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의령군(義寧君) - 이맹종(李孟宗)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넷째 아들인 회안대군(懷安大君) 이방간(李芳幹)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의령부원군(宜寧府院君) - 남을번(南乙蕃)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고려 때 밀직부사(密直府使)를 지냈고, 조선 건국 후 검교시중(檢校侍中)이 됨.
1320~139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의령부원군(宜寧府院君)@남재 - 남재(南在)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 동생 남은(南誾)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51~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의례(儀禮)@가례의절 - 가례의절(家禮儀節)
중국 명(明) 나라의 유학자인 구준(丘濬)이 편찬한 책. 주희(朱憙)의 《가례(家禮)》에 대한 해설서.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의례경전(儀禮經傳) -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지은 의례에 관한 책. 37권. 《의례(儀禮)》를 경(經)으로 삼아, 여러 책에서 예(禮)에 관한 내용을 뽑아 덧붙이고 주소(注疏)함. 책을 완성하지 못하고 죽어서 문인 황간(黃榦) 등이 산개(删改)하지 않고 그대로 간행함.
1200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의례집전(儀禮集傳) -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지은 의례에 관한 책. 37권. 《의례(儀禮)》를 경(經)으로 삼아, 여러 책에서 예(禮)에 관한 내용을 뽑아 덧붙이고 주소(注疏)함. 책을 완성하지 못하고 죽어서 문인 황간(黃榦) 등이 산개(删改)하지 않고 그대로 간행함.
1200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의례집전집주(儀禮集傳集註) -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지은 의례에 관한 책. 37권. 《의례(儀禮)》를 경(經)으로 삼아, 여러 책에서 예(禮)에 관한 내용을 뽑아 덧붙이고 주소(注疏)함. 책을 완성하지 못하고 죽어서 문인 황간(黃榦) 등이 산개(删改)하지 않고 그대로 간행함.
1200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의례통해속(儀禮通解續) - 의례경전통해속(儀禮經傳通解續)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황간(黃榦)ㆍ양복(楊復)이 지은 의례에 관한 책. 29권. 주희(朱熹)가 지은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의 속편으로, 《의례(儀禮)》를 경(經)으로 삼아, 여러 책에서 예(禮)에 관한 내용을 뽑아 덧붙여 주소(注疏)하고 도식(圖式)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의로(義老) - 이의로(李義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낸 이욱(李稶)의 아버지로, 선전관(宣傳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의룡(義龍) - 홍의룡(洪義龍)
고려 후기의 문신. 죽은 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여주(驪州) 신륵사(神勒寺)에 보현보살상(普賢菩薩像)을 조성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의루(倚樓) - 조원(趙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조응공(趙應恭)의 아들로, 조응관(趙應寬)에게 출계함.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삼척 부사(三陟府使)ㆍ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냄.
1544~15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의루재(倚樓才) - 조하(趙嘏)
중국 당(唐) 무종(武宗)~선종(宣宗) 때의 문신ㆍ시인. 842년(무종 2) 진사에 에 오르고 선종 때 위남위(渭南尉)에 이름. “장적일성인의루(長笛一聲人倚樓)”라는 시구로 유명해짐.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의륭(義隆) - 대내의륭(大內義隆)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의 무장. 서부(西部) 제일의 영주로 막강한 세력가였으나 가신(家臣)인 도정현(陶睛賢)의 배신으로 죽음.
1507~1551 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의릉(懿陵) - 경종(景宗)@조선
조선 제20대 왕. 재위 1720~1724. 숙종(肅宗)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희빈장씨(禧嬪張氏). 재위 기간 중 당쟁(黨爭)이 절정을 이룬 가운데 신변상으로나 정치상으로 많은 곤란을 겪음.
1688~17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의릉(毅陵) - 충숙왕(忠肅王)
고려 제27대 왕. 재위 1313~1330, 1332~1339. 충선왕(忠宣王)의 둘째 아들. 원(元) 나라의 세공(歲貢)을 삭감하고 공녀(貢女)ㆍ환자(宦者)의 선발을 중지시키는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나, 뒤에 사냥과 연회 등에 빠져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않음.
1294~133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정조은(鄭朝隱)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정족산(鼎足山) - 삼각산(三角山)
서울 북부와 경기도 고양에 걸쳐 있는 북한산(北漢山)의 고려ㆍ조선시대의 이름. 최고봉 백운대(白雲臺)와 그 동쪽의 인수봉(仁壽峰), 남쪽 만경대(萬景臺)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명명됨.
