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원현(元顯) - 유원현(柳元顯)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고려 후기의 문신인 문화군(文化君) 유진(柳鎭)의 아들로, 검교(檢校)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
-
원형(元亨) - 신광한(申光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고, 우찬성(右贊成)으로 양관(兩館) 대제학을 겸했으며, 좌찬성(左贊成)을 지냄.
1484~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형(元亨)@박원형 - 박원형(朴元亨)
조선 세종(世宗)~예종(睿宗)의 문신. 세조(世祖) 때 좌익공신(佐翼功臣), 예종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함.
1411~146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원형(元衡)@안원형 - 안원형(安元衡)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1341년(충혜왕 후2)에 급제하여 밀직사사(密直司事)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131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원형(元衡) - 윤원형(尹元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중종 계비(繼妃)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동생. 소윤(小尹)의 영수로 을사사화(乙巳士禍)와 정미사화(丁未士禍)를 일으켜 대윤(大尹) 등 반대파를 숙청하고 공신에 책록됨. 영의정 등을 지냄.
?~156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원형(元衡)@무원형 - 무원형(武元衡)
중국 당(唐) 헌종(憲宗) 때의 재상(宰相). 813년(원화 8)에 이길보(李吉甫)와 함께 재상이 되어 번진세력(藩鎮勢力)을 약화시킴. 이사도(李師道)가 보낸 자객에 의해 피살됨.
758~81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원혜(元惠) - 혜근(惠勤)
고려 충혜왕 복위(忠惠王復位)~우왕(禑王) 때의 승려. 선종(禪宗)의 고승(高僧)으로, 원(元) 나라에 가서 인도 승려 지공(指空)의 가르침을 받고, 처림(處林)에게서 중국 선교(禪敎)의 영향을 받음. 보우(普愚)와 함께 조선시대 불교의 초석을 세움.
1320~137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종교인>승려
-
원혜태후(元惠太后) - 원혜왕후(元惠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4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세 자매가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문종(文宗)ㆍ평양공(平壤公) 왕기(王基)ㆍ효사왕후(孝思王后) 등을 낳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원호(元浩) - 최원호(崔元浩)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우봉(牛峰). 최씨무신정권(崔氏武臣政權)의 기반을 다진 최충헌(崔忠獻)의 아버지로, 상장군(上將軍)을 지내고 영렬우성공신 삼중대광 문하시중(英烈佑聖功臣三中大匡門下侍中)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무신
-
원화(元化) - 화타(華佗)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명의(名醫). 외과(外科)의 태두(泰斗)로, 술과 마비산(麻沸散)을 이용한 전신마취법을 창안하였으며, 다섯 동물의 동작을 본떠 ‘오금희(五禽戱)’라는 보건체조를 고안함.
145~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
-
원화(元和) - 이원화(李元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였으며, 목사(牧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원회(元晦)@홍언광 - 홍언광(洪彦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형(洪泂)의 아들.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백형(伯兄) 홍언필(洪彦弼)과 함께 진도(珍島)로 유배(流配)되었다가 풀려났으며, 도총부 경력(都摠府經歷) 등을 역임함.
1484~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회(元晦)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원회(元會) - 이경일(李敬一)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경주(慶州). 진사(進士) 이종열(李宗悅)의 아들로, 도사(都事) 이종악(李宗岳)에게 출계함. 좌의정 등을 지내고, 저서에 《청헌유고(聽軒遺稿)》가 있음.
1734~18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원효(元孝)@김원효 - 김원효(金元孝)
조선 전기의 유학.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만사(挽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원효(元孝)@이원효 - 이원효(李元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성종(成宗) 때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이명숭(李命崇)의 아버지로, 충청도 감사(忠淸道監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원효(元孝) - 강종(康宗)
고려의 제22대 왕. 재위 1211~1213. 명종(明宗)의 맏아들. 1197년 부왕과 함께 최충헌(崔忠獻)에게 쫓겨 강화도로 갔다가, 희종(熙宗)을 폐한 최충헌에 의해 왕위에 오름.
1152~121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원효(圓曉) - 원효(元曉)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신문왕(神文王) 때의 고승. 불교사상의 융합과 그 실천에 힘쓴 정토교(淨土敎)의 선구자이며, 평생 불교의 대중화에 힘씀.
