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음봉(陰峯) - 아산(牙山)
충청도 서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초기에는 인주(仁州)ㆍ아주(牙州)라 불렀으며, 이순신(李舜臣)의 영정(影幀)을 모신 현충사(顯忠祠)가 있음.
충청도>아산 , 지명>행정지명
-
음시부(陰時夫) - 음유우(陰幼遇)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가 멸망하자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매진하여 《운부군옥(韻府群玉)》등의 저서를 남김.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음애(陰崖)@이자 - 이자(李耔)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사림파(士林派)의 한 사람으로 도학정치의 이상을 추구했으며, 온건하고 원만한 성품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의 참화를 면함. 파직된 후 음성(陰城) 등지에 은거하여 학문에 힘씀.
1480~15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충청도>음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음애(陰崖) - 이은(李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기(李克基)의 아들로, 학식과 지조가 있어 별과(別科)에 추천되었으며, 고원 군수(高原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음애선생집(陰崖先生集) - 음애집(陰崖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자(李耔)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후손 이도흥(李道興)과 이이장(李彝章)이 수집ㆍ편찬하여 1754년(영조 30)에 간행함. 김재로(金在魯)의 서문과 권만(權萬)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5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음여화(陰麗華) - 광렬음황후(光烈陰皇后)
중국 후한(後漢) 제1대 황제인 광무제(光武帝)의 황후. 41년에 황후로 봉해지고, 아들로 명제(明帝)가 된 유장(劉莊), 동평왕(東平王) 유창(劉蒼), 광릉왕(廣陵王) 유형(劉荊), 임준공(臨淮公) 유형(劉衡), 낭야왕(琅邪王) 유경(劉京)이 있음.
4~6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음잠(陰岑) - 아산(牙山)
충청도 서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초기에는 인주(仁州)ㆍ아주(牙州)라 불렀으며, 이순신(李舜臣)의 영정(影幀)을 모신 현충사(顯忠祠)가 있음.
충청도>아산 , 지명>행정지명
-
음주(陰州) - 음죽(陰竹)
경기도 동남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기도 내륙지방의 교통요지로서 도로가 발달하였고, 천민천(天民川) 유역은 기름진 평야로 쌀이 많이 생산됨. 현재는 경기도 이천시(利川市)에 편입됨.
경기도>음죽 , 지명>행정지명
-
음죽야(陰竹埜) - 음유우(陰幼遇)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가 멸망하자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매진하여 《운부군옥(韻府群玉)》등의 저서를 남김.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음중선(飮中仙) - 노삼(魯參)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판관(判官)을 역임했고 《홍무정운(洪武正韻)》을 수정하는데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음황후(陰皇后) - 화제음황후(和帝陰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제4대 황제인 화제(和帝)의 비(妃). 음장생(陰長生)의 증손으로, 학문을 즐겨 숭상했다고 함.
?~10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음후(陰后) - 광렬음황후(光烈陰皇后)
중국 후한(後漢) 제1대 황제인 광무제(光武帝)의 황후. 41년에 황후로 봉해지고, 아들로 명제(明帝)가 된 유장(劉莊), 동평왕(東平王) 유창(劉蒼), 광릉왕(廣陵王) 유형(劉荊), 임준공(臨淮公) 유형(劉衡), 낭야왕(琅邪王) 유경(劉京)이 있음.
4~64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읍각로(泣閣老)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읍령(泣嶺) - 서읍령(西泣嶺)
경상도 영해(寧海)의 동쪽 40리 지점에 있는 고개 이름. 고을의 입구였으나 사신의 행차가 처음으로 고개를 넘을 때 흉사가 일어난다는 속설이 있자, 경상 감사(慶尙監事) 손순효(孫舜孝)가 그 괴이함을 깨뜨리고자 파괴현(破怪峴)이라고 고침.
