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월연선생문집(月淵先生文集) - 월연집(月淵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태(李迨)의 문집. 2권 1책. 목판본. 후손 이장운(李章運)ㆍ이종술(李鍾述)이 이만재(李萬材) 등이 만들었던 유고(遺稿)에 부록 등을 첨부하고, 허전(許傳)의 서(序)와 이돈우(李敦禹)의 발(跋)을 받아 간행함.
187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월연주인(月淵主人) - 이태(李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사필(李師弼)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김정국(金正國)ㆍ이현보(李賢輔)ㆍ권벌(權橃) 등과 교유함.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하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483~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월영(月影) - 박이홍(朴以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함양(咸陽). 조광조(趙光祖)의 문하생으로, 현량과(賢良科)에 추천되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월영당(月影堂) - 박이홍(朴以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함양(咸陽). 조광조(趙光祖)의 문하생으로, 현량과(賢良科)에 추천되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월오(月塢) - 윤규(尹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1531년(중종 2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나, 천성이 자연을 좋아하여 출사하지 않고 고령(高靈)의 죽연정(竹淵亭)에서 심성을 도야함.
1500~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월왕(越王) - 구천(句踐)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越) 나라의 제후. 재위 B.C.496~B.C.465. 아버지 합려(闔閭)의 복수를 준비하고 있던 오(吳) 나라의 왕 부차(夫差)와의 싸움에서 패배한 뒤 쓸개를 맛보며 국력을 키워 마침내 오 나라를 멸망시킴.
?~B.C.46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월자(月姊) - 항아(姮娥)
중국 고대 유궁후(有窮后) 예(羿)의 아내. 예가 서왕모(西王母)에게 얻은 선약(仙藥)을 몰래 훔쳐 먹고 신선이 되어 혼자 월궁(月宮)으로 달아났으나, 두꺼비로 변해 달에서 외롭게 살고 있다고 전함. 달에 사는 신선(神仙)이나, 달 자체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임.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월정(月汀)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월정로(月汀老)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월정만록(月汀漫錄) - 월정만필(月汀漫筆)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윤근수(尹根壽)가 지은 수필집. 우리 나라와 중국의 역사 고증ㆍ풍속ㆍ문장ㆍ필법ㆍ시화(詩話)ㆍ인물ㆍ설화ㆍ풍수ㆍ복서(卜筮)ㆍ중사(中使) 접대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음.
159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월정부원군(月汀府院君)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월정산로(月汀散老)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월정상공(月汀相公)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월정선생집(月汀先生集) - 월정집(月汀集)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윤근수(尹根壽)의 시문집. 11권 7책. 목판본. 손자 윤정지(尹挺之)가 편집ㆍ교정하여 윤복지(尹履之)와 나누어 간행하고, 1773년(영조 49)에 교서관(校書館)에서 활자로 별집(別集)을 간행함.
1647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함흥ㅣ충청도>단양 , 문헌>서명
-
월조평(月朝評) - 월단평(月旦評)
인물에 대한 품평(品評)을 일컫는 말. 중국 후한(後漢) 때 여남(汝南)의 허소(許劭)와 허정(許靖)이 매월 초하루마다 마을 사람들의 인물을 평가했다는 데서 유래함.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율곡병수(栗谷病叟) - 김구(金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서예가. 본관은 광산(光山). 글씨에 뛰어나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ㆍ양사언(楊士彦)ㆍ한호(韓濩)와 함께 조선 전기의 4대 서예가의 한 사람으로 꼽힘.
1488~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예산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율곡선생문집(栗谷先生文集) - 율곡전서(栗谷全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의 시문집을 집대성한 책. 44권 23책. 목판본. 1611년(광해군 3) 제자 박여룡(朴汝龍) 등에 의해 원집(原集)이 간행된 것을 시초로 하여, 그후 여러 차례 증보ㆍ간행되다가, 1814년(순조 14) 완간됨.
161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서명
-
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율곡전서(栗谷全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의 시문집을 집대성한 책. 44권 23책. 목판본. 1611년(광해군 3) 제자 박여룡(朴汝龍) 등에 의해 원집(原集)이 간행된 것을 시초로 하여, 그후 여러 차례 증보ㆍ간행되다가, 1814년(순조 14) 완간됨.
