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조경(趙敬) - 익조(翼祖)@송
중국 송(宋) 태조(太祖) 조광윤(趙匡胤)의 조부. 태조(太祖) 건융 원년(建隆元年, 960)에 익조(翼祖)로 추존됨.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경(趙炅) - 태종(太宗)@송
중국 송(宋)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976~997. 태조(太祖)의 동생으로, 중국 전토를 통일하고 국가 지배체제의 기초를 확립하여, 문화적ㆍ경제적 번영의 기틀을 마련함.
939~997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경순(刁景純) - 조약(刁約)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영종(英宗) 때의 문신ㆍ문장가. 소식(蘇軾)과 교유했으며, 만년(晩年)에는 고향인 윤주(潤州)로 돌아가 문한(文翰)으로 여생을 마쳤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조경양(趙景陽)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조경일록(朝京日錄) - 조천일기(朝天日記)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김육(金堉)의 기행문. 목판본. 1권 1책. 저자가 1636년(인조 14)에 동지사(冬至使)로서 명(明) 나라에 다녀오는 과정을 기록한 것으로, 조선 사절이 명 나라에 다녀온 마지막 기록으로 남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조경임(趙景任) - 조희윤(趙希尹)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한양(漢陽). 장례원 사평(掌隸院司評)을 지낸 조숭조(趙崇祖)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조계(曺溪) - 혜능(慧能)@당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선종(禪宗)의 제6조(第六祖). 신수(神秀)와 함께 홍인(弘忍) 문하의 이대선사(二大禪師)로, 후에 북종선(北宗禪)은 신수의 점수설(漸修說)을, 남종선(南宗禪)은 혜능의 돈오설(頓悟說)을 계승함.
638~713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조계(棗溪) - 정만종(鄭萬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언관(言官)을 지낼 때 행신(幸臣) 김안로(金安老)의 비행을 탄핵함.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지내고, 송순(宋純)ㆍ윤순(尹洵)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조계(潮溪) - 유종지(柳宗智)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노신(盧禛)ㆍ임훈(林薰)ㆍ최영경(崔永慶)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하였으나, 정여립(鄭汝立)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옥중에서 장살(杖殺)됨.
1546~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조계임(趙季任) - 조사수(趙士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방좌(趙邦佐)의 아들로,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거쳐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을 지냄.
1502~155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조공보(趙公保) - 조확(趙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좌참찬(左參贊)을 지낸 조언수(趙彦秀)의 아들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을 지냄.
1535~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공보(趙恭父) - 조사공(趙師䢼)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가흥 통판(嘉興通判)을 지냄. 절강성(浙江省) 태주(台州) 천태인(天台人).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역(易)과 시(詩)를 배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광보(趙光輔) - 조광보(趙廣輔)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중종 때 박원종(朴元宗) 등을 모해하였다는 죄목으로 국문을 받았으나, 당시의 폐단에 대해 거침없이 직언(直言)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조광윤(趙匡胤) - 태조(太祖)@송
중국 송(宋)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960~976. 중국 대륙의 대부분을 통일하였으며, 문치주의(文治主義)에 의한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확립함으로써 송(宋) 나라 발전의 기반을 다짐.
927~976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광의(趙匡義) - 태종(太宗)@송
중국 송(宋)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976~997. 태조(太祖)의 동생으로, 중국 전토를 통일하고 국가 지배체제의 기초를 확립하여, 문화적ㆍ경제적 번영의 기틀을 마련함.
939~997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광좌(趙光佐) - 조광좌(趙廣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금산 군수(金山郡守)를 지낸 조훈(趙勛)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붕당으로 몰려 삭직되고, 1521년(중종 16)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483~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구(趙構) - 고종(高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10대 황제. 재위 1127~1162. 여진족(女眞族)이 침략했을 때 남부로 망명하여 왕조를 재건함.
1107~1187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국공(曹國公) - 이적(李勣)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고종(高宗) 때의 명장. 요동도 행군대총관(遼東道行軍大總官)으로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 안시성(安市城)을 침공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했다가 재차 침공하여 고구려를 멸망시킴. 이정(李靖)과 함께 ‘영위(英衛)’로 병칭됨.
