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제안(齊安) - 왕숙(王淑)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ㆍ종친. 경안궁주(慶安宮主)와 혼인하였다가 뒤에 다시 충렬왕의 딸인 정녕원비(靖寧院妃)와 재혼함. 원(元) 나라에 머물렀던 충선왕의 전지정치(傳旨政治)로 인해 국정을 대행함.
1238~131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제안(齊晏) - 안영(晏嬰)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영공(靈公)~경공(景公) 때의 재상. 제 나라의 어진 재상으로 관중(管仲)과 비견되고, 어떤 권력에도 굽히지 않는 지조가 있었음.
?~B.C.50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제안(齊案) - 맹광(孟光)
중국 후한(後漢) 때의 열녀(烈女). 양홍(梁鴻)의 아내로,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 치마를 입는 등 검소하였으며, 남편을 지성으로 섬김.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열녀
-
제안(齊顔) - 김제안(金齊顔)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1366년(공민왕 13) 군부좌랑(軍簿佐郞)으로서 하남왕(河南王) 확곽첩목아(擴廓帖木兒)에게 사신으로 가서 사명(使命)을 다함. 김정(金精) 등과 신돈(辛旽)을 죽이려고 모의하다가 계획이 탄로나 죽임을 당함.
?~136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제안대군(齊安大君)@왕숙 - 왕숙(王淑)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ㆍ종친. 경안궁주(慶安宮主)와 혼인하였다가 뒤에 다시 충렬왕의 딸인 정녕원비(靖寧院妃)와 재혼함. 원(元) 나라에 머물렀던 충선왕의 전지정치(傳旨政治)로 인해 국정을 대행함.
1238~131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제안부(齊案婦) - 맹광(孟光)
중국 후한(後漢) 때의 열녀(烈女). 양홍(梁鴻)의 아내로,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 치마를 입는 등 검소하였으며, 남편을 지성으로 섬김.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열녀
-
제안후(齊安侯) - 왕숙(王淑)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ㆍ종친. 경안궁주(慶安宮主)와 혼인하였다가 뒤에 다시 충렬왕의 딸인 정녕원비(靖寧院妃)와 재혼함. 원(元) 나라에 머물렀던 충선왕의 전지정치(傳旨政治)로 인해 국정을 대행함.
1238~131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제양(齊襄) - 양공(襄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697~B.C.686. 재위 중에 노(魯) 나라와 위(衛) 나라를 정벌하였으나, 후일 연칭(連稱)과 공손무지(公孫无知)에게 시해됨.
?~B.C.68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양(齊陽) - 양천(陽川)
경기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의 서울시 양천구(陽川區) 가양동(加陽洞) 일대를 말하며, 개화산(開花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었음.
경기도>양천 , 지명>행정지명
-
제양군(齊陽君) - 허광(許礦)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허종(許琮)의 아들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강릉 부사(江陵府使)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제양백(濟陽伯) - 고경(高慶)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음. 간의동지(諫議同知)를 지낸 고용현(高用賢)의 아버지.
1276~134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제영(齊寗) - 영척(甯戚)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 집이 가난하여 남의 소를 치다가 환공(桓公)이 지나간다는 소식을 듣고서 쇠뿔을 두드리며 자신의 시름을 노래하자, 환공이 불러서 대화한 후 뛰어난 식견에 기뻐하며 대부로 삼았다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제오백어(第五伯魚) - 제오륜(第五倫)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명신(名臣)으로 언변(言辯)이 뛰어났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제옹(濟翁)@홍경주 - 홍경주(洪景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중종의 후궁인 희빈홍씨(熙嬪洪氏)의 아버지로, 중종반정(中宗反正)과 이과(李顆)의 난 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사림 세력을 제거함.
?~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제옹(濟翁)@이공인 - 이공인(李公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이달선(李達善)의 아들로,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등을 지냄.
?~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제옹(濟翁)@이노 - 이노(李櫓)
조선 명종(明宗) 때의 종친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를 지낸 이대(李薱)의 아들로, 이천 현감(伊川縣監) 등을 지냄.
1509~156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제옹(濟翁) - 심한(沈瀚)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심온(沈溫)의 손자. 성종(成宗)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박시형(朴始亨)과의 대립이 표면화되어 파직되었다가 이조 참의(吏曹參議)로 복직됨.
