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원정(元定)@채원정 - 채원정(蔡元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어려서 아버지 채발(蔡發)에게 배우고, 후에 주희(朱熹)에게 배움. 의리(義理)ㆍ상수(象數)를 겸하고, 천문(天文)ㆍ지리(地理)ㆍ악률(樂律)ㆍ역수(曆數) 등에도 폭넓은 학식을 지님.
1135~119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정(元定) - 양원정(楊元定)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이여송(李如松) 등과 함께 조선의 구원군(救援軍)으로 참전함. 도독첨사(都督僉事) 등을 지냈고, 정탁(鄭琢)의 《약포집(藥圃集)》에 관련 기록이 남아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원정(元正)@원일 - 원일(元日)
설날.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名節). 조상에게 차례(茶禮)를 지내고 웃어른들에게 세배(歲拜)를 드리며, 다양한 음식과 놀이를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함.
사건>풍속
-
원정(元正) - 세종(世宗)@조선
조선 제4대 왕. 재위 1418~1450. 태종(太宗)의 셋째 아들. 집현전(集賢殿)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였으며, 육진(六鎭)을 개척하고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1397~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원정(元正)@조원정 - 조원정(曺元正)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 이의방(李義方)을 도운 공으로 장군에 오름. 자신을 좌천시킨 두경승(杜景升) 등에게 원한을 품고 석린(石隣) 등과 모의하여 제거하려다가 그 사실이 발각되어 살해당함.
?~1187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원정(元正)@하즙 - 하즙(河楫)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직의(河直漪)의 아들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지내고,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303~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정(元貞) - 강사미(姜士美)
고려 정종(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양(晉陽). 추밀원사(樞密院使)ㆍ국자 좨주(國子祭酒)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원정(元貞)@박원정 - 박원정(朴元貞)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연흥군(延興君) 박고(朴翺)의 아들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원정(元貞)@금원정 - 금원정(琴元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진사. 본관은 봉화(奉化)로, 동래 현령(東萊縣令)을 지낸 금휘(琴徽)의 아들. 1501년(연산군 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기묘년에 효우(孝友)로 천거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원정(元靖) - 권적(權適)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원정(元靜) - 곽간(郭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사인(舍人) 곽지견(郭之堅)의 아들.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불교부흥 정책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언관의 자리에서 파직됨. 종부시 정(宗簿寺正)ㆍ강릉 부사(江陵府使) 등을 지냄.
1529~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원정(元鼎) - 채원정(蔡元鼎)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나라의 학자. 대모산(大帽山)에 은거하여 육경(六經) 등을 연구하고 후진(後進)을 양성함. 주희(朱熹)가 그를 봉안한 사당의 편액(偏額)을 지음.
중국>송ㅣ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정(原靖) - 권적(權適)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원정(圓亭) - 여희림(呂希臨)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산(星山). 고향으로 내려가 여씨향약(呂氏鄕約)을 시행하였고, 정광필(鄭光弼)의 추천으로 복성군(福城君)의 사부가 되었으며, 도학과 문장으로 명성을 떨침.
148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원정(猿亭) - 최수성(崔壽峸)
조선 중종(中宗) 때의 화가. 유학 최세효(崔世孝)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 등과 교유함. 벼슬을 단념하고 시(詩)ㆍ서(書)ㆍ화(畵)ㆍ음악으로 일생을 보냈으나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처형됨.
1487~152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
-
원정가(寃情歌) - 원분가(寃憤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홍섬(洪暹)이 지은 가사. 1537년(중종 32) 2년 여의 흥양(興陽) 유배에서 풀려난 뒤 유배 당했을 때의 심경을 읊음.
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문헌>작품명
-
원정국사(圓靜國師) - 경지(鏡智)
고려 후기의 승려. 고려 희종(熙宗)의 넷째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원제(元帝) - 순제(順帝)@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11대 마지막 황제. 재위 1333~1370. 한 문화(漢文化)를 존중해 원 문화의 최성기(最盛期)를 이루었으나, 정치적ㆍ재정적 실책과 연속적인 천재지변으로 인해 주원장(朱元璋)에게 패망함.