594~66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조굴원문(弔屈原文) - 조굴원부(弔屈原賦)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인 가의(賈誼)의 시. 굴원(屈原)의 초사(楚辭)를 계승하여 소체(騷體) 혹은 초사(楚辭)로 불리며, 초사(楚辭)에서 한부(漢賦)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작품으로 평가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조귀(曹鬼)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조귀성(趙貴誠) - 이종(理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14대 국왕. 재위 1225~1264년. 조광윤(趙匡胤)의 아들인 조덕소(趙德昭)의 구세손(九世孫). 영종(寧宗) 사후에 재상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국정운영을 못하여 몽고(蒙古)에게 장강(長江) 이북을 할양함.
1205~126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귀화(趙貴和) - 조횡(趙竑)
중국 송(宋) 나라의 왕자ㆍ제후. 영종(寧宗)이 아들이 없어 종실(宗室)인 조횡(趙竑)을 황자(皇子)로 세워 장래의 후계로 삼으려 했지만, 정승(政丞)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저지당하고 결국 죽임을 당함.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제자.
?~122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조균(趙均) - 조횡(趙竑)
중국 송(宋) 나라의 왕자ㆍ제후. 영종(寧宗)이 아들이 없어 종실(宗室)인 조횡(趙竑)을 황자(皇子)로 세워 장래의 후계로 삼으려 했지만, 정승(政丞)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저지당하고 결국 죽임을 당함.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제자.
?~122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조금구(趙金溝) - 조종도(趙宗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었다가 풀려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안의(安義)의 황석산성(黃石山城)에서 왜적과 싸우다 전사함.
1537~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조기(趙禥) - 도종(度宗)
중국 송(宋)의 제15대 황제. 재위 1264~1274. 이종(理宗)의 조카며 복왕(福王)의 아들로 재임 중 권신(權臣)과 간신(姦臣)들이 권력을 잡았음
1240~127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길(趙佶) - 휘종(徽宗)
중국 송(宋)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1100~1125. 신종(神宗)의 아들. 호사(豪奢)와 도교(道敎)에 빠져 정치(政治)를 돌보지 않았음. 1125년 금(金) 나라가 침입하여 퇴위(退位)하였으나, 1127년 흠종(欽宗)과 함께 금의 포로가 되어 배소(配所)인 만주에서 병사함.
1082~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남명(曺南冥)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조년(兆年) - 박조년(朴兆年)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시강원 설서(侍講院說書)와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함.
145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조년(兆年)@이조년 - 이조년(李兆年)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농서군공(隴西郡公) 이장경(李長庚)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심양왕 고(瀋陽王暠)가 충숙왕(忠肅王)의 왕위 찬탈을 도모할 때 원 나라의 중서성(中書省)에 그 부당함을 상소하여 음모를 저지시킴.
1269~134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조대(釣臺) - 조룡대(釣龍臺)
충청도 부여(扶餘)의 백마강(白馬江) 가운데 있는 바위. 당(唐) 나라 장수 소정방(蘇定方)이 바위에 걸터앉아 백마(白馬)를 미끼로 용(龍)을 낚았다는 전설에서 붙여진 이름.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조대가(曹大家) - 반소(班昭)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학자. 반고(班固)의 여동생으로, 〈팔표(八表)〉와 〈천문지(天文志)〉 등 《한서(漢書)》의 미완성 부분을 편찬함. 궁중에 초빙되어 황후 및 여러 부인들의 교육을 담당하였고, 《여계(女誡)》를 저술함.
49?~120?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조덕창(趙德昌) - 진종(眞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3대 황제. 재위 997~1022. 당말(唐末)과 오대(五代)의 혼란을 수습하고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여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동북 요(遼) 나라의 침입을 받음.
