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은대(銀臺) - 이인로(李仁老)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원(慶源).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 등과 교유하고,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등을 지냄. 시문(詩文)뿐만 아니라 초서(草書)ㆍ예서(隸書)에도 능함.
1152~122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은도전(殷道筌) - 은천상(殷天祥)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道士). 환술(幻術)을 이용하여 제철이 아닌 때에 학림사(鶴林寺)의 두견화(杜鵑花)를 피게 하였다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은로(殷老)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은로(銀輅) - 전은로(全銀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산(慶山).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전한(全翰)의 조부로, 군자감 직장(軍資監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은림(殷霖) - 부열(傅說)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명재상. 부암(傅巖)에서 노역을 하다가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룸.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은매(殷梅) - 부열(傅說)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명재상. 부암(傅巖)에서 노역을 하다가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룸.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은문상(殷文祥) - 은천상(殷天祥)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道士). 환술(幻術)을 이용하여 제철이 아닌 때에 학림사(鶴林寺)의 두견화(杜鵑花)를 피게 하였다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은반(殷盤)@반경 - 반경(盤庚)@문헌
유교 경전(儒敎經典)의 하나인 《서경(書經)》의 한 편명(篇名). 은(殷) 나라 임금 반경(盤庚)이 천도(遷都)할 때 신민(臣民)들에게 고유(告諭)한 내용이라 함.
문헌>편명
-
은반(殷盤) - 반경(盤庚)@인명
중국 은(殷) 나라 제17대 왕. 탕(湯) 임금의 9대손이며, 조정(祖丁)의 아들로, 천재(天災)와 인화(人禍)를 피하고자 은(殷)으로 천도하고 국호를 은(殷)으로 고쳤으며, 재위 28년 동안 은 왕조를 부흥시킴. 제19대 왕이라는 설도 있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은병(隱屛) - 대은병산(大隱屛山)
중국 무이산(武夷山)의 만정봉(幔亭峯)에 위치한 산 이름. 주희(朱熹)가 명명한 무이구곡(武夷九曲) 중의 하나로, 조선시대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해주(海州)에 은거하며 이곳에서 이름을 따와 ‘은병정사(隱屛精舍)’를 지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은병정사(隱屛精舍) - 소현서원(紹賢書院)
황해도 해주(海州) 고산면(高山面)에 있는 서원. 조선 선조(宣祖) 때 세워지고 광해군(光海君) 때 사액(賜額)되었으며, 고종(高宗) 때 철폐되었다가 1950년대 이후에 복원됨. 주희(朱熹)ㆍ조광조(趙光祖)ㆍ이이(李珥) 등을 배향함.
157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은보(殷輔) - 윤은보(尹殷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성종실록(成宗實錄)》ㆍ《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ㆍ《대전후속록(大典後續錄)》ㆍ《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68~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은보(殷輔)@이은보 - 이은보(李殷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재령(載寧). 선조(宣祖) 때 의령 현감(宜寧縣監)을 지낸 이함(李涵)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재령 , 인명>문사>유학
-
은봉(隱峯) - 안방준(安邦俊)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죽산(竹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등 국난을 당할 때마다 의병을 일으켜 항쟁함. 관직을 여러 번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보성(寶城) 우산(牛山)에 들어가 후진 양성에 전념함.
1573~165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은부(殷傅) - 부열(傅說)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명재상. 부암(傅巖)에서 노역을 하다가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룸.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은부사(殷父師)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은산(恩山) - 이산(尼山)
충청남도 논산(論山)의 노성(魯城)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중국 노(魯) 나라의 이구산(尼丘山)의 지형과 비슷하다 하여 노성(魯城)이라고도 부름.