1320~1370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제(元濟) - 오원제(吳元濟)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 채주 자사(蔡州刺史)로 있으면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절도사(節度使) 이소(李愬)에게 사로잡혀 장안(長安)에서 참수됨.
?~817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문신
-
원조(元朝) - 원(元)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까지 중국 본토와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고족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1271~1368 중국>원 , 중국 , 시간>국명
-
원조(元祖) - 태조(太祖)@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이며, 몽고(蒙古) 제국의 창시자. 재위 1206~1227. 몽고를 통일하고 원 나라 건설의 기초를 마련하여 칭기즈칸으로 일컬어지며, 원을 세운 손자 세조(世祖)에 의해 태조로 추존됨.
1155?~1227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조(原朝) - 원(元)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까지 중국 본토와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고족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1271~1368 중국>원 , 중국 , 시간>국명
-
원조명신사략(元朝名臣事略) - 국조명신사략(國朝名臣事略)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소천작(蘇天爵)이 저술한 책. 원 전기와 중기의 인물 47명의 전기를 기록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원종(元宗) - 말제(末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마지막 황제. 재위 264~280. 처음에는 선정을 베풀었으나 가혹한 조세(租稅)와 폭정(暴政) 등으로 민심을 잃었으며, 진(晉) 나라에 항복하여 귀명후(歸命侯)에 봉해짐.
242~284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종(元宗)@박원종 - 박원종(朴元宗)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을 주도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令議政) 등을 지냄.
1467~151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원종(元鍾) - 조원종(趙元鍾)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직산(稷山).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조세림(趙世琳)의 아버지로, 승의부위(承義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무신
-
원종(原從) - 원종공신(原從功臣)
조선시대에 공이 큰 정공신(正功臣)을 정할 때, 왕을 수종(隨從)하는 등 정공신에 버금가는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勳號).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원종공신(元從功臣) - 원종공신(原從功臣)
조선시대에 공이 큰 정공신(正功臣)을 정할 때, 왕을 수종(隨從)하는 등 정공신에 버금가는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勳號).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원종효평황제(元宗孝平皇帝) - 평제(平帝)
중국 전한(前漢)의 마지막 황제. 재위 B.C.1~A.D.5. 애제(哀帝)의 조카로, 애제가 죽은 후 대사마(大司馬) 왕망(王莽)의 추대를 받아 제위에 오르고 그의 딸과 혼인하였으나, 후에 왕망에게 독살됨.
B.C.9~A.D.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좌(元佐) - 정윤량(鄭允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연일(延日)로, 이황(李滉)의 문인. 노수(盧遂)ㆍ김응생(金應生) 등과 더불어 부래산(浮來山)에 정몽주(鄭夢周)를 향사(享祀)한 서원(書院)을 창건(創建)하였는데, 임고서원(臨皐書院)이라는 사액(賜額)을 받았음.
1515~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원주부원군(原州府院君) - 변안열(邊安烈)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래 중국 심양(瀋陽)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원주(原州)로 본관을 하사받았으며,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 격퇴에 공을 세움.
?~1390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무신
-
원주사(袁主事) - 원황(袁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송응창(宋應昌)을 보좌하여 참전하였고, 천문(天文)ㆍ술수(術數)ㆍ의학(醫學)ㆍ수리(水利)에 능통하였으며, 저서에 《역법신서(曆法新書)》ㆍ《요범사훈(了凡四訓)》 등이 있음.
1533~160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준(元俊) - 정원준(鄭元俊)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부마. 본관은 봉화(奉化). 성종의 여섯 번째 딸인 정순옹주(靜順翁主)와 혼인함.