968~1022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도(祖道) - 증조도(曾祖道)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유청지(劉淸之)와 교유하다 육구연(陸九淵)에게 사사(師事)하였는데, 1197년 고정(考亭)에서 주자(朱子)를 만나 주자의 제자가 되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조도(趙圖) - 성기도(誠幾圖)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조사하(趙師夏)가 지은 성(誠)의 해설 도식(圖式). 무위(無爲)의 개념인 성이 움직일 때 선기(善幾)와 악기(惡幾)의 기(幾)로 갈라지는 형상을 설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조돈(趙惇) - 광종(光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12대 황제. 재위 1189~1194. 효종(孝宗)의 셋째 아들. 효종의 선위(禪位)로 왕위에 올랐으나 유약한 성품으로 정치를 독단하지 못하고 비(妃) 이봉랑(李鳳娘)의 의견을 따름.
1147~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동(祖同) - 노필(盧㻶)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과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64~153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동고(趙東皐)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조랑(曹郞) - 조식(曹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시인. 위 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 오언시(五言詩)를 서정시로 완성하여 문학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침.
192~23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제후
-
조래(徂徠) - 석개(石介)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부모상을 당하여 조래산(徂徠山)에서 농사를 짓고, 후에 국자감 직장(國子監直長) 등을 지냄. 《괴설중국론(怪說中國論)》을 지어 불가(佛家)와 노가(老家)의 설을 비판함.
1003~104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래산(徂萊山) - 조래산(徂徠山)
중국 산동성(山東省) 태안현(泰安縣)에 있는 산. 이백(李白)이 공소보(孔巢父)ㆍ한준(韓準)ㆍ배정(裴政)ㆍ장숙명(張叔明)ㆍ도면(陶沔)과 더불어 술과 노래를 즐기며 세속을 초일(超逸)한 곳으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조령(槽令) - 이단하(李端夏)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아들로,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에 이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가운데 경학(經學)을 대표할 만한 인물로, 저서에 《선묘보감(宣廟寶鑑)》ㆍ《외재집(畏齋集)》 등이 있음.
1625~168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지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룡(祖龍)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룡석(雕龍奭) - 추석(鄒奭)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음양가(陰陽家). 추연(鄒衍)의 학술을 배웠는데, 추연의 글을 수식한 것이 용의 문채를 아로새긴 것 같다고 하여 ‘조룡석(雕龍奭)’이라 일컬어짐.
B.C.305?~B.C.24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조룡지학(祖龍之虐) - 분서갱유(焚書坑儒)
중국 진(秦) 나라 때 시황제(始皇帝)가 천하의 서적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하여 죽인 사건. 가혹한 법과 혹독한 정치를 상징함.
B.C.213~B.C.212 중국>진 , 중국 , 사건>기타사건
-
조루(趙樓) - 조하(趙嘏)
중국 당(唐) 무종(武宗)~선종(宣宗) 때의 문신ㆍ시인. 842년(무종 2) 진사에 에 오르고 선종 때 위남위(渭南尉)에 이름. “장적일성인의루(長笛一聲人倚樓)”라는 시구로 유명해짐.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조린(照鄰) - 노조린(盧照鄰)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익주 신도위(益州新都尉)를 지내고, 왕발(王勃)ㆍ양형(楊炯)ㆍ낙빈왕(駱賓王)과 함께 초당사걸(初唐四傑)로 불림.
636~69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조마(照磨) - 호약해(胡若海)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문신. 당시 군웅(群雄)의 한 사람이던 방국진(方國珍)이 명주 사도(明州司徒)로 있을 적에 그의 사신이 되어 공민왕(恭愍王) 때 고려에 옴.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만(曹瞞) - 무제(武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왕조를 세운 장군. 시부(詩賦) 등의 문재(文才)를 지녀 건안문단(建安文壇)을 영도(領導)함.
155~22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국왕
-
조맹(趙孟) - 조양자(趙襄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정경(正卿). 조간자(趙簡子)의 아들로, 지(智)를 멸하고 한(韓)ㆍ위(魏)와 함께 진 나라의 영토를 삼분한 이른바 삼가분진(三家分晉)을 이룸.
?~B.C.42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조명(肇明) - 설앙(薛昂)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문하시랑(門下侍郞)ㆍ자정전 대학사(資政殿大學士) 등을 지냈으며, 왕안석(王安石)과 교유함.
