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민건(閔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원경왕후(元敬王后)의 족친(族親)이며 부사과(副司果) 민예달(閔禮達)의 아버지.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지냄.
?~14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왕실>인척ㅣ인명>관인>문신
-
민경복(閔慶福)
조선 전기의 문신.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의 이제(姨弟)로 예문관(藝文館)에서 일직(日直)을 할 때 써준 시가 《백담집(栢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민경생(閔慶生)
고려 말기~조선 초의 문신. 우상시(右常侍)를 지낸 이정(李挺)의 사위이며, 직예문관(直藝文館)을 지낸 민설(閔渫)의 아버지로, 공안부 윤(恭安府尹)ㆍ예조 전서(禮曹典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경익(閔景翼)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적성 현감(積城縣監) 민우증(閔友曾)의 아들이며, 민보익(閔輔翼)의 형으로, 1481년(성종 12) 친시(親試)에 급제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계량(閔季良)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봉선전 참봉(奉先殿參奉)을 지낸 민구(閔球)의 아들로, 내섬시 판관(內贍寺判官)ㆍ우봉 현령(牛峯縣令) 등을 지냄.
1499~157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공(閔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661~B.C.660. 노 나라 장공(莊公)과, 제(齊) 환공(桓公)의 여동생인 숙강(淑姜)의 아들. 장공 사후 세자인 반(般)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나, 경보(慶父)와 이모인 애강(哀姜)에 의해 살해됨.
?~B.C.66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민공(閔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제후. 재위 B.C.691~B.C.682. 장공(莊公)의 아들로, 노(魯) 나라와 여러 차례 교전을 치르었으며 대부(大夫) 남궁장만(南宮長萬)에 의해 시해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민공(閔貢)
중국 후한(後漢) 때의 유학. 노병(老病)이 있는데다 집이 가난하여 날마다 저간(猪肝) 한 점씩만을 사먹었는데, 안읍 현령(安邑縣令)이 저간을 충분히 공급하자 안읍에 폐를 끼칠 수 없다며 고을을 떠나버린 고사가 《후한서(後漢書)》전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민공규(閔公珪)
고려 명종(明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고종(高宗) 때의 학자 민인균(閔仁鈞)의 아버지.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이규보(李奎報)가 지어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광훈(閔光勳)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부윤(府尹) 민기(閔機)의 아들이며, 민정중(閔鼎重)의 아버지. 병자호란 때 종묘서 영(宗廟署令)으로 원손(元孫)을 호위하였으며, 그 공으로 통정(通政)으로 승진하여 호조 참의(戶曹參議)가 됨.
1595~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구(閔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1533년(중종 28)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연안 부사(延安府使)를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구령(閔九齡)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처사(處士). 본관은 여흥(驪興). 민구소(閔九韶)ㆍ민구연(閔九淵)ㆍ민구주(閔九疇)ㆍ민구서(閔九叙) 등 다섯 형제가 사화(士禍)로 벼슬길을 포기하고, 학행(學行)으로 이름을 떨침. 형제간의 우애가 깊어 기거를 같이 했으며, 점필재(佔畢齋)의 문하에서 배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문인
-
민귀서(閔龜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천(榮川). 1524년(중종 19) 안동의 용수산(龍壽山)에 있는 절에서 이해(李瀣)ㆍ이황(李滉)ㆍ이수령(李壽苓) 등과 함께 완월하며 연구(聯句)를 겨룬 시가 이해(李瀣)의 《온계일고(溫溪逸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민귀손(閔龜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찬성(左贊成)을 지낸 민제인(閔齊仁)의 아버지. 이정은(李貞恩)ㆍ심정(沈貞) 등과 종유(從遊)하였고, 김굉필(金宏弼)에게 사사(師事)하였음.
1464~152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규(閔奎)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감찰(監察)ㆍ한림(翰林) 민오(閔悟)의 아들이며, 정자(正字) 민선(閔瑄)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민기(閔箕)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김안국(金安國)의 문인. 《중종실록(中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당대의 문장가로서 이름이 높았음.
