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일성군(日城君)@정효전 - 정효전(鄭孝全)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부마. 판서 정진(鄭鎭)의 아들로, 태종의 딸 숙정옹주(淑貞翁主)와 혼인함. 도진무(都鎭撫)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김종서(金宗瑞) 등 중신들이 살해되자 병을 핑계로 나가지 않다가 파직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일성군(日城君) - 정사도(鄭思道)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 때 모친상에 3년간 시묘(侍墓)한 효성으로 일성군(日城君)에 봉해짐. 최영(崔瑩)을 제거하려는 신돈(辛旽)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 복직된 뒤 오천군(烏川君)에 개봉(改封)됨.
1318~137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일성루(一星樓) - 정약전(丁若銓)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진주 목사(晉州牧使) 정재원(丁載遠)의 아들이며 정약용(丁若鏞)의 형으로, 신유사옥(辛酉邪獄) 때 흑산도(黑山島)로 유배되어 《자산어보(玆山魚譜)》를 지음.
1758~18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일성부원군(日城府院君) - 정운관(鄭云瓘)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영일(迎日). 정몽주(鄭夢周)의 아버지.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일성부원군(日城府院君)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유학
-
일성왕(逸聖王) - 일성이사금(逸聖尼師今)
신라 제7대 왕. 재위 134~154. 말갈(靺鞨)의 침입을 자주 받았으나, 농본주의 정책을 펼쳐 제방을 고쳐 쌓고 농지를 개간하는 한편 백성들의 사치를 금하고 검소한 생활을 장려함.
?~15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일성위(日城尉) - 정효전(鄭孝全)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부마. 판서 정진(鄭鎭)의 아들로, 태종의 딸 숙정옹주(淑貞翁主)와 혼인함. 도진무(都鎭撫)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김종서(金宗瑞) 등 중신들이 살해되자 병을 핑계로 나가지 않다가 파직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일소(日炤) - 신문왕(神文王)
신라 제31대 왕. 재위 681~692. 문무왕(文武王)의 장자(長子). 국학을 창설하여 학문을 장려하고, 설총(薛聰)ㆍ강수(强首)와 같은 대학자를 등용함. 통일신라의 국가 제도를 완비하고 국왕의 권위를 확립함.
?~69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일소(逸少) - 왕희지(王羲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서예가ㆍ문신. 동진 왕조 건설에 공적이 컸던 왕도(王導)의 조카로, 중국 고금(古今)의 첫째가는 서성(書聖)으로 존경받고 있음.
307~3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일소(逸少)@피일휴 - 피일휴(皮一休)
중국 당(唐) 나라 의종(懿宗) 때의 문신ㆍ문인. 녹문산(鹿門山)에 은거하다가 벼슬하여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내고, 황소(黃巢)의 난에 참가하여 난리 속에서 죽음. 육귀몽(陸龜蒙)과 시를 창화(唱和)함.
834?~88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일손(馹孫) - 김일손(金馹孫)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스승인 김종직(金宗直)이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실록(實錄)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勳舊派)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64~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일송(一松) - 심희수(沈喜壽)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인순왕후(仁順王后)의 종제이자 노수신(盧守愼)의 문인.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이 일자 은거함. 저서로 《일송집(一松集)》이 있음.
1548~162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일수왕(逸壽王) - 충렬왕(忠烈王)
고려 제25대 왕. 재위 1274~1308. 원종(元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순경태후(順敬太后). 원종이 원(元) 나라에 있을 때 태손(太孫)으로서 국사를 담당했으며, 즉위 후 고려 왕권의 위상 확립 및 대몽항쟁(對蒙抗爭) 중 원 나라에 편입된 영토의 수복에 힘씀.
1236~130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일승(日升) - 의종(毅宗)@고려
고려 제18대 왕. 재위 1146~1170. 인종(仁宗)의 맏아들로, 무신들을 천대하다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 등에게 폐위당함. 김보당(金甫當)의 복위운동 실패 후 이의민(李義旼)에게 살해됨.
