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제(悌) - 남제(南悌)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남효온(南孝溫)의 숙부.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ㆍ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역임함. 강희맹(姜希孟) 누이의 아들로, 《사숙재집(私淑齋集)》에 강희맹의 기시(寄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제(悌)@임제 - 임제(林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시인ㆍ문신. 성운(成運)의 문인으로,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지제교(知製敎)를 지냄. 동서(東西)의 당파싸움을 개탄(慨歎)하여 벼슬을 버리고 명산을 유람하며 문장가로 명성을 떨침.
1549~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제(提) - 정제(鄭提)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하원군(河原君) 정수충(鄭守忠)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제(梯) - 신제(申梯)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낸 신자교(申子橋)의 아버지로, 지평 현감(砥平縣監) 등을 지냄.
1393~14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제(濟) - 왕제(王濟)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의 부마(駙馬). 왕혼(王渾)의 아들로,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고 용력(勇力)이 뛰어났으며, 상산공주(尙山公主)와 혼인하여 극도의 호사를 누림.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제(濟)@김제 - 김제(金濟)
고려 후기의 문신.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출사(出仕)하지 않고 충절을 지킨 두문동(杜門洞) 칠십이현(七十二賢) 중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제(濟)@노제 - 노제(盧濟)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부친 노책(盧頙)이 기철(奇轍)의 반란사건에 연루되어 주살된 후 체포되어 사형되었음.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제(濟)@박제 - 박제(朴濟)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1583년(선조 16)에 상소를 올려 동인(東人) 김효원(金孝元)ㆍ김응남(金應南) 등을 탄핵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제(濟)@이제 - 이제(李濟)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계(李成桂)의 셋째 딸 경순공주(慶順公主)와 결혼함.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흥안군(興安君)에 봉해졌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鄭道傳)의 일파로 몰려 이방원(李芳遠)에 의하여 살해됨.
?~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ㅣ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제(濟)@권제 - 권제(權濟)
조선 전기의 유학. 어려서부터 사부(詞賦)를 잘 짓는다고 이름이 났지만 계속 과거에 실패한 뒤 쌍계사(雙磎寺)에서 학문을 닦고, 하수일(河受一)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제(磾) - 우제(禹磾)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우천계(禹天啓)의 아들. 홍건적(紅巾賊)의 침입과 김용(金鏞)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고, 최영(崔瑩)ㆍ이성계(李成桂) 등과 함께 최유(崔濡)를 격퇴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무신
-
제(禔) - 김제(金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화가.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좌의정 김안로(金安老)의 아들. 산수화를 특히 잘 그렸으며, 최립(崔笠)의 문장, 한호(韓濩)의 글씨와 더불어 삼절(三絶)이라 불림.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ㆍ구사민(具思閔)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1524~159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제(禔)@양녕대군 - 양녕대군(讓寧大君)
조선 태종(太宗)의 첫째 아들. 1404년(태종 4)에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자유분방한 성품과 행동으로 인해 유정현(柳廷顯) 등의 청원으로 폐위되고, 아우인 충녕대군(忠寧大君)에게 양위됨.
1394~146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제(褆) - 양녕대군(讓寧大君)
조선 태종(太宗)의 첫째 아들. 1404년(태종 4)에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자유분방한 성품과 행동으로 인해 유정현(柳廷顯) 등의 청원으로 폐위되고, 아우인 충녕대군(忠寧大君)에게 양위됨.
1394~146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제(踶) - 권제(權踶)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사》편찬에 참여하고, 정인지(鄭麟趾)ㆍ안지(安止)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음.
1387~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제(躋)@이농의아들 - 이제(李躋)@이농의아들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맏아들로, 세종부터 성종까지 내리 여섯 조정을 섬겼으며, 옥산군(玉山君)에 봉해짐.
1429~14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제(躋)@이창량의아들 - 이제(李躋)@이창량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로,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낸 이창량(李昌良)의 아들.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제(霽) - 강제(姜霽)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의(引儀) 강응청(姜應淸)의 아들로, 영덕 현감(盈德縣監)ㆍ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냄.
1526~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제(霽)@안제 - 안제(安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이황(李滉)ㆍ구봉령(具鳳齡)의 문인(門人). 충청 도사(忠淸都事)ㆍ용궁 현감(龍宮縣監)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세운 공(功)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음.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제(霽)@민제 - 민제(閔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조선 태종의 장인. 고려 말에 여러 요직을 거치고 조선 개국 후 문하우정승(門下右政丞)ㆍ좌정승(左政丞)을 지냄.