?~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왕실>인척
-
원준(元濬) - 임원준(任元濬)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문장이 뛰어났고 경사(經史)와 의학(醫學)에도 정통했음. 성종(成宗)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서하군(西河君)에 봉해졌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아들 임사홍(任士洪)의 죄로 관직이 삭탈된 후 추살됨.
1423~150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중(元仲)@박응인 - 박응인(朴應寅)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유조인(柳祖訒)의 문인. 지제교(知製敎) 박소(朴紹)의 아들로, 상의원 정(尙衣院正)ㆍ인의(引儀) 등을 지냄. 작은 아버지 박집(朴緝)에게 입양됨.
1532~160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중(元仲) - 정인학(鄭仁學)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낸 정은(鄭垠)의 아들로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 등을 지냄.
1344~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원중(原仲)@호헌 - 호헌(胡憲)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안국(胡安國)의 조카로, 초정(譙定)의 제자이며 주희(朱熹)의 스승.
1068~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중(原仲) - 김세헌(金世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원(金瑗)의 아들로,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사옹원 정(司饔院正)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중(愿仲) - 이동(李侗)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스승. 나종언(羅從彦)에게 수학하고, 정호(程顥)ㆍ정이(程頤) 사상의 정수를 주희에게 전수함.
1093~116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중일기(院中日記)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조선시대에 승정원(承政院)에서 매일 취급한 문서(文書)와 사건을 기록한 일기. 원래 조선 개국 초부터 일기가 있었으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소실되어 1623년(인조 1)부터 1894년(고종 31)까지 270여 년간의 일기만이 현존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문헌>서명
-
원증(圓證) - 보우(普愚)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선승(禪僧). 본관은 홍주(洪州). 중국 원(元) 나라 청공(淸珙)의 법을 계승하고 임제종(臨濟宗)을 열어 그 시조가 되었으며, 선교일체론(禪敎一體論)을 주장하고 불교와 유교의 융합을 강조함. 공민왕(恭愍王)과 우왕 때 국사(國師)로 봉해짐.
1301~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종교인>승려
-
원지(元之)@유원지 - 유원지(柳元之)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손자이며,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으로, 경서(經書)ㆍ제자서(諸子書)에 능통함. 이황(李滉)의 이발기발설(理發氣發說)에 동조하고, 효종(孝宗)의 복상문제(服喪問題) 때 삼년설을 주장함.
1598~167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지(元之)@한효원 - 한효원(韓效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철원 부사(鐵原府使) 한증(韓曾)의 아들.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공조 판서(工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468~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지(元之)@신승선 - 신승선(愼承善)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연산군의 장인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을 주관함.
1436~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지(元之)@조수원 - 조수원(曺守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 조석문(曺錫文)의 손자. 충좌위 부사맹(忠佐衛副司猛)을 지냄.
1487~150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원지(元之)@요숭 - 요숭(姚崇)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재상. 측천무후(則天武后)에게 발탁되어 관직에 오르고, 현종 초기에 국정을 숙정하고 민생의 안정에 힘씀. 송경(宋璟)과 함께 개원(開元)의 명재상으로 숭앙됨.
650~72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지(元之)@안보 - 안보(安輔)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낸 안축(安軸)의 동생. 원(元) 나라의 제과(制科)에 합격하여 벼슬하다가 귀국한 뒤,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동경 유수(東京留守) 등을 지냄.
1302~135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원지(元之) - 서태원(徐兌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남해 훈도(南海訓導)를 지냈으며, 자암(自菴) 김구(金絿)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남해(南海)에 유배되었을 때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남해 , 인명>관인>문신
-
원지(元之)@이세인 - 이세인(李世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이항(李沆)의 아버지. 부제학(副提學)ㆍ황해 감사(黃海監司)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며, 곧은 성품으로 사림의 명망을 얻었음.
1452~1516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원지(元之)@최원지 - 최원지(崔元之)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지평(持平) 등을 지낸 최자해(崔自海)의 아버지로, 공민왕(恭愍王) 때 과거에 급제하여 종부시 영(宗簿寺令)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원지(元之)@왕우칭 - 왕우칭(王禹偁)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문인. 사문(詞文)에 능했음. 강직한 성품 때문에 여러 차례 좌천되었으나, 〈삼출부(三黜賦)〉를 지어 자신의 뜻을 나타냄.
