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응문(應文) - 유몽인(柳夢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 유탱(柳樘)의 아들. 한때 성혼(成渾)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를 담당하는 등 공을 세웠으나, 인조 때 무고로 인해 반역죄로 처형됨. 저서로 《어우야담(於于野談)》 등이 있음.
1559~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응물(應物) - 이인(李認)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증수(李增壽)의 아들로, 1517년(중종 12)에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함.
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관인>문신
-
응물(應物)@위응물 - 위응물(韋應物)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젊었을 때 의협심이 강하여 현종(玄宗)의 근위사관으로서 분방한 생활을 하였으나, 안녹산(安祿山)의 난 이후 학문에 정진하여 관계에 진출한 뒤 좌사 낭중(左司郞中)ㆍ소주 자사(蘇州刺史) 등을 지냄.
737~80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응병(應炳) - 유몽표(柳夢彪)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를 지낸 유탱(柳樘)의 아들로, 사섬시 부정(司贍寺副正) 등을 지냈으며, 제자백가(諸子百家)ㆍ천문(天文)ㆍ복서(卜筮) 등을 두루 섭렵함.
1543~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응복(應福)@박응복 - 박응복(朴應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사간(司諫)을 지낸 박소(朴紹)의 아들로, 유조순(柳祖詢)ㆍ성제원(成悌元)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였고, 정유재란 때 왕비를 수안(遂安)까지 호송함
1530~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복(應福) - 이응복(李應福)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양성군(陽城君) 이륜(李倫)의 아들로, 신흠(申欽)의 누이와 혼인함.
1560~161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응복(應福)@김응복 - 김응복(金應福)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광주(光州).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진강(金振綱)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응봉사(應奉司) -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
고려시대~조선 초기에 외교문서를 담당하던 기관. 고려시대 임시기구인 문서감진색(文書監進色)을 고친 이름이며, 조선 태종(太宗) 때 기구가 확장되고, 1410년(태종 10)에 승문원(承文院)으로 관제가 개편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응부(應孚) - 유응부(兪應孚)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기계(杞溪). 단종(端宗)을 위하여 사절(死節)한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 무신이면서도 유학에 뜻이 깊고, 절개(節介)ㆍ충의(忠義)의 상징으로 추앙받음.
?~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무신
-
응빈(應賓) - 금응빈(琴應賓)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봉화(奉化). 청송 부사(靑松府使)를 지낸 금의(琴椅)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유학
-
응빙(應聘) - 양사언(楊士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청주(淸州). 회양(淮陽)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연을 즐기고, 시(詩)ㆍ서(書)에 능하여, 안평대군(安平大君)ㆍ김구(金絿)ㆍ한호(韓濩)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四大) 서예가로 불림.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응빙(應聘)@이사언 - 이사언(李士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청백리(淸白吏) 이우직(李友直)의 아버지로, 순릉 참봉(順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사인(應嗣寅) - 응휘겸(應撝謙)
중국 청(淸) 나라 성조(聖祖) 때의 학자. 1679년(성조 18)에 조정의 부름을 받았지만 출사하지 않았고, 성리학(性理學)에 대해 깊이 연구하여 《성리대중(性理大中)》ㆍ《대청일통지(大淸一統志)》 등을 저술함.
1615~1683 중국>청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응삼(應三) - 김태정(金台鼎)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 상호군(上護軍) 김자휘(金自輝)의 아들. 1450년(세종 32)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평생 학문과 후학 양성에 힘씀.
1426~14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응상(應商) - 윤응상(尹應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윤시우(尹時雨)의 아들이며, 윤안국(尹安國)의 아버지로, 학행(學行)으로 벼슬하여 수운판관(水運判官) 등을 지냄.
1547~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상(應商)@김응상 - 김응상(金應商)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무주 현감(茂朱縣監)을 지낸 김춘(金春)의 아버지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응상(應祥)@채응상 - 채응상(蔡應祥)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인천(仁川). 채인손(蔡仁孫)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김준(金濬)ㆍ박승임(朴承任)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응상(應祥)@이응상 - 이응상(李應祥)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릉수(坡陵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응상(應祥) - 유세귀(柳世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을 지내고, 1527년(중종 22) 상진(尙震)ㆍ송순(宋純) 등 24인과 계축갑계(癸丑甲契)를 만듦.