1504~156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기문(閔起文)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권신 김안로(金安老)를 비방하다 덕산에 장류되었고, 봉성군(鳳城君)의 옥사에 연루되어 임천(林川)에 부처됨. 선조 때 대사성(大司成)ㆍ좌승지(左承旨)를 역임함.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대생(閔大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중립(閔中立)의 아들이며, 장령(掌令) 민효환(閔孝懽)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민효열(閔孝悅)의 아버지로 소윤(小尹)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덕봉(閔德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낸 민우필(閔友弼)의 아들. 1573년(선조 6) 명(明) 나라 사신을 영접하기 위하여 나갔다가 객사(客舍)에서 죽음.
1514~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관인>문신
-
민무구(閔無咎)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 민제(閔霽)의 맏아들이며, 태종비 원경왕후(元敬王后)의 동생. 동생 민무질(閔無疾) 등과 함께 태종의 외척이며, 정사(定社)ㆍ좌명(佐命)의 두 공신을 겸하였으나, 협유집권(挾幼執權)의 혐의로 참화를 당함.
?~141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민무질(閔無疾)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봉해졌으나, 형 민무구(閔無咎)와 연루된 옥사로 공신녹권(功臣錄券)이 환수되고 유배감.
?~141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반(閔泮)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성주 목사(星州牧使)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使) 등을 지냄. 《희락당고(希樂堂稿)》에 김안로(金安老)가 쓴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439~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백종(閔百宗)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공주진관 병마절제도위(公州鎭管兵馬節制都尉) 민흥수(閔興洙)의 아들로, 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냄. 1768년(영조 44) 야은(冶隱) 길재(吉再)의 충절과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채미정(採薇亭)을 건립함.
171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변(閔抃)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진현관 대제학(進賢館大提學)을 지낸 민적(閔頔)의 아들이며, 급암(及菴) 민사평(閔思平)의 동생.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보익(閔輔翼)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1483년(성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복(閔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여평부원군(驪平府院君) 민효증(閔孝曾)의 손자로,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한 뒤 풍저창 수(豊儲倉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사건(閔師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선조 때 대사성을 지낸 민기문(閔起文)의 조부. 1477년(성종 8)에 친시(親試)에 급제하여 충청도 관찰사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사도(閔思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성수침(成守琛)의 사위로, 1542년(중종 37) 정시(庭試)에 합격하여 강령 현감(康翎縣監)ㆍ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사용(閔思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을 지낸 민제인(閔齊仁)의 아들. 문천 군수(文川郡守) 등을 지냈고, 좌참찬(左參贊)에 추증됨.
1515~157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민사평(閔思平)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찬성사 민적(閔頔)의 아들이며, 정승 김륜(金倫)의 사위. 이제현(李齊賢)ㆍ정자후(鄭子厚) 등과 함께 문명(文名)이 높았으며, 《동문선(東文選)》에 그의 시 9수가 전함.
1295~13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산(岷山)
중국 감숙성(甘肅省)과 사천성(四川省)에 걸쳐 있는 산 이름. 양자강의 지류인 민강(岷江)의 발원지.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민상안(閔祥安)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북경(北京)에 다녀왔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를 비호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상정(閔祥正)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여흥군(驪興君) 민지(閔漬)의 아들로, 찬성사(贊成事)에 올라 전주(銓注)를 총괄하고 관직을 개편하여 고제(古制)를 부활시킴. 청렴ㆍ공정하기로 이름이 남.
1281~135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선(閔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좌승지(左承旨) 등을 지냈으며, 기축옥사(己丑獄事) 때 최영경(崔永慶)의 처벌을 주장하다 탄핵을 받아 좌천됨. 이이(李珥)와 교우가 깊었음.
1539~160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선(閔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함. 신광한(申光漢)의 《기재집(企齋集)》에 연구(聯句)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선(閔璿)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상정(閔祥正)의 아들이며, 태조(太祖)의 4남 회안대군(懷安大君) 이방간(李芳幹)의 장인. 충혜왕 때 등과하여, 판도판서(判圖判書) 등을 지냈으며,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설(閔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예조 전서(禮曹典書) 민경생(閔慶生)의 아들로, 직예문관(直藝文館)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성(閔誠)
조선 전기의 유학. 노수신(盧守愼)과 친분이 있어, 서우량(徐友諒)과 함께 자(字)를 지어줄 것을 청함. 노수신이 보낸 시들이 《소재집(穌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민성헌(閔成憲)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을 지낸 민사도(閔思道)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민세량(閔世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역임했으며,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음.
