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조아(澡兒) - 박조(朴澡)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아들로, 《소고집(嘯皐集)》에 박승임의 답서(答書)들이 실려 있음.
1551~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조암(操庵) - 남필문(南弼文)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밀양(密陽) 사촌(士村) 마을에 거처하며 학문을 닦았고, 벼슬은 문소전 참봉(文昭殿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조암(照菴) - 경사(鏡師)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이 경사(鏡師)의 시권(詩卷)에 써준 시(詩)가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조암(釣巖) - 이시백(李時白)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었고,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1~166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암(鳥巖) - 심삼달(沈三達)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심열(沈說)의 아들이자 심징(沈澄)의 아버지로, 1630년(인조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85~?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조앙(趙鞅) - 조간자(趙簡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정경(正卿). 조양자(趙襄子)의 아버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조양(朝陽) - 개천(价川)
평안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시대에 조양진(朝陽鎭)으로 불렸으며, 1413년(태종 13)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침.
평안도>개천 , 지명>행정지명
-
조양(潮陽) - 한유(韓愈)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고, 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고문 운동(古文運動)을 창도하였으며, 송대 이후의 도학(道學)의 선구자가 됨.
768~82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조양(調陽) - 김조양(金調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보은(報恩).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삭직된 김태암(金泰巖)의 아버지로, 태안 군수(泰安郡守)를 지냄.
?~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조양진(朝陽鎭) - 개천(价川)
평안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시대에 조양진(朝陽鎭)으로 불렸으며, 1413년(태종 13)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침.
평안도>개천 , 지명>행정지명
-
조여거(趙與莒) - 이종(理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14대 국왕. 재위 1225~1264년. 조광윤(趙匡胤)의 아들인 조덕소(趙德昭)의 구세손(九世孫). 영종(寧宗) 사후에 재상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국정운영을 못하여 몽고(蒙古)에게 장강(長江) 이북을 할양함.
1205~126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여식(趙汝式) - 조헌(趙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배천(白川).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옥천(沃川) 등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으나 금산(錦山) 전투에서 700명의 의병과 분전하다가 함께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관인>문신
-
조여우(趙如愚) - 조여우(趙汝愚)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재상. 송 나라의 황족으로 주희(朱熹)의 친구. 영종 때 한탁주(韓侂冑)의 무고로 귀양 가서 죽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조여익(曺汝益) - 조우인(曺友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광해군(光海君)을 풍자하는 시를 지어 투옥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풀려나 우부승지(右副承旨) 등을 지냄. 시ㆍ글씨ㆍ그림에 능했음.
1561~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조연(趙燕) - 조비연(趙飛燕)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의 황후(皇后). 가무(歌舞)에 뛰어난 절세의 미인으로 황후(皇后)의 지위까지 오르게 되었지만 성제(成帝)가 죽자 자살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인지(訒之)@윤인 - 윤인(尹訒)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광해군 때 대사간(大司諫)으로서 정조(鄭造)와 함께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폐할 것을 가장 먼저 주장하여 서궁(西宮)에 유폐시켰으나,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주살당함.
1555~162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인지(隣之) - 유계린(柳桂隣)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의 아버지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관직에 마음을 두지 않고 향리에서 자제들을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ㅣ전라도>순천 , 인명>문사>유학
-
인지(麟趾) - 정인지(鄭麟趾)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우(權遇)의 문인.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내면서 문한(文翰)을 관장하고, 천문ㆍ역법ㆍ아악을 정리하는 등 문풍 육성과 제도 정비에 기여함.
1396~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인진(麟鎭) - 인산진(麟山鎭)
평안도 의주(義州)에 있는 석성(石城). 본래 인주(麟州)였으나 고려 고종(高宗) 때 반란이 일어나 인산(麟山)으로 강등되고, 조선 세종(世宗) 때 진(鎭)이 설치되었으며, 선조(宣祖) 때 이제신(李濟臣)이 이곳에 유배됨.