617~686 한국>통일신라ㅣ한국>신라 , 경상도>경주ㅣ경상도>경산 , 인명>종교인>승려
-
원효(源孝) - 이예윤(李禮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의 증손이며, 평해부수(平海副守) 이담(李倓)의 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宣祖)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68~162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원효당(元曉堂) - 원효사(元曉寺)
신라시대에 전라도 광산(光山)의 무등산(無等山)에 건립한 사찰. 원효(元曉)가 이곳에 머물면서 개축하여 원효사ㆍ원효암(元曉庵)ㆍ원효당(元曉堂) 등으로 불림.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원효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고도 함.
한국>신라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찰
-
원효암(元曉庵) - 원효사(元曉寺)
신라시대에 전라도 광산(光山)의 무등산(無等山)에 건립한 사찰. 원효(元曉)가 이곳에 머물면서 개축하여 원효사ㆍ원효암(元曉庵)ㆍ원효당(元曉堂) 등으로 불림.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원효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고도 함.
한국>신라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찰
-
원후(元后) - 효원황후(孝元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추존(追尊) 왕비. 영제(靈帝)의 조모(祖母)이며 효원황(孝元皇)의 아내로, 영제가 즉위하자 효원후(孝元后)로 추존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원후(元詡) - 효명제(孝明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8대 황제. 재위 515~528. 선무제(宣武帝)를 이어 황제가 되었지만 20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夭折)함.
509~52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원후(原厚) - 박원후(朴原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청하 현감(淸河縣監) 박지(朴持)의 아버지로, 내섬윤(內贍尹)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원휘(元暉)@미우인 - 미우인(米友仁)
중국 남송(南宋)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아버지 미불(米芾)이 대미(大米)라고 불린 데 대해 소미(小米)라고 불림. 운산(雲山) 화법을 발전시켜 ‘미법산수(米法山水)’를 정착시키고, 초서와 예서에 뛰어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원휘(元暉) - 이부광(李溥光)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ㆍ서예가. 조맹부(趙孟頫)가 주방(酒坊)에 쓴 그의 글씨를 보고 추천하여 세조(世祖) 때 소문관 태학사(昭文館太學士)에 봉해짐. 한때 궁성(宮城) 전각의 편액(扁額)에 그의 작품이 많았다고 함.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예술인>서화가
-
월(越)@곽월 - 곽월(郭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사성(司成) 곽지번(郭之藩)의 아들이며,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의 아버지. 1556년(명종 1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사간(司諫)을 거쳐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역임함.
1518~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월(越) - 이월(李越)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손자인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월간(月澗) - 이정은(李貞恩)
조선 태종(太宗)의 아들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둘째 아들. 음률(音律)과 시(詩)에 뛰어나고 청담파(淸談派)의 일원이 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월간(月磵) - 이전(李㙉)@1558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사섬시 주부(司贍寺主簿)를 지낸 이수인(李守仁)의 아들. 동생 이준(李埈)과 함께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에서 퇴도(退陶)의 학설을 배웠음.
1558~16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월계(月溪) - 조희문(趙希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조림(趙琳)의 아들이며 김인후(金麟厚)의 문인. 성리학(性理學)에 밝아 김인후의 학설을 계승ㆍ발전시키고, 문장에도 능하여 정철(鄭澈)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함.
1527~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월계명부(月溪明府) - 조희문(趙希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조림(趙琳)의 아들이며 김인후(金麟厚)의 문인. 성리학(性理學)에 밝아 김인후의 학설을 계승ㆍ발전시키고, 문장에도 능하여 정철(鄭澈)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함.
1527~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월곡(月谷)@백간미 - 백간미(白簡美)
고려 성종(成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무신. 육조(六朝)에 걸쳐 벼슬을 지내고 영해(寧海)로 낙향하였으며, 문종이 여러 차례 불렀으나 응하지 않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월곡(月谷) - 명사(明師)
고려 후기의 승려. 고려 말 조선 초의 은사(隱士)인 원천석(元天錫)과 교유하여,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원천석이 쓴 서권(書卷)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월나(月奈) - 영암(靈巖)
전라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장흥(長興), 남쪽으로 강진(康津)과 접하였으며, 대표적인 산으로 월출산(月出山)과 사찰로는 도갑사(道岬寺) 등이 있음.
전라도>영암 , 지명>행정지명
-
월담(月潭)@김정룡 - 김정룡(金廷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서계(西溪) 김담수(金聃壽)의 아들이며,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풍기 군수(豊基郡守)ㆍ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냈음.
1561~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ㅣ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월담(月潭)@정사현 - 정사현(鄭師賢)
조선 중종(中宗) 때의 은사(隱士).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자형(姊兄). 효행이 뛰어나 나라에서 관직을 주었으나 사양하고 학문에 정진하여 고령 5현(高靈五賢)의 한 사람으로 불림.