1127~117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일시루(一是樓) - 태고정(太古亭)
조선 성종(成宗) 때 경상도 대구(大丘)에 건립한 정자. 1479년(성종 10) 박팽년(朴彭年)의 손자인 박일산(朴壹珊)에 의해 창건되고,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14년(광해군 6) 후손에 의해 중건됨.
147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누정
-
일신(一新)@원주 - 원주(原州)
강원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 후기에 관동(關東) 제일의 정치ㆍ경제ㆍ문화ㆍ교통의 중심지를 이룸.
강원도>원주 , 지명>행정지명
-
일신(一新) - 남원(南原)
전라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과 영남을 잇는 교통의 요지임.
전라도>남원 , 지명>행정지명
-
일신(日新)@원종 - 원종(元宗)@고려
고려 제24대 왕. 재위 1260~1274. 고종(高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안혜태후 유씨(安惠太后柳氏). 한때 임연(林衍)에 의해 폐위당하였으나 원(元)의 도움으로 복귀함. 전민변정도감(田民辨整都監)을 설치하고, 강화도(江華島)에서 개성(開城)으로 환도(還都)하였으며, 삼별초(三別抄)의 난을 진압함.
1219~127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일신(日新)@의종 - 의종(毅宗)@고려
고려 제18대 왕. 재위 1146~1170. 인종(仁宗)의 맏아들로, 무신들을 천대하다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 등에게 폐위당함. 김보당(金甫當)의 복위운동 실패 후 이의민(李義旼)에게 살해됨.
1127~117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일신(日新) - 문익점(文益漸)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원(元) 나라에서 목화씨를 몰래 가져와서 장인 정천익(鄭天益)과 함께 고향에서 재배하는 데 성공함.
132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산음 , 인명>관인>문신
-
일신(日新)@조일신 - 조일신(趙日新)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역신(逆臣).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조위(趙瑋)의 아들. 공민왕을 수종하여 원(元) 나라에 갔다가 공민왕이 왕위에 오르자 좌리공신(佐理功臣)에 봉해짐. 이후 권력을 멋대로 휘두르다가 왕에게 주살당함.
?~1352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일신당(日新堂) - 이천경(李天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본관은 합천(陜川).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님의 봉양을 위해 관직을 사양했으며, 저서로 《일신당집(日新堂集)》이 있음.
1537~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문인
-
일악(一鶚) - 임악(林鶚)
중국 명(明) 나라 경제(景帝)~헌종(憲宗) 때의 문신. 형부 시랑(刑部侍郞)을 지냄.
1423~1476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일암(一菴) - 학전(學專)
조선 전기의 승려. 신숙주(申叔舟)와 친분이 두터웠으며, 말년에 황해도 문화현(文化縣)의 패엽사(貝葉寺)에 기거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종교인>승려
-
일암(一菴)@박효남 - 박효남(朴孝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장단 부사(長湍府使) 박옹(朴顒)의 아들로, 지방관으로 재직시 선정을 베풀어 공덕비가 세워짐.
1553~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일암(釰巖) - 권우(權祐)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관직은 직장(直長) 등을 역임하였고 충주(忠州)에 정자(亭子)를 지었는데, 황정욱(黃廷彧)이 호서 방백(湖西方伯)으로 부임했을 때 정자에 시를 남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일암거사(逸庵居士) - 정안(鄭晏)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최우(崔瑀)와 처남ㆍ매부 사이. 최항(崔沆)을 비난한 일로 백령도(白翎島)에 귀양 갔다가 살해됨. 진각국사(眞覺國師) 혜심(惠諶)의 행록(行錄)을 지음.
?~125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일역(日域)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일연(日堧)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일용재(一慵齋) - 김시침(金時忱)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잠암(潛庵) 김의정(金義貞)의 현손(玄孫)으로, 서빙고 별제(西氷庫別提)에 제수됨.
1600~167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일우(一宇) - 이혼(李混)
고려 원종(元宗)~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충선왕이 원(元) 나라에서 즉위하자 대사백(大詞伯)에 봉해지고 벽상삼한공신(壁上三韓功臣)에 녹훈됨. 뒤에 예안백(禮安伯)에 봉해져 예안이씨의 시조가 됨.
