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응태(應台)@양응태 - 양응태(梁應台)
조선 중중(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둘째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냈음.
151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응태(應台)@강응태 - 강응태(姜應台)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밀양도호부사(密陽都護府使) 등을 지내고, 효행이 지극하였으며, 임천서원(臨川書院)에 배향됨.
1495~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응태(應台) - 민보익(閔輔翼)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1483년(성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응택(應澤) - 강운상(姜雲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효성이 지극해 정려(旌閭)를 받았으며, 아들 강첨(姜籤)과 손자 강학년(姜鶴年)이 귀하게 되어 인조(仁祖) 때 영의정에 추증됨.
1526~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응필(應畢) - 양응필(梁應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건원릉 참봉((健元陵參奉)을 제수받았으나 출사하지 않고, 경학(經學)에 몰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응하(應河) - 신응하(申應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지냈음.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하여, 《제봉집(霽峯集)》에 그를 송별하며 쓴 〈송신경문환경(送申景文還京)〉이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응함(應緘) - 김응함(金應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경운(金慶雲)의 아버지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응현(應賢) - 최응현(崔應賢)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중종(中宗) 때의 인물인 최세도(崔世道)ㆍ최세절(崔世節)ㆍ최세충(崔世忠) 형제의 아버지로,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양친(養親) 등을 이유로 대부분 사임함.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428~150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응현(應賢)@방응현 - 방응현(房應賢)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조식(曺植)ㆍ이항(李恒)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나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임란의병장 변사정(邊士貞)과 친교가 두터웠음.
1524~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문인
-
응현(應鉉) - 박응현(朴應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박린(朴嶙)의 아들로,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응협(應夾) - 금응협(琴應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유일(遺逸)로 뽑혀 6품직을 초수(超授)하고 하양 현감(河陽縣監) 등을 지냄.
1526~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응황(應璜) - 강응황(姜應璜)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ㆍ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한 일로 유성룡의 추천을 받아, 병조 좌랑(兵曹佐郞)ㆍ예산 현감(禮山縣監)ㆍ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571~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응회(應會)@서응회 - 서응회(徐應會)
조선 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이 지은 〈차기서동년(次寄徐同年)〉이라는 시가 《송암집(松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응회(應會)@신응회 - 신응회(辛應會)
조선 전기의 문인.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이 그와 관련하여 지은 시가 《백담집(栢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응회(應會) - 김응회(金應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제자. 의병장 김천일(金千鎰)과 종유(從遊)했으며, 의병장 김덕령(金德齡)의 매부(妹夫). 효행이 뛰어나 정려(旌閭)됨.
155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응후(應侯) - 범수(范睢)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재상. 원래는 위(魏) 나라 사람으로 변설(辨說)에 능하였으며, 진 소왕(昭王)을 도와 원교근공책(遠交近攻策)을 주창하여 육국(六國) 통일의 기초를 마련하고, 그 공으로 응후(應侯)에 봉해짐.
?~B.C.25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응훈(應勳) - 양응훈(楊應勳)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요동광녕진수총병관(遼東廣寧鎭守總兵官)의 직책을 맡아 조선에 1차로 파병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응훈(應勳)@박응훈 - 박응훈(朴應勳)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효성이 지극하여 1601년(선조 34) 정려(旌閭)를 받았으며, 황간(黃澗)의 송계서원(松溪書院)에 배향됨.
1539~159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기타인명>효자
-
응훈(應壎) - 금응훈(琴應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영춘 현감(永春縣監)ㆍ양천 현감(陽川縣監) 등을 역임하고 《퇴계집(退溪集)》 간행실무자로 참여함.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응휴(應休)@안천서 - 안천서(安天瑞)
조선 전기의 유학.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性理學)에 대해 토론하였으며, 성혼(成渾)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응휴(應休)@금봉서 - 금봉서(琴鳳瑞)
조선 전기의 문신. 시문에 능하여 퇴계 이황(李滉)의 문집을 교열했으며,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응휴(應休) - 홍인지(洪仁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홍덕연(洪德演)의 둘째 아들로, 1546년(명종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좌랑(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응희(應禧) - 이응희(李應禧)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계수(坡溪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㼁) - 영창대군(永昌大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열네 번째 아들. 인목왕후(仁穆王后)의 소생으로, 광해군(光海君)을 지지하던 이이첨(李爾瞻) 등의 대북파(大北派)의 무고로 강화(江華)로 유배되어 죽음을 당함.