경상도>영해 , 지명>자연지명
-
읍루(挹婁) - 말갈(靺鞨)
한반도 동북부 및 만주(滿洲) 일대에 거주하던 종족, 또는 그 부족들의 총칭(總稱). 시대에 따라 각기 읍루(挹婁)ㆍ물길(勿吉)ㆍ말갈(靺鞨) 등으로 불렸으며, 여진(女眞)의 전신(前身).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집단>종족
-
읍청(挹淸)@박사종 - 박사종(朴嗣宗)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영동(永同)의 초강서원(草江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읍청(挹淸) - 김부의(金富儀)@조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25~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읍청당(挹淸堂) - 박사종(朴嗣宗)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영동(永同)의 초강서원(草江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읍청정(挹淸亭)@김부의 - 김부의(金富儀)@조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25~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읍청주인(挹淸主人) - 김부의(金富儀)@조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25~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읍취(挹翠) - 박은(朴誾)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문(詩文)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강서파(江西派)로 일컬어짐.
147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읍취집(挹翠集) - 읍취헌유고(挹翠軒遺稿)
조선 연산군 때의 시인ㆍ학자인 박은(朴誾)의 시문집(詩文集). 1514년(중종 9)에 친구인 이행(李荇)이 유고(遺稿)를 수집하여 초간(初刊)함.
1514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읍취헌(挹翠軒) - 박은(朴誾)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문(詩文)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강서파(江西派)로 일컬어짐.
147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읍취헌집(挹翠軒集) - 읍취헌유고(挹翠軒遺稿)
조선 연산군 때의 시인ㆍ학자인 박은(朴誾)의 시문집(詩文集). 1514년(중종 9)에 친구인 이행(李荇)이 유고(遺稿)를 수집하여 초간(初刊)함.
1514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읍학헌(挹鶴軒) - 박성범(朴成範)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에게 청운(靑雲)이란 소자(小字)를 받았으며, 수직(壽職)으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냄.
1568~165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응(凝)@최응 - 최응(崔凝)
고려 전기의 문신. 개성최씨(開城崔氏)의 시조인 최우달(崔佑達)의 아들로,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워 내봉경(內奉卿)에 오르고, 태자태부(太子太傅)로 추증됨.
898~93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응(凝) - 이응(李凝)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1566년(명종 21)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냄.
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응(應)@강응 - 강응(姜應)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진주(晉州)로, 우승지(承政院右承旨)를 지낸 강삼(姜參)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응(應) - 허응(許應)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고려 말에 이성계(李成桂)의 신진세력에 가담하여 시폐(時弊) 혁신과 전제(田制) 개혁을 주장하고, 조선 개국 후 배불정책(排佛政策)과 과부의 개가(改嫁) 금지 등을 주장함.
?~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응(應)@홍응 - 홍응(洪應)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심(洪深)의 아들.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리고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 등을 지냄. 문장과 글씨에 능했음.
1428~14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응(膺)@후한 - 이응(李膺)@후한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문신. 당고지화(黨錮之禍) 때 두무(竇武)와 함께 환관(宦官)을 숙청하려다가 환관 조절(曹節)에게 피살됨. 공융(孔融)의 집안과 친하게 지냈으며, 청렴하여 당시 청년 관리들이 그를 알게 되는 것을 등용문(登龍門)이라 부름.
110~16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응(膺)@조선 - 이응(李膺)@조선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에 기여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태종(太宗)의 척불정책(斥佛政策)을 크게 돕고, 계미자(癸未字) 주조에도 공헌함.
1365~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응(膺) - 심응(沈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좌의정(左議政) 심정(沈貞)의 아버지로 풍산군(豊山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응^태(膺^泰) - 이^곽(李^郭)
중국 후한(後漢)의 대신인 이응(李膺)과 학자인 곽태(郭泰)를 함께 부르는 말. 인품이 고결한 명사(名士)를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응개(應凱) - 신응개(申應凱)
조선 전기의 문신. 약포(藥圃) 정탁(鄭琢)과 교유하였으며,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응개(應漑) - 송응개(宋應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좌참찬(左參贊) 송기수(宋麒壽)의 아들. 선조 때 동서분당(東西分黨) 이후 동인(東人)의 중진으로 활약하면서 허봉(許篈) 등과 함께 이이(李珥)를 탄핵하다 회령(會寧)에 유배됨.
1536~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거(應擧) - 양사준(楊士俊)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양희수(楊希洙)의 아들로, 형 양사언(楊士彦), 동생 양사기(楊士奇)와 더불어 문명(文名)을 날려 당시에 중국의 소순(蘇洵)ㆍ소식(蘇軾)ㆍ소철(蘇轍)에 비유되었으며, 정랑(正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견(應見) - 유운룡(柳雲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형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풍기 군수(豊基郡守)로 부임하여 백성들의 생업을 보호하는 데 힘썼으며, 효성이 지극함.