1339~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제(齊) - 남제(南齊)
중국 남북조시대 남조(南朝)의 두 번째 왕조. 남조 송(南朝宋)의 장군 소도성(蕭道成)이 순제(順帝)로부터 양위(讓位)를 받아 세웠으며, 7대 24년간 존속.
479~50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제가(齊家) - 박제가(朴齊家)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실학자. 시문 사대가(詩文四大家)의 한 사람으로, 박지원(朴趾源)ㆍ이덕무(李德懋)ㆍ유득공(柳得恭) 등과 함께 북학파(北學派)를 이룸. 저서에 《북학의(北學議)》ㆍ《정유고략(貞蕤稿略)》 등이 있음. 춘당대 무과(春塘臺武科)에 장원하여 오위장(五衛將)ㆍ영평 현감(永平懸監) 등을 지냄.
1750~1805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제간(齊簡) - 권규(權跬)
조선 태종(太宗명)~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태종의 삼녀 경안공주(慶安公主)와 결혼하여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짐.
1393~14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제간(齊簡)@설지충 - 설지충(薛之冲)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설공검(薛公儉)의 아들. 독로화(禿魯花)로서 원(元) 나라에 다녀왔으며,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제간(齊簡)@경녕군 - 경녕군(敬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 효빈김씨(孝嬪金氏)의 소생으로, 천성이 어질고 학문에 밝았으며, 태종부터 세조(世祖) 때에 이르기까지 충성을 다하여 국정과 왕실을 위해 헌신함.
1395~14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제갈공(諸葛公)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제갈공명(諸葛孔明) - 제갈량(諸葛亮)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 뛰어난 전략가(戰略家)로 유비(劉備)의 삼고초려(三顧草廬)의 예(禮)에 감격하여 그를 도와 오(吳) 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 나라를 대파하고 촉을 일으키는 데 큰 공을 세움.
221~26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제갈무후문집(諸葛武侯文集) - 제갈량집(諸葛亮集)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인 제갈량(諸葛亮)의 저서. 저자의 정치사상과 군사사상을 담고 있고, 명(明) 나라 때 왕사기(王士騏)에 의해 다시 편찬됨.
27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제갈무후전서(諸葛武侯全書) - 무후전서(武侯全書)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왕사기(王士騏)가 제갈량(諸葛亮)의 사적(事跡) 및 후인들의 평론(評論)ㆍ시부(詩賦) 등을 모아 편찬한 책. 20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제갈승상집(諸葛丞相集) - 제갈량집(諸葛亮集)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인 제갈량(諸葛亮)의 저서. 저자의 정치사상과 군사사상을 담고 있고, 명(明) 나라 때 왕사기(王士騏)에 의해 다시 편찬됨.
27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제갈충무후문집(諸葛忠武侯文集) - 제갈량집(諸葛亮集)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인 제갈량(諸葛亮)의 저서. 저자의 정치사상과 군사사상을 담고 있고, 명(明) 나라 때 왕사기(王士騏)에 의해 다시 편찬됨.
27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제갑(悌甲) - 김제갑(金悌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영원산성(領原山城)에서 순절(殉節)함.
1525~15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제강(提綱) - 국사제강(國史提綱)
조선 후기에 편찬된 역사서. 1책. 필사본. 조선 태조(太祖)부터 숙종(肅宗) 말년까지의 사실을 엮은 것으로, 저자나 간행연대가 불분명함. 《허암유집(虛庵遺集)》 속집(續集)에 보임.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제겸(悌謙) - 심제겸(沈悌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아들로, 판관(判官)을 지냄.
155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제겸(濟謙) - 김제겸(金濟謙)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의 아들. 신임사화(辛壬士禍)로 죽은 3학사(學士)의 한 사람으로,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1680~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제경(濟卿) - 신여즙(申汝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신충(申冲)의 아들로, 첨정(僉正)을 역임함.
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제경(齊景) - 경공(景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諸侯). 재위 B.C.547~B.C.490.
?~B.C.49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경석의(諸經釋義) - 경서석의(經書釋義)
조선 전기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삼경(三經)과 사서(四書)를 주석(註釋)한 책. 임진왜란 때 일실(逸失)되었으나, 광해군(光海君) 때 전사본(傳寫本)을 수집하여 간행함. 8권 2책. 목판본(木版本).