1436~14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제왕(濟王)@의자왕 - 의자왕(義慈王)
백제 제31대 왕. 재위 641~660. 무왕(武王)의 맏아들로, 일찍이 효성과 우애가 깊어 '해동증자(海東曾子)‘라 일컬어졌으나, 성충(成忠) 등 충신을 죽이고, 신라(新羅)와 잦은 군사대립으로 국력을 소모한 나머지 나당(羅唐) 연합군에 의해 패망함.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제왕(濟王) - 조횡(趙竑)
중국 송(宋) 나라의 왕자ㆍ제후. 영종(寧宗)이 아들이 없어 종실(宗室)인 조횡(趙竑)을 황자(皇子)로 세워 장래의 후계로 삼으려 했지만, 정승(政丞)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저지당하고 결국 죽임을 당함.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제자.
?~122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제왕(齊王)@사마유 - 사마유(司馬攸)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무제(武帝)의 동생. 아버지 사마소(司馬昭)가 차남 사마유(司馬攸)를 세자로 삼으려고 했지만 신하들의 간언에 장자 사마염(司馬炎)을 세자로 삼음. 사공(司空) 등의 벼슬을 지냄.
248~28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제왕(齊王)@한신 - 한신(韓信)
중국 전한(前漢)의 공신. 고조(高祖) 유방(劉邦)을 도와 천하를 통일하고 초왕(楚王)에 봉해졌으나, 후에 회음후(淮陰侯)로 격하되고, 진희(陳豨)의 난(亂)에 통모(通謀)하였다 하여 여후(呂后)의 부하에게 참살(斬殺)당함.
?~B.C.19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제왕(齊王)@사마경 - 사마경(司馬冏)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혜제(惠帝) 때 대사마(大司馬)를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왕(齊王) - 명원제(明元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2대 황제. 재위 409~423.
392~42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왕(齊王)@유비 - 유비(劉肥)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맏아들. 제왕(齊王)에 봉해짐.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제왕(齊王)@이원길 - 이원길(李元吉)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의 넷째 아들. 형인 은태자(隱太子) 이건성(李建成)과 함께 후에 태종(太宗)이 된 이세민(李世民)을 몰래 제거하려다가 오히려 이세민에게 죽임을 당함.
603~62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제왕(齊王)@열조 - 열조(烈祖)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남당(南唐)의 초대 황제. 재위 937~943. 오(吳) 나라 효무제(孝武帝) 때의 실권자였던 서온(徐溫)의 양자로, 예제(睿帝)를 몰아내고 양위 받아 황제로 즉위함. 화북(華北)의 오대(五代) 왕조에 대해서도 대등함을 주장함.
888~943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왕(齊王)@유양 - 유양(劉襄)
중국 전한(前漢)의 제(齊) 도혜왕(悼惠王) 유비(劉肥)의 아들. 혜제(惠帝) 때 유비(劉肥)의 뒤를 이어 제왕(齊王)이 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왕(齊王)@선왕 - 선왕(宣王)@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342~B.C.324. 학술과 문화의 융성에 힘썼고, 인문(人文) 애호자로 많은 자유사상가를 보호하여 ‘직하(稷下)의 학사’가 수천 명에 달함.
?~B.C.30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왕대기(帝王大紀) - 제왕세기(帝王世紀)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皇甫謐)의 저서. 고대부터 조위(曹魏)까지의 황제(皇帝)들의 사적(事跡)을 기록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제왕유(齊王攸) - 사마유(司馬攸)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무제(武帝)의 동생. 아버지 사마소(司馬昭)가 차남 사마유(司馬攸)를 세자로 삼으려고 했지만 신하들의 간언에 장자 사마염(司馬炎)을 세자로 삼음. 사공(司空) 등의 벼슬을 지냄.
248~28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제요(帝堯) - 요(堯)
중국 전설상의 성천자(聖天子) 요(堯) 임금. 순(舜)과 아울러 '요순(堯舜)의 치(治)'라 하여,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천자상(天子像)으로 알려짐.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요방훈(帝堯放勳) - 요(堯)
중국 전설상의 성천자(聖天子) 요(堯) 임금. 순(舜)과 아울러 '요순(堯舜)의 치(治)'라 하여,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천자상(天子像)으로 알려짐.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용(濟用) - 신숙(辛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정언(正言)을 지낸 신건(辛健)의 아버지이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낸 강석덕(姜碩德)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제우(帝禹)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우당(悌友堂) - 박경전(朴慶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하여 곽재우(郭再祐)와 권응수(權應銖)의 양쪽 진영을 내왕하면서 많은 전공을 세움.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제우씨(帝虞氏) - 순(舜)
중국 고대 전설상의 황제. 요(堯) 임금의 선양(禪讓) 후 사흉(四凶)인 곤(鯀)ㆍ공공(共工)ㆍ환두(驩兜)ㆍ삼묘(三苗) 등을 주벌하고 천하를 잘 다스려 태평시대를 이룬 성군(聖君)으로 칭송받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제운(霽雲) - 남제운(南霽雲)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장군. 안녹산(安祿山)의 반군과 맞서 싸우다 패하여 잡힌 후 항복을 거부하고 처형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제원(悌元) - 성제원(成悌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보은 현감(報恩縣監) 등을 지냈으며, 박응순(朴應順) 등 많은 인재를 육성함.