?~113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무(曹武) - 목공(穆公)@춘추전국(曹)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曹) 나라의 제후. 재위 B.C.760~B.C.757. 형 석보(石甫)를 시해하고 왕위에 오름. 아들 환공(桓公)이 뒤를 이음.
?~B.C.75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조문열(趙文烈) - 조헌(趙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배천(白川).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옥천(沃川) 등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으나 금산(錦山) 전투에서 700명의 의병과 분전하다가 함께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관인>문신
-
조문절(趙文節) - 조원기(趙元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정랑(正郞) 조충손(趙衷孫)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숙부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냄.
1457~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문정(曺文貞) - 조식(曺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李滉)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
1501~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삼가ㅣ경상도>김해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조문정(趙文正) - 조광조(趙光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주창하며 급진적인 개혁정책을 시행하였으나 훈구(勳舊) 세력이 일으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죽임을 당함.
1482~15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문정(趙文貞) - 조용(趙庸)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 조선 개국 후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대사성(大司成)ㆍ세자우빈객(世子右賓客) 등을 지냄. 진보조씨(眞寶趙氏)의 시조.
?~142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백(曹伯) - 환공(桓公)@춘추전국(曹)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曹) 나라의 제후. 재위 B.C.757~B.C.702. 조 나라 목공(穆公)의 아들.
?~B.C.70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조백순(趙伯循) - 조광(趙匡)
중국 당(唐) 나라의 학자. 담조(啖助)의 문인(門人)으로, 《춘추(春秋)》에 조예가 깊어 《춘추집전찬례(春秋集傳纂例)》를 짓고, 《오경정의(五經正義)》에 이의를 제기했으며, 학풍은 송(宋) 나라 유학(儒學)에 영향을 미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조백옥(趙伯玉) - 조원(趙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조응공(趙應恭)의 아들로, 조응관(趙應寬)에게 출계함.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삼척 부사(三陟府使)ㆍ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냄.
1544~15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병(趙昺) - 상흥제(祥興帝)
중국 송(宋) 나라의 마지막 황제. 재위 1278~1279. 도종(度宗)의 막내아들로, 형 단종(端宗)이 죽자 즉위했으나 원(元) 나라 군대에 쫓기다가 바다에 빠져 죽었으며, 이에 송은 멸망함.
?~1279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복(調伏) - 율(律)
불교 용어로 불가(佛家)의 제자들이 지켜야 할 계율(戒律). 부처에게 기도(祈禱)하여 불력(佛力)으로 원적(怨敵)과 악마(惡魔)를 제어하는 것.
사상>이론>교리
-
조비(曹丕) - 문제(文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220~226. 후한(後漢) 헌제(獻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위(魏)를 세움.
187~226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비경(趙飛卿) - 조익(趙翼)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좌의정(左議政)을 역임함.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예학에 밝았으며 음률(音律)ㆍ병법(兵法)ㆍ복서(卜筮)에도 능했음.
1579~165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사(照師)@신조 - 신조(神照)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천태종(天台宗) 승려. 공민왕의 총애를 받았고, 요동정벌 때 이성계(李成桂)를 따라 종군하여 회군(回軍)에 기여한 공으로 회군공신(回軍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수원ㅣ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종교인>승려
-
조사(祖師) - 달마(達磨)
중국 남북조시대의 선승(禪僧). 중국 선종(禪宗)의 창시자. 달마(達磨)는 부처로부터는 28번째의 조사(祖師)로 여겨지고, 중국 선종에서는 초조(初祖)로 간주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조사경(趙士敬)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조사미(祖沙彌) - 성조(性祖)
조선 전기의 승려. 이암(頤庵) 송인(宋寅)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조사아(祖士雅) - 조적(祖逖)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 원제(元帝) 때의 명장(名將). 예주 자사(豫州刺史)로서 북벌(北伐)하여 후조(後趙)의 고조(高祖) 석륵(石勒)을 격파하고 황하(黃河) 이남의 땅을 회복함.
266~32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조산(曹山) - 조계산(曹溪山)
전라남도 순천(順川) 북서부에 있는 산 이름.