161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서명
-
율곡시집(栗谷詩集) - 율곡전서(栗谷全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의 시문집을 집대성한 책. 44권 23책. 목판본. 1611년(광해군 3) 제자 박여룡(朴汝龍) 등에 의해 원집(原集)이 간행된 것을 시초로 하여, 그후 여러 차례 증보ㆍ간행되다가, 1814년(순조 14) 완간됨.
161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서명
-
율곡주인(栗谷主人) - 이의석(李宜碩)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추(李抽)의 아들이며, 이의무(李宜茂)의 형으로, 홍주 통판(洪州通判)을 지냄. 파주(坡州)에 화석정(花石亭)을 지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율곡집(栗谷集) - 율곡전서(栗谷全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의 시문집을 집대성한 책. 44권 23책. 목판본. 1611년(광해군 3) 제자 박여룡(朴汝龍) 등에 의해 원집(原集)이 간행된 것을 시초로 하여, 그후 여러 차례 증보ㆍ간행되다가, 1814년(순조 14) 완간됨.
161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서명
-
율곡학사(栗谷學士)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율구(栗口) - 은율(殷栗)
황해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해안에 위치하여 소금이 많이 생산됨.
황해도>은율 , 지명>행정지명
-
율령(栗嶺) - 율현(栗峴)
전라도 장수(長水)에 있는 고개 이름.
전라도>장수 , 지명>자연지명
-
율령직해(律令直解) - 대명률(大明律)
중국 명(明) 나라의 기본 법전. 태조(太祖) 주원장(朱元璋)이 직접 감독하여 1367년 제정하였으며, 당률(唐律)ㆍ송률(宋律)ㆍ전제(田制)를 계승하여 6률(六律)이라는 새로운 격식을 창조함. 주석서로 《율해변의(律解辯擬)》ㆍ《율조소의(律條疏議)》ㆍ《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 등이 있음.
1367 중국>명 , 중국 , 법제>법률
-
율로(栗老)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율리(栗里)@배석지 - 배석지(裵錫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분성(盆城, 김해). 양지현감(陽智縣監)을 지냈으며, 칠원의 덕연서원(德淵書院)에 배향됨.
1523~?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칠원ㅣ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율리(栗里)@도잠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율리(栗里) - 김안로(金安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도모하다 사사(賜死)되었으며, 허항(許沆)ㆍ채무택(蔡無擇)과 함께 정유상흉(丁酉三凶)으로 일컬어짐.
1481~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ㅣ경기도>교하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율리(栗里)@이희 - 이희(李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학문으로 이름을 크게 떨쳤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전사(戰死)함.
1532~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율림선생(栗林先生) - 강흔수(姜欣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 강희맹(姜希孟)의 손자. 1510년(중종 5) 선공감(繕工監)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고 전라도 영광(靈光)에 은거하여 여생을 보냄.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율목(栗木) - 과천(果川)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율보(栗甫)@구치관 - 구치관(具致寬)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운 공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봉해지고, 사후(死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추록됨. 영의정(領議政)등을 지냄.
1406~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율보(栗甫) - 안관후(安寬厚)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검참판(檢參判)을 지낸 안경(安璟)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ㆍ대사간(大司諫)ㆍ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냄. 다섯 형제가 모두 과거에 급제함.
14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율선(栗仙) - 김언필(金彦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1522년(중종 1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유학
-
율수(律髓) - 영규율수(瀛奎律髓)
중국 원(元) 나라의 방회(方回)가 당(唐)ㆍ송(宋) 양대의 시(詩)를 합하여 편찬한 책. 49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율암(栗庵) - 김극성(金克成)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 김맹권(金孟權)의 아들. 세 번이나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낼 만큼 학문에 뛰어났으며, 김안로(金安老)의 실각 이후 우의정(右議政)에 오름.
1474~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율옹(栗翁) - 송징(宋徵)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유학(幼學). 본관은 신평(新平). 송정순(宋庭筍)의 문인(門人). 정철(鄭澈)과 교유하였으며 이이첨(李爾瞻)의 폐모론(廢母論)에 맞서 유생으로 항소(抗疏)를 올림.
1564~16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유학
-
율옹(栗翁)@윤관 - 윤관(尹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학문으로 이름이 높아 당대(當代)의 신진사류들과 교유하였으며, 군자감 판관(軍資監判官) 등을 역임함.