충청도>이산 , 지명>자연지명
-
은산(殷山)@박소 - 박소(朴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개성 유수(開城留守)를 지낸 육봉(六峰) 박우(朴祐)와 기묘명현(己卯名賢) 눌재(訥齋) 박상(朴祥)의 조부로 은산 군사(殷山郡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은산(殷山) - 은풍(殷豊)
경상북도 예천(醴泉)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
경상도>예천 , 지명>행정지명
-
은산군(銀山君) - 박영균(朴永均)
고려 후기의 문신. 송은(松隱) 박익(朴翊)의 아버지로, 판도판서(版圖判書)와 재상(宰相)을 지냈으며, 응천군(凝川君)에 봉해졌다가 뒤에 은산부원군(銀山府院君)으로 추봉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은산령(銀山令) - 이철(李徹)
조선 세조(世祖)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다섯째 아들. 진법(陣法)에 밝고, 장기와 바둑을 잘 두었음.
?~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은산백(殷山伯) - 신중전(申仲全)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은풍(殷豊). 왜구(倭寇)를 무찌른 공(功)으로 상호군(上護軍) 은산백(殷山伯)에 봉해졌으며,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무신
-
은산부령(銀山副令) - 이철(李徹)
조선 세조(世祖)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다섯째 아들. 진법(陣法)에 밝고, 장기와 바둑을 잘 두었음.
?~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은산부원군(銀山府院君) - 박영균(朴永均)
고려 후기의 문신. 송은(松隱) 박익(朴翊)의 아버지로, 판도판서(版圖判書)와 재상(宰相)을 지냈으며, 응천군(凝川君)에 봉해졌다가 뒤에 은산부원군(銀山府院君)으로 추봉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은상(殷商) - 은(殷)
중국 고대의 왕조(王朝). 시조는 탕왕(湯王)이며 주왕(紂王)의 폭정으로 주(周) 나라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수도의 이름을 따라 상(商)이라고도 하며, 은허(殷墟)의 발굴로 인해 중국 최초의 역사적 왕조로 인정됨.
B.C.1600~B.C.1046 중국>은 , 중국 , 시간>국명
-
은성(恩省) - 윤국형(尹國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희렴(尹希廉)의 아들. 임진왜란 때 왜적 방어에 실패하여 파직되고, 재기용된 뒤 난리 후의 혼란한 업무들을 처리함.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543~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은성(殷城) - 은율(殷栗)
황해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해안에 위치하여 소금이 많이 생산됨.
황해도>은율 , 지명>행정지명
-
은성(隱城) - 가은성(可隱城)
충청북도 제천(堤川)과 단양(丹陽) 사이에 있는 가은암산(加隱巖山)에 소재한 산성(山城)으로, 고려 말기에 단양ㆍ청풍(淸風)ㆍ제천 사람들이 왜구를 피해 이곳으로 피난하기도 함.
충청도>제천ㅣ충청도>단양 , 유적>시설>성,진,책
-
은성(隱成) - 성운(成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형인 성우(成遇)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화를 당하자 속리산(俗離山)에 은거함. 시문(詩文)에 뛰어나고, 서경덕(徐敬德)ㆍ조식(曺植)ㆍ이지함(李之菡) 등과 교유하며 학문에 정진함.
1497~157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은손(銀孫) - 이은손(李銀孫)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증손으로, 승훈랑(承訓郞) 유공좌(柳公佐)의 둘째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은수(殷受) - 주(紂)
중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 제을(帝乙)의 아들로, 달기(妲己) 등의 미인과 음란 방탕한 생활을 즐기고, 비간(比干) 등의 충신을 내치는 등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인심을 잃어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은수(殷秀) - 탁은수(卓殷秀)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홍례(卓弘禮)의 맏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은수포(銀樹浦) - 부포(釜浦)
경기도 남양(南陽)에 있는 포구. 포구의 입구는 좁으나 안은 넓어 마치 나무 뿌리가 몇 갈래로 나뉜 것과 같은 형상을 하였다 하여 은수포(銀樹浦)라고도 불림. 남양홍씨(南陽洪氏)의 세거지.
경기도>남양 , 지명>자연지명
-
은암(隱庵) - 영관(靈觀)
조선 연산군(燕山君)~선조(宣祖) 때의 승려. 휴정(休靜)ㆍ법융(法融)의 스승으로, 신총(信聰)에게 불경을 배우고 위봉(威鳳)에게 참선을 배웠으며,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통달함.