평안도>의주 , 유적>시설>성,진,책
-
인진도(因珍島) - 진도(珍島)
전라남도 서남단 해남반도(海南半島) 남서쪽에 있는 고을 이름. 사적으로 용장산성(龍藏山城)ㆍ남도석성(南挑石城)ㆍ운림산방(雲林山房)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대표적 민요인 ‘진도아리랑’의 발상지.
전라도>진도 , 지명>행정지명
-
인천군(仁川君) - 채수(蔡壽)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어 인천군(仁川君)에 봉해지고, 패관소설인 《설공찬전(薛公贊傳)》을 지음.
1449~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인천세고(仁川世稿) - 나재집(懶齋集)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채수(蔡壽)의 시문집. 1568년(선조 1) 채유린(蔡有隣)이 편집ㆍ간행함. 〈홍문관예문관합사상소(弘文館藝文館合司上疏)〉는 임사홍(任士洪)의 비행을 직언ㆍ탄핵하여 축출한 글.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문헌>서명
-
인체(人彘) - 척부인(戚夫人)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총비(寵妃). 고조(高祖)가 죽은 뒤 여후(呂后)에 의해 팔다리가 잘리고 눈이 뽑히며 벙어리ㆍ귀머거리가 된 채 측간에 갇혀 ‘사람돼지(人彘)’라고 불림.
?~B.C.19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인초(軔初) - 유희발(柳希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비론에 가담하였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죽임을 당함.
1568~162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인충(仁忠) - 송인충(宋仁忠)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간(宋侃)의 할아버지로, 중랑장(中郞將)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인표(仁表) - 인종(仁宗)@고려
고려 제17대 왕. 재위 1123~1146. 이자겸(李資謙)의 난과 묘청(妙淸)의 난을 겪었고, 김부식(金富軾) 등에게 《삼국사기(三國史記)》를 편찬하게 함.
1109~114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인필(仁弼)@홍인필 - 홍인필(洪仁弼)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를 포함하여 여러 명과 술을 마시면서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인필(仁弼) - 이인필(李仁弼)
조선 전기의 문신. 참봉(參奉)을 지냈으며, 구봉령(具鳳齡)의 외가 친척으로 구봉령이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백담집(栢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인필(寅弼) - 정인필(鄭寅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정지운(鄭之雲)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유학
-
인학(仁學) - 정인학(鄭仁學)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낸 정은(鄭垠)의 아들로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 등을 지냄.
1344~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인함(仁涵) - 윤인함(尹仁涵)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파평(坡平).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경주(慶州)가 함락되자 의병을 모집하여 활동함. 문장과 그림에 능하고, 특히 대나무를 잘 그림.
1531~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인행(仁行) - 이인행(李仁行)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관섭(李觀燮)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익위(世子翊衛司翊衛) 등을 지냄. 경사(經史)에 두루 능통하여 서연(書筵)에 입시하여 진강하기도 함.
1758~18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인헌(仁憲) - 강감찬(姜邯贊)
고려 성종(成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거란의 소배압(蕭排押)이 이끄는 10만 대군을 흥화진(興化鎭)ㆍ귀주(龜州)에서 크게 격파함. 이부 상서(吏部尙書)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948~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인현(仁賢) - 이인현(李仁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안(鎭安). 이영준(李英俊)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정(監正) 등을 지냄.
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안 , 인명>관인>문신
-
인형(仁亨) - 이인형(李仁亨)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내며 치정에 힘썼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라는 이유로 부관참시(剖棺斬屍) 당함. 1506년(중종 1) 예조 판서(禮曹判書)에 추증됨.
1436~149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인혜대비(仁惠大妃) - 안순왕후(安順王后)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계비(繼妃). 청주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의 딸로, 1462년(세조 8)에 세자빈에 간택되고 예종이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에 병사함. 소생으로는 제안대군(齊安大君)과 현숙공주(顯肅公主)가 있음.