160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제곡(梯谷) - 김의원(金義元)@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정황(丁熿)이 지은 〈제곡장김의원만(梯谷丈金義元挽)〉이라는 시가 《유헌집(游軒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제곡고신(帝嚳高辛) - 제곡(帝嚳)
중국 고대 전설상의 국왕. 오제(五帝) 중의 한 사람으로, 셋째 아내 경도(慶都)가 요(堯)를 낳았으며 150세까지 살았다고 전해짐.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제공(濟恭) - 채제공(蔡濟恭)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오광운(吳光運)ㆍ강박(姜樸)의 문인. 남인(南人) 중 청남(淸南) 계열의 지도자로서 사도세자(思悼世子)를 옹호하고 탕평책(蕩平策)을 추진하는 등 영조와 정조에게 깊은 신임을 받았으며, 영의정 등을 지냄.
1720~179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제교(祭郊) - 유희량(柳希亮)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이며, 광해군의 처남. 사복시 정(司僕寺正)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5~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제교(霽嶠) - 유희량(柳希亮)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이며, 광해군의 처남. 사복시 정(司僕寺正)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5~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제국(濟國) - 백제(百濟)
고대의 삼국 가운데 온조왕(溫祚王)이 기원전 18년에 한반도 남서부에 세운 국가. 온조왕부터 의자왕(義慈王)까지 31대 678년간 존속.
B.C.18~A.D.660 한국>백제 , 시간>국명
-
제국공(濟國公) - 조횡(趙竑)
중국 송(宋) 나라의 왕자ㆍ제후. 영종(寧宗)이 아들이 없어 종실(宗室)인 조횡(趙竑)을 황자(皇子)로 세워 장래의 후계로 삼으려 했지만, 정승(政丞)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저지당하고 결국 죽임을 당함.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제자.
?~122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제국공(齊國公) - 숙량흘(叔梁紇)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안징재(顔徵在)와 야합(野合)하여 유학(儒學)의 개조(開祖)인 공자(孔子)를 낳음. 계성사(啓聖祠)에서 제향함.
?~B.C.54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제국기(諸國記) - 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
조선 성종(成宗) 때 신숙주(申叔舟)가 왕명에 따라 편찬한 일본(日本)에 관한 저서. 2책. 필사본. 일본의 지세ㆍ문물, 조선과의 외교관계의 대강을 기록하였음.
147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제남(悌男) - 김제남(金悌男)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장인. 둘째 딸이 선조의 계비인 인목왕후(仁穆王后)가 됨. 광해군(光海君) 때 이이첨(李爾瞻) 등에 의해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추대하려 했다는 공격을 받아 사사되어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함.
1562~161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제남생(濟南生) - 복승(伏勝)
중국 한(漢) 나라 때의 경학자(經學者). 제남(濟南) 사람으로, 문제(文帝)가 경전을 복원할 때 《상서(尙書)》를 구술(口述)하여 세상에 전함.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제납박타존자(提納薄陀尊者) - 지공(指空)
인도 마갈제국(摩竭提國)의 승려. 원(元) 나라에 있다가 1326년 고려에 와서 머물렀던 고승으로, 나옹 혜근(懶翁惠勤)의 스승임. 회암사지(檜巖寺址)에 승탑(僧塔)이 남아 있으며, 이색(李穡)이 부도명(浮圖銘)을 지음.
?~1363 한국>고려후기 , 기타지역ㅣ중국ㅣ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제녀(齊女) - 선(蟬)
매미. 옛날 제(齊) 나라의 왕후가 억울하게 죽은 뒤에 매미로 변해서 궁정 앞의 나무에 올라 애달프게 울었다는 전설에서 기인하여, 후비(后妃)나 궁녀(宮女)의 비원(悲怨)을 상징함.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영선(詠蟬)〉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실려 있음.
자연물>동물
-
제년(齊年) - 홍제년(洪齊年)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회인(懷仁). 영의정(領議政) 홍윤성(洪允成)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인 , 인명>문사>유학
-
제노(齊奴) - 석숭(石崇)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부호(富豪). 형주 자사(荊州刺史) 등을 지냈으나, 팔왕(八王)의 난(亂) 때 조왕(趙王) 사마륜(司馬倫)에게 살해됨.
249~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제당(帝唐) - 요(堯)
중국 전설상의 성천자(聖天子) 요(堯) 임금. 순(舜)과 아울러 '요순(堯舜)의 치(治)'라 하여,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천자상(天子像)으로 알려짐.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대(濟大) - 김용겸(金用謙)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창즙(金昌緝)의 아들. 이재(李縡)와 박필주(朴弼周)에게 경서(經書)와 예서(禮書)를 배웠으며,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등을 지냄.