전라도>순천 , 지명>자연지명
-
조산(造山) - 석가산(石假山)
정원 등을 꾸미기 위해 돌과 흙을 쌓아 인공적으로 만든 산 모양의 조경물(造景物). 도교의 신선(神仙) 사상에 근거를 두며,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부터 본격적으로 수용됨.
유적>시설>기타시설
-
조상(祖常) - 마조상(馬祖常)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권신 철목질아(鐵木迭兒)를 규탄한 연고로 좌천되어 불우하였으나, 철목질아의 사후에는 예부 상서(禮部商書)와 섬서 행대중승(陝西行臺中丞)을 역임함. 시문에도 능함.
1278~133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조생(祖生) - 전조생(田祖生)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으로, 전희경(田希慶)의 셋째 아들. 1336년(충숙왕 복위5) 과거에 급제하고 찬성첨의부사(贊成僉議府事) 등을 지냈으나, 충정왕(忠定王)이 선위한 후 그를 호종하여 이후에는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1318~13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조서(肇瑞) - 손조서(孫肇瑞)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일직(一直). 학문과 시문의 대가로 김종직(金宗直)과 친교를 맺고,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을 제자로 두었으며, 사육신(死六臣)의 옥사가 일어나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은둔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조서(趙曙) - 영종(英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5대 황제. 재위 1064~1067. 재위 초기에 허약하여 조태후(曹太后)가 수렴청정을 하였고, 서하(西夏)와 군사적 대립을 화친으로 해결함.
1032~1067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석간(趙石磵) - 조운흘(趙云仡)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인복(李仁復)의 문인으로,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2등공신이 되고, 조선 개국 후 강릉 부사(江陵府使)로 제수됨.
1332~140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석문(曺碩門) - 조석문(曺錫文)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관찰사를 지낸 조항(曺沆)의 아들. 노사신(盧思愼)과 함께 《북정록(北征錄)》을 편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13~14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석잠(朝夕箴) -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중국 송(宋) 나라의 진백(陳栢)이 스스로를 경계하기 위해 지은 글. 208자(字)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희(朱熹)의 〈경재잠(敬齋箴)〉과 서로 표리(表裏)를 이룸.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조선(朝鮮)@고조선 - 고조선(古朝鮮)
B.C.108년까지 요동과 한반도 서북부 지역에 존재한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과거 상고사(上古史)에서는 단군조선(檀君朝鮮)ㆍ기자조선(箕子朝鮮)ㆍ위만조선(衛滿朝鮮)을 통틀어 일컬음.
?~B.C.108 고대 , 시간>국명
-
조선(潮仙) - 조선(朝鮮)
우리나라 근세의 통일 왕조. 이성계(李成桂)가 신진 사대부(士大夫)의 추대를 받아 세운 나라로, 태조(太祖)에서 순종(純宗)까지 27대 519년간 존속.
1392~1910 한국>조선시대 , 시간>국명
-
조선(趙宣) - 조둔(趙盾)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영공(靈公)~성공(成公) 때의 대부. 조최(趙衰)의 아들.
B.C.654~B.C.60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조선자(趙宣子) - 조둔(趙盾)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영공(靈公)~성공(成公) 때의 대부. 조최(趙衰)의 아들.
B.C.654~B.C.60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조선통신사(朝鮮通信使) - 통신사(通信使)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일본 막부(幕府)의 장군에게 파견한 공식적인 외교 사절.
1375?~1876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조성(趙成) - 조최(趙衰)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영공(靈公)의 왕위 옹립에 공헌한 조둔(趙盾)의 아버지로, 문공(文公)~양공(襄公)에 걸쳐 국정을 잘 보좌함.
?~B.C.6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조성당(操省堂) - 김택룡(金澤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조목(趙穆)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이황(李滉)의 문하생들과 교유함.
1547~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조손(兆孫) - 이조손(李兆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냈음. 《사재집(思齋集)》에 김정국(金正國)의 기시(寄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조송(趙宋) - 송(宋)
중국의 통일 왕조. 조광윤(趙光胤)이 오대(五代) 후주(後周)의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국가. 개봉(開封)에 도읍했던 북송(北宋) 시대와 정강(靖康)의 변(變) 때 임안(臨安)으로 천도한 이후의 남송(南宋) 시대로 구분됨.