1490~155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율옹(栗翁)@이이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율원(栗園) - 이공(李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조목(趙穆)ㆍ권호문(權好文) 등과 교유하였으며, 이돈(李燉) 등의 문인이 있음. 지평(持平) 등에 제수되었으나 거절하고 학문에만 정진하였으며, 저서로 《율원문집(栗園文集)》이 있음.
1533~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율원군(栗元君) - 이종(李徖)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3남인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차남으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됨.
1432~14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율원군(栗原君) - 이종(李徖)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3남인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차남으로,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됨.
1432~14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율이(栗耳) - 신거관(愼居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윤원형(尹元衡) 일파에 의하여 관직이 삭탈되고 평해(平海)로 유배되었으나, 1555년(명종 10) 재등용되어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름.
1498~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율재(栗齋)@공풍 - 공풍(鞏豊)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ㆍ문인. 여조겸(呂祖謙)의 문인. 효종(孝宗) 때 진사(進士)가 되었고, 할좌장고(轄左藏庫) 등을 지냈으며 시(詩)ㆍ문(文)에 능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율재(栗齋) - 진의귀(陳義貴)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제학(集賢殿提學)ㆍ형조 전서(刑曹典書)를 지냄. 퇴촌(退村) 김열(金閱)의 장인. 김열의 증손 김은경(金殷卿)이 진의귀와 김열의 시를 함께 엮어 《빙옥난고(氷玉亂稿)》를 편찬함.
?~1424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율전(津田) - 삼사랑(三四郞)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신. 가등청정(加藤淸正)의 부하로, 임진왜란(壬辰倭亂)에 참전하여 명(明) 나라 사신과 협상할 때 보좌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율정(栗亭)@김복억 - 김복억(金福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진(康津)으로, 통훈대부(通訓大夫) 김약묵(金若默)의 맏아들.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으로, 1573년(선조 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 등을 지냄.
15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율정(栗亭) - 심극효(沈克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으로, 대관재(大觀齋) 심의(沈義)의 종형(從兄). 청학동(靑鶴洞)에 율정(栗亭)을 짓고 청학노선(靑鶴老仙)이라 자호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율정(栗亭)@이관의 - 이관의(李寬義)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학행으로 천거되어 율봉도 찰방(栗峯道察訪)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함.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ㆍ지리ㆍ기상ㆍ역학 등의 일반과학 분야에 전심하여 각기 일가를 이룸.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율정(栗亭)@권절 - 권절(權節)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ㆍ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 등을 지냄. 세조(世祖)가 계유정난(癸酉靖難)에 동참할 것을 권했으나 귀머거리로 가장하여 응하지 않고, 이후 일생동안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1422~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율정(栗亭)@윤택 - 윤택(尹澤)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1317년(충숙왕 4)에 등제하여 밀직제학ㆍ개성부윤 등을 지냄. 정직ㆍ검소하였으며, 공민왕에게 유학에 힘쓸 것을 권하고 치국의 길을 직언함. 저서로 《율정집(栗亭集)》이 있음.
1289~1307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율정(栗亭)@홍천민 - 홍천민(洪天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홍춘경(洪春卿)의 아들로, 성혼(成渾)의 문인. 교지(敎旨) 작성에 뛰어나 여러 번 도승지(都承旨)를 지냄.
1526~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율정난고(栗亭亂稿) - 율정난고(栗亭亂稾)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권절(權節)이 지은 시문집. 이이(李珥)가 지어준 서문(序文)이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실려 있고, 책은 현존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율제(栗磾) - 우율제(于栗磾)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북위(北魏)의 무신. 무예(武藝)가 남보다 뛰어났으며 흑삭(黑矟)을 즐겨 사용했는데, 송(宋) 무제(武帝) 유유(劉裕)가 그에게 보내는 편지에 흑삭공(黑槊公)이라고 일컬었더니, 명원제(明元帝)가 흑삭장군(黑槊將軍)이란 명호를 주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율진(栗津) - 과천(果川)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율천(栗川) - 은율(殷栗)
황해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해안에 위치하여 소금이 많이 생산됨.