?~149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혜대왕대비(仁惠大王大妃) - 안순왕후(安順王后)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계비(繼妃). 청주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의 딸로, 1462년(세조 8)에 세자빈에 간택되고 예종이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에 병사함. 소생으로는 제안대군(齊安大君)과 현숙공주(顯肅公主)가 있음.
?~149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혜대왕비(仁惠王大妃) - 안순왕후(安順王后)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계비(繼妃). 청주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의 딸로, 1462년(세조 8)에 세자빈에 간택되고 예종이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에 병사함. 소생으로는 제안대군(齊安大君)과 현숙공주(顯肅公主)가 있음.
?~149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혜선효황제(仁惠宣孝皇帝) - 무종(武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307~1311. 해도(海都)의 난을 평정한 뒤 아난답(阿難荅) 옹립을 꾀하는 몽골의 궁정관료파를 누르고 즉위함.
1281~1311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인혜왕비(仁惠王妃) - 안순왕후(安順王后)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계비(繼妃). 청주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의 딸로, 1462년(세조 8)에 세자빈에 간택되고 예종이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에 병사함. 소생으로는 제안대군(齊安大君)과 현숙공주(顯肅公主)가 있음.
?~149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호(仁豪) - 백인호(白仁豪)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백익견(白益堅)의 아들.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냈으나, 기축옥사(己丑獄事)에 휘말려 장형(杖刑)을 받고 죽음.
1530~158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인혼(麟渾) - 김인혼(金麟渾)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울산(蔚山). 김인후(金麟厚)의 종제(從弟)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막하(幕下)에서 참모(參謀)로 활약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무신
-
인홍(仁弘) - 정인홍(鄭仁弘)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산(瑞山). 조식(曺植)의 수제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광해군 때 영의정으로서 대북(大北)을 영도하여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야기시켰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참형됨.
1536~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인홍사(仁弘寺) - 인흥사(仁興寺)
경상도 성주(星州) 비슬산(琵瑟山) 북쪽에 있었던 사찰.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 1264년(원종 5) 일연(一然)이 주지로 있었으며, 충렬왕(忠烈王)ㆍ공민왕(恭愍王)이 친필의 액(額)을 내림. 현재의 대구광역시에 속함.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사찰
-
인황(仁皇) - 인종(仁宗)@송
중국 북송(北宋)의 제4대 황제. 재위 1022~1063. '경력(慶曆)의 치(治)'라는 북송의 최전성기를 누렸지만 말년에는 재정 곤란에 빠짐.
1010~106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인효(仁孝)@한인효 - 한인효(韓仁孝)
조선 전기의 유학. 1472년(성종 3) 함양 군수(咸陽郡守)로 재직하고 있는 스승 김종직(金宗直)과 함께 지리산(智異山)을 등정한 일이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인효(仁孝) - 문종(文宗)@고려
고려 제11대 왕. 재위 1046~1083. 각종 법률 제정으로 내치(內治)를 다지고 국방ㆍ외교에도 힘썼으며, 유학을 장려하고 송(宋) 나라 문화를 수입하여 문화의 황금기를 이룸.
1019~108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인효(仁孝)@박인효 - 박인효(朴仁孝)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교리(校理)를 지낸 박문간(朴文幹)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인효순혜(仁孝順惠) - 현덕왕후(顯德王后)
조선 제5대 문종(文宗)의 비(妃).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전(權專)의 딸. 단종(端宗)의 어머니로, 세종(世宗) 때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나 가례(嘉禮)를 행하지 못한 채 4년 만에 죽자 현덕(顯德)이란 시호가 내려졌으며, 문종이 즉위한 후 왕후로 추봉(追封)됨.