1485~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인명>종교인>승려
-
은어(銀魚) - 백어(白魚)
뱅어. 몸의 길이는 10cm 정도이고 가늘며, 반투명한 흰색이고 배에는 작은 흰색 점이 있음.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백어(白魚),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에서는 빙어(氷魚)로 표기됨. 죽었을 때 몸 색깔이 하얗게 변한다 하여 한자어로 백어(白魚)라고 하였음.
자연물>동물
-
은열(殷烈) - 강민첨(姜民瞻)
고려 목종(穆宗)~현종(玄宗) 때의 문신. 현종 때 안찰사(按察使)로서 동여진(東女眞)을 격퇴하였으며, 1018년(현종 9) 거란(契丹)의 소배압(蕭排押)이 침략했을 때 강감찬(姜邯贊)의 부장(副將)으로 출전하여 격파하고, 개경(開京)까지 추격하여 크게 무찌름.
?~1021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은열(殷說) - 부열(傅說)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명재상. 부암(傅巖)에서 노역을 하다가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룸.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은옹(隱翁) - 우사인(禹思仁)
조선 전기의 문신.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효행으로 정려(旌閭)를 받음.
1527~?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은왕(殷王)@탕 - 탕(湯)
중국 은(殷) 나라 제1대 왕. 하(夏) 나라의 걸(桀)이 학정을 하자 이윤(伊尹) 등의 도움을 받아 걸을 격파하고 은 나라를 세웠는데, 유교에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 주(紂)를 토벌한 일과 함께 정당한 혁명의 전형(典型)으로 평가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은왕(殷王) - 주(紂)
중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 제을(帝乙)의 아들로, 달기(妲己) 등의 미인과 음란 방탕한 생활을 즐기고, 비간(比干) 등의 충신을 내치는 등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인심을 잃어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은원외(殷員外) - 은유(殷侑)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예학(禮學)에 능통하여 태상박사(太常博士)에 발탁되었으며, 충무군 절도사(忠武軍節度使) 등을 역임함. 한유(韓愈)는 〈송은원외서(送殷員外序)〉에서 대장부의 경중(輕重)을 안다고 평가함.
767~838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은일(恩逸) - 김안국(金安國)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사림파(士林派)의 학통을 계승하고,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
1478~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은전(恩殿) - 사정전(思政殿)
조선시대 정궁(正宮)인 경복궁(景福宮) 안에 있는 편전(便殿). 왕이 공식집무를 보던 편전이면서, 크고 작은 행사가 열렸던 상징적인 중심 건물.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실되었으나 고종(高宗) 때 재건함.
139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건물>궁궐
-
은제(殷制) - 나은제(羅殷制)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학행(學行)으로 장성 현감(長城縣監)에 제수되었는데 임기를 마치고 돌아갈 때 행장(行裝)이 삼마(三馬)에 차지 않아 조정에서 청백리(淸白吏)로 기록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은제(殷帝) - 탕(湯)
중국 은(殷) 나라 제1대 왕. 하(夏) 나라의 걸(桀)이 학정을 하자 이윤(伊尹) 등의 도움을 받아 걸을 격파하고 은 나라를 세웠는데, 유교에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 주(紂)를 토벌한 일과 함께 정당한 혁명의 전형(典型)으로 평가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은종(殷宗) - 고종(高宗)@은
중국 은(殷) 나라의 제23대 왕. 부열(傅說)과 감반(甘盤)을 등용하여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며, 은 나라 최대 번영기를 누림.
B.C.1254~?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은좌(殷佐) - 윤세림(尹世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윤지숭(尹之崇)의 아들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역임하였으며, 대사헌 유운(柳雲)과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희생된 조광조(趙光祖) 등의 억울함을 상소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은주(殷州) - 순천(順川)
평안남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안국사(安國寺)ㆍ자모산성(慈母山城)ㆍ이성(泥城) 등의 사적이 있음.