1539~160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응경(應卿)@조응경 - 조응경(趙應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조수만(趙壽萬)의 아들로,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조부인 조금호(趙金虎) 슬하에서 자라면서 지극한 효행으로 이름을 떨침.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487~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응경(應卿)@정몽열 - 정몽열(丁夢說)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유학 정윤호(丁潤瑚)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응경(應卿) - 김서성(金瑞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1544년 중종 비가 죽자 사재감 정(司宰監正)이 되어 일을 처리함.
1497~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응경(應卿)@성몽정 - 성몽정(成夢井)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담년(成聃年)의 아들로,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사류와 교유함.
1471~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응경(應慶)@김응경 - 김응경(金應慶)
조선 후기의 유학. 정인홍(鄭仁弘)ㆍ윤감(尹堪)ㆍ정이길(鄭以吉) 등과 교유함. 《내암집(來庵集)》의 〈윤감전(尹堪傳)〉에 그와 관련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응경(應慶)@송응경 - 송응경(宋應慶)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 송인수(宋麟壽)의 아들이며, 단양수(丹城守) 이진(李鎭)과 지퇴당(知退堂) 이정형(李廷馨)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유학
-
응경(應慶)@이응경 - 이응경(李應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복흥(李復興)의 아들로, 봉산 군수(鳳山郡守)로 있을 때 명(明) 나라의 사신을 접대하는 직무를 수행함.
1513~15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경(應慶) - 유승선(柳承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강음 현감(江陰縣監)을 지낸 유정(柳貞)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계(凝溪) - 곽한(郭瀚)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현풍(玄風).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금계(錦溪) 황준량(黃俊良)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응공(應供)@아라한 - 아라한(阿羅漢)
불교에서 열반(涅槃) 또는 깨달음에 이른 성자(聖者)를 가리키는 말. 원래는 석가(釋迦)의 가까운 제자 16명을 지칭하였으나 뒤에는 500명까지 늘어났으며, 후대에는 개인적인 깨달음에 만족한 소승(小乘)의 수행자들을 가리키기도 함.
사상>술어>핵심어
-
응공(應供)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응공(應恭) - 조응공(趙應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선조(宣祖) 때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조원(趙瑗)의 생부로,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임천 , 인명>관인>문신
-
응관(應寬) - 조응관(趙應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임천(林川). 선조(宣祖) 때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조원(趙瑗)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임천 , 인명>문사>유학
-
응구(應榘) - 신응구(申應榘)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동지중추부사 신벌(申橃)의 아들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함. 인조반정 후 승정원 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 등을 지냄.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남포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구(應求) - 진준경(陳俊卿)
중국 송(宋)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재상. 진복(陳宓)의 아버지. 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 등을 거쳐 소사(少師)ㆍ위국공(魏國公)으로 치사함. 치란(治亂)과 안위(安危)에 관해 직언을 잘함.
1113~118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응구(應龜) - 여응구(呂應龜)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성산(星山). 주세붕(周世鵬)의 문인. 성균관 유생 시절 보우(普雨)와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불교진흥책을 강력히 비판하였으며, 학유(學諭)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고 향리에서 후학을 양성함.
1523~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문사>학자
-
응국(應國) - 안응국(安應國)
조선 전기의 양인. 이산해(李山海)가 유배된 평해(平海)의 황보리(黃保里)에 살던 사람으로, 이산해의 《아계유고(鵝溪遺稾)》에, 그의 전기(傳記)인 〈안주부전(安主簿傳)〉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기타인명>양인
-
응귀(應龜) - 김응귀(金應龜)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공조 정랑 (工曹正郞) 김광우(金光佑)의 아들. 1579년(선조 1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박사(成均館博士) 등을 지내고, 유덕종(柳德種)과 교유함.
15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응규(應圭) - 유응규(庾應圭)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음보(蔭補)로 내시가 되었으나 무신의 난 이후 세운 여러 공으로 관직이 공부 시랑(工部侍郞)에 이름.