149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생(應生) - 김응생(金應生)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황(李滉)의 문인. 자양산(紫陽山) 아래 서숙(書塾)을 짓고 후배의 교육에 전력하였고,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를 배향한 임고서원(臨皐書院)의 건립을 주도함.
1496~15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응서(應恕) - 조충수(趙忠秀)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양주(楊州). 한산군(漢山君) 조진(趙振)의 아버지로, 영의정(領議政)과 한양부원군(漢陽府院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응서(應瑞)@민응서 - 민응서(閔應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송인수(宋麟壽)와 함게 동경계(同庚契)를 만들어 교유했고, 평안도 병마절도사ㆍ제주 목사(濟州牧使)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99~?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응서(應瑞)@송응서 - 송응서(宋應瑞)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승사랑(承仕郞) 송세영(宋世英)의 아들이며, 신녕 현감(新寧縣監) 송이창(宋爾昌)의 아버지. 성제원(成悌元)의 문인으로, 중추부 경력(中樞府經歷) 등을 지냄.
1530~16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응서(應瑞)@강응서 - 강응서(姜應瑞)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강희(姜僖)의 아들로, 과의교위(果毅校尉)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응서(應瑞) - 유몽학(柳夢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학덕을 겸비한 인재로 천거되어 장령(掌令)ㆍ집의(執義)ㆍ양양 부사(襄陽府使) 등을 지냄.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문인으로, 시방(市坊)의 폐단을 개혁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응서(應瑞)@이영부 - 이영부(李英符)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반(李攀)의 아들로, 세자시강원 문학(世子侍講院文學) 등을 지냈으나, 지평(持平)으로 있을 때 현량과(賢良科)의 폐지를 반대하다가 탄핵을 받아 파직됨.
1487~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석(應石) - 금응석(琴應石)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이황(李滉)의 문인이며, 이해(李瀣)의 아들 이교(李㝯)의 장인. 주부(主簿)를 지냈으며, 기근 때 빈민을 구휼하고 종자(種子)를 나눠 주는 등 선행을 베풀었다 함.
1508~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응선(應善)@김안경 - 김안경(金安慶)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응선(應善)@김경원 - 김경원(金慶元)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좌의정 김명원(金命元)의 형으로, 1553년(명종 8) 문과 별시(文科別試)에서 장원하여, 조부 김천령(金千齡), 아버지 김만균(金萬均)에 이어 3대가 장원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호서 절도사(湖西節度使) 등을 지냄.
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응선(應善) - 홍인경(洪仁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덕윤(洪德潤)의 아들로, 1553년(명종 8) 친시(親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냄.
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선(應旋) - 장응선(張應旋)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으로,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에 등과하여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만사(挽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관인>문신
-
응성(應星)@권응성 - 권응성(權應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훈도(訓導) 권윤(權綸)의 아들. 1558년(명종 1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권호문(權好文)ㆍ반홍(潘洪)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153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응성(應星) - 고응성(高應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봉화 훈도(奉化訓導)를 지낸 고익겸(高益謙)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응성(應聖) - 공상린(孔祥麟)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1528년(중종 23)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과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냄.
?~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응성(應誠) - 이응성(李應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공달(李公達)의 아들이며 이제신(李濟臣)의 백부(伯父)로, 찰방(察訪)을 지냄.
1497~153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응세(應世)@안응세 - 안응세(安應世)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단양군수(丹陽郡守)를 지낸 안중담(安仲聃)의 아들. 남효온(南孝溫)ㆍ김시습(金時習) 등과 교유하고 악부(樂府)에 뛰어났으나, 26세의 나이에 요절함.
1455~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유학
-
응세(應世) - 조응세(趙應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 평양부 서윤(平壤府庶尹)을 지낸 조준(趙俊)의 아들로, 1534년(중종 2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소(應韶) - 민덕봉(閔德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낸 민우필(閔友弼)의 아들. 1573년(선조 6) 명(明) 나라 사신을 영접하기 위하여 나갔다가 객사(客舍)에서 죽음.