954~10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지(元之)@이선장 - 이선장(李善長)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한산(韓山).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이균(李均)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원지(元之)@유자미 - 유자미(柳自湄)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종 때 감찰(監察) 등을 지냈으나 세조의 즉위 후 은거하여 평생 절의를 지킴. 글씨와 그림에 능하여 유작〈지곡송학도(芝谷松鶴圖)〉한 점이 전함. 양산(梁山)의 구산사(龜山祠)에 제향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원지(元智) - 박원지(朴元智)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죽산(竹山). 유학 박승리(朴承李)의 아버지로, 풍산 만호(豊山萬戶)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무신
-
원지(員之) - 안보(安輔)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낸 안축(安軸)의 동생. 원(元) 나라의 제과(制科)에 합격하여 벼슬하다가 귀국한 뒤,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동경 유수(東京留守) 등을 지냄.
1302~135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원지(垣之) - 이선(李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한산(韓山). 영월 군수(寧越郡守) 이각(李殼)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원지(源之) - 심지원(沈之源)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원래 이이첨(李爾瞻)의 대북파(大北派)였으나 광해군 때 은거하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후에 기용되어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냈으며, 영천(永川) 송곡서원(松谷書院)에 제향됨.
1593~166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원직(元直) - 서서(徐庶)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위(魏) 나라의 책사(策士). 처음에는 유비(劉備)를 섬기다가 조조(曹操)에 의해 어미가 볼모가 되자, 대신 제갈량(諸葛亮)을 천거하고 조조에게 귀속(歸屬)했으나 조조를 위해 지모(智謀)를 발휘하지는 않음.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직(元直)@탁원직 - 탁원직(卓元直)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탁도민(卓道敏)의 둘째 아들로, 밀직제학(密直提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원직(元直)@이소 - 이소(李愬)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무신. 오원제(吳元濟)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방비가 소홀한 틈을 타 반군의 근거지인 채주(蔡州)를 불의에 습격하여 오원제를 사로잡음으로써 회서(淮西)가 평정되는 무공을 세움.
773~82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원진(元振) - 곽진(郭震)
중국 당(唐) 고종(高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16세에 설직(薛稷)과 함께 태학생이 되었고, 통천위(通泉尉)를 거쳐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냄. 시문에 뛰어났음.
656~71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진(元眞) - 태조(太祖)@남북조(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전연(前燕)의 제1대 왕. 재위 337~348. 모용외(毛容廆)의 아들이자 모용각(慕容恪)의 아버지. 337년 연왕(燕王)이라 칭하고 조양(朝陽)에 도읍하였고, 342년 고구려를 공격하여 영토를 확장함.
297~34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진(元眞)@탁원진 - 탁원진(卓元眞)
고려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탁도집(卓道集)의 아들로, 국학(國學)의 구인재생(求仁齋生)이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원진(元鎭)@이원진 - 이원진(李元鎭)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광해군(光海君) 때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에 반대하여 이원익(李元翼) 등과 귀양갔다가 인조반정 후 풀려남. 효종(孝宗) 때 제주 목사(濟州牧使)로 하멜 등 표류한 네덜란드인들을 서울로 압송하고, 《탐라지(耽羅志)》를 편수함.
1594~166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원진(元鎭) - 조정(趙鼎)
중국 송(宋) 나라의 충신. 정이(程頤)의 제자. 재상(宰相)으로서 국력 배양에 진력하다가 진회(秦檜)와의 불화로 파직되어 적소(謫所)에서 단식으로 항거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진(元震) - 한원진(韓元震)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이간(李柬)과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의 논쟁을 벌여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주장함. 영릉 참봉(寧陵參奉) 등을 지내고, 저서로 《남당집(南塘集)》이 있음.