1508~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은자
-
월담(月潭) - 최황(崔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삼절당(三節堂) 최여주(崔汝舟)의 아들. 평난공신(平難功臣)ㆍ광국공신(光國功臣)에 녹훈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월담(月潭)@월명담 - 월명담(月明潭)
경상도 예안(禮安)의 동쪽 25리 지점에 있는 강 이름. 낙동강(洛東江)의 상류로, 풍경이 뛰어나 시(詩)의 소재로 많이 쓰임. 현재 경상북도 안동(安東)에 속함.
경상도>예안 , 지명>자연지명
-
월당(月塘)@강석기 - 강석기(姜碩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금천(衿川)으로, 소현세자빈(昭顯世子嬪)인 강빈(姜嬪)의 아버지. 강빈 사건으로 관작을 추탈당했다가 숙종(肅宗) 때 복관(復官)됨.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1580~164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금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월당(月塘) - 김대경(金臺卿)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벼슬이 대제학에 이르렀으며, 문장(文章)이 뛰어나 《동문선(東文選)》에 시(詩)가 실림.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월당(月塘)@이정암 - 이정암(李廷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사직서 영(社稷署令) 이탕(李宕)의 아들로, 황해도 관찰사ㆍ병조 참판 등을 지냄. 임진왜란 때 연안(延安) 수비의 공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1541~16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월당선생집(月塘先生集) - 월당집(月塘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강석기(姜碩期)의 문집. 1772년(영조 48) 5대손인 음성 현감(陰城縣監) 강명달(姜命達)에 의해 원집(原集) 8권, 별집(別集) 2권, 합 5책의 활자본으로 간행됨.
177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음성 , 문헌>서명
-
월대(月臺) - 만월대(滿月臺)
경기 개성(開城) 송악산(松嶽山) 남쪽 기슭에 있는 고려 왕궁 터의 이름. 궁전은 1361년 모두 불타 소실됨.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궁궐
-
월라산(月奈山) - 월출산(月出山)
전라남도 영암(靈巖)과 강진(康津)의 경계에 있는 산. 소백산맥 여맥의 말단에 솟아 있으며, 남원(南原) 지리산(智異山)ㆍ장흥(長興) 천관산(天冠山)ㆍ부안(扶安) 능가산(楞伽山)ㆍ정주(井州) 내장산(內藏山)과 함께 호남 5대 명산으로 꼽힘. 호남의 소금강(小金剛)이라고도 불리며, 도갑사(道岬寺)ㆍ무위사(無爲寺) 등의 사찰이 있음.
전라도>영암ㅣ전라도>강진 , 지명>자연지명
-
월락탄(月落灘) - 명월탄(明月灘)
충청도 충주(忠州)에 있는 개울 이름. 월락탄(月落灘)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우륵(于勒)이 노닐던 곳이라 함.
충청도>충주 , 지명>자연지명
-
월란(月瀾) - 월란사(月瀾寺)
경상도 예안현(禮安縣) 도산면(陶山面)의 자하봉(紫霞峯) 아래에 있는 사찰. 이황(李滉)ㆍ이현보(李賢輔) 등이 이곳에서 '월란척촉회(月瀾躑躅會)'를 열어 경치를 즐기며 강학(講學)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사찰
-
월란암(月瀾菴) - 월란사(月瀾寺)
경상도 예안현(禮安縣) 도산면(陶山面)의 자하봉(紫霞峯) 아래에 있는 사찰. 이황(李滉)ㆍ이현보(李賢輔) 등이 이곳에서 '월란척촉회(月瀾躑躅會)'를 열어 경치를 즐기며 강학(講學)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사찰
-
월란정사(月瀾精舍) - 월란사(月瀾寺)
경상도 예안현(禮安縣) 도산면(陶山面)의 자하봉(紫霞峯) 아래에 있는 사찰. 이황(李滉)ㆍ이현보(李賢輔) 등이 이곳에서 '월란척촉회(月瀾躑躅會)'를 열어 경치를 즐기며 강학(講學)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사찰
-
월려(越蠡) - 범려(范蠡)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越) 나라의 대부. 문종(文種)과 더불어 월왕 구천(句踐)을 도와 오(吳) 나라를 멸하는 데 큰 공을 세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월봉(月峯) - 김광원(金光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가 사사(賜死)되자, 장흥(長興)에 돌아와 학문에만 전념함.