평안도>순천 , 지명>행정지명
-
은주임씨(恩州林氏) - 은진임씨(恩津林氏)
중국 당(唐) 나라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로 동래(東來)한 임팔급(林八及)을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고려 말 태상박사(太常博士)를 지낸 임성근(林成槿)을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집단>성씨
-
은중경(恩重經) -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부모의 은혜에 대한 고마움을 담고 있는 불교 경전. 낳아준 은혜ㆍ길러준 은혜 등 부모의 은혜를 크게 10가지로 나누어 설명함. 현존 최고 판본은 1381년(고려 우왕 7) 간행된 고려본으로, 이에 관하여 권근(權近)과 정조(正祖)의 글이 있음.
문헌>서명
-
은지(殷之) - 유은지(柳殷之)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세조(世祖)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이 된 유수(柳洙)의 아버지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를 지냄.
1370~144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은지(隱之) - 중현(重顯)
중국 송(宋) 나라 운문종(雲門宗)의 승려. 성도 보안원(成都普安院)의 인선(仁銑)과 지문 광조(智門光祚)에게 사사하였으며, 저서에는 《설두송고(雪竇頌古)》와 《설두칠부집(雪竇七部集)》 등이 있음.
980~1052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은진군(恩津君) - 송대원(宋大原)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중국 당(唐) 나라에서 호부 상서(戶部尙書)를 지낸 송주은(宋柱殷)의 후예로, 판원사(判院事)를 지내고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짐. 은진송씨(恩津宋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은천(銀川) - 배천(白川)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태조(太祖) 때 백주(白州)라 부르고 의종(毅宗) 때 개흥부(開興府)로 승격되었다가 다시 백주로 환원되었으며, 조선 태종(太宗)때 배천군(白川郡)이 되었음.
황해도>배천 , 지명>행정지명
-
은천군(銀川君) - 이찬(李穳)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아들.
?~14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은천부정(銀川副正) - 이철(李徹)
조선 세조(世祖)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다섯째 아들. 진법(陣法)에 밝고, 장기와 바둑을 잘 두었음.
?~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은칠칠(殷七七) - 은천상(殷天祥)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道士). 환술(幻術)을 이용하여 제철이 아닌 때에 학림사(鶴林寺)의 두견화(杜鵑花)를 피게 하였다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은태사(殷太師)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은택(恩澤) - 조은택(趙恩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 문신ㆍ학자로 명망이 높았던 조번(趙蕃)의 아들.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은포(隱圃)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은필(殷弼)@탁은필 - 탁은필(卓殷弼)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홍례(卓弘禮)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은필(殷弼) - 윤은필(尹殷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영의정 윤은보(尹殷輔)의 아우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을 옹호하고,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은하수(銀河水)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은한(銀漢)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은현(殷縣) - 은풍(殷豊)
경상북도 예천(醴泉)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
경상도>예천 , 지명>행정지명
-
은현(殷賢) - 부열(傅說)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명재상. 부암(傅巖)에서 노역을 하다가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룸.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은호(恩湖) - 이함(李涵)
조선 후기의 종친ㆍ서화가. 본관은 전주(全州). 능원대군(陵原大君) 이보(李俌)의 아들로, 가야금과 그림에 능통하였으며, 조속(趙涑)의 화풍을 이어받음. 〈쌍작도(雙鵲圖)〉ㆍ〈해암응립도(海巖鷹立圖)〉ㆍ〈과전초충도(瓜田草蟲圖)〉 등의 작품이 있음.
163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은후(隱侯)@심약 - 심약(沈約)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양(梁) 무제(武帝) 때의 문신ㆍ문인. 상서령(尙書令) 등을 지내고, 박학(博學)하고 시문(詩文)에 능했으며, 저서로 《진서(晉書)》ㆍ《송서(宋書)》ㆍ《사성운보(四聲韻譜)》ㆍ《양무기(梁武紀)》 등이 있음.