1131~117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응규(應奎)@안응규 - 안응규(安應奎)
조선 전기의 유학. 향교(鄕校)의 훈도(訓導)를 역임하였으며,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응규(應奎)@장응규 - 장응규(張應奎)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지례(知禮)로,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장지효(張至孝)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문사>유학
-
응규(應奎) - 윤응규(尹應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상주 목사(尙州牧師) 윤탕(尹宕)의 아들이자 죽재(竹齋) 윤인함(尹仁涵)의 아버지로,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응규(應奎)@김응규 - 김응규(金應奎)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성종의 신임을 받은 김응기(金應箕)의 아우로, 평안도 향공(鄕貢)으로 삼과(三科)에서 장원하였으나 진사 회시(進士會試)의 과장(科場)에서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응규(應奎)@황응규 - 황응규(黃應奎)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황사우(黃士祐)의 아들이며, 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인. 호조(戶曹)ㆍ형조(刑曹)ㆍ공조(工曹)의 정랑(正郞)과 좌랑(左郞) 등을 지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양곡을 군량으로 바치고 의병을 모아 출전함.
1518~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응기(應期)@송응기 - 송응기(宋應期)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귀수(宋龜壽)의 아들이며, 병조 좌랑(兵曹佐郞) 송방조(宋邦祚)와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 송갑조(宋甲祚)의 아버지로, 의빈부 도사(儀賓府都事)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응기(應期)@이명생 - 이명생(李命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과 교유하였으며, 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응기(應期) - 이정(李挺)@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중대광(重大匡) 이계함(李季瑊)의 아들로, 성균관 좨주(成均館祭酒)ㆍ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냈고, 공민왕의 총애를 받아 내불당(內佛堂)을 감역함.
1297~136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응기(應祺)@장응기 - 장응기(張應祺)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울진(蔚珍). 임진왜란 때 초토사(招討使) 이정암(李廷馣)의 휘하에서 활약하고, 정유재란 때는 방어사 곽재우(郭再祐) 휘하에 참여함.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연안(延安) 현충사(顯忠祠)에 배향됨.
1556~163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응기(應祺) - 민응기(閔應祺)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광해군(光海君)의 사부(師傅)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응기(應箕) - 김응기(金應箕)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종의 신임이 두터워 10여 년 동안 강연(講筵)을 맡음.
1457~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응기(應箕)@양응기 - 양응기(梁應箕)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장자(長子)로, 병절교위(秉節校尉)를 지냈음.
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응기(應麒) - 서응기(徐應麒)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당성(唐城).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의 아들로, 장례원 사의(掌隸院司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응길(應吉) - 홍인우(洪仁祐)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덕연(洪德演)의 맏아들.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심경(心經)》ㆍ《근사록(近思錄)》ㆍ《중용(中庸)》ㆍ《대학(大學)》에 전심하고,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음.
1515~155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응길(應吉)@이유경 - 이유경(李有慶)@이수원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 이수원(李守元)의 아들.
1497~155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응길(應吉)@이몽룡 - 이몽룡(李夢龍)
조선 전기의 유학. 송인(宋寅)과 교유하였으며, 송인이 그의 상심정(賞心亭)이란 정자를 두고 지은 시가 《이암유고(頤庵遺稿)》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응길(應吉)@유희경 - 유희경(劉希慶)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시인. 본관은 강화(江華). 천인 신분이지만 남언경(南彦經)에게 《가례(家禮)》를 배우고 특히 상례(喪禮)에 통달하였으며, 백대붕(白大鵬)과 함께 ‘풍월향도(風月香徒)’라는 모임을 만들어 주도함.
1545~163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문사>문인
-
응남(應南) - 김응남(金應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김형(金珩)의 아들. 임진왜란 때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냈으며, 이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면서 정국 안정에 힘씀.
1546~159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응남(應男) - 박응남(朴應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유조인(柳祖訒)ㆍ성제원(成悌元)ㆍ이중호(李仲虎)에게 수학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함. 직간(直諫)으로 이름이 높았음.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응남루(凝南樓) - 영남루(嶺南樓)
경상도 밀양(密陽) 내일동(內一洞)에 있는 누각.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김주(金湊)가 세웠으며,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조선 현종(顯宗) 때 복원됨.