149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세정(閔世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여성군(驪城君) 민무질(閔無疾)의 증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현감을 지냈고, 기묘사화 때 파출(罷黜)되었다가 함경 도사(咸鏡都事)에 발탁됨.
14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민손(閔損)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어릴 때 계모 밑에서 자랐는데, 공문십철(孔門十哲) 중에서 효행(孝行)으로 이름이 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민수원(閔壽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1511년(중종 6)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군기시 정(軍器寺正)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수천(閔壽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문장에 능하여 사유(師儒)의 직임을 오랫동안 담당하였으며, 강원도 관찰사ㆍ황해도 관찰사ㆍ대사성 등을 역임함.
?~153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순(閔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驪興). 신광한(申光漢)ㆍ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향리에서 후진 교육에 힘씀.
151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민순량(閔純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봉선전 참봉(奉先殿參奉) 민구(閔球)의 아들이며, 병조 참판(兵曹參判) 민준(閔濬)의 아버지로, 1528년(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개령 현감(開寧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순손(閔順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통선랑(通善郞) 민화(閔和)의 아들로, 1447년(세종 29) 친시(親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인(舍人)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시원(閔蓍元)
조선 전기의 유학. 온계(溫溪) 이해(李瀣)와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큰 형인 충순위(忠順衛) 이잠(李潛)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민시중(閔時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을 지낸 민총(閔叢)의 아들. 여주 목사(驪州牧使)ㆍ수원 부사(水原府使)를 지냈으며, 《백담집(柏潭集)》에 구봉령(具鳳齡)이 보낸 시가 실려 있음.
151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시중(閔蓍重)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민광훈(閔光勳)의 아들이며, 좌의정(左議政) 민정중(閔鼎重)ㆍ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형.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냈고, 학행(學行)으로 이름이 남.
1625~167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신(閔伸)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며, 김종서(金宗瑞)와 함께 단종을 보호하다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안평대군(安平大君) 일파라 하여 수양대군(首陽大君)에 의해 참살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안손(閔安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여흥(驪興). 조선 개국공신 정총(鄭摠)의 손서(孫壻)로, 중군 사직(中軍司直)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무신
-
민안인(閔安仁)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증문하찬성사(贈門下贊成事) 민선(閔璿)의 아들. 고려 말에는 제고(制誥)에 기여하였으며, 조선 개국 초에는 유학 진흥과 의례의 정비, 보급에 기여함. 권근(權近)과 교유함.
1343~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애왕(閔哀王)
신라 제44대 국왕. 재위 838~839. 선강대왕(宣康大王)에 추봉된 김충공(金忠恭)의 아들로, 희강왕(僖康王)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나 김우징(金祐徵)ㆍ장보고(張保皐) 등의 토벌군과 싸우다가 살해됨.
817~839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민여로(閔汝老)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재문(閔在文)의 아들로, 1642년(인조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장령(掌令)ㆍ목사(牧使) 등을 지냄.
1598~167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민여신(閔汝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문천 군수(文川郡守) 민사용(閔思容)의 아들로, 1594년(선조 2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고산 찰방(高山察訪) 등을 지냄.
155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여익(閔汝翼)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개국을 도와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전결(田結)과 노비를 받았으며,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두루 역임했음.
1360~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민여임(閔汝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명(明) 나라 장수의 접반관(接伴官)을 지냄.
1559~162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영(閔寧)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강성 부정(江城副正) 이견손(李堅孫)의 장인. 고성 현령(固城縣令)ㆍ삼척 도호부사(三陟都護府使) 등을 지냄.
