이 편찬한 법전(法典). 《경제육전(經濟六典)》을 수정한 《경제육전원집상절(經濟六典元集詳節)》에서 문장 중의 이두(吏讀) 등을 빼고 편찬함.
141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원전(原典)@경제육전 - 경제육전(經濟六典)
조선 태조(太祖) 때 편찬된 법전(法典). 검상조례사(檢詳條例司)에서 정도전(鄭道傳)ㆍ조준(趙浚) 등이 고려 우왕(禑王) 때부터 당시까지 발표된 조례(條例)를 육전(六典)의 형식을 갖추어 만듦.
139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원전(原典) -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 세조(世祖) 때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成宗) 때 완성된 조선시대 통치의 기본 법전. 조선 건국 전후부터 1484년(성종 15)에 이르기까지 약 100년간의 왕명ㆍ교지(敎旨)ㆍ조례(條例) 중 영구히 준수할 것을 모아 엮음. 6권 4책. 인본(印本).
1485 한국>조선전기 , 법제>법률ㅣ문헌>서명
-
원정(元井) - 방원정(房元井)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1646년(인조 24)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직강(直講)을 지냄.
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