경기도>고양ㅣ서울 , 지명>자연지명
-
정존(靜存) - 예겸(倪謙)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1450년(조선 세종 32) 경제(景帝)의 등극을 알리러 조선에 온 사신으로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내고, 저서로 《조선기사(朝鮮紀事)》를 남김.
1415~147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존(靜存)@이담 - 이담(李湛)@151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용인(龍仁).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양산(梁山)에 부처(付處)되었다가 복직된 후 충청도 관찰사 등을 지냄. 성리학자로서 의약ㆍ천문ㆍ산수ㆍ궁술ㆍ서화에도 능함.
1510~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존문장(靜存文丈) - 이담(李湛)@151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용인(龍仁).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양산(梁山)에 부처(付處)되었다가 복직된 후 충청도 관찰사 등을 지냄. 성리학자로서 의약ㆍ천문ㆍ산수ㆍ궁술ㆍ서화에도 능함.
1510~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존재(靜存齋) - 이담(李湛)@151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용인(龍仁).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양산(梁山)에 부처(付處)되었다가 복직된 후 충청도 관찰사 등을 지냄. 성리학자로서 의약ㆍ천문ㆍ산수ㆍ궁술ㆍ서화에도 능함.
1510~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종(政宗) - 이달정종(伊達政宗)
일본 도산시대~강호시대 때의 무신. 어릴 때 천연두로 오른쪽 눈을 실명하였으나, 중장(中將)으로 임진왜란에 참가하여 진주성(晉州城) 함락에 앞장섬. 덕천가강(德川家康)과 깊은 유대를 가짐.
1567~1636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정종(正宗) - 정조(正祖)
조선 제22대 왕. 재위 1776~1800. 숙종(肅宗)ㆍ영조(英祖)의 탕평론을 이어받아 재위 초부터 민산(民産)ㆍ인재(人才)ㆍ융정(戎政)ㆍ재용(財用) 등의 부문별로 왕정체제를 강화하여 위민정치를 실현하고자 매진함.
1751~18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정종(貞宗) - 희종(熙宗)
고려 제21대 왕. 재위 1204~1211. 신종(神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정화태후 김씨(靖和太后金氏).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폐위되고, 최우(崔瑀)에 의해 강화로 유배됨.
1181~123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정종(鄭從) - 정혼(鄭渾)
고려 창왕(昌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으로, 어사중승(御史中丞)을 지낸 정지상(鄭之祥)의 아들. 전리좌랑(典理佐郞)으로 있을 때 어머니가 왜구에게 살해되자 소모별감(召募別監)이 되어 박위(朴葳)를 따라 대마도에 종군해 공을 세움.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종문성무열성인장효대왕실록(正宗文成武烈聖仁莊孝大王實錄) - 정조실록(正祖實錄)
조선 제22대 정조(正祖)의 재위 24년간(1776~1800)의 실록. 이병모(李秉模)ㆍ이시수(李時秀)ㆍ이만수(李晩秀)ㆍ김재찬(金載瓚) 등이 1800년(순조 즉위년)에 시작하여 1805년(순조 5)에 완성함.
180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정종지(鄭宗之) - 정도전(鄭道傳)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의 문인. 조선 왕조의 개국을 주도하고 사상ㆍ제도 면에서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에 의해 희생됨.
134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좌와(靜坐窩) - 송이창(宋爾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은율 군수(殷栗郡守) 송응서(宋應瑞)의 아들로,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의 문인. 광해군 때 신녕 현감(新寧縣監)으로 재임 중에 칠서지옥(七庶之獄) 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시주(詩酒)로 여생을 보냄.
1561~16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정주(呈珠) - 이정주(李呈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영정수(永定守) 이복중(李福重)의 아들로, 난역(亂逆) 혐의로 유배된 아버지의 억울함을 하소연하고 방면(放免)을 요청하였으나 실패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정주(定州) - 귀성(龜城)
평안도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성종(成宗) 때 강동육주(江東六州)를 설치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며, 국방상의 요충지로 중시됨.