1606~161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왕실>왕자
-
의(依) - 유의(柳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유양식(柳陽植)의 아버지로, 순문사(巡問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의(倚) - 이의(李倚)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광천군(廣川君) 이수기(李壽猉)의 넷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儀)@송의 - 송의(宋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야성(冶城). 송복기(宋福基)의 아버지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무신
-
의(儀)@유의 - 유의(柳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선조(宣祖) 때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유영경(柳永慶)과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유영길(柳永吉)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의(儀)@금의 - 금의(琴儀)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봉화금씨(奉化琴氏)의 시조. 학문과 문장에 뛰어나 지공거(知貢擧)로 있을 때 많은 인재를 등용하였으며 벽상공신(壁上功臣)에 오름.
1153~123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의(儀) - 이의(李儀)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이수효(李壽㹲)의 아들로, 금성부정(錦城副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宜)@김남득의아버지 - 김의(金宜)@김남득의아버지
고려 후기의 문신. 고령김씨(高靈金氏)의 시조(始祖) 김남득(金南得)의 아버지로, 전리 좌랑(典理佐郞)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의(宜)@김구의아버지 - 김의(金宜)@김구의아버지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부령(扶寧). 우복야(右僕射)ㆍ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낸 김작신(金作新)의 아들이며, 지포(止浦) 김구(金坵)의 아버지로, 우복야(右僕射)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의(宜) - 이의(李宜)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여섯째 아들. 조세강(趙世康)의 딸과 혼인함.
1433~147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의(嶬) - 한의(韓嶬)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계미(韓繼美)의 아들.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모인 세조비 정희왕후(貞熹王后)가 죽자 수릉관(守陵官)이 되어 왕실의 장례에 관한 일을 맡음.
1443~148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의(嶬)@이의 - 이의(李嶬)
조선 전기의 유학. 임운(林芸)과 교유했으며, 그와 수작한 시가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의(嶷) - 김의(金嶷)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십청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의 증손이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된 지평(持平) 김저(金䃴)의 손자.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의(懿) - 왕규(王珪)@당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왕승변(王僧辯)의 손자로, 고조(高祖) 때 태자중사인(太子中舍人)이 되어 이건성(李建成)을 보필하였으나, 이건성이 피살된 후 태종(太宗)이 즉위하자 재기용되어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571~63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의(椅) - 금의(琴椅)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 금치담(琴致湛)의 아들로, 청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이황(李滉)과 교유함.
?~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의(檥) - 신의(申檥)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 본관은 고령(高靈). 좌승지를 역임한 신수경(申秀涇)의 아들로,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소생인 경현공주(敬顯公主)와 결혼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왕실>인척
-
의(檥)@권의 - 권의(權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명종(明宗)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형.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1475~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의(毅)@허의 - 허의(許毅)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인 허옹(許邕)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의(毅) - 전의(田毅)
고려 후기의 문신. 의종(毅宗)~고종(高宗) 때의 승려 지겸(志謙)의 아버지로,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의(漪) - 박의(朴漪)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참찬(左參贊) 박동량(朴東亮)의 아들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교리(校理)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중봉집(仲峰集)》이 있음.
1600~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의(漪)@이의 - 이의(李漪)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셋째 형으로, 일찍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의(竩) - 최의(崔竩)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우봉(牛峯). 최씨무인정권 집권자인 최항(崔沆)의 아들로, 집권시 인심을 잃고 인재 확보에 힘쓰지 않아 대사성(大司成) 유경(柳璥) 등에 의해 살해되어 60년 간의 최씨무인정권시대를 마감함.
?~1258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무신
-
의(義)@김의 - 김의(金義)
조선 전기의 유학. 노진(盧禛)이 지은 〈순자루주차김상상운(鶉子樓走次金上庠韻)〉이라는 시가 《옥계집(玉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의(義)@건의 - 건의(蹇義)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오랫동안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내면서 다섯 명의 황제를 보좌하고, 명초(明初)에 전장제도(典章制度)의 수립과 확립에 기여함.