441~51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은후(隱侯) - 심극효(沈克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으로, 대관재(大觀齋) 심의(沈義)의 종형(從兄). 청학동(靑鶴洞)에 율정(栗亭)을 짓고 청학노선(靑鶴老仙)이라 자호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은후(隱侯)@심동로 - 심동로(沈東老)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명은 한(漢)으로 삼척심씨(三陟沈氏)의 비조(鼻祖). 중서사인(中書舍人)을 지냈으며, 공민왕이 동로(東老)라는 이름을 하사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은휘(殷輝) - 김은휘(金殷輝)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정지운(鄭之雲)의 문인(門人)이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모집하여 체찰사(體察使) 정철(鄭澈)의 종사관(從事官)으로 종군하였고, 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역임함.
1541~161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은휘당(恩暉堂) - 유득공(柳得恭)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문화(文化)로, 규장각 검서(奎章閣檢書) 등을 지냄. 주체적 역사 의식이 강했으며, 대표적인 저서로 《발해고(渤海考)》 등이 있음.
1749~180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은휴(恩休) - 김정국(金正國)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동생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삭탈관직되었다가 복직됨.
1485~154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은휴노인(恩休老人) - 김정국(金正國)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동생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삭탈관직되었다가 복직됨.
1485~154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은휴자(恩休子) - 김정국(金正國)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동생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삭탈관직되었다가 복직됨.
1485~154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은휴탑하(恩休榻下) - 김정국(金正國)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동생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삭탈관직되었다가 복직됨.
1485~154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을귀(乙貴) - 정을귀(鄭乙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하성부원군(河城府院君) 정흥인(鄭興仁)의 아버지로, 종부시 영(宗簿寺令)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을묘왜란(乙卯倭亂) - 을묘왜변(乙卯倭變)
조선 명종(明宗) 때 왜구(倭寇)가 전라남도 영암(靈岩)ㆍ강진(康津)ㆍ진도(珍島) 일대에 침입한 사건. 비변사(備邊司)가 상설기관으로서 위치를 굳히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됨.
155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도ㅣ전라도>영암ㅣ전라도>강진 , 사건>전쟁
-
을번(乙蕃) - 남을번(南乙蕃)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고려 때 밀직부사(密直府使)를 지냈고, 조선 건국 후 검교시중(檢校侍中)이 됨.
1320~139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을사난(乙巳難) - 을사사화(乙巳士禍)
조선 명종(明宗) 즉위년(1545)에 소윤(小尹)이 대윤(大尹)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사림(士林)이 화를 당한 사건. 외척(外戚)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을사란(乙巳亂) - 을사사화(乙巳士禍)
조선 명종(明宗) 즉위년(1545)에 소윤(小尹)이 대윤(大尹)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사림(士林)이 화를 당한 사건. 외척(外戚)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을사변란(乙巳變亂) - 을사사화(乙巳士禍)
조선 명종(明宗) 즉위년(1545)에 소윤(小尹)이 대윤(大尹)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사림(士林)이 화를 당한 사건. 외척(外戚)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을사옥(乙巳獄) - 을사사화(乙巳士禍)
조선 명종(明宗) 즉위년(1545)에 소윤(小尹)이 대윤(大尹)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사림(士林)이 화를 당한 사건. 외척(外戚)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을사옥사(乙巳獄事) - 을사사화(乙巳士禍)
조선 명종(明宗) 즉위년(1545)에 소윤(小尹)이 대윤(大尹)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사림(士林)이 화를 당한 사건. 외척(外戚)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을사정난기(乙巳定難記) - 속무정보감(續武定寶鑑)
조선 성종(成宗) 때부터 명종(明宗) 초기까지의 전란과 분쟁을 진압한 전말을 기록한 책. 8권 4책. 목활자본. 1548년(명종 3) 왕명으로 홍언필(洪彦弼)ㆍ윤인경(尹仁鏡)ㆍ정순붕(鄭順朋) 등이 편찬함.