1514~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응수(應守) - 응수(應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노비. 홍성민(洪聖民) 집안의 노비로, 《졸옹집(拙翁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기타인명>노비
-
응수(應綏) - 김안복(金安福)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경(金安慶)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응수(應銖) - 권응수(權應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덕신(權德臣)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대장으로 활동하면서 각지에서 큰 전공을 세워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도총부 도총관(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46~16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신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응순(應純) - 신응순(辛應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월(寧越).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의병을 모집하는 역할을 맡기도 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후진양성에 힘썼으며, 《예설(禮說)》 2권을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학자
-
응순(應順)@박응순 - 박응순(朴應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선조의 비(妃)인 의인왕후(懿仁王后)의 아버지로, 자경(子敬) 성제원(成悌元)의 문인.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ㆍ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26~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응순(應順) - 김명원(金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황(李滉)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수습한 공으로 경림군(慶林君)에 봉해졌으며, 임진왜란 이후에 이조 판서ㆍ좌의정을 지냈음.
1534~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응순(應順)@이응순 - 이응순(李應順)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흥수(坡興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응순(應順)@민복 - 민복(閔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여평부원군(驪平府院君) 민효증(閔孝曾)의 손자로,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한 뒤 풍저창 수(豊儲倉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시(應時) - 권응시(權應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공조 좌랑(工曹佐郞)ㆍ호조 좌랑(戶曹佐郞)을 거쳐, 군위 현감(軍威縣監)ㆍ양구 현감(楊口縣監) 등을 지냄.
1541~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응시(應時)@신응시 - 신응시(辛應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와 교유하고, 주자학(朱子學)에 조예가 깊음.
1532~158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응신(應莘) - 이몽윤(李夢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예신(李禮臣)의 아들로 평안 도사(平安都事)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응신(應辰) - 왕응신(汪應辰)
중국 송(宋)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거쳐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역임함. 주자(朱子)가 선인(善人)의 종주라고 칭함.
1118~117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응실(應實) - 고경허(高景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서경덕(徐敬德)에게 수학하고, 공조 좌랑(工曹佐郞)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과 《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응양(鷹揚)@원충갑 - 원충갑(元冲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주의 별초(別抄)에 소속되어 있다가 1291년(충렬왕 17)에 합단(哈丹)이 쳐들어 와 영원산성(領原山城)을 포위하였을 때 적을 크게 무찌른 공으로 추성분용광국공신(推誠奮勇匡國功臣)에 봉해짐.
1250~1321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응양(鷹揚)@이원부 - 이원부(李元富)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를 지낸 이나해(李那海)의 아들로, 정의대부(正議大夫)를 거쳐 응양상장군(鷹揚上將軍)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응양(鷹揚)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응양상호군(鷹揚上護軍) - 원충갑(元冲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본관은 원주(原州). 원주의 별초(別抄)에 소속되어 있다가 1291년(충렬왕 17)에 합단(哈丹)이 쳐들어 와 영원산성(領原山城)을 포위하였을 때 적을 크게 무찌른 공으로 추성분용광국공신(推誠奮勇匡國功臣)에 봉해짐.
1250~1321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응요(應堯) - 이옹(李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승사랑(承仕郞) 이극인(李克仁)의 아들로, 1569년(선조 2)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15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우(應祐) - 이응우(李應祐)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산수(坡山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응우(應遇) - 양사기(楊士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양희수(楊希洙)의 아들로, 원주(原州) 등 7개 읍의 수령(守令)을 역임하였으며, 형 양사준(楊士俊)ㆍ양사언(楊士彦)과 함께 시(詩)에 뛰어났음.
1531~15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운(應雲) - 남응운(南應雲)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참판 남세건(南世健)의 아들로,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내직과 외직을 두루 지내고, 전서(篆書)와 주서(籒書) 등 글씨에도 뛰어나 여러 작품을 남김.
1509~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응원(應元)@남응원 - 남응원(南應元)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본관은 영양(英陽). 효행(孝行)으로 이름이 알려져 선조 때 두 차례 서용(敍用)의 명을 받음. 김성일(金誠一)이 그를 조정에 천거하고 시(詩)를 남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기타인명>효자
-
응원(應元) - 이응원(李應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峯). 이륜(李崙)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원군(凝原君) - 박안세(朴安世)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병조 판서(兵曹判書) 박계현(朴啓賢)의 아들로, 품계(品階)가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이르렀고 응원군(凝原君)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응유(應籲) - 이응유(李應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과 교유하고, 정자(正字)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응인(應仁)@권응인 - 권응인(權應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시재(詩才)가 뛰어나 선위사(宣慰使) 일행이 되기도 했으며, 송(宋) 나라의 시풍(詩風)이 유행하던 문단(文壇)에 만당(晩唐)의 시풍을 받아들여 큰 전환을 가져왔음.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문인
-
응인(應仁) - 이영춘(李榮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5대손이며, 서부 주부(西部主簿) 이길(李洁)의 아들로, 음성 현감(陰城縣監) 등을 지냄.