1478~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월봉(月峰) - 이서(李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사공신(靖社功臣)에 봉해지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에서 죽음.
1580~163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월봉(月峰)@정옥형 - 정옥형(丁玉亨)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병조 판서 등을 지내고, 전장(典章)에 밝아 《대전후속록(大典後續錄)》편찬에 참여함.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참여하여 금천군(錦川君)에 봉해짐.
1486~154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월봉(月蓬) - 유영길(柳永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참봉(參奉) 유의(柳儀)의 아들이며, 영의정 유영경(柳永慶)의 형으로, 시문(詩文)에 능하였으며, 예조 참판(禮曹參判)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1538~16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월사(月寺) - 월정사(月精寺)
강원도 평창(平昌)의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사찰.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때 자장(慈藏)이 창건했으며, 여러 차례 화재를 겪음. 문수보살(文殊菩薩)이 머무는 성지(聖地)로 여겨짐.
643 한국>신라 , 강원도>평창 , 유적>건물>사찰
-
월사(月師)@각훈 - 각훈(覺訓)
고려 후기의 승려. 개경의 화엄대찰인 흥왕사(興王寺)와 영통사(靈通寺) 등지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이인로(李仁老)ㆍ이규보(李奎報) 등과 교유함. 1215년(고종 2)을 전후하여 영통사에 주석(駐錫)하며 왕명으로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을 저술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월사(月師) - 명봉(明峯)
고려 후기의 승려.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원천석(元天錫)이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월사(月沙) - 이정귀(李廷龜)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 이계(李𡹘)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명(明) 나라에 원병을 청하고, 대제학(大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신흠(申欽)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4대 문장가로 불림.
1564~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월사(月簑) - 성호선(成好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창산군(昌山君) 성수익(成壽益)의 아들. 1589년(선조 22)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충주 목사(忠州牧使) 등을 지냄.
15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월사선생집(月沙先生集) - 월사집(月沙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이정귀(李廷龜)의 시문집. 목판본. 74권 22책. 아들인 이명한(李明漢)과 이소한(李昭漢)이 유고(遺稿)를 정리하고, 저자의 문인인 최유해(崔有海)가 교정ㆍ간행함.
163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월산(月山)@월악산 - 월악산(月岳山)
충청도 충주(忠州)와 청풍(淸風) 경계에 있는 산 이름. 예로부터 뛰어난 풍광(風光)으로 유명하며, 소백산맥(小白山脈)의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함. 현재 충청북도 제천시(堤川市) 한수면(寒水面)과 덕산면(德山面)의 경계에 속함.
충청도>충주ㅣ충청도>청풍 , 지명>자연지명
-
월산(月山) - 월산대군(月山大君)
조선 전기의 종친. 추존왕 덕종(德宗)의 맏아들이며, 성종(成宗)의 형. 권신들의 농간에 의하여 왕위계승에서 밀려나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봉되자 자연 속에 은둔하여 조용히 여생을 보냄.
1454~14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ㅣ서울 , 인명>왕실>종친
-
월산(月山)@월출산 - 월출산(月出山)
전라남도 영암(靈巖)과 강진(康津)의 경계에 있는 산. 소백산맥 여맥의 말단에 솟아 있으며, 남원(南原) 지리산(智異山)ㆍ장흥(長興) 천관산(天冠山)ㆍ부안(扶安) 능가산(楞伽山)ㆍ정주(井州) 내장산(內藏山)과 함께 호남 5대 명산으로 꼽힘. 호남의 소금강(小金剛)이라고도 불리며, 도갑사(道岬寺)ㆍ무위사(無爲寺) 등의 사찰이 있음.
전라도>영암ㅣ전라도>강진 , 지명>자연지명
-
월산(粵山) - 서산(西山)
중국 복건성(福建省) 복주(福州) 포성현(蒲城縣)에 있는 산 이름. 옛날 월(越) 땅에 해당하므로 '월산(粵山)'이라고도 부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월산군(月山君) - 월산대군(月山大君)
조선 전기의 종친. 추존왕 덕종(德宗)의 맏아들이며, 성종(成宗)의 형. 권신들의 농간에 의하여 왕위계승에서 밀려나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봉되자 자연 속에 은둔하여 조용히 여생을 보냄.