1682~175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결성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진국사(圓眞國師) - 승형(承逈)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승려(僧侶). 능엄선(楞嚴禪)의 주창자. 지눌(知訥)에게 법요(法要)를 받고, 1210년(희종 6)에 연법사(演法寺) 법회(法會)를 주관하여 선풍(禪風)을 확립함.
1172~122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종교인>승려
-
원징(元徵) - 오두인(吳斗寅)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현종(顯宗)의 부마(駙馬)인 오태주(吳泰周)의 아버지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하다가 유배되었으나 후에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624~168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원차관(袁差官) - 원황(袁黃)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송응창(宋應昌)을 보좌하여 참전하였고, 천문(天文)ㆍ술수(術數)ㆍ의학(醫學)ㆍ수리(水利)에 능통하였으며, 저서에 《역법신서(曆法新書)》ㆍ《요범사훈(了凡四訓)》 등이 있음.
1533~160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창군(原昌君) - 이구(李玖)
조선 인조(仁祖) 때의 종친. 의신군(義信君) 이비(李備)의 아들.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청(淸) 나라에서 왕자를 볼모로 요구하자, 왕자 대신 볼모가 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원창부원군(原昌府院君) - 원호(元豪)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송수(元松壽)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강원도 조방장(江原道助防將)으로 의병을 규합하여 여주(驪州)에서 적병을 무찌르고, 패주하는 왜적을 구미포(龜尾浦)에서 섬멸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원천(原川) - 이휘(李徽)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은계군(銀溪君) 이말숙(李末叔)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으로서 서울을 수비함.
1533~159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원천군(原川君)@원두표 - 원두표(元斗杓)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으며, 같은 공서(功西)였던 김자점(金自點)과의 정권다툼으로 분당하여 원당(原黨)의 영수(領袖)가 됨.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593~166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천군(原川君)@이휘 - 이휘(李徽)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은계군(銀溪君) 이말숙(李末叔)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으로서 서울을 수비함.
1533~159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원천군(原川君)@이의 - 이의(李宜)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여섯째 아들. 조세강(趙世康)의 딸과 혼인함.
1433~147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원천군(原川君) - 변수(邊脩)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의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고 원천군(原川君)에 봉해짐.
1447~1524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원천부수(原川副守) - 이휘(李徽)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은계군(銀溪君) 이말숙(李末叔)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으로서 서울을 수비함.
1533~159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원철(元哲) - 홍원철(洪元哲)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공민왕이 연저(燕邸)에 있을 때 수종한 공과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왕과 태후를 모시고 남행(南行)한 공으로 인해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촌(遠村) - 조의생(曺義生)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고려가 망한 뒤 조선 태조(太祖)가 과거를 실시하였으나 이에 응하지 않고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충의를 지킨 태학생(太學生) 72명 중 한 사람.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원춘(元春) - 김정희(金正喜)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서화가(書畫家).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참판(兵曹參判)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추사체(秋史體)를 대성한 명필로 예서(隸書)ㆍ행서(行書)에 능하며, 그림과 금석학(金石學) 등에도 조예가 깊음.