1252~131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ㅣ경상도>예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일우(逸愚) - 유상조(柳相祚)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도사(都事)를 지낸 유종춘(柳宗春)의 아들로, 1794년(정조 18)에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ㆍ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냄.
1763~18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일원(一元) - 동일원(董一元)
중국 명(明) 나라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대군을 이끌고 조선에 파병되었으나 사천(泗川) 싸움에서 패배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일일재(一一齋) - 김시찬(金是瓚)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성균생원 김성익(金聖翼)의 아들. 학행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천거되고 그 후 봉사(奉事)ㆍ직장(直長) 등 여러 차례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함.
1754~18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일자국(一字國) - 일본(日本)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 열도(列島)로 이루어진 섬나라.
일본 , 시간>국명
-
일장(一長) - 배일장(裵一長)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남구만(南九萬)의 천거로 강릉 참봉(康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함. 《심경보사(心經補辭)》를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일장(日章)@손소 - 손소(孫昭)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종사관(從事官)으로 출정, 난이 평정된 뒤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내섬시 정(內贍寺正)으로 특진됨.
1433~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일장(日章) - 송문중(宋文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조선 태조가 잠저(潛邸)에 있을 때 그를 보좌하였고, 풍해도 관찰사(豐海道觀察使)를 지낼 때 왜구(倭寇)를 물리치는 등 공을 세움.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일장(日章)@조경 - 조경(趙絅)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익남(趙翼男)의 아들이며 윤근수(尹根壽)의 문인(門人).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고, 대제학(大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86~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창ㅣ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일재(一齋)@권한공 - 권한공(權漢功)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충숙왕(忠肅王)에 의해 구금된 일로 충숙왕을 폐위시키고 심양왕(瀋陽王) 고(暠)를 옹립하려 했으나 실패함.
?~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일재(一齋)@민회현 - 민회현(閔懷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현량과(賢良科)를 거쳐 관직에 진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방(罷榜)되어 고향으로 돌아가 여생을 마침.
1472~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예산 , 인명>관인>문신
-
일재(一齋)@이항 - 이항(李恒)@이자영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반궁성의(反躬誠意)ㆍ주경궁리(主敬窮理)를 학문 경향으로 삼음. 1566년(명종 21) 학행으로 천거를 받아 의영고 영(義盈庫令) 등을 지냄.
1499~15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일재(一齋) - 김감(金勘)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원신(金元臣)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에 봉해짐.
1466~150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일재(逸齋) - 성임(成任)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성염조(成念祖)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국조보감(國朝寶鑑)》ㆍ《경국대전(經國大典)》편찬에 참여하고, 글씨와 시문에 뛰어남.
1421~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일재(逸齋)@심호 - 심호(沈鎬)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우참찬(右參贊) 심광언(沈光彦)의 아들로, 안악 군수(安岳郡守) 심광문(沈光門)에게 출계(出系)함. 동생 심금(沈錦)의 아들 심종민(沈宗敏)을 계자(繼子)로 삼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일재선생집(一齋先生集) - 일재집(一齋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항(李恒)의 문집. 5세손 이성익(李星益)이 수습(收拾)한 유고(遺稿)를 종인(宗人) 이준구(李俊耈)가 박세채(朴世采)의 교정과 서문(序文)을 받아 간행함.
167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일재옹(一齋翁) - 이항(李恒)@이자영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반궁성의(反躬誠意)ㆍ주경궁리(主敬窮理)를 학문 경향으로 삼음. 1566년(명종 21) 학행으로 천거를 받아 의영고 영(義盈庫令) 등을 지냄.
1499~15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일정(一正) - 김좌명(金佐明)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영의정 김육(金堉)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영의정(領議政)ㆍ청릉부원군(淸陵府院君)에 추증되고, 현종의 묘정에 배향(配享)됨.