960~1277 중국>송 , 중국 , 시간>국명
-
조송강(趙松岡) - 조사수(趙士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방좌(趙邦佐)의 아들로,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거쳐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을 지냄.
1502~155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조송강(趙松江) - 조징(趙澄)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1566년(명종 21) 중시(重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지내고, 1574년(선조 7)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해주(海州)에서 병사함.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송설(趙松雪) - 조맹부(趙孟頫)
중국 원(元) 나라의 서화가ㆍ문인. 송(宋) 나라의 종실이면서 원 나라에서 한림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를 지내고, 사후 위국공(魏國公)에 추봉됨. 서화(書畵)와 시문에 뛰어나서 원 나라의 4대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힘.
1254~1322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조수(曹隨) - 조참(曹參)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 진(秦) 나라의 옥리(獄吏) 출신으로 한(漢) 나라 통일에 공을 세워 평양후(平陽侯)로 책봉되고, 혜제(惠帝) 때는 상국(相國)에 오름.
?~B.C.19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수(調叟) - 정내(鄭鼐)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선략장군(宣略將軍) 정갑선(鄭甲先)의 아들이며, 함흥 판관(咸興判官) 정승복(鄭承復)의 아버지. 음보(蔭補)로 군직(軍職)을 제수 받음.
1491~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조순(祖詢) - 유조순(柳祖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우(柳藕)의 아들이고, 유조인(柳祖訒)의 형으로, 현령(縣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박응순(朴應順)ㆍ박응복(朴應福) 형제를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조승(趙勝) - 평원군(平原君)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조(趙) 나라의 공자(公子). 혜문왕(惠文王)의 동생으로 혜문왕(惠文王)ㆍ효성왕(孝成王) 때 재상이 되었으며, 전국 사군자(戰國四君子)의 한 사람으로 유명함.
?~B.C.25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ㅣ인명>왕실>왕자
-
조시구(釣詩鉤)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조시암집(趙時庵集) - 시암집(時庵集)
조선 후기 문인인 시암(時庵) 조상우(趙相禹)의 문집. 7책 3권. 목활자본. 송래희(宋來熙)의 서문과 조한규(趙韓圭)의 발문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조신(祖神) - 누조(嫘祖)
중국 고대 황제 헌원씨(黃帝軒轅氏)의 원비(元妃). 소호(少昊)의 어머니이며, 서릉씨(西陵氏)의 딸로, 양잠(養蠶)을 발명함. 황제를 도와 천하를 다스렸으며, 황제와 천하를 순시하던 중에 병으로 죽음. 시호를 ‘조신(祖神)’으로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조신(調信) - 유천조신(柳川調信)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대마도주(對馬島主) 종의지(宗義智)의 가신(家臣). 풍신수길(豐臣秀吉) 때부터 덕천막부(德川幕府) 초까지 아들 유천지영(柳川智永)ㆍ손자 유천조흥(柳川調興) 삼대가 조선과 일본의 강화 회담 및 외교 사무를 담당함.
1539~1605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조신(調信)@유천조신 - 유천조신(柳川調信)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대마도주(對馬島主) 종의지(宗義智)의 가신(家臣). 풍신수길(豐臣秀吉) 때부터 덕천막부(德川幕府) 초까지 아들 유천지영(柳川智永)ㆍ손자 유천조흥(柳川調興) 삼대가 조선과 일본의 강화 회담 및 외교 사무를 담당함.
1539~1605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조씨도(趙氏圖) - 성기도(誠幾圖)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조사하(趙師夏)가 지은 성(誠)의 해설 도식(圖式). 무위(無爲)의 개념인 성이 움직일 때 선기(善幾)와 악기(惡幾)의 기(幾)로 갈라지는 형상을 설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조씨아(趙氏兒) - 소제(昭帝)
중국 한(漢)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B.C.87~B.C.74. 여덟 살에 즉위하였으나 곽광(霍光) 등의 보필을 받아 여러 차례 농민의 부담을 경감하였고, 흉노(匈奴)와 우호관계를 유지함.
B.C.94~B.C.7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