1702~17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제도(齊度) - 윤암(尹巖)
조선 태종(太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태종의 아홉 번째 서녀(庶女)인 숙경옹주(淑慶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지냈고.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제도공(齊悼公) - 도공(悼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488~B.C.485. 경공(景公)의 아들로 노(魯) 나라로 망명해 있다가 안유자(晏孺子)의 뒤를 이어 즉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동야인(齊東野人) - 장양호(張養浩)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한림 직학사(翰林直學士)ㆍ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관잠서(官箴書)인 《삼사충고(三事忠告)》등의 저술을 남김. 중국 문학사에서 원대(元代) 산곡(散曲)의 대표 작가로 꼽힘.
1269~1329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제두(齊斗) - 유제두(柳齊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학 유경지(柳瓊枝)의 아들로, 서산유씨(瑞山柳氏) 31세손.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제량(諸梁) - 심제량(沈諸梁)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대부. 《논어(論語)》에 공자(孔子)에게 정치에 대해 가르침을 청한 기록이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제론(齊論) - 논어(論語)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공자(孔子)의 언행과 제자들과의 문답 내용을 기록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사서(四書)의 하나로, 중국 최초의 어록(語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제릉(齊陵) - 신의왕후(神懿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正妃). 본관은 안변(安邊).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한경(韓卿)의 딸로 조선이 개국되기 전에 죽었으며, 소생은 정종(定宗)을 비롯한 6남 2녀임.
1337~1391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안변 , 인명>왕실>왕비
-
제만(齊滿) - 권보(權溥)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ㆍ학자. 안향(安珦)의 문인. 국로(國老)로서 대원(對元) 관계의 어려운 정국을 해결하여 공신에 봉해졌고, 《사서집주(四書集註)》를 간행하여 성리학의 전파에 공헌함.
1262~134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제만(齊萬) - 권보(權溥)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ㆍ학자. 안향(安珦)의 문인. 국로(國老)로서 대원(對元) 관계의 어려운 정국을 해결하여 공신에 봉해졌고, 《사서집주(四書集註)》를 간행하여 성리학의 전파에 공헌함.
1262~134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제무왕(齊武王) - 유연(劉縯)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큰 형. 신(新) 나라 왕망(王莽)의 군대를 격파하는데 공로가 있었으나, 경시제(更始帝) 유현(劉玄)에게 죽임을 당함.
?~23 중국>신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제문(帝文)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물수(齊物叟)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제미(齊眉) - 거안제미(擧案齊眉)
밥상을 눈썹 높이까지 들어 올려 바침. 중국 후한(後漢) 때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남편을 지성으로 받들었던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을 뜻함. 《후한서(後漢書)》 〈양홍전(梁鴻傳)〉에 보임.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제미거안(齊眉擧案) - 거안제미(擧案齊眉)
밥상을 눈썹 높이까지 들어 올려 바침. 중국 후한(後漢) 때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남편을 지성으로 받들었던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을 뜻함. 《후한서(後漢書)》 〈양홍전(梁鴻傳)〉에 보임.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제민(齊民) - 송제민(宋齊民)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의병장. 본관은 홍주(洪州). 교서관 정자(校書館正字) 송정황(宋庭篁)의 아들이고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고, 저서로 《와신기사(臥薪記事)》ㆍ《해광집(海狂集)》이 있음.
154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
-
제민(齊閔) - 김제민(金齊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훈도(訓導) 김호(金灝)의 아들이며, 이항(李恒)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향리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을 맞아 싸웠고, 난이 끝난 뒤 학문연구에 전심함.
1527~15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제민(齊閔)@이제민 - 이제민(李齊閔)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신군(永新君) 이이(李怡)의 손자로,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며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오름.
1528~16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제박(濟泊) - 이재(李梓)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인조의 묘호(廟號)에 대하여 인종(仁宗)이 있다는 이유로 반대한 유계(兪棨)ㆍ심대부(沈大孚) 등을 옹호하다가 삭직당함. 집의(執義)ㆍ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등을 지냄.
1606~165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제백(濟伯) - 신벌(申橃)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승정원 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 등을 지낸 신응구(申應榘)의 아버지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1523~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제병(帝昺) - 상흥제(祥興帝)
중국 송(宋) 나라의 마지막 황제. 재위 1278~1279. 도종(度宗)의 막내아들로, 형 단종(端宗)이 죽자 즉위했으나 원(元) 나라 군대에 쫓기다가 바다에 빠져 죽었으며, 이에 송은 멸망함.