1506~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제월(霽月) - 송규렴(宋奎濂)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문인. 학문이 뛰어나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 등과 함께 삼송(三宋)으로 일컬어지고, 전서(篆書)ㆍ주서(籒書)에 능함.
1630~17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제월당(霽月堂) - 송규렴(宋奎濂)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문인. 학문이 뛰어나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 등과 함께 삼송(三宋)으로 일컬어지고, 전서(篆書)ㆍ주서(籒書)에 능함.
1630~17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제월당선생집(霽月堂先生集) - 제월당집(霽月堂集)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송규렴(宋奎濂)의 문집. 7권 4책. 목활자본. 현손 송기정(宋基鼎)이 산문(散文)을 수집하고, 초천(蕉泉) 김상휴(金相休)의 질정을 받아 1819년(순조 19)에 간행함.
181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제월재(霽月齋) - 이건명(李健命)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노론사대신(老論四大臣)의 한 사람으로, 경종 때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ㆍ조태채(趙泰采)와 함께 연잉군(延礽君)의 왕세자 책봉에 진력하였으나, 신임사화(辛壬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에서 사사됨.
1663~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제위(齊威) - 위왕(威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378~B.C.343. 환공(桓公)의 아들로, 추기(鄒忌)ㆍ전기(田忌)ㆍ손빈(孫臏) 등을 등용하여 안정을 이루고, 임치(臨淄)의 직하(稷下)에 학궁을 설치한 뒤 각국의 명사들을 초청하는 등 부국강병을 이룩함.
?~B.C.32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을(帝乙)@탕 - 탕(湯)
중국 은(殷) 나라 제1대 왕. 하(夏) 나라의 걸(桀)이 학정을 하자 이윤(伊尹) 등의 도움을 받아 걸을 격파하고 은 나라를 세웠는데, 유교에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 주(紂)를 토벌한 일과 함께 정당한 혁명의 전형(典型)으로 평가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음왕(濟陰王) - 애제(哀帝)@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20대 황제. 재위 904~907. 주온(朱溫)에게 강제로 퇴위 당하고 1년 후에 시해당함.
892~908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제의(齊懿) - 이숙(李淑)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서제(庶弟)인 의안대군(義安大君) 이화(李和)의 아들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의정부 찬성사(議政府贊成事) 등을 지냄.
1373~14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제인(齊仁)@박제인 - 박제인(朴齊仁)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조식(曺植)의 문하에서 최영경(崔永慶)ㆍ하항(河沆)ㆍ김면(金沔) 등과 함께 수학함. 군위 현감(軍威縣監)ㆍ제용감 판관(濟用監判官)을 지냄.
1536~16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제인(齊仁) - 민제인(閔齊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전적(典籍)을 지낸 민귀손(閔龜孫)의 아들. 윤원형(尹元衡)에게 의부(依付)해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윤임(尹任) 등을 제거하는 데 앞장섬.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제자(帝子)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제장(齊莊) - 장공(莊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553~B.C.548. 영공(靈公)의 아들로, 대부 최저(崔杼)에게 시해(弑害) 당함.
?~B.C.54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전(帝典)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제정(霽亭) - 이달충(李達衷)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천(李蒨)의 아들로, 유학(儒學)에 정통함.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낼 때 공석에서 신돈(辛旽)을 비판하여 파면되었다가 신돈이 실각한 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복직함.
1309~138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제정(齊靖) - 신효창(申孝昌)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와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를 역임하였으나, 탄핵을 받아 무주(茂朱)로 귀양 갔다 돌아옴.
?~145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제정선생문집(霽亭先生文集) - 제정집(霽亭集)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달충(李達衷)의 문집. 조선 세종(世宗) 때 손자 이영상(李寧商)이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로 있으면서 간행하였으나 현재 전하지 않고, 이후 후손들에 의해 중간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춘천 , 문헌>서명
-
제정운수(霽亭耘叟) - 이달충(李達衷)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천(李蒨)의 아들로, 유학(儒學)에 정통함.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낼 때 공석에서 신돈(辛旽)을 비판하여 파면되었다가 신돈이 실각한 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복직함.