1447~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영모(閔令謨)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한림학사(翰林學士) 민인균(閔仁鈞)의 조부(祖父)이고 복흥군(福興君) 민종유(閔宗儒)의 고조부(高祖父)로,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1115~119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오(閔悟)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호례(閔好禮)의 아들로,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감찰(監察)ㆍ한림(翰林)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우수(閔遇洙)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麗興)으로, 충문공(忠文公) 민진후(閔鎭厚)의 아들. 김창협(金昌協)ㆍ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신임사화(辛壬士禍) 이후 관직에서 물러나 학업에 전념함.
1694~175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민우증(閔友曾)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석(閔釋)의 아들로, 1453년(단종 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서부 영(西部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우필(閔友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미(閔敉)의 아들이며, 사인(舍人) 민덕봉(閔德鳳)의 아버지로,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원(閔㥳)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1498년(연산군 4)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우부승지를 지냈음. 충청도 관찰사를 지낸 민사건(閔師騫)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유경(閔有慶)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고, 이괄(李适)의 난(亂) 때 행재소(行在所)에 호종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나 곧 복직되어 예빈시 정(禮賓寺正)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65~163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유의(閔由誼)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충선왕 때 첨의정승(僉議政丞)을 지낸 민지(閔漬)의 증손으로, 증문하찬성사(贈門下贊成事) 민선(閔璿)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유중(閔維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숙종의 비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아버지로 남인(南人)이 집권할 때 흥해(興海)로 유배되었다가, 남인이 실각하자 금위영(禁衛營)의 창설을 주도하여 병권과 재정권을 모두 관장함.
1630~168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민응기(閔應祺)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광해군(光海君)의 사부(師傅)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민응서(閔應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송인수(宋麟壽)와 함게 동경계(同庚契)를 만들어 교유했고, 평안도 병마절도사ㆍ제주 목사(濟州牧使)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99~?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민인균(閔仁鈞)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驪興). 문하 평장사(門下平章事) 민공규(閔公珪)의 아들로, 1242년(고종 29) 국자시(國子試)의 감시(監試), 1248년(고종 35) 태복경(大僕卿)으로 동지공거(同知貢擧)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민인백(閔仁伯)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기축옥사(己丑獄事)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황주 목사(黃州牧使)로 임진강(臨津江)을 지킴.
1552~162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민자방(閔子芳)
조선 제6대 성종(成宗)의 부마. 본관은 여흥(驪興). 현령(縣令)을 지낸 민종원(閔宗元)의 아들로, 성종의 다섯째 딸인 경숙옹주(敬淑翁主)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왕실>인척
-
민재문(閔在汶)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형조 좌랑(刑曹佐郞)을 지낸 민천부(閔天符)의 아들. 고청(孤靑) 서기(徐起)의 문인.
1565~162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민적(閔頔)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충렬왕(忠烈王)이 국선(國仙)이라 불렀으며, 대사헌(大司憲)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온 뒤 여흥군(驪興君)에 봉해졌음.
1269~133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전(閔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ㆍ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등을 지내고, 1550년(명종 5)에 봉상시 정(奉常寺正)으로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안위(安瑋)와 함께 《경국대전(經國大典)》의 주해관(註解官)에 임명되어 주해 작업을 맡음.
149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절서원(愍節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기도 과천(果川)에 건립한 서원. 1692년(숙종 18) 사액되었으며, 박팽년(朴彭年)ㆍ성삼문(成三問)ㆍ이개(李塏)ㆍ유성원(柳誠源)ㆍ하위지(河緯地)ㆍ유응부(兪應孚) 등 사육신(死六臣)을 배향함. 현재 서울시 동작구(銅雀區) 노량진동(鷺梁津洞)에 속함.
1681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과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민정(閔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참군(參軍) 민징원(閔澄源)의 아들이며,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민상안(閔祥安)의 아버지. 1450년(문종 즉위)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ㆍ원주 목사(原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정중(閔鼎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으로,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민광훈(閔光勳)의 아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직언(直言)을 잘했는데,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유배되어 죽음.
1628~16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제(愍帝)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313~316. 효왕(孝王) 사마안(司馬晏)의 아들. 전조(前趙)의 무제(武帝)에게 끌려간 회제(懷帝)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지만, 즉위 4년 만에 진왕(秦王) 유요(劉曜)의 군대에 항복하여 서진(西晉)의 마지막 황제가 됨.