?~1279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보(濟甫) - 권장(權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명종(明宗)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동생.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1489~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제보(濟甫)@이공인 - 이공인(李公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이달선(李達善)의 아들로,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지냄.
?~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제봉(霽峯)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제봉주옹(霽峯主翁)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제부(濟夫)@조혜 - 조혜(趙惠)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한평부원군(漢平府院君) 조연(趙涓)의 아들이며 성종(成宗) 때의 문신 조지주(趙之周)의 아버지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를 지냄.
?~146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제부(濟夫) - 권장(權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명종(明宗)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동생.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1489~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제부(濟夫)@신장 - 신장(申檣)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아버지. 《정종실록(定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유학(儒學)에 조예가 깊고 서예에도 능함.
1382~14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제상(堤上) - 박제상(朴堤上)
신라 내물왕(奈勿王)~눌지왕(訥祗王) 때의 충신(忠臣). 고구려에 볼모로 간 복호(卜好)와 왜에 볼모로 간 미사흔(未斯欣)을 구해낸 후 왜에 붙잡혔으나 충절을 지키다가 박다(博多)에서 순국함. 영해박씨(寧海朴氏)의 시조.
363~419 한국>신라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제상(齊相) - 관중(管仲)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 부국강병(富國强兵)의 정치를 이룩하여 제후를 규합하고 천하를 통일함으로써 환공(桓公)을 춘추오패(春秋五霸)의 으뜸이 되게 함.
?~B.C.6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제생군(濟生君) - 우운(友雲)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 시중(侍中) 김륜(金倫)의 아들. 어려서 출가하여 화엄종(華嚴宗)의 승려가 되었으며, 현수교관(賢首敎觀)을 깊이 익힘. 공민왕의 신임을 받아 이름 있는 여러 사찰의 주지를 맡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울산 , 인명>종교인>승려
-
제선(齊宣) - 선왕(宣王)@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342~B.C.324. 학술과 문화의 융성에 힘썼고, 인문(人文) 애호자로 많은 자유사상가를 보호하여 ‘직하(稷下)의 학사’가 수천 명에 달함.
?~B.C.30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수(濟叟)@이공장 - 이공장(李公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산(星山). 금산 군수(金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제수(濟叟) - 신여즙(申汝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신충(申冲)의 아들로, 첨정(僉正)을 역임함.
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제수(濟叟)@신의 - 신의(申檥)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 본관은 고령(高靈). 좌승지를 역임한 신수경(申秀涇)의 아들로,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소생인 경현공주(敬顯公主)와 결혼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왕실>인척
-
제숙(齊肅) - 김균(金稛)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조선 개국공신의 한 사람으로 계림군(鷄林君)에 봉해짐.
1341~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제순(帝舜)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제순(悌筍) - 금제순(琴悌筍)
조선 전기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금의순(琴義筍)의 동생으로, 관직은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제순중화(帝舜重華)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제신(帝辛) - 주(紂)
중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 제을(帝乙)의 아들로, 달기(妲己) 등의 미인과 음란 방탕한 생활을 즐기고, 비간(比干) 등의 충신을 내치는 등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인심을 잃어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신(悌臣)@김제신 - 김제신(金悌臣)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연산군 때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하고,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김종직(金宗直)의 처형을 주장함.
1438~149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제신(悌臣) - 염제신(廉悌臣)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원(瑞原)으로, 공민왕의 비(妃)인 신비(愼妃)의 아버지. 어려서 원(元) 나라에 건너가 진종(晉宗)을 시종하여 상의사(尙衣使)가 되고, 귀국하여 삼사좌사(三司左使)ㆍ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등을 지냄.
1304~138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제신(濟臣)@1536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제신(濟臣)@1510 - 이제신(李濟臣)@1510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안주(安宙)의 문인으로 약관(弱冠)에 국학(國學)에 들어가 김범(金範)ㆍ배신(裵紳) 등과 수학(修學)했으며, 임진왜란과 인종(仁宗)의 승하(昇遐)를 예언하고 산림에 은둔함.
1510~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학자
-
제안(濟安) - 최제안(崔濟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화순(和順). 최순(崔順)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의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제안(齊安)@정제안 - 정제안(鄭齊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로, 판관(判官)을 지낸 정회아(鄭懷雅)의 아버지. 1405년(태종 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성균생원(成均生員)이 되고, 재화(才華)가 있었다고 함.
1390~14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