1309~138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제주(齊主) - 환공(桓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685~B.C.643. 제 나라 희공(釐公)의 아들이자 양공(襄公)의 동생. 관중(管仲)ㆍ포숙아(鮑叔牙) 등의 인재를 등용하여 부국강병(國富强兵)을 이룩하여 패자(覇者)가 됨.
?~B.C.64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중(制仲) - 권극관(權克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낸 권덕유(權德裕)의 아들로, 감역(監役)을 지내고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됨. 이경석(李景奭)이 쓴 묘갈명(墓碣銘)이 《백헌집(白軒集)》에 전함.
1546~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제지(齊之) - 권오행(權五行)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예천(醴泉). 무오사화(戊午士禍)로 동생 권오복(權五福)이 처형되던 해에 문과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제차파의(齊次巴衣) - 양천(陽川)
경기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의 서울시 양천구(陽川區) 가양동(加陽洞) 일대를 말하며, 개화산(開花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었음.
경기도>양천 , 지명>행정지명
-
제창(濟昌) - 거창(居昌)
경상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경상도>거창 , 지명>행정지명
-
제천(濟川) - 가섭(賈涉)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가사도(賈似道)의 아버지로 관직은 경동하북로 진무대사(京東河北路鎭撫大使)에 이름.
1178~12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제천군(堤川君) - 이온(李蒕)@이친의아들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셋째 아들.
1441~150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제천재(濟川材) - 부열(傅說)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명재상. 부암(傅巖)에서 노역을 하다가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룸.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제초(祭醮) - 재초(齋醮)
도사(道士)가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빌기 위해 여러 신에게 기도하는 도교의 제례의식. 우리나라는 고구려 때부터 시작되어 국가 차원에서 널리 행해지다가 조선시대에 신진사류들의 반대로 폐지됨. 중국은 명(明) 나라 목종(穆宗)에 의해 혁파됨.
중국 , 법제>의례>국가의례
-
제촌(霽村) - 권장(權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명종(明宗)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동생.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1489~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제편(齊扁) - 윤편(輪扁)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장인(匠人). 수레바퀴를 잘 만드는 사람으로, 제 환공(桓公)에게 기술의 미묘한 점은 자식에게도 가르칠 수 없다고 말한 일화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술인>장인
-
제평(齊平) - 권맹손(權孟孫)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천(醴泉). 변계량(卞季良)의 문인으로, 1408년(태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양주 목사(楊州牧使)ㆍ중추원사(中樞院使) 등을 지냄.
1390~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제평경수(霽坪耕叟) - 이달충(李達衷)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천(李蒨)의 아들로, 유학(儒學)에 정통함.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낼 때 공석에서 신돈(辛旽)을 비판하여 파면되었다가 신돈이 실각한 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복직함.
1309~138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제함(悌諴) - 박제함(朴悌諴)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충주(忠州).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박형문(朴衡文)의 아버지로, 군기시 정(軍器寺正) 등을 지냄.
140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무신
-
제헌(帝軒) - 헌원(軒轅)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중국 문명의 개조(開祖)로, 당시 천자인 신농(神農)의 세력이 약해져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판천(阪泉)과 탁록(涿鹿) 싸움에서 염제(炎帝)와 치우(蚩尤)를 각각 물리치고 제후들의 추대를 받아 제위에 오른 후 문명의 발전을 이끎.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제헌왕후(齊獻王后) - 폐비윤씨(廢妃尹氏)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함안(咸安). 연산군(燕山君)의 생모(生母)로, 투기(妬忌)가 심하여 1479년(성종 8) 폐서인(廢庶人) 되고, 1482년(성종 11)에 사사(賜死)되었는데, 이 일이 후에 갑자사화(甲子士禍)의 원인이 됨.
?~14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제현(齊賢)@장제현 - 장제현(張齊賢)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태종(太宗)의 총신(寵臣)이었으며,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역임하였고, 저서에는 《낙양진신구문기(洛陽縉紳舊聞記)》 등이 있음.
943~101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제현(齊賢)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제호(霽湖) - 양경우(梁慶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인 양대박(梁大樸)의 아들로, 부친을 따라 종군함. 1597년(선조 30)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ㆍ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56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제화(齊華) - 이제화(李齊華)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익령(李翼齡)의 아들이며, 간옹(艮翁) 이헌경(李獻慶)의 아버지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6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제환(齊桓) - 환공(桓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685~B.C.643. 제 나라 희공(釐公)의 아들이자 양공(襄公)의 동생. 관중(管仲)ㆍ포숙아(鮑叔牙) 등의 인재를 등용하여 부국강병(國富强兵)을 이룩하여 패자(覇者)가 됨.