1786~18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예산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원충(元冲) - 김정(金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정치개혁에 힘썼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으로 인해 사사(賜死)됨.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원충(元忠)@주량 - 주량(周良)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육구연(陸九淵)의 문인으로, 주희(朱熹)에게도 수학하였으며 문답한 내용이 《주자어류(朱子語類)》에 실려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충(元忠)@강사진 - 강사진(姜思進)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918년(태조 1) 문과에 급제한 후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에 이르렀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원태초(元太初) - 원혼(元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유륜(元有綸)의 아들. 종종 때 사신이 되어 두 차례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선조 때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
1505~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택(元澤) - 왕방(王雱)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왕안석(王安石)의 아들로, 신법(新法)을 추진하였으며, 신종의 조칙으로 아버지와 함께 《서경(書經)》ㆍ《시경(詩經)》ㆍ《주례(周禮)》에 대한 훈석(訓釋)을 펴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통(元通) - 사거(謝據)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사안(謝安)의 형이자 사낭(謝朗)의 아버지로, 중랑(中郞)을 지냄. 사부(謝裒)의 둘째 아들로, 후에 사씨(謝氏)의 6개 지파(支派) 중 하나를 이룸.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통(圓通) - 관세음(觀世音)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자비로써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한다는 보살로,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왼쪽에 위치함. 33가지 모습으로 현신(現身)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원평(元平) - 남공철(南公轍)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의령(宜寧). 정조의 문체반정(文體反正)에 동참하여 순정한 육경고문(六經古文)을 깊이 연찬하고,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많은 금석문(金石文)ㆍ비갈(碑碣)을 남긴 당대 제일의 문장가로 알려짐.
1760~18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평(原平)@원주 - 원주(原州)
강원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후기에 관동(關東) 제일의 정치ㆍ경제ㆍ문화ㆍ교통의 중심지를 이룸.
강원도>원주 , 지명>행정지명
-
원평(原平) - 파주(坡州)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398년(태조 7) 서원(瑞原)ㆍ파평(坡平)을 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고, 1460년(세조 6) 파주라는 명칭으로 바뀜.
경기도>파주 , 지명>행정지명
-
원평군(原平君)@원두표 - 원두표(元斗杓)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으며, 같은 공서(功西)였던 김자점(金自點)과의 정권다툼으로 분당하여 원당(原黨)의 영수(領袖)가 됨.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593~166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평군(原平君) - 윤목(尹穆)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기여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옥사에 관련되어 유배되었다가 처형됨.
?~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평군(原平君)@윤공 - 윤공(尹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계정(尹繼鄭)의 아버지로, 함열 현감(咸悅縣監)을 지내고 원평군(原平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원평부원군(原平府院君) - 원두표(元斗杓)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으며, 같은 공서(功西)였던 김자점(金自點)과의 정권다툼으로 분당하여 원당(原黨)의 영수(領袖)가 됨.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593~166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풍천자(元豊天子) - 신종(神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6대 황제. 재위 1067~1085. 영종(英宗)의 장자로, 왕안석(王安石)을 등용하여 부국강병책을 시행하였으나, 서하(西夏) 원정 등 외정(外征)에 실패하여 실의에 빠져 죽음.
1048~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필(元弼) - 윤원필(尹元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윤지임(尹之任)의 아들이며, 중종 계비(繼妃)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오빠. 용양위 대호군(龍驤衛大護軍) 등을 역임하였으며,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1496~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원행(元行) - 김원행(金元行)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재(李縡)의 문인으로, 신임사화(辛壬士禍) 때 종조(從祖) 김창집(金昌集)이 사사되고 일가가 모두 유배된 후 벼슬을 사양하고 성리학에 전념함.
1702~177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원행(圓行) - 경철(景轍)
일본 전국시대의 승려. 1470년(조선 성종 1)에 일본 대마도주 뇌충(賴忠)이 사천수좌(師川首座)를 보내 이륙(李陸)에게 경철(景轍)의 자설(字說)을 부탁함.
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원헌(元獻) - 안수(晏殊)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재상ㆍ문인. 범중엄(范仲淹)의 스승이자 부필(富弼)의 장인으로, 재상을 지내고 한기(韓琦)ㆍ구양수(歐陽修) 등을 추천함. 시문(詩文)에 뛰어나 고아한 풍격의 사(詞)를 지음.
991~105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헌(元軒) - 헌종(憲宗)@조선
조선 제24대 왕. 재위 1834~1849. 추존왕인 익종(翼宗)의 아들로, 여덟 살에 즉위하여 순조(純祖)의 비인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金氏)가 수렴청정함. 재위 기간 중 세도정치(勢道政治)의 만연으로 삼정(三政)의 문란과 국정의 혼란이 가중됨.
1827~18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