평안도>귀성 , 지명>행정지명
-
정주(靜州)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정주(鼎柱) - 성정주(成鼎柱)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덕구(成德求)의 아들이자 성근묵(成近默)의 아버지로, 평택 현감(平澤縣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정주공소(鄭注孔疏) - 예기(禮記)
예(禮)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유교 경전.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유덕(劉德)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고, 대덕(戴德)이 85편으로, 대성(戴聖)이 49편으로 간추림. 대성이 편찬한 《소대례(小戴禮)》가 현존하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정주자(淨住子) - 소자량(蕭子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ㆍ문인. 무제(武帝)의 둘째 아들로, 경릉군왕(竟陵郡王)에 봉해졌으며, 《사부요략(四部要略)》을 편찬함. 문인들을 모아놓고 시 짓기 놀이를 할 때 촛불 일촌(一寸)이 탈 동안 완성하기로 규정을 삼은 고사가 전해짐.
460~4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정주학(程朱學) - 성리학(性理學)
중국 송(宋) 나라 때 유학(儒學)의 한 계통으로, 인간 본연의 성(性)을 발현하기 위해 물(物)에 대한 이(理)를 참고해야 한다는 것을 요지로 하는 철학.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정준(廷俊) - 왕백언(汪伯彦)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지냈으나, 금군(金軍)이 남침했을 때 황잠선(黃潛善) 등과 함께 방비책을 강구하지 않고 화평을 주장하여 송 나라를 패배하게 함.
1069~114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준(貞俊) - 김정준(金貞俊)
고려 정종(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책(金策)의 아들로, 문하시랑동평장사(門下侍郞同平章事)를 지냄. 《고려사(高麗史)》에는 정(貞)이 정(廷)으로 되어 있음.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정준유(鄭俊儒) - 정의(鄭顗)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경인(西京人) 최광수(崔光秀) 등이 난을 일으키자, 분대녹사(分臺錄事)로 이들을 격살하고 성을 회복하여 섭중랑장(攝中郞將)이 되었으며 대장군까지 오름.
?~123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정중(正中) - 이정은(李貞恩)
조선 태종(太宗)의 아들인 익녕군(益寧君) 이치(李袳)의 둘째 아들. 음률(音律)과 시(詩)에 뛰어나고 청담파(淸談派)의 일원이 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정중(正仲) - 성세평(成世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재상을 지낸 성락(成洛)ㆍ성람(成灠)과 성영(成泳)의 아버지.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등을 지냄.
1516~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정중(精中) - 이정중(李精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 이유중(李惟中)의 아우로, 1588년(선조 2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정중(精仲) - 김희련(金希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암(靈岩). 1543년(중종 3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평사(評事) 등을 지냄.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정중(靜仲)@허초 - 허초(許礎)
조선 전기의 유학. 이자(李耔)ㆍ이연경(李延慶)ㆍ김세필(金世弼)ㆍ정약빙(鄭若氷) 등과 종유하면서 강학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중(靜仲) - 이암(李巖)
조선 인종(仁宗) 때의 종친ㆍ화가.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으로, 동식물을 소재로 한 그림을 잘 그렸으며, 인종 초에 중종(中宗)의 어용(御容)을 그릴 때 이에 참여함.
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정중(鼎重) - 민정중(閔鼎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으로,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민광훈(閔光勳)의 아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직언(直言)을 잘했는데,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유배되어 죽음.
1628~16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중부난(鄭仲夫亂) - 무신정변(武臣政變)
고려 의종(毅宗) 24년 천대를 받던 무신들이 일으킨 정치적 변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이 중심이 되어 정변을 일으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함. 고려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는 분기점이 됨.
117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장단ㅣ경기도>개성 , 사건>역모
-
정지(定之)@유정지 - 유정지(劉定之)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예부 시랑(禮部侍郞) 등을 지냈으며, 학문이 깊고 시문(詩文)에 능함. 저서로 《매재집(呆齋集)》ㆍ《역경도석(易經圖釋)》등이 있음.
1409~146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지(定之) - 이총(李𤄓)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아들로, 조광조(趙光祖)와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연좌되어 울산(蔚山)으로 유배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정지(挺之)@김정 - 김정(金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정(金淨)의 문인(門人). 중부 참봉(中部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호은정(壺隱亭)을 지어 놓고 소요함.