1616~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일제(日磾) - 김일제(金日磾)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소제(昭帝) 때의 문신. 흉노(匈奴) 출신으로, 무제의 유명(遺命)을 받고 상홍양(桑弘羊)과 함께 어린 황제 소제를 보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일죽(一竹) - 신내옥(辛乃沃)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을 지낸 신중곤(辛仲坤)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출사(出仕)하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념함. 유운룡(柳雲龍)ㆍ김성일(金誠一)ㆍ권호문(權好文) 등과 교유함.
1525~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강원도>영월 , 인명>문사>유학
-
일죽재(一竹齋) - 신내옥(辛乃沃)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을 지낸 신중곤(辛仲坤)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출사(出仕)하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념함. 유운룡(柳雲龍)ㆍ김성일(金誠一)ㆍ권호문(權好文) 등과 교유함.
1525~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강원도>영월 , 인명>문사>유학
-
일지(一之)@이윤순 - 이윤순(李允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전의(全義). 이서장(李恕長)의 아들로, 사후(死後)에 통정대부(通政大夫)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유학
-
일지(一之) - 김영정(金永貞)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김영견(金永堅)의 동생. 여러 번 명(明) 나라로 사신갔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음.
1437~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일지(一之)@정해 - 정해(鄭獬)
조선 전기의 노비. 사가재(四佳齋) 서거정(徐居正)이 자설(字說)을 지어줌.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노비
-
일지(一之)@남효순 - 남효순(南孝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냈음.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의 종제(從弟).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일초(一初) - 박근원(朴謹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으로, 형조 참판을 지낸 박광영(朴光榮)의 손자. 병조 판서(兵曹判書) 이이(李珥)를 탄핵하다가 강계(江界)로 유배되기도 했으며, 처결수완이 뛰어나 대사헌을 여덟 번이나 지냄.
1525~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일초(日招) - 신문왕(神文王)
신라 제31대 왕. 재위 681~692. 문무왕(文武王)의 장자(長子). 국학을 창설하여 학문을 장려하고, 설총(薛聰)ㆍ강수(强首)와 같은 대학자를 등용함. 통일신라의 국가 제도를 완비하고 국왕의 권위를 확립함.
?~69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일통서(一統書) -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
중국 명(明) 나라 때 이현(李賢)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편찬한 지리서(地理書). 90권. 《환우통지(寰宇通志)》를 요약하여 만듦.
1461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일통지(一統志) -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
중국 명(明) 나라 때 이현(李賢)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편찬한 지리서(地理書). 90권. 《환우통지(寰宇通志)》를 요약하여 만듦.
1461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일평(逸平) - 서존(徐存)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구산(龜山) 양시(楊時)의 제자로,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며 경학(經學)을 가르쳤는데, 따르는 학도(學徒)가 천여 명이었다고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일평옹(逸平翁) - 서존(徐存)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구산(龜山) 양시(楊時)의 제자로,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며 경학(經學)을 가르쳤는데, 따르는 학도(學徒)가 천여 명이었다고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일학(一壑) - 김신원(金信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정철(鄭澈)의 《송강집(松江集)》에 〈추차홍태고운 봉증일학김학사(追次洪太古韻奉贈一壑金學士)〉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일호(一湖) - 안원형(安元衡)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1341년(충혜왕 후2)에 급제하여 밀직사사(密直司事)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131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일호(一瓠) - 송영구(宋英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으로, 성혼(成渾)의 문인. 광해군 때 《선조실록(宣祖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으로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 파직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일호(一皓) - 황일호(黃一皓)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황척(黃惕)의 아들로, 큰아버지 황신(黃愼)에게 출계함.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인조를 호종하고, 의주 부윤(義州府尹)으로 있던 1638년(인조 16)에 명(明) 나라를 도와 청(淸) 나라를 치고자 모의하였으나 발각되어 청 나라 병사에게 피살됨.
1588~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일화(日華) - 광종(光宗)@고려
고려 제4대 왕. 재위 949~975. 태조 왕건(王建)의 넷째 아들. 형인 정종(定宗)의 선위(禪位)를 받아 즉위한 뒤 영명(英明)한 통치로 훈신(勳臣)ㆍ장상(將相) 등을 숙청하고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과거제도의 시행, 국방의 강화 등 많은 치적을 쌓음.