황해도>은율 , 지명>행정지명
-
융(戎) - 홍융(洪戎)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규(洪奎)의 아들이며, 충숙왕의 처남(妻男)으로,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융(融)@박융 - 박융(朴融)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부 시랑(禮部侍郞) 박익(朴翊)의 아들이며, 전적(典籍) 박진(朴震)과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 박건(朴乾)의 아버지로, 전한(典翰) 등을 지냄. 아우 박소(朴昭)ㆍ박조(朴調)ㆍ박총(朴聰) 등과 함께 사우당(四友堂)으로 불림.
?~14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융(隆) - 김륭(金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함창(咸昌).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격문을 돌려 기병할 것을 호소함.
1549~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융경(隆慶) - 목종(穆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3대 황제. 재위 1567~1572. 여러 차례 침범한 몽고의 엄답(俺答)을 방어하고, 재초(齋醮)를 파하며 궁궐 건축을 줄여 몸소 절약을 실행함.
1537~157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융경(隆景) - 소조천융경(小早川隆景)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 임진왜란 때 선봉장으로 벽제관(碧蹄館)에서 이여송(李如松)의 명(明) 나라 군사를 대패시켰으나, 금산(金山) 이치(梨峙)에서는 권율(權慄)에게 대패당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융경제(隆慶帝) - 목종(穆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3대 황제. 재위 1567~1572. 여러 차례 침범한 몽고의 엄답(俺答)을 방어하고, 재초(齋醮)를 파하며 궁궐 건축을 줄여 몸소 절약을 실행함.
1537~157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융곡(隆谷) - 함곡관(函谷關)
중국 하남성(河南省) 영보현(靈寶縣)에 위치한 관문(關門). 중원(中原)에서 관중(關中)으로 통하는 관문이며, 지세가 매우 험준함.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융길(隆吉) - 윤횡(尹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의신(尹宜臣)의 아들로, 1594년(선조 27)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역임함.
156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융범(隆範) - 이범(李範)
중국 당(唐) 나라 예종(睿宗)의 넷째 아들. 현종(玄宗)의 동생으로, 왕유(王維)와 같은 문인 아사(文人雅士)를 좋아하여 친교를 맺음. 현종 때 기주 자사(岐州刺史)ㆍ태자 태부(太子太傅) 등을 지냄.
?~72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왕자
-
융안(隆安) - 안제(安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10대 황제. 재위 396~418. 효무제(孝武帝)의 아들로, 404년 환현(桓玄)이 난을 일으키자 제위(帝位)를 선위(禪位)함. 환현을 토벌한 유유(劉裕)에 의해 복위(復位)되었으나 살해됨.
382~4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융우(戎禹)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융우태후(隆祐太后) - 소자성헌황후(昭慈聖獻皇后)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의 황후(皇后). 철종ㆍ휘종(徽宗) 때 폐출되었으나 복위되어 흠종(欽宗)ㆍ고종(高宗)에 걸쳐 두 차례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073~1131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융준(隆準)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융중(隆中)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융중룡(隆中龍)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융평릉(隆平陵) - 효무제(孝武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9대 황제. 재위 372~396. 간문제(簡文帝)의 셋째 아들로 안제(安帝)와 공제(恭帝)의 아버지. 재임 중에 수세(收稅)를 개혁하고 왕권의 강화를 위한 조치를 취했으나, 탐주(貪酒)로 인한 실언으로 후궁에게 살해당함.
361~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은(㶏) - 강은(姜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기묘명현(己卯名賢)으로, 노후에는 김안국(金安國)과 학문을 강론하며 여생을 보냄.
1487~155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은(垠)@정은 - 정은(鄭垠)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를 지낸 정인학(鄭仁學)의 아버지. 해인사에서 불경을 인행(印行)할 때 경차관(敬差官)으로 파견되고,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형조 참의(刑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은(垠) - 윤은(尹垠)
조선 전기의 문신. 윤희제(尹希齊)의 아들이며. 세종(世宗)의 부마인 윤사로(尹師路)의 아버지로, 공조 참의(工曹參議)ㆍ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은(檃) - 김은(金檃)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이조 판서 김장생(金長生)의 아들이며, 김집(金集)의 형으로, 임진왜란에 해를 당함. 송익필(宋翼弼)이 그의 자(字)를 지어 주고 적은 글이 《구봉집(龜峯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은(殷)@권은 - 권은(權殷)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모재집(慕齋集》에 박감(朴敢)ㆍ박수춘(朴壽椿) 등의 동문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字)와 자설(字說)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은(溵) - 유은(柳溵)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유충정(柳忠貞)의 아들로,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좌랑(佐郞)을 역임함.