150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지(挺之)@구수복 - 구수복(具壽福)
조선 중종(中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협조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며, 후에 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역임함. 김정(金淨)과 도의(道義)로써 사귀고, 경학(經學)에 몰두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
1491~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지(挺之)@엄정지 - 엄정지(嚴挺之)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호부 시랑(戶部侍郞) 소경(蕭炅)이 문자에 어두워서 ‘복랍(伏臘)’을 ‘복렵(伏獵)’으로 잘못 말한 것에 대해, 그를 ‘복렵시랑(伏獵侍郞)’이라고 조롱하였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지(挺之)@오정립 - 오정립(吳挺立)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부훤당(負暄堂) 오상(吳祥)의 맏형인 오경(吳慶)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정지(挺之) - 김영간(金永幹)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김굉필(金宏弼) 문하에서 수업하고 조광조(趙光祖) 등과 교유하였으며, 단경왕후(端敬王后) 복위를 상소하였다가 장흥(長興)에 유배됨.
1468~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정지(挺之)@채세걸 - 채세걸(蔡世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돈녕부 첨정(敦寧府僉正)을 지낸 채자연(蔡子涓)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강원 감사(江原監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지(正之)@권극중 - 권극중(權克中)@1585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권준(權俊)의 아들이며 최명룡(崔命龍)의 문인으로, 인목대비의 폐출 소식을 듣고 낙향하여 역(易)과 내단사상(內丹思想)에 심취해 《참동계주해(參同契註解)》등을 저술함.
1585~165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고부 , 인명>문사>학자
-
정지(正之) - 윤중형(尹仲衡)
조선 중중(中宗) 때의 문신. 제주 목사(濟州 牧使)ㆍ위원 군수(渭原郡守)ㆍ삭주 부사(朔州府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정지(正智) - 지천(智泉)
고려 충숙왕(忠肅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승려. 자초(自超)와 함께 원(元) 나라에 가서 나옹 혜근(懶翁惠勤)의 제자가 되었고, 귀국해서는 수행에만 전념하였음.
1324~139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재령 , 인명>종교인>승려
-
정지(珽之) - 서해(徐嶰)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학문과 덕망이 높았으나 젊은 나이에 죽음.
1537~15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정지(貞之)@윤사정 - 윤사정(尹士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원평군(原平君) 윤공(尹恭)의 아들로, 문천 군수(文川郡守)ㆍ온성 부사(穩城府使) 등을 지냄.
1479~15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정지(貞之) - 심정(沈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해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고 화천군(花川君)에 봉해졌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조광조(趙光祖) 등을 숙청함.
1471~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지(靖之) - 장녕(張寧)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조선 세조(世祖) 때에 우리나라에서 야인(野人)을 함부로 죽인 일을 문책하러 사신으로 왔었으며, 서호(西湖)의 달구경을 읊은 시가 유명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지원명무애국일선사(淨智圓明無礙國一禪師) - 찬영(粲英)
고려 충정왕(忠定王)~공양왕(恭讓王) 때의 승려.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 한적(韓績)의 아들이고, 보우(普愚)의 제자. 공민왕(恭愍王) 때 양가도승록(兩街都僧錄)이 되고, 우왕(禑王)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사후에 국사(國師)의 시호를 받음.
1328~139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정지재(定止齋) - 김확(金確)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유학 김광찬(金光纘)의 아들로, 1603년(선조 36)에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벼슬하지는 않음.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킴.
1583~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정진(丁瑨) - 정진(丁晉)
고려 후기의 유학(幼學). 영성군(靈城君) 정찬(丁贊)의 조부. 영성정씨(靈城丁氏)의 중시조.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유학
-
정진(廷振) - 유구(劉球)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문신. 한림시강(翰林侍講) 등을 역임하였으며, 녹천(麓川)의 역(役)에 군사를 발동한 잘못을 간하였다가 권신 왕진(王振)의 비위를 거슬러 죽임을 당함.
1392~144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진(正鎭) - 기정진(奇正鎭)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이학(理學) 6대가의 한 사람이며, 위정척사(衛正斥邪)의 정신적 지주.
1798~187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ㅣ전라도>순창 , 인명>문사>학자
-
정진공(丁晉公) - 정위(丁謂)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진종 때 총애를 받아 승상(丞相) 구준(寇準)을 배척하였으나, 인종 때 애주(崖州)로 쫓겨나 죽음. 노다손(盧多遜)과 함께 송 나라의 간신(奸臣)으로 꼽힘.