153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인(應寅) - 김응인(金應寅)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산(梁山). 김량(金亮)의 아들.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해남 현감(海南縣監)ㆍ좌랑(佐郞) 등을 지냈고, 백광훈(白光勳)과 교유함.
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양산 , 인명>관인>문신
-
응인(應寅)@박응인 - 박응인(朴應寅)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유조인(柳祖訒)의 문인. 지제교(知製敎) 박소(朴紹)의 아들로, 상의원 정(尙衣院正)ㆍ인의(引儀) 등을 지냄. 작은 아버지 박집(朴緝)에게 입양됨.
1532~160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인(應寅)@한응인 - 한응인(韓應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부사직(副司直) 한경남(韓敬男)의 아들. 한어(漢語)에 능하여 수차례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임진왜란 때 원군을 이끌고 온 이여송(李如松)의 접반관(接伴官)이 됨.
1554~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응정(應井) - 남응정(南應井)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진(南軫)의 아들로,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응정(應井)@오응정 - 오응정(吳應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1574년(선조 7) 무과(武科)에 급제하였으며,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전라도 방어사(全羅道防禦使)로 남원성(南原城) 전투에서 활약하다 전사함. 남원(南原)의 충렬사(忠烈祠)에 배향됨.
1548~159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무신
-
응정(應挺) - 권응정(權應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송인수(宋麟壽)ㆍ이언적(李彦迪)ㆍ노수신(盧守愼) 등과 함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의 배후로 지목되어 유배됨.
1498~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응정(應貞)@강응정 - 강응정(姜應貞)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첨지중추부사 강의(姜毅)의 아들로, 효성이 지극하였음. 성균관 유생 시절 박연(朴演)ㆍ손효조(孫孝祖) 등과 함께 주자(朱子)의 고사에 따라 향약(鄕約)을 만들고, 《소학(小學)》을 강론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유학
-
응정(應鼎) - 양응정(梁應鼎)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시문(詩文)에 뛰어나 선조 때 팔대문장가(八大文章家)의 한 사람으로 뽑힘.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응제시(應製詩) - 응제시주(應製詩註)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인 권람(權攬)의 저서. 1권 1책. 목판본. 할아버지 권근(權近)이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의 명으로 지은 〈응제시(應製詩)〉와 명 태조가 권근에게 하사한 〈어제시(御製詩)〉에 주석을 붙임.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응지(凝之)@육유지 - 육유지(陸維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 속세를 초월한 뜻을 가지고 대조동천(大滌洞天)의 석실(石室)에 은거하여 시와 술을 즐기며 유유자적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응지(凝之) - 유환(劉渙)
중국 송(宋) 인종(仁宗) 때의 문신. 영상령(潁上令)을 지냈으나 강직한 성품으로 인해 상관을 섬기지 못하고 물러나 여산(廬山)에 은거함. 구양수(歐陽脩)가 〈여산고(廬山高)〉를 지어 그의 절개를 찬미함.
1000~108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응지(應之)@홍응 - 홍응(洪應)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심(洪深)의 아들.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리고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 등을 지냄. 문장과 글씨에 능했음.
1428~149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응지(應之) - 반서린(潘瑞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반강(潘岡)의 아들로,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응지(應之)@신응지 - 신응지(申應之)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낸 신분(申賁)의 아들로, 의흥 현감(義興縣監) 등을 역임하였음.
1420~148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응지(膺之)@심응지 - 심응지(沈膺之)
조선 전기의 유학. 이해수(李海壽)와 교유하여 《약포유고(藥圃遺稿)》에 여러 편의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응지(膺之) - 정유선(鄭惟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도정(都正)을 지낸 정세현(鄭世賢)의 아들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진(應眞) - 아라한(阿羅漢)
불교에서 열반(涅槃) 또는 깨달음에 이른 성자(聖者)를 가리키는 말. 원래는 석가(釋迦)의 가까운 제자 16명을 지칭하였으나 뒤에는 500명까지 늘어났으며, 후대에는 개인적인 깨달음에 만족한 소승(小乘)의 수행자들을 가리키기도 함.