?~B.C.64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제후(齊侯) - 환공(桓公)@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685~B.C.643. 제 나라 희공(釐公)의 아들이자 양공(襄公)의 동생. 관중(管仲)ㆍ포숙아(鮑叔牙) 등의 인재를 등용하여 부국강병(國富强兵)을 이룩하여 패자(覇者)가 됨.
?~B.C.64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조(兆) - 노조(盧兆)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곡산노씨(谷山盧氏)의 일세조(一世祖)이며, 노인철(盧仁哲)의 조부로, 영동정(令同正)ㆍ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조(兆)@강조 - 강조(康兆)
고려 목종(穆宗)~현종(顯宗) 때의 무신. 목종의 모후인 천추태후(千秋太后)와 외척 김치양(金致陽)이 그들 사이에 태어난 아들을 목종의 후계자로 세우려 하자, 정변을 일으켜 현종을 옹립하고 목종을 시해함.
?~1010 한국>고려전기 , 인명>관인>무신
-
조(慥) - 허조(許慥)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후(許詡)의 아들이며 이개(李塏)의 매부(妹夫)로, 집현전 수찬(集賢殿修撰)을 지냄. 성삼문(成三問) 등이 단종(端宗) 복위를 모의할 때 가담하였으나, 거사가 수포로 돌아가자 자진(自盡)함.
1430~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조(慥)@주조 - 주조(周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주세곤(周世鵾)의 아들이며 주세붕(周世鵬)의 조카로, 주세붕이 그를 엄하게 훈육하는 내용의 글이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조(晁) - 이조(李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내다가 귀향한 후 더 이상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 정진함. 저서로 《동곡실기(桐谷實記)》 등이 있으며, 성주(星州)의 안산서원(安山書院)에 배향됨.
1530~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澡) - 박조(朴澡)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아들로, 《소고집(嘯皐集)》에 박승임의 답서(答書)들이 실려 있음.
1551~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조(稠)@허조 - 허조(許稠)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권근(權近)의 문인으로, 시관(試官)이 되어 많은 인재를 발탁함. 조선 초기 예악제도(禮樂制度)를 정비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으며, 영춘추관사(領春秋館事) 등을 지냄.
1369~143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조(稠) - 박조(朴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진위 현령(振威縣令)을 지냄.
1476~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조(肇) - 김조(金肇)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임견미(林堅味)의 일파로 최영(崔瑩)에 의해 참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조(藻) - 박조(朴藻)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밀성군(密城君) 박광영(朴光榮)의 맏아들이며 낙촌(洛村) 박충원(朴忠元)의 아버지로, 귀후서 별제(歸厚署別提)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조(調)@이조 - 이조(李調)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로,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 이사성(李思誠)의 아들.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조(調) - 박조(朴調)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효행으로 천거되어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내고, 성리학을 연구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造) - 정조(鄭造)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광해군 때 윤인(尹訒)과 함께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서궁(西宮)에 유폐시키는 데 적극 가담하고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 때 사형당함.
1559~162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조^소(曹^蕭) - 소^조(蕭^曹)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 때의 개국공신(開國功臣)인 소하(蕭何)와 조참(曹參)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조간송(趙澗松) - 조임도(趙任道)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의 문묘 종사(文廟從祀)를 반대하는 정인홍(鄭仁弘)을 규탄함.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천거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냄.
1585~16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
-
조개모낙화(朝開暮落花)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조건중(曺楗仲)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조검(祖儉) - 여조검(呂祖儉)
중국 남송(南宋)의 문신. 간신 한탁주(韓侂冑)가 조여우(趙汝愚)를 역적으로 무고하자 이를 구원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소주(韶州)로 귀양감.
?~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겸(祖兼) - 박시형(朴始亨)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승지(承旨)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조겸(祖謙)@여조겸 - 여조겸(呂祖謙)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주희(朱熹)와 함께 북송(北宋) 도학자의 어록을 편집하여 《근사록(近思錄)》을 찬함.
1137~118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조겸(祖謙) - 박시형(朴始亨)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승지(承旨)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조경(調卿) - 박인량(朴寅亮)@박자기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전옥서 주부(典獄署主簿)를 지낸 박자기(朴自基)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조경(趙卿) - 조연(趙涓)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선이 건국되자 왕을 호위하고,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됨.
1374~142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