966~103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집(程集) - 이정전서(二程全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글을 총괄하여 편집한 책. 유서(遺書)ㆍ외서(外書)는 주희(朱熹)가 편집하고, 수언(粹言)ㆍ경설(經說)ㆍ문집(文集) 등은 양시(楊時)가 정정(訂定)하여, 1606년 서필달(徐必達)이 간행함.
160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정창군(定昌君) - 공양왕(恭讓王)
고려 제34대 왕. 재위 1389~1392. 고려의 마지막 왕으로, 이성계(李成桂) 등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으나 폐위된 후 삼척부(三陟府)에서 사사됨.
1345~139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정창랑(丁滄浪) - 정암수(丁巖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최산두(崔山斗)의 문인으로, 정철(鄭澈)과도 교분을 쌓음. 1589년(선조 22)에 이산해(李山海)와 유성룡(柳成龍) 등이 정여립(鄭汝立)에 동조하였다고 고발하였으나, 무고(無告)로 몰려 추국(推鞫)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 , 인명>문사>유학
-
정창부원군(定昌府院君) - 공양왕(恭讓王)
고려 제34대 왕. 재위 1389~1392. 고려의 마지막 왕으로, 이성계(李成桂) 등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었으나 폐위된 후 삼척부(三陟府)에서 사사됨.
1345~139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정천(井泉) - 덕원(德源)
함경도 문천(文川)ㆍ원산(元山)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태조(太祖)의 4대 선조인 목조(穆祖)ㆍ익조(翼祖)ㆍ도조(度祖)ㆍ환조(桓祖)의 고향이라 하여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켜 부사(府使)를 두고 다스림.
함경도>덕원 , 지명>행정지명
-
정천장(鄭天章) - 정두형(鄭斗亨)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참봉(參奉) 정충원(鄭忠元)의 아들로,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를 지내고, 죽은 뒤 효행으로 정려(旌閭)가 하사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정청(貞淸) - 신명인(申命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 사림파의 구명을 위해 상소함. 정광필(鄭光弼)ㆍ안당(安瑭)ㆍ이장곤(李長坤)ㆍ김정(金淨)ㆍ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ㆍ기준(奇遵) 등과 함께 팔현(八賢)이라 불림.
14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문인
-
정총(廷寵) - 설정총(薛廷寵)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539년(중종 34) 조선에 사신으로 왔으며, 이때 모화관(慕華館) 앞의 영조문(迎詔門)을 영은문(迎恩門)으로 개칭하게 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추만(鄭秋巒) - 정지운(鄭之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로, 정인필(鄭寅弼)의 아들. 김정국(金正國)ㆍ김안국(金安國)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기지학(修己之學)을 실천하며 《천명도설(天命圖說)》 등을 저술함.
1509~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정축삼학사(丁丑三學士) - 삼학사(三學士)
조선 후기 병자호란 때 청(淸) 나라와의 결사 항전을 주장한 세 학사. 홍익한(洪翼漢)ㆍ윤집(尹集)ㆍ오달제(吳達濟)를 일컫는 말로, 이들은 끝까지 화의(和議)를 반대하다가 1637년(인조 15) 중국 심양(瀋陽)에 잡혀가 처형당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정춘(靜春)@윤휘 - 윤휘(尹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두수(尹斗壽)의 셋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의 특명전권대사(特命全權大使)로 청(淸) 나라와의 강화조약을 체결하는 등, 청 나라와의 외교를 전담함.
1571~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정춘(靜春) - 유청지(劉淸之)
중국 송(宋)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예양현위(澧陽縣尉)ㆍ통판(通判) 등을 역임하였고, 주희(朱熹)와 더불어 《소학(小學)》을 편찬함.
1134~119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충(淨忠) - 성충(成忠)
백제 의자왕(義慈王) 때의 문신. 656년 좌평(佐平)으로 있을 때, 신라와의 싸움에서 연승하여 왕이 자만과 주색에 빠지자 극간하다가 옥에 갇혀 단식 끝에 죽음.
?~656 한국>백제 , 인명>관인>문신
-
정충(鄭忠) - 정성근(鄭誠謹)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참수(斬首) 당함. 중종(中宗) 때 이조 참판(吏曹參判)으로 추증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충록(貞忠錄) - 구정충록(九貞忠錄)
고려 말기에 구정충(九貞忠)으로 일컬어지던 전오륜(全五倫)ㆍ김자수(金子粹)ㆍ이행(李行) 등 고려 충신 9인의 행적이 담겨 있는 글.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정충적개공신(精忠敵愾功臣) - 적개공신(敵愾功臣)
조선 세조(世祖) 13년에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박중선(朴仲善)ㆍ허종(許琮) 등 총 45명에게 내림.