사상>술어>핵심어
-
응진(應辰) - 어응진(魚應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함종(咸從). 장악원 정(掌樂院正)을 지낸 어영준(魚泳濬)의 둘째 아들로, 1528년(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10~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응창(應昌)@송응창 - 송응창(宋應昌)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장군. 병부 우시랑(兵部右侍郞)ㆍ대사마(大司馬)를 지내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경략 군문(經略軍門)으로 임명되어 제독 군무(提督軍務) 이여송(李如松) 등과 명군(明軍) 4만여 명을 이끌고 참전함.
1536~160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응창(應昌) - 권응창(權應昌)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낸 권희맹(權希孟)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1500~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응창(應昌)@안응창 - 안응창(安應昌)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순양군(順陽君) 안몽윤(安夢尹)의 아들로, 대군 사부(大君師傅) 등을 지냄.
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응척(應陟) - 고응척(高應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범(金範)의 문인. 《대학(大學)》의 여러 편을 시조로 읊어 교훈시를 만드는 등 사상적 체계를 시(詩)ㆍ부(賦)ㆍ가(歌)ㆍ곡(曲) 등으로 표현함.
1531~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응천(凝川)@박숭원 - 박숭원(朴崇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여 선조로부터 보검(寶劍)을 하사받고 도승지를 거쳐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에 올랐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2~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응천(凝川) - 밀양(密陽)
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부산과 대구의 중간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
경상도>밀양 , 지명>행정지명
-
응천(凝川)@허조 - 허조(許慥)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후(許詡)의 아들이며 이개(李塏)의 매부(妹夫)로, 집현전 수찬(集賢殿修撰)을 지냄. 성삼문(成三問) 등이 단종(端宗) 복위를 모의할 때 가담하였으나, 거사가 수포로 돌아가자 자진(自盡)함.
1430~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응천(應千)@황징 - 황징(黃澄)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를 지낸 황사윤(黃斯允)의 아들로, 고원 군수(高原郡守) 등을 지냄.
1456~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응천(應千) - 박하담(朴河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학행(學行)으로 장례원 사평(掌隸院司評) 등에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청도(淸道)의 운문산(雲門山) 아래에 소요당(逍遙堂)을 짓고 여생을 보냈으며, 김대유(金大有)와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음.
1479~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문인
-
응천(應天) - 한서귀(韓瑞龜)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한승순(韓承舜)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협력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응천(應川) - 박응천(朴應川)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지제교(知製敎) 박소(朴紹)의 아들로, 대구 부사(大邱府使)ㆍ사재감 정(司宰監正) 등을 지냄.
?~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천군(凝川君)@박진원 - 박진원(朴震元)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561~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응천군(凝川君)@박중손 - 박중손(朴仲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도와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좌참찬(左參贊)을 역임함.
1412~14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응천군(凝川君) - 박영균(朴永均)
고려 후기의 문신. 송은(松隱) 박익(朴翊)의 아버지로, 판도판서(版圖判書)와 재상(宰相)을 지냈으며, 응천군(凝川君)에 봉해졌다가 뒤에 은산부원군(銀山府院君)으로 추봉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응천박씨(凝川朴氏) - 밀양박씨(密陽朴氏)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시조왕(始祖王)으로 삼고, 경명왕(景明王)의 맏아들인 밀성대군(密城大君) 박언침(朴彦忱)을 중시조(中始祖)로 하는 성씨. 박씨의 종가(宗家).
한국>신라 , 경상도>밀양 , 인명>집단>성씨
-
응청(凝淸) - 신천(辛蕆)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안향(安珦)의 문인으로 스승을 문묘(文廟)에 종사하게 하였으며, 지공거(知貢擧)를 거쳐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133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응청(應淸) - 강응청(姜應淸)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강세경(姜世卿)의 아들. 효행(孝行)으로 인의(引儀)에 제수되고 용궁(龍宮)의 용곡리사(龍谷里社)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