136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유적>건물>누정
-
응덕(應德) - 양응덕(梁應德)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152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응도(應圖) - 홍여하(洪汝河)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로, 홍호(洪鎬)의 아들. 이후원(李厚源)을 논박한 상소로 인해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고향에서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남인(南人) 집권 후에 사간(司諫) 등을 지냄. 특히 주자학(朱子學)에 밝았음.
1621~167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응도(應度) - 권응도(權應度)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정유일(鄭惟一)의 문집을 간행하려고 했지만 병으로 일을 진행하지 못하였고, 관직은 순릉 참봉(順陵參奉)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응두(應斗) - 김응두(金應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고부 군수(古阜郡守)를 역임하면서 민폐를 제거하고 봉공(奉公)에 힘써 포상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응두(應斗)@남응두 - 남응두(南應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남진(南軫)의 아들이며, 영동 현감(永同縣監) 남응정(南應井)의 형.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응두(應斗)@장응두 - 장응두(張應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지례(知禮)로,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장지효(張至孝)의 아들. 조욱(趙昱)ㆍ송순(宋純) 등과 교유하였으며 기묘명류(己卯名流)에 속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문사>유학
-
응두(應斗)@정응두 - 정응두(丁應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낸 정옥형(丁玉亨)의 아들로, 좌찬성(左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508~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려(應呂) - 금응려(琴應呂)
조선 전기의 문신.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시를 수창하며 지냈으며, 습독관(習讀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응렬(應烈) - 이응렬(李應烈)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무신정권기의 권신 임유무(林惟茂)의 장인으로, 사공(司空) 등을 지냄. 원종의 밀명(密命)을 받은 송송례(宋松禮)에 의해 임유무가 제거되자 연좌되어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응룡(應龍) - 김정룡(金廷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서계(西溪) 김담수(金聃壽)의 아들이며,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풍기 군수(豊基郡守)ㆍ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냈음.
1561~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ㅣ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응룡(應龍)@유응룡 - 유응룡(柳應龍)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영의정을 지낸 유순(柳洵)의 장남. 이조 참판(吏曹參判)ㆍ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응룡(應龍)@남응룡 - 남응룡(南應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1535년(중종 30) 문과에 급제하여 호당(湖堂)에 뽑혔고, 벼슬은 직제학(直提學)과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역임함.
1514~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응룡(應龍)@최응룡 - 최응룡(崔應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최이한(崔以漢)의 아들로, 박영(朴英)ㆍ이황(李滉)에게 수학하고,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514~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응리원실종(應理圓實宗) - 법상종(法相宗)
중국 당(唐) 나라의 현장(玄奬)ㆍ규기(窺基)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唯識思想) 계통의 불교종파. 존재의 공성(空性)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太賢)을 초조로 삼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응린(應麟) - 김지연(金之衍)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응교(應敎)를 지낸 김유(金逌)의 아들로,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역임하였으며 협찬공신(協贊功臣)에 책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응린(應麟)@김응린 - 김응린(金應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1519년(중종 14) 문과 별시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응림(應臨) - 하응림(河應臨)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진주(晉州).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내고, 문장이 뛰어나 송익필(宋翼弼)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렸으며, 서(書)ㆍ화(畫)에도 능했음.
1536~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응림(應霖) - 김주(金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선계변무사(璿系辨誣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사명을 완수했으나 그곳에서 병들어 죽음. 문장이 뛰어나고 초서를 잘 씀.
1512~15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립(凝立) - 김지대(金之岱)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청도김씨(淸道金氏)의 시조. 고종(高宗) 4년에 거란군이 침입하자 아버지를 대신해 출전함.
1190~126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응립(應立) - 박응립(朴應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명종(明宗) 때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낸 박세무(朴世茂)의 아들이며, 인조(仁祖) 때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박지계(朴智誡)의 아버지로, 수안 군수(遂安郡守)를 지냄.
1517~15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명(應明)@민천부 - 민천부(閔天符)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재문(閔在汶)의 아버지로,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형조 좌랑(刑曹佐郞) 등을 지냄.
1531~156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응명(應明) - 이몽량(李夢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명종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대사간(大司諫)으로서 학문에 의거한 도학(道學) 정치를 제창하였으며, 우참찬(右參贊) 등을 역임함.
1499~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응무(應武) - 김응무(金應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목사(牧使)를 지낸 김사원(金士元)의 아들. 좌의정을 지낸 아들 김귀영(金貴榮)으로 인하여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