1467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 - 적개공신(敵愾功臣)
조선 세조(世祖) 13년에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박중선(朴仲善)ㆍ허종(許琮) 등 총 45명에게 내림.
1467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정충포의적개공신(精忠布義敵愾功臣) - 적개공신(敵愾功臣)
조선 세조(世祖) 13년에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勳號). 세 등급으로 나누어 박중선(朴仲善)ㆍ허종(許琮) 등 총 45명에게 내림.
1467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정칙(正則)@김숙준 - 김숙준(金叔準)
조선 전기의 유학. 성현(成俔)의 《허백당집(虛白堂集)》에 그의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칙(正則)@섭적 - 섭적(葉適)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백웅(鄭伯熊)의 문인으로, 영가학파(永嘉學派)의 대표적 인물. 송대 성리학의 공담(空談)에 반대하고 도(道)는 개개의 사물과 분리될 수 없음을 주장함. 저서에 《섭적집(葉適集)》이 있음.
1150~12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칙(正則)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정칙(正則)@김윤정 - 김윤정(金胤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가흥(佳興). 김득선(金得先)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직강(直講)ㆍ만경 현령(萬頃縣令)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정태중(程太中) - 정향(程珦)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정호(程顥)ㆍ정이(程頤)형제의 아버지로 태중대부(太中大夫)를 지냄.
1006~109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통(正統) - 영종(英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6대, 제8대 황제. 재위 1436~1449, 1457~1464. 선종(宣宗)의 장남. 인종(仁宗) 때의 정책을 계승하여 안정을 이루었지만 황태후 장씨(張氏)가 죽고 원로대신들이 실각하자 반대 세력에 의해 양위했다가 다시 복위함.
1427~146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정통황제(正統皇帝) - 영종(英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6대, 제8대 황제. 재위 1436~1449, 1457~1464. 선종(宣宗)의 장남. 인종(仁宗) 때의 정책을 계승하여 안정을 이루었지만 황태후 장씨(張氏)가 죽고 원로대신들이 실각하자 반대 세력에 의해 양위했다가 다시 복위함.
1427~146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정팔계(鄭八溪) - 정종영(鄭宗榮)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을 지낸 정숙(鄭淑)의 아들로,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시절 평양에 서원과 서적포를 설립하여 학문을 진흥시키는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13~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정팔계군(鄭八溪君) - 정종영(鄭宗榮)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을 지낸 정숙(鄭淑)의 아들로,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시절 평양에 서원과 서적포를 설립하여 학문을 진흥시키는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청백리에 녹선됨.
1513~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정편동문선(正編東文選) - 동문선(東文選)
조선 성종(成宗) 때 서거정(徐居正) 등이 왕명을 받아 신라 때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시문(詩文)을 모아 엮은 시문집. 이후 숙종(肅宗) 때 당시까지의 시문을 추가하여 개편(改編)한 것까지 통틀어 이르기도 함.
14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정편지웅존자(正遍智雄尊者) - 혼수(混脩)
고려 충혜왕(忠惠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승려. 대선사인 계송(繼松)에게 가서 출가하고, 선교(禪敎) 경전을 두루 연구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함. 경관(慶觀)ㆍ담원(湛圓)ㆍ소안(紹安)ㆍ만우(萬雨) 등의 제자를 배출함.
1320~139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용천ㅣ충청도>충주ㅣ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정평(定平) - 함부림(咸傅霖)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검교 중추원학사(檢校中樞院學士) 함승경(咸承慶)의 아들.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360~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평(正平)@김만균 - 김만균(金萬均)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장생(金長生)의 증손자로, 김익희(金益熙)의 아들이며 강원 감사(江原監司) 김진옥(金鎭玉)의 아버지.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631~167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정평(正平)@신계형 - 신계형(申季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유희춘(柳希春)과 함께 1537년(중종 3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연은전 참봉(延恩殿參奉)이 되었고, 추천으로 진안 현감(鎭安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안 , 인명>관인>문신
-
정평(正平)@유공권 - 유공권(柳公權)@고려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정당문학(政堂文學)ㆍ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예서(隸書)와 초서(草書)를 잘 씀.
1132~1196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