1363~1435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의(義)@정의 - 정의(鄭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판현사(判縣事)를 지낸 정안도(鄭安道)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의(義)@곽의 - 곽의(郭義)
조선 전기의 효자. 부모를 위해 손가락을 잘라 공양한 효도를 기리는 시(詩)가 유희춘(柳希春)의 《미암집(眉巖集)》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기타인명>효자
-
의(義) - 왕의(王義)
고려 공민왕(恭愍王)의 장인. 익비한씨(益妃韓氏)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의(義)@심의 - 심의(沈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풍산군(豊山君) 심응(沈膺)의 아들이고, 좌의정을 지낸 심정(沈貞)의 동생. 서경덕(徐敬德)ㆍ성세창(成世昌) 등과 깊이 교유함.
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의(艤) - 이의(李艤)
조선 성종(成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정종(定宗)의 4세손으로, 백성수(栢城守) 이원(李源)의 아들. 1502년(연산군 8) 종친시예(宗親試藝)에 장원하는 등 학문에 뛰어나고 후진 양성에 힘씀.
1469~15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艤)@양의 - 양의(梁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1544년(중종39)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원주 목사(原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홍섬(洪暹)의 《인재집(忍齋集)》에 만시(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의(薿) - 기의(奇薿)
조선 후기의 문신. 1587년(선조 20) 단양 군수(丹陽郡守)로 있을 때 사헌부(司憲府)로부터 참람함과 공사불명의 죄를 탄핵받아 파직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의(薿)@이의 - 이의(李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창인(李昌仁)의 아들로, 1521년(중종 16)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학정(成均館學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의(誼) - 가의(賈誼)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문제(文帝)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됨.
B.C.200~B.C.1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의(誼)@양의 - 양의(楊誼)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로, 십정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의 사위. 1531년(중종 26)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의(顗)@이의 - 이의(李顗)
고려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주(仁州). 중서령(中書令)을 지낸 이자연(李子淵)의 아들이며, 학자 이자현(李資玄)의 아버지. 누이들이 문종의 비(妃)가 되자 관직에 올라 외적 평정에 큰 공을 세우고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오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의(顗) - 강의(康顗)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주천(舟川) 강유선(康惟善)의 아버지로, 창원도호부사(昌原都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의(顗)@정의 - 정의(鄭顗)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경인(西京人) 최광수(崔光秀) 등이 난을 일으키자, 분대녹사(分臺錄事)로 이들을 격살하고 성을 회복하여 섭중랑장(攝中郞將)이 되었으며 대장군까지 오름.
?~123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의^원(誼^原) - 굴^가(屈^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문인인 굴원(屈原)과 전한(前漢) 때의 문인인 가의(賈誼)를 함께 부르는 말. 사부(辭賦)의 대가를 가리킴.
중국>전한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의^진(儀^秦) - 소^장(蘇^張)
중국 춘추전국시대 연(燕) 나라의 모사(謀士) 소진(蘇秦)과 위(魏) 나라의 모사 장의(張儀)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의간(懿簡) - 이증(李增)@이지숙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공을 세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는 국가의 기강을 바로잡는 데 헌신함.
1525~160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의간(毅簡) - 강신(姜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우의정을 지낸 강사상(姜士尙)의 아들로,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낸 강사안(姜士安)에게 출계(出系)함. 선조 때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을 평정한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43~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의간자(猗玕子) - 원결(元結)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
723~77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의감(醫鑑) - 동의보감(東醫寶鑑)
조선 선조(宣祖) 때 태의(太醫)인 허준(許浚)이 지은 의서(醫書). 25권 25책. 목판본. 1613년(광해 5) 내의원(內醫院)에서 간행함. 내경ㆍ외형ㆍ잡병ㆍ탕액ㆍ침구 등 5대 강편 아래, 각 질병에 따라 병론과 약방을 열거하고, 각 병증을 따르는 단방(單方)과 침구법, 경험방을 붙임.