1454~14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ㅣ서울 , 인명>왕실>종친
-
월상인(月上人) - 각훈(覺訓)
고려 후기의 승려. 개경의 화엄대찰인 흥왕사(興王寺)와 영통사(靈通寺) 등지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이인로(李仁老)ㆍ이규보(李奎報) 등과 교유함. 1215년(고종 2)을 전후하여 영통사에 주석(駐錫)하며 왕명으로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을 저술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월생산(月生山) - 월출산(月出山)
전라남도 영암(靈巖)과 강진(康津)의 경계에 있는 산. 소백산맥 여맥의 말단에 솟아 있으며, 남원(南原) 지리산(智異山)ㆍ장흥(長興) 천관산(天冠山)ㆍ부안(扶安) 능가산(楞伽山)ㆍ정주(井州) 내장산(內藏山)과 함께 호남 5대 명산으로 꼽힘. 호남의 소금강(小金剛)이라고도 불리며, 도갑사(道岬寺)ㆍ무위사(無爲寺) 등의 사찰이 있음.
전라도>영암ㅣ전라도>강진 , 지명>자연지명
-
월석(月石) - 정수곤(丁壽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소격서 영(昭格署令)을 지낸 정자급(丁子伋)의 아들로, 월헌(月軒) 정수강(丁壽崗)의 형. 1472년(성종 3)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공조 좌랑(工曹佐郞)ㆍ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 등을 지냄.
1452~148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월석(越石) - 유곤(劉琨)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문신ㆍ시인. 혜제(惠帝) 때 오랑캐로부터 나라를 지키고자 맹세한 사직지신(社稷之臣). 좌사(左思)ㆍ곽박(郭璞)과 함께 동진(東晉)의 3대 시걸(詩傑)로 꼽힘.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월성(月城)@경주 - 경주(慶州)
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진한(辰韓)의 중심지이자 신라(新羅) 천년의 고도(古都).
경상도>경주 , 지명>행정지명
-
월성(月城)@반월성 - 반월성(半月城)
신라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 때 경상도 경주(慶州)에 쌓은 성. 원래 호공(瓠公)의 거주지였던 것을 탈해(脫解)가 꾀를 써 빼앗고, 파사이사금이 성을 쌓아 신라의 궁성으로 사용함.
101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성,진,책
-
월성(粤省) - 광동성(廣東省)
중국 남부의 해안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지역. 월(粤) 나라의 중심지였으나, 진(秦) 나라 시황(始皇) 때 중국의 영토가 됨. 해상 교통의 요충지.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월성군(月城君)@이철견 - 이철견(李鐵堅)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공조 참판(工曹參判) 이연손(李延孫)의 아들로, 성종(成宗)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등을 지냄.
1435~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월성군(月城君)@최형손 - 최형손(崔亨孫)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최유공(崔有恭)의 아들이며 계림군(鷄林君) 최한홍(崔漢洪)의 아버지로, 장흥 부사(長興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월성군(月城君)@손중돈 - 손중돈(孫仲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계천군(鷄川君) 손소(孫昭).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청환직(淸宦職)을 두루 역임하였고, 중종(中宗) 때 청백리에 녹선됨.
1463~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월성군(月城君) - 김수(金需)@고려후기
고려 말~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판예빈시사(判禮賓寺事)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 김천서(金天瑞)의 아들로, 정종(定宗)의 비(妃)인 순덕대비(順德大妃)의 오빠.
1338~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월성군(月城君)@이천 - 이천(李蒨)@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첨의평리 상의(僉議評理商議)로 원(元) 나라에 가서 교사(郊赦)를 축하하고 돌아왔으며,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월성군(月城君)@이지수 - 이지수(李之秀)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삼중대광(三重大匡)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월성군(月城君)@이전 - 이전(李竱)
고려 후기의 문신.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낸 이달충(李達衷)의 둘째 아들로,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월성군(月城君)@이규 - 이규(李揆)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의 아들. 우대언(右代言)ㆍ첨의 참리(僉議參理) 등을 지내고, 충혜왕의 묘정(廟廷)에 배향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월성김씨(月城金氏) - 경주김씨(慶州金氏)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를 시조로 하는 성씨. 신라 김씨의 대종(大宗)으로, 김해김씨(金海金氏)와 더불어 우리나라 김씨 계통의 양대 산맥을 이룸.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김천서 - 김천서(金天瑞)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조선 제2대 왕 정종(定宗)의 비(妃)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아버지로,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이천 - 이천(李蒨)@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첨의평리 상의(僉議評理商議)로 원(元) 나라에 가서 교사(郊赦)를 축하하고 돌아왔으며,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 - 이성림(李成林)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역임하였으며, 우왕 때 권신인 이인임(李仁任)을 해치려 하였다는 혐의로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유배되었으며, 임견미(林堅味) 등과 함께 최영(崔瑩)에게 죽임을 당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 - 김만균(金萬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안로(金安老)를 탄핵하여 삭직되었다가 김안로가 축출되자 다시 서용되어 교리 등의 관직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495~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월성이씨(月城李氏) - 경주이씨(慶州李氏)
초기 신라의 육촌(六村) 중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의 촌장인 표암공(瓢巖公) 이알평(李謁平)을 시조로 삼고,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을 중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집단>성씨
-
월소(月所) - 오삼계(吳三桂)
중국 명(明) 말~청(淸) 초의 무신. 명 나라 말에 산해관(山海關)을 지켰으나, 청 나라에 항복하고 이자성(李自成)을 격파함. 후에 다시 청 나라를 배반하여 주(周) 나라를 세우고 황제라 칭하였으나 곧 병사(病死)함.