925~97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일휴(一休) - 피일휴(皮一休)
중국 당(唐) 나라 의종(懿宗) 때의 문신ㆍ문인. 녹문산(鹿門山)에 은거하다가 벼슬하여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내고, 황소(黃巢)의 난에 참가하여 난리 속에서 죽음. 육귀몽(陸龜蒙)과 시를 창화(唱和)함.
834?~88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일휴(日休)@금응협 - 금응협(琴應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유일(遺逸)로 뽑혀 6품직을 초수(超授)하고 하양 현감(河陽縣監) 등을 지냄.
1526~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일휴(日休) - 홍일동(洪逸童)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세조 즉위 후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선위사(宣慰使)의 직함을 띠고 명승지를 유람하던 중 홍주(洪州)에서 죽음.
?~146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일휴당(日休堂) - 금응협(琴應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유일(遺逸)로 뽑혀 6품직을 초수(超授)하고 하양 현감(河陽縣監) 등을 지냄.
1526~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일휴당(日休堂)@최경회 - 최경회(崔慶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크게 활약하다가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남강(南江)에 투신자살함. 진주 창렬사(彰烈祠) 등에 제향되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1532~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임(任)@성임 - 성임(成任)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성염조(成念祖)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국조보감(國朝寶鑑)》ㆍ《경국대전(經國大典)》편찬에 참여하고, 글씨와 시문에 뛰어남.
1421~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임(任) - 윤임(尹任)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윤여필(尹汝弼)의 아들이며, 중종 계비(繼妃) 장경왕후(章敬王后)의 오빠. 대윤(大尹)의 거두로, 윤원형(尹元衡)의 소윤(小尹) 일파와 대립하다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숙청되어 유배 도중 사사됨.
1487~154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임(任)@홍임 - 홍임(洪任)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경주(洪景舟)ㆍ홍경림(洪景霖)의 아버지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임(任)@허임 - 허임(許任)
조선 전기의 유학. 엄흔(嚴昕)의 《십성당집(十省堂集)》에 그의 병풍에 써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임(任)@배임 - 배임(裵任)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전의감 겸교수(典醫監兼敎授)를 지낸 배순(裵珣)의 아들로, 1549년(명종 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문사>유학
-
임(恁) - 안임(安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낸 안자유(安自裕)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임(林) - 유림(柳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유성간(柳成澗)의 아들. 밀직사(密直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임(琳) - 권림(權琳)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공주 목사(公州牧使) 권유순(權有順)의 아들이자, 이보정(李補丁)의 사위로, 광흥창 주부(廣興倉主簿)를 지냈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임(琳)@윤림 - 윤림(尹琳)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군(鈴平君) 윤계겸(尹繼謙)의 아들이며 윤안인(尹安仁)의 아버지로, 장례원 사의(掌隷院司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임(琳)@이림 - 평원대군(平原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일곱째 아들.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의 소생으로, 부사(府使) 홍이용(洪利用)의 딸과 혼인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죽음.
1427~14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임(銋) - 신임(申銋)
조선 효종(孝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으로, 좌참찬(左參贊)과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신임옥사(辛壬獄事)가 일어나자 동궁을 보호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제주도로 위리안치(圍籬安置)됨.
1639~172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銋)@김임 - 김임(金銋)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강령 현감(康翎縣監)을 역임한 김장생(金莊生)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이산 , 인명>문사>유학
-
임(霖) - 이림(李霖)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이세응(李世應)의 아들로, 중종 때 진위사(進慰使)로 중국에 다녀오고 병조 참의를 역임하였으나, 명종 때 윤원형(尹元衡) 일파의 모함을 받아 의주(義州)로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사사(賜死)됨.