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의강(義剛) - 황의강(黃義剛)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임천(臨川) 사람으로 주자(朱子)의 문인(門人).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의건(義健) - 이의건(李義健)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1564년(명종 19)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고 이항복(李恒福)의 추천으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이 되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명현(名賢)들과 교유함. 저서로 《동은집(峒隱集)》이 있고, 광주(廣州) 수곡서원(秀谷書院)ㆍ영평(永平) 옥병서원(玉屛書院)에 배향됨.
1533~16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문인
-
의검(義儉) - 심의검(沈義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호종한 심대(沈岱)의 아버지로, 경력(經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의검(義儉)@유의검 - 유의검(兪義儉)
조선 연산군(燕山君)~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진(康津).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외손자로, 승문원 저작(承文院著作)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의겸(義謙) - 심의겸(沈義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1575년(선조 8)에 그를 지지하는 서인(西人)과, 김효원(金孝元)을 지지하는 동인(東人)이 서로 논쟁하기 시작해 동서분당(東西分黨)의 시초가 됨.
1535~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의경(䴊慶) - 남의경(南䴊慶)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영양(英陽). 생원 남치형(南致亨)의 첫째 아들.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유학
-
의경(懿敬) - 덕종(德宗)@조선
조선 세조(世祖)의 아들. 1455년(세종 27) 도원군(桃源君)에 봉해지고 1455년(세조 1)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에 병사함. 1471년(성종 2) 덕종으로 추존(追尊)됨.
1438~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의경(毅卿) - 김홍근(金弘根)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안동김씨의 세도를 배경으로 진급을 거듭하여 관직이 좌의정(左議政)에 이름.
1788~18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의경(義卿) - 이종경(李宗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를 지낸 이세원(李世元)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의경(義慶)@신의경 - 신의경(申義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1620년(광해군 12)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함.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과 함께 예학(禮學)을 강론하고 상례(喪禮)를 깊이 연구하여 《상례비요(喪禮備要)》 1책을 지음.
155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학자
-
의경(義慶) - 유의경(劉義慶)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 때의 문신ㆍ문인. 무제(武帝) 유유(劉裕)의 조카로, 성품이 소박하고 문학을 좋아하여 《세설신어(世說新語)》ㆍ《유명록(幽明錄)》 등을 저술하였으며,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등을 지냄.
403~44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의경세자(懿敬世子) - 덕종(德宗)@조선
조선 세조(世祖)의 아들. 1455년(세종 27) 도원군(桃源君)에 봉해지고 1455년(세조 1)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에 병사함. 1471년(성종 2) 덕종으로 추존(追尊)됨.
1438~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의곡(義谷) - 심징(沈澄)
조선 후기의 문신. 진사(進士) 심삼달(沈三達)의 아들로 종사랑(從仕郞)을 지냄. 심언광(沈彦光)의 문적(文蹟)을 모아 신원(伸寃)을 회복하는 장계(狀啓)를 올려 복관(復官)시킴.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의곡(義谷)@이방직 - 이방직(李邦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원(西原). 시문(詩文)에 능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공민왕(恭愍王)으로부터 자(字)에 대한 어찰(御札)을 받았으며, 이색(李穡)이 지은 자찬(字讚)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138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의공(義恭)@혜종 - 혜종(惠宗)
고려 제2대 왕. 재위 943~945. 태조(太祖)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장화왕후(莊和王后). 지용(智勇)이 뛰어나 후백제(後百濟)를 칠 때 큰 공을 세웠으나, 즉위 후에는 왕권이 미약하여 왕규(王規)에게 암살 위협을 당하기도 함.
914~94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의공(義恭) - 순종(順宗)@고려
고려 제12대 국왕. 재위 1083~1083. 1054년(문종 8) 왕태자(王太子)에 책봉되고, 문종(文宗)이 죽자 즉위하나 그해에 죽음.
1046~108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의관(宜觀) - 윤안성(尹安性)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부(尹釜)의 아들로, 양양 부사(襄陽府使) 등을 지냄.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능창군(陵昌君) 이전(李佺)의 추대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당함.