154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은(訔) - 박은(朴訔)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조선 초기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 등을 지냄.
1370~142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은(誾)@박은 - 박은(朴誾)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문(詩文)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강서파(江西派)로 일컬어짐.
147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은(誾) - 남은(南誾)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에 동조하여 조선 개국 후 일등개국공신으로 의성군(宜城君)에 봉해짐.
1354~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은(隱) - 강은(姜隱)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권근(權近)과 교류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은간(殷干) - 비간(比干)
중국 은(殷) 나라 주왕(紂王)의 숙부. 주왕에게 선정을 베풀 것을 충간(忠諫)하다가 극형을 당함.
B.C.1028~?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은거(隱居) - 도홍경(陶弘景)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학자. 유명한 도교 사상가로 수많은 도교 서적을 저술함.
456~53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은경(殷卿)@윤사은 - 윤사은(尹師殷)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배(尹培)의 아들이고, 윤탁(尹倬)의 아버지이며, 운성부원군(雲城府院君) 박종우(朴從愚)의 사위로, 곡성 현감(谷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은경(殷卿) - 김여석(金礪石)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데 참여하고, 명(明) 나라의 건주위(建州衛) 정벌 때 참여하여 공을 세움.
1445~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은경(殷卿)@정충려 - 정충려(鄭忠礪)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능성 현령(綾城縣令)을 지낸 정광정(鄭光廷)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의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금천 현감(衿川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은경(殷卿)@이몽필 - 이몽필(李夢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맹원(李孟元)의 아들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87~156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연산 , 인명>관인>문신
-
은경(殷卿)@위척 - 위척(韋陟)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문사(文辭)에 능해 순공(郇公)에 봉해짐. 오채전(五采牋)에 서찰(書札)을 쓸 때, 시첩(侍妾)에게 대신 쓰게 하고 자신은 서명(署名)만 한 데서 오운체(五雲體)가 유래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은경(殷卿)@송상주 - 송상주(宋相周)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신평(新平).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의 5대손.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은계(銀溪) - 장한보(張漢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울진(蔚珍). 1522년(중종 17) 문과에 급제하여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벼슬에 대한 욕심보다 자연과 풍류를 즐겨 일찍이 관직을 사퇴하고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에 힘쓰며 여생을 보냄.
1503~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은계군(銀溪君) - 이말숙(李末叔)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世宗)의 증손이며 길안도정(吉安都正) 이의(李義)의 아들. 1521년(중종 16)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형(兄) 이정숙(李正叔)과 함께 유배됨.
1507~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은계수(銀溪守) - 이말숙(李末叔)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世宗)의 증손이며 길안도정(吉安都正) 이의(李義)의 아들. 1521년(중종 16)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형(兄) 이정숙(李正叔)과 함께 유배됨.
1507~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은고(恩誥) - 나은고(羅恩誥)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금성(錦城). 금성나씨(錦城羅氏)의 시조 나총례(羅聰禮)의 아들. 자의대부(資義大夫)ㆍ공빈승(貢賓丞)을 지내고 금산군(錦山君)에 봉군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은군(隱君) - 이발(李渤)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이균(李鈞)의 아들로, 형인 이섭(李涉)과 함께 백록동(白鹿洞)에 은거하였다가 후에 태자 빈객(太子賓客) 등을 지냄.
773~83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은궤옹(隱几翁) - 성이문(成以文)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황산도 찰방(黃山道察訪)을 지낸 성효관(成效寬)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묘서 부봉사(宗廟署副奉事)로서 왕실의 신주를 받들고 의주(義州)로 피난함.
1546~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은기(殷箕)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은기(隱箕) - 허유(許由)
중국 하(夏) 나라의 은자. 청렴하고 덕이 높아 요(堯) 임금이 천하를 양보하려 하자 거절하고 기산(箕山)에 숨었으며, 또 그를 불러 구주(九州)의 장(長)으로 삼으려 하자 영수(潁水) 물가에 가서 귀를 씻었다고 함.
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은대(銀臺)@승정원 - 승정원(承政院)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 국왕과 밀착되어 중추적인 정치기구의 역할을 하였으며, 승선원(承宣院)ㆍ비서감(秘書監)ㆍ비서원(秘書院)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07년에 폐지됨.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법제>관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