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을사지난(乙巳之難) - 을사사화(乙巳士禍)
조선 명종(明宗) 즉위년(1545)에 소윤(小尹)이 대윤(大尹)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사림(士林)이 화를 당한 사건. 외척(外戚)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을사지란(乙巳之亂) - 을사사화(乙巳士禍)
조선 명종(明宗) 즉위년(1545)에 소윤(小尹)이 대윤(大尹)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사림(士林)이 화를 당한 사건. 외척(外戚)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을사지변(乙巳之變) - 을사사화(乙巳士禍)
조선 명종(明宗) 즉위년(1545)에 소윤(小尹)이 대윤(大尹)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사림(士林)이 화를 당한 사건. 외척(外戚)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을사지옥(乙巳之獄) - 을사사화(乙巳士禍)
조선 명종(明宗) 즉위년(1545)에 소윤(小尹)이 대윤(大尹)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사림(士林)이 화를 당한 사건. 외척(外戚)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을사지화(乙巳之禍) - 을사사화(乙巳士禍)
조선 명종(明宗) 즉위년(1545)에 소윤(小尹)이 대윤(大尹)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사림(士林)이 화를 당한 사건. 외척(外戚)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을사화(乙巳禍) - 을사사화(乙巳士禍)
조선 명종(明宗) 즉위년(1545)에 소윤(小尹)이 대윤(大尹)을 몰아내는 과정에서 사림(士林)이 화를 당한 사건. 외척(外戚)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함.
1545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을지(乙沚) - 하을지(河乙沚)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개경(開京)을 수복하여 일등공신(一等功臣)이 되었으나, 이후 여러 차례 왜구(倭寇)를 제대로 방어하지 못하여 문책을 당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을진(乙珍) - 남을진(南乙珍)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선의 태조(太祖)가 사천백(沙川伯)을 봉했으나 적성(積城)의 감악산(紺嶽山) 석굴에 들어가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적성ㅣ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을진(乙珍)@이을진 - 이을진(李乙珍)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장수(長水). 여러 차례 왜구를 격퇴하는 공을 세웠고, 최영(崔瑩) 등과 함께 요동정벌에 참가하였으며, 우왕의 복위를 꾀하던 김저(金佇)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무신
-
을충(乙忠) - 표을충(表乙忠)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 표광원(表光遠)의 아들로, 군기시 소윤(軍器寺少尹) 등을 지냄. 조선 개국 후 세 차례 부름을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상주(尙州)의 백화산(白華山)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음(愔) - 왕음(王愔)
고려 제11대 문종(文宗)의 아들. 어머니는 인예태후(仁睿太后) 이씨(李氏)이며, 순종(順宗)ㆍ선종(宣宗)ㆍ숙종(肅宗)ㆍ대각국사(大覺國師)의 동생.
?~108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음^하(陰^何) - 하^음(何^陰)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인 하손(何遜)과 음갱(陰鏗)을 함께 부르는 말.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음군(陰君) - 음장생(陰長生)
중국 후한(後漢) 때의 도사. 화제음황후(和帝陰皇后)의 증조. 마명생(馬明生)의 제자로, 그에게 《태청신단경(太淸神丹經)》을 전수받고, 청성산(靑城山)에서 수도하여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음백(飮伯) - 국미록(麴美祿)
술의 다른 이름. 조선 전기의 문인 최연(崔演)이 지은 가전(假傳) 〈국수재전(麴秀才傳)〉의 주인공. 국매(麴酶)와 곡숙현 미씨(穀熟縣米氏) 사이에 태어나 임금의 총애를 얻어 황봉(黃封)의 호를 받았으나, 신하들의 무함(誣陷)으로 주천후(酒泉侯)에 봉해져 은둔함.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음백(飮伯)@국생 - 국생(麴生)
술의 의인화된 명칭. 누룩[麴]을 원료로 하여 만드는 술에 학생ㆍ학자를 뜻하는 생(生) 자를 붙여 입전(立傳)한 데서 유래한 명칭.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