?~15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임^사(任^姒) - 지^신(摯^莘)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인 태임(太任)과 문왕의 부인이자 무왕(武王)의 어머니인 태사(太姒)를 함께 부르는 말. 지(摯)는 태임의 출신지이며 신(莘)은 태사의 출신지로, 현숙한 비(妃)를 가리킴.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임^사(姙^姒) - 지^신(摯^莘)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인 태임(太任)과 문왕의 부인이자 무왕(武王)의 어머니인 태사(太姒)를 함께 부르는 말. 지(摯)는 태임의 출신지이며 신(莘)은 태사의 출신지로, 현숙한 비(妃)를 가리킴.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임간(任姦) - 임사홍(任士洪)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아들 보성군(寶城君)의 사위로, 두 아들이 각각 예종(睿宗)과 성종(成宗)의 부마가 되면서 권세를 누림. 무오사화(戊午士禍)와 갑자사화(甲子士禍)를 주도하여 많은 중신(重臣)과 선비를 죽임.
?~150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갈천(林葛川) - 임훈(林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지내고, 1582년(선조 15)에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낙향함.
1500~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임강수(任强首) - 강수(强首)
통일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문무왕(文武王) 때의 학자ㆍ문인. 유교 관료적 소양을 지닌 당대 최고의 문장가로서 외교문서인 〈청방인문표(請放仁問表)〉ㆍ〈답설인귀서(答薛仁貴書)〉가 전함. 외교문서로써 삼국통일에 공을 세웠다 하여 사찬(沙飡)의 관등을 받음.
?~692 한국>통일신라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임거자(林居子) - 권호문(權好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무민재(無悶齋)를 짓고 은거하면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함.
1532~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임계(林溪)@윤집 - 윤집(尹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형갑(尹衡甲)의 아들로,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 병자호란 때 청(淸)과의 화의를 적극 반대하다가 오달제(吳達濟)ㆍ홍익한(洪翼漢)과 함께 중국 심양(瀋陽)에 끌려가 순절함.
1606~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계(林溪) - 유호인(兪好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합천 군수(陜川郡守) 등을 지냄. 시(詩)ㆍ문(文)ㆍ서(書)에 뛰어나 당대 삼절(三絶)로 일컬어지고 성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음.
1445~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임고(臨皐) - 영천(永川)@경상도
경상도 남동부에 있는 지명. 동쪽으로 경주(慶州), 서쪽으로 대구(大丘)와 접함. 진산(鎭山)으로 모자산(母子山)이 있고, 사찰로 운부사(雲浮寺) 등이 있음.
경상도>영천(永川) , 지명>행정지명
-
임곡(臨谷) - 신식(申湜)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ㆍ성운(成運)의 문인으로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학식이 높고, 예악(禮樂)에도 밝았으나, 정여립(鄭汝立)의 일파라는 탄핵을 받아 곤양(昆陽)에 유배됨.
1551~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임군우(任君遇) - 임열(任說)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참봉 임명필(任明弼)의 아들. 세 번 과거에 급제하여 문명을 떨치고, 대사헌ㆍ공조 판서ㆍ한성부 판윤 등을 거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510~15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금산(林錦山) - 임희무(林希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좌승지ㆍ밀양 군수 등을 지냄. 1552년(명종 7) 강익(姜翼)ㆍ정복현(鄭復顯) 등과 함께 함양(咸陽)에 정여창(鄭汝昌)을 배향한 남계서원(灆溪書院)을 세움.
1527~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임금호(林錦湖) - 임형수(林亨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호당(湖堂)에 있을 때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이 일어나자 대윤(大尹) 일파로 몰려 사사(賜死)됨.
1504~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임노촌(林老村) - 임상덕(林象德)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강목체(綱目體)의 역사서인 《동사회강(東史會綱)》 등이 있음.
1683~171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임단(臨湍) - 마전(麻田)
경기도 연천(漣川)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기도>연천 , 지명>행정지명
-
임당(林塘) - 정유길(鄭惟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영의정(領議政) 정광필(鄭光弼)의 손자. 우의정(右議政)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고, 시문(詩文)과 서예 등에 뛰어나 임당체(林塘體)라는 평을 받음.
1515~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당거사(林塘居士) - 정유길(鄭惟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영의정(領議政) 정광필(鄭光弼)의 손자. 우의정(右議政)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고, 시문(詩文)과 서예 등에 뛰어나 임당체(林塘體)라는 평을 받음.
1515~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