1418~144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인후(仁后)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인후(仁垕) - 구인후(具仁垕)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무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국왕을 호위한 공으로 어영대장(御營大將)이 되고 영국공신(寧國功臣)에 책록됨. 벼슬은 좌의정(左議政)에 이름.
1578~165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인후(因厚) - 고인후(高因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종군하여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금산(錦山) 전투에서 아버지와 함께 전사함.
1561~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인후(麟厚) - 김인후(金麟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울산(蔚山). 홍문관박사(弘文館博士)ㆍ옥과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냈으나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자 고향으로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함.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과 경(誠敬)의 실천을 중시하였고, 1796년(정조 20)에 문묘에 배향됨.
1510~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일(軼)@김극인의아들 - 김일(金軼)@김극인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학생(學生) 김극인(金克仁)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일(軼)@김수윤의아들 - 김일(金軼)@김수윤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경상우도 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ㆍ황주 목사(黃州牧使) 등을 역임함.
1493~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무신
-
일(鎰) - 김일(金鎰)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한림학사(翰林學士) 김지연(金之衍)의 아들로, 보정공신(保定功臣)에 책록되었고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일(鎰)@구일 - 구일(具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공조 판서 구인기(具仁墍)의 아들로, 횡성 현감(橫城縣監)으로 있을 때 묵은 땅을 개간하는 등 치적이 있었고, 황해도 병마절도사(黃海道兵馬節度使)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620~169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무신
-
일(馹)@신일 - 신일(辛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덕원 교수(德源敎授)를 지낸 신국균(辛國鈞)의 아들로, 대구 부사(大邱府使)ㆍ선산 부사(善山府使)ㆍ제용감 정(濟用監正)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일(馹) - 송일(宋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사성(司成) 송승희(宋承禧)의 아들로, 1595년(선조 2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57~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일가도인(一可道人) - 이행(李行)@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우왕(禑王) 때 탐라(耽羅)에 가서 성주(星主)의 아들 고봉례(高鳳禮)를 볼모로 데려옴. 조선 개국 후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개성 유후(開城留後) 등을 지냄.
1352~14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일건(一建) - 조일건(趙一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배천(白川). 교서관 별좌(校書館別坐)를 지낸 조부우(趙府隅)의 아버지로, 영숭전 참봉(永崇殿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일경(一鏡) - 김일경(金一鏡)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소론(小論)의 거두로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주도하여 노론(老論) 수백 명을 살해 또는 추방하고 우참찬에 올랐으나, 영조가 즉위하여 노론이 재집권하자 친국(親鞫)을 받은 뒤 참형당함.
1662~17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일계(一桂) - 호일계(胡一桂)
중국 원(元) 나라 문종(文宗) 때의 학자. 호방평(胡方平)의 아들로, 주희(朱熹)의 학문을 종주로 하여 도학(道學)을 강학하였으며, 역학(易學)에 정통하여 《역본의부록찬소(易本義附錄纂疏)》ㆍ《역학계몽익전(易學啓蒙翼傳)》 등을 저술함.
124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일계(逸溪)@채무일 - 채무일(蔡無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인천(仁川).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채윤권(蔡胤權)의 아들. 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을 지내고, 그림뿐만 아니라 경사(經史)ㆍ주역(周易)ㆍ음률(音律)ㆍ의학(醫學)ㆍ복서(卜筮)에도 정통함.
1496~15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일계(逸溪) - 김자지(金自知)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밀직 제학(密直提學) 김도(金濤)의 아들. 배불론자(排佛論者)의 한 사람으로 음양ㆍ복서(卜筮)ㆍ천문ㆍ지리ㆍ의약ㆍ음률 등 여러 학문에 뛰어남.
1367~143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일관(一貫) - 서일관(徐一貫)
중국 명(明) 나라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사용재(謝用梓)와 함께 왜군(倭軍)에 파견되어, 잡혀 있던 왕자 임해군(臨海君)ㆍ순화군(順和君) 등과 함께 돌아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일구당(一丘堂) - 김가기(金可幾)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군수 김천부(金天富)의 아들이며, 대곡(大谷) 성운(成運)의 문인(門人)이자 처조카. 성운(成運)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시를 수집하였고 아들 김덕민(金德民)이 간행함.