1542~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의구(宜臼) - 평왕(平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3대 왕. 재위 B.C.770~B.C.720. 유왕(幽王)의 아들로, 외조부인 신후(申侯)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으나, 유왕의 제거를 도왔던 서방 이민족 세력이 커지자 낙읍(洛邑)으로 천도함. 이때부터 주 왕실이 약화되어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로 접어듦.
?~B.C.720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의국공(義國公) - 방득세(方得世)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방신우(方臣祐)의 아버지로, 영록대부(榮祿大夫) 주국(柱國)에 임명되고 의국공(義國公)에 봉해졌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의귀(義貴) - 진의귀(陳義貴)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문인. 집현전 제학(集賢殿提學)ㆍ형조 전서(刑曹典書)를 지냄. 퇴촌(退村) 김열(金閱)의 장인. 김열의 증손 김은경(金殷卿)이 진의귀와 김열의 시를 함께 엮어 《빙옥난고(氷玉亂稿)》를 편찬함.
?~1424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의근(義根) - 이의근(李義根)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금구(金溝). 영산 현감(靈山縣監) 등을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구 , 인명>관인>문신
-
의남(義男) - 이의남(李義男)
조선 전기의 무신. 만호(萬戶)를 지냈으며, 송강(松江) 정철(鄭澈)과 교유하며 수작한 시가 《송강집(松江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의녕감(義寧監) - 이윤조(李胤祖)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로, 의녕감(義寧監)에 봉해짐. 이이(李珥)가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의덕(懿德) - 정문(鄭文)
고려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초계정씨(草溪鄭氏)의 시조인 정배걸(鄭倍傑)의 아들로, 10여 년 동안 형조(刑曹)를 맡아 일을 잘 처리함. 송(宋)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110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의덕단양제경정순왕후(懿德端良齊敬定順王后) - 정순왕후(定順王后)
조선 제6대 단종(端宗)의 비(妃). 본관은 여산(礪山).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송현수(宋玹壽)의 딸. 세조(世祖)의 찬역(簒逆)으로 인해 부인(夫人)으로 강봉(降封)되었다가 숙종(肅宗) 때 다시 왕후로 추복(追復)됨.
1440~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의덕왕대비(懿德王大妃) - 정순왕후(定順王后)
조선 제6대 단종(端宗)의 비(妃). 본관은 여산(礪山).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송현수(宋玹壽)의 딸. 세조(世祖)의 찬역(簒逆)으로 인해 부인(夫人)으로 강봉(降封)되었다가 숙종(肅宗) 때 다시 왕후로 추복(追復)됨.
1440~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의동(意同) - 김성지(金誠之)
조선 전기의 문인.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문인
-
의랑(義郞) - 허해(許晐)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변계량(卞季良)의 《춘정집(春亭集)》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의려(醫閭) - 하흠(賀欽)
중국 명(明)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학자. 호과 급사중(戶科給事中)을 역임한 뒤 낙향하여 진헌장(陳獻章)에게 수학하며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저서에 《의려집(醫閭集)》이 있음.
1437~151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의려동(醫閭洞) - 의무려동(醫巫閭洞)
중국 요령성(遼寧省) 의무려산(醫巫閭山) 아래에 있는 신당인 북진묘(北鎭廟) 부근에 있는 골짜기.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의려산(醫閭山) - 의무려산(醫巫閭山)
중국 요령성(遼寧省)에 있는 산 이름. 순(舜) 임금이 십이산(十二山)을 봉할 때에 유주(幽州)의 진산(鎭山)으로 삼았고, 산세(山勢)가 6리를 덮으므로 육산(六山)이라고도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의령군(宜寧君)@남군보 - 남군보(南君甫)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의령남씨(宜寧南氏)의 시조(始祖).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제수받고 의령(宜寧)으로 관적(貫籍)하여 중시조(中始祖)가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의령군(宜寧君) - 남경우(南景祐)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특별한 재능이 없으면서 관품이 높아 평판이 좋지 않았음. 봉조하(奉朝賀)로 치사(致仕)함.
?~14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의령군(宜寧君)@남은 - 남은(南誾)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에 동조하여 조선 개국 후 일등개국공신으로 의성군(宜城君)에 봉해짐.
1354~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