1612~1678 중국>청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월송(月松) - 혜문(惠文)
고려 후기의 승려. 가지산문(迦智山門)의 선승(禪僧)으로, 대선사(大禪師)에 이르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여 이인로(李仁老)ㆍ이규보(李奎報) 등과 교유함.
?~123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종교인>승려
-
월송(越松) - 황윤석(黃胤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종래의 이학(理學)과 서구 지식의 조화를 시도함. 《이재유고(頤齋遺藁)》에 실린 운학(韻學)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사의 연구대상이 됨.
1729~17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월송외사(越松外史) - 황윤석(黃胤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종래의 이학(理學)과 서구 지식의 조화를 시도함. 《이재유고(頤齋遺藁)》에 실린 운학(韻學)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사의 연구대상이 됨.
1729~17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월송정(月松亭) - 월송정(越松亭)
강원도 평해(平海) 동쪽 7리 지점에 있는 정자.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로,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 관찰사 박원종(朴元宗)이 세웠으며, 전설에 신라 때 화랑들이 선유(仙遊)하던 곳이라 함. 현재 경상북도 울진(蔚珍)의 평해읍(平海邑)에 속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유적>건물>누정
-
월송정(月松亭)@오유립 - 오유립(吳裕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오명립(吳名立)ㆍ오시립(吳時立) 등과 함께 문의(文義)에 송인수(宋麟壽)를 모실 노봉서원(魯峯書院)을 건립했음.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유학
-
월아(月娥) - 항아(姮娥)
중국 고대 유궁후(有窮后) 예(羿)의 아내. 예가 서왕모(西王母)에게 얻은 선약(仙藥)을 몰래 훔쳐 먹고 신선이 되어 혼자 월궁(月宮)으로 달아났으나, 두꺼비로 변해 달에서 외롭게 살고 있다고 전함. 달에 사는 신선(神仙)이나, 달 자체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임.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월아(越娥) - 서시(西施)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越) 나라의 미인.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오왕(吳王) 부차(夫差)를 현혹하기 위해 바친 두 미인 중의 하나로, 부차는 그의 미모에 사로잡혀 정사를 게을리하다가 마침내 월 나라에 패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월아산(月牙山) - 반동산(斑東山)
경상도 진주(晉州)에 있는 산 이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강혼(姜渾)이 이곳에 낙모정(落帽亭)을 짓고 소요하며 만년을 보낸 것으로 유명함.
경상도>진주 , 지명>자연지명
-
월안사(月安寺) - 월란사(月瀾寺)
경상도 예안현(禮安縣) 도산면(陶山面)의 자하봉(紫霞峯) 아래에 있는 사찰. 이황(李滉)ㆍ이현보(李賢輔) 등이 이곳에서 '월란척촉회(月瀾躑躅會)'를 열어 경치를 즐기며 강학(講學)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사찰
-
월암(月庵) - 이지복(李之復)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이태(李迨)의 6대손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실된 쌍경당(雙鏡堂)을 복원하고 《월연집(月淵集)》의 부록에 들어 있는 〈쌍경당기사후지(雙鏡堂記事後識)〉를 지음.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
-
월암(越菴) - 초상인(超上人)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월암초상인권(書越菴超上人卷)〉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월암사우(月巖祠宇) - 월암사(月巖祠)
경상도 고령(高靈)에 있는 사우(祠宇). 죽재(竹齋) 곽간(郭趕)을 배향함.
경상도>고령 , 유적>건물>사당
-
월연(月淵) - 이태(李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사필(李師弼)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김정국(金正國)ㆍ이현보(李賢輔)ㆍ권벌(權橃) 등과 교유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하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83~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