1537~159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보은 , 인명>관인>문신
-
일급(日及)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일기사덕(一耆篩德) - 무왕(武王)@백제
백제 제30대 왕. 재위 600~641. 법왕(法王)의 아들이며, 의자왕(義慈王)의 아버지. 즉위 후 신라를 자주 공격하는 한편 고구려의 남진(南進)을 견제하였으며, 정복전쟁을 통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대규모 토목공사를 일으킴.
?~641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일길환(日吉丸) - 풍신수길(豊臣秀吉)
일본 전국시대(戰國時代)~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무장(武將). 16세기에 직전신장(織田信長)의 뒤를 이어 일본의 전국 통일을 이룩하고, 조선을 침략해 임진왜란을 일으킴.
1536~1598 일본>도산시대ㅣ일본>전국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일동(日東)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일동(逸童) - 홍일동(洪逸童)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세조 즉위 후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선위사(宣慰使)의 직함을 띠고 명승지를 유람하던 중 홍주(洪州)에서 죽음.
?~146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일동주인(日洞主人) - 금난수(琴蘭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봉화(奉化).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장예원 사평(掌隸院司評)ㆍ봉화 현감(奉化縣監) 등을 지내고, 귀향한 뒤에는 퇴계 학문을 강구함.
1530~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일두(一蠹) - 정여창(鄭汝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가서 죽음. 성리학의 대가로 경사(經史)에 통달함.
1450~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일두유집(一蠹遺集) - 일두집(一蠹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정여창(鄭汝昌)의 시문집(詩文集). 정구(鄭逑) 등이 편집한 《문헌공실기(文獻公實記)》를 유집(遺集)으로 하고, 속집(續集)을 덧붙여 간행함.
1920 한국>근대 , 경상도>함양 , 문헌>서명
-
일두재(一蠹齋) - 정여창(鄭汝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가서 죽음. 성리학의 대가로 경사(經史)에 통달함.
1450~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일로(逸老)@심응지 - 심응지(沈膺之)
조선 전기의 유학. 이해수(李海壽)와 교유하여 《약포유고(藥圃遺稿)》에 여러 편의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일로(逸老) - 양관(梁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덕천 군수(德川郡守) 등을 거쳐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에 이르렀고, 근면하고 청렴하여 청백리에 녹선됨.
1437~150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일로당(佚老堂) - 성세명(成世明)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임(成任)의 아들로,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를 수찬하고,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지냄.
1447~151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일로당(逸老堂) - 양관(梁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덕천 군수(德川郡守) 등을 거쳐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에 이르렀고, 근면하고 청렴하여 청백리에 녹선됨.
1437~150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무신
-
일만이천봉(一萬二千峯)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일모도궁(日暮途窮) - 일모도원(日暮途遠)
날은 저물었는데 갈 길은 멀다는 뜻으로, 이미 늙어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의미. 초(楚) 나라 평왕(平王)에게 원한을 갚으려 했던 오자서(伍子胥)가 평왕이 이미 죽자 시신에 300번의 채찍질을 했는데, 이 행동을 신포서(申包胥)가 나무라자 오자서(伍子胥)가 대꾸하며 한 말에서 유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일모산(一牟山) - 문의(文義)
충청도 중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동쪽은 회인(懷仁), 남쪽은 회덕(懷德), 북쪽은 청주(淸州)와 접해 있으며, 송인수(宋麟壽) 등을 배향한 노봉서원(魯峯書院)이 있음. 현재는 충청북도 청주시(淸州市)에 속함.