300~31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민제(閔帝)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당(後唐)의 제3대 왕. 재위 933~934. 후당 명종(明宗)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지만 1년 만에 사망함.
?~934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민제(閔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조선 태종의 장인. 고려 말에 여러 요직을 거치고 조선 개국 후 문하우정승(門下右政丞)ㆍ좌정승(左政丞)을 지냄.
1339~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제인(閔齊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전적(典籍)을 지낸 민귀손(閔龜孫)의 아들. 윤원형(尹元衡)에게 의부(依付)해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윤임(尹任) 등을 제거하는 데 앞장섬.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종빈(閔宗彬)
조선 전기의 유학. 설월당(雪月堂) 김부륜(金富倫)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민종원(閔宗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여천위(驪川尉) 민자방(閔子芳)의 아버지로, 현령(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종유(閔宗儒)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충렬왕(忠烈王) 때 삼사우윤(三司右尹)ㆍ전법판서(典法判書)ㆍ감찰대부(監察大夫)를 거쳐 찬성사(贊成事)가 되었으며, 충숙왕 때 복흥군(福興君)에 봉해짐.
1245~132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준(閔濬)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의주까지 호종(扈從)한 공으로 호성 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에 녹훈되었고, 청렴한 공직자로 청백리에 선록(選錄)됨.
1532~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민지(閔漬)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266년(원종 7)에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하여 지후(祗候)가 되었고, 충선왕 때 첨의정승(僉議政丞)에 이르러 사직하였음. 충숙왕 때 다시 수정승(守政丞)이 되고 여흥군(驪興君)에 봉하여졌음.
1248~132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진원(閔鎭遠)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아들이며, 숙종 비(妃)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오빠이자 우참찬을 지낸 민진후(閔鎭厚)의 동생으로, 소론을 배격했던 노론의 거두.
1664~173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진후(閔鎭厚)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아들이며, 숙종 비(妃)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오빠이자 좌의정을 지낸 민진원(閔鎭遠)의 형.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ㆍ예조 판서(禮曹判書)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냄.
1659~172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질(閔質)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정언(正言) 민회현(閔懷賢)의 아버지로, 내금위 부사정(內禁衛副司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예산 , 인명>관인>문신
-
민창수(閔昌洙)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의정(左議政) 민진원(閔鎭遠)의 아들이며, 민형수(閔亨洙)ㆍ민통수(閔通洙)의 형. 1714(숙종 4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동몽교관(童蒙敎官)ㆍ세자익위사 부솔(世子翊衛司副率) 등을 지냄.
1685~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천부(閔天符)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재문(閔在汶)의 아버지로,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형조 좌랑(刑曹佐郞) 등을 지냄.
1531~156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민총(閔叢)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계(閔季)의 아들이며, 여주 목사(驪州牧使) 민시중(閔時中)의 아버지로,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충원(閔忠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1562년(명종 1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허봉(許篈)ㆍ최경창(崔慶昌) 등과 독서당(讀書堂)에 간택되었으며,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ㆍ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154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칭도(閔稱道)
고려 전기의 문신. 중국 농서현에서 계출된 성씨로 공자(孔子) 제자인 민손(閔損)의 후손이며, 사신으로 왔다가 귀화함. 여흥에 정착하여 민씨의 시조(始祖)가 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민통수(閔通洙)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좌의정 민진원(閔鎭遠)의 아들. 노론계의 집안 출신으로 영조(英祖)의 탕평책(蕩平策)에 거슬리는 논란을 자주 제기하였으나, 관료생활은 깨끗했고 좋은 정책을 제시하기도 했음.
1696~174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학수(閔鶴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우통례습정(右通禮習靜) 민순(閔純)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민해(閔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민호문(閔好問)의 아들이며, 참판(參判) 민사건(閔師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민현(閔玹)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대제학 첨의정승(大提學僉議政丞) 민지(閔漬)의 손자이며, 호조 판서(戶曹判書) 민여익(閔汝翼)의 아버지.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