충청도>문의 , 지명>행정지명
-
일보(一甫)@구성윤 - 구성윤(具誠胤)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구봉령(具鳳齡)의 아들.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일보(一甫) - 권만(權萬)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두굉(權斗紘)의 아들로,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움.
1688~17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일본국(日本國)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일봉(一峯)@나륜 - 나륜(羅倫)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한림 수찬(翰林修撰)ㆍ남경 공직(南京供職)을 지내고 사퇴한 뒤, 금우산(金牛山)으로 들어가 학문 활동과 저술에 전념함. 의(義)를 중요시했고, 저서로《일봉집(一峯集)》이 있음.
1431~147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일봉(一峯) - 이민각(李民覺)@조선후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약빙(李若氷)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전라도에 파견되어 군량미 조달에 공을 세웠으며, 호조 참의(戶曹參議) 등을 지냄.
15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일봉(一峯)@양소조 - 양소조(楊紹祖)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전둔위(前屯衞) 사람으로, 1598년(선조 31) 6월에 흠차보정중영참장(欽差保定中營參將) 도지휘첨사(都指揮僉事)로 마병(馬兵)을 이끌고 조선의 왜란에 참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일불거사(一拂居士) - 정협(鄭俠)
중국 송(宋) 나라 영종(英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가뭄이 들어 유민(流民)들이 도로에 가득하게 되자, 이 참상(慘狀)을 유민도(流民圖)에 그려 올림으로써 신종(神宗)으로 하여금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을 혁파하고 유민을 구제하게 함.
1041~111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일삼(日三) - 안성(安省)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 직학사(寶文閣直學士)ㆍ상주 판관(尙州判官)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참찬(參贊) 등을 지냄.
?~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일상(一相) - 이일상(李一相)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정귀(李廷龜)의 손자이며 이명한(李明漢)의 아들.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내고, 효종(孝宗)의 북벌계획 수립에 송시열(宋時烈) 등과 도움을 주었으며,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ㆍ《효종실록(孝宗實錄)》을 편찬함.
1612~166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일석(一石) - 박유동(朴惟棟)
조선 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박사삼(朴事三)의 아들.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 등과 친교(親交)가 있었으며,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일선(一善) - 선산(善山)
경상북도 구미(龜尾) 지역에 있던 고을 이름. 금오산(金烏山)과 천생산(天生山) 등이 병풍처럼 싸안고 있고, 낙동강(洛東江)이 가로지르고 있음.
경상도>선산 , 지명>행정지명
-
일선김씨(一善金氏) - 선산김씨(善山金氏)
신라 문성왕(文聖王)의 후손으로 고려 태조(太祖)를 도와 공을 세운 김선궁(金宣弓)을 시조로 하는 계통과,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여덟째 아들인 김추(金錘)를 시조로 하는 계통을 아울러 이르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집단>성씨
-
일선부수(一善副守) - 이엽(李曄)@이구의손자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손자이며, 음죽 현감(陰竹縣監) 이강(李綱)의 맏아들인 이준인(李遵仁)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일선수(一善守) - 이엽(李曄)@이구의손자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손자이며, 음죽 현감(陰竹縣監) 이강(李綱)의 맏아들인 이준인(李遵仁)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일선임씨(一善林氏) - 선산임씨(善山林氏)
중국 당(唐) 나라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로 동래(東來)한 임팔급(林八及)을 도시조(都始祖)로 삼고, 신라 말 재상을 지낸 임양저(林良貯)를 중시조(中始祖)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선산 , 인명>집단>성씨
-
일설(一薛) - 설거주(薛居州)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선사(善士). 송 나라의 대불승(戴不勝)이 왕을 바른길로 인도하고자 그를 왕의 측근에 둠.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일성(日省) - 이인행(李仁行)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관섭(李觀燮)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익위(世子翊衛司翊衛) 등을 지냄. 경사(經史)에 두루 능통하여 서연(書筵)에 입시하여 진강하기도 함.
1758~18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