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입(立) - 김립(金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서흥(瑞興).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김언상(金彦庠)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생원시에 입격하여, 의흥(義興)ㆍ초계(草溪)의 군수(郡守)를 역임했음.
1497~15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입보(立甫) - 박근제(朴根悌)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진원(珍原). 왕자 사부(王子師傅) 박광전(朴光前)의 아들이며 박근효(朴根孝)의 동생으로, 임진왜란 때 형 박근효와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 정유재란 때 아버지의 종사관(從事官)으로 출전함.
1560~163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원 , 인명>문사>학자
-
입부(立夫) - 김성휘(金成輝)
조선 중종(中宗)~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훈벌가문(勳閥家門)이었으나 생활이 어려워 어려서부터 치산(治産)에 힘써 당대의 거부(巨富)가 되고, 임진왜란 때 군량미를 조달한 공으로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지냄.
1535~162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입부(立夫)@오예손 - 오예손(吳禮孫)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오상(吳祥)의 아버지로, 1497년(연산군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제천 현감(堤川縣監)ㆍ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입부(立夫)@오내 - 오내(吳萊)
중국 원(元) 나라의 시인. 지방관의 추천을 받아 춘시(春試)에 응시하였으나 급제하지 못하고‚ 이후 심뇨산(深裊山)에 은거하며 독서와 저술에 전념함. 저서로는 제자인 송렴(宋濂)이 펴낸 《연영오선생집(淵潁吳先生集)》과 《맹자제자열전(孟子弟子列傳)》등이 있음.
1297~1340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입암(立巖) - 민제인(閔齊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전적(典籍)을 지낸 민귀손(閔龜孫)의 아들. 윤원형(尹元衡)에게 의부(依付)해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윤임(尹任) 등을 제거하는 데 앞장섬.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입암(立巖)@유중영 - 유중영(柳仲郢)@조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아버지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로 이름을 떨침.
1515~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입암(笠巖)@이성신 - 이성신(李省身)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동생 이치신(李致身)에게 아들 이환(李桓)을 양자로 보냄.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며, 이괄(李适)의 난 때 사관으로 왕을 공주(公州)에 호종하고, 동부승지(同副承旨) 등을 지냄.
1580~165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입암(笠巖) - 손비장(孫比長)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수찬(藝文館修撰)) 등을 역임하였고,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세조실록(世祖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입암징사(立巖徵士) - 박하담(朴河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학행(學行)으로 장례원 사평(掌隸院司評) 등에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청도(淸道)의 운문산(雲門山) 아래에 소요당(逍遙堂)을 짓고 여생을 보냈으며, 김대유(金大有)와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음.
1479~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문인
-
입재(立齋) - 노흠(盧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적과 싸운 공로로 별제(別提)ㆍ찰방(察訪)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음.
1527~16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입지(立之)@신립 - 신립(申砬)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임진왜란 때 삼도 순변사(三道巡邊使)가 되어 출전하여 충주의 탄금대(彈琴臺)에서 배수진을 치고 왜군과 대결하였으나 참패한 뒤 강물에 투신 순절함.
1546~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입지(立之)@이언충 - 이언충(李彦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충숙왕 때 하정사(賀正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오고,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충렬왕(忠烈王)에서 충혜왕(忠惠王)까지 네 왕을 섬기면서 총애를 받음.
1273~133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입지(立之)@최립 - 최립(崔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ㆍ문신. 진사(進士) 최자양(崔自陽)의 아들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문장에도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차천로(車天輅)의 시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림.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통천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입지(立之)@이립 - 이립(李立)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하음(河陰). 1513년(중종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문사>유학
-
입지(立之)@김립 - 김립(金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서흥(瑞興).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김언상(金彦庠)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생원시에 입격하여, 의흥(義興)ㆍ초계(草溪)의 군수(郡守)를 역임했음.
1497~158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입지(立之) - 김부식(金富軾)
고려 숙종(肅宗)~의종(毅宗) 때의 문신ㆍ학자. 《삼국사기(三國史記)》를 편찬함.
1075~1151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입지(立之)@유영립 - 유영립(柳永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임진왜란 때 왜장에게 뇌물을 바치고 탈출한 일로 국위를 손상시켰다는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으나, 유성룡(柳成龍)의 변호로 복직된 뒤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냄.
1537~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입지(立之)@박근효 - 박근효(朴根孝)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으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아우 박근제(朴根悌)와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 전란이 끝난 뒤 동지들과 힘을 모아 서적을 발간하는 등 문교 진흥에 힘씀.
1550~160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입택(笠澤) - 태호(太湖)
중국 강소성(江蘇省)과 절강성(浙江省)에 걸쳐 있는 호수 이름. 산수(山水)가 빼어나 동천복지(洞天福地)로 일컬어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잉근내(仍斤內)@음성 - 음성(陰城)
충청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북쪽으로는 충주(忠州), 남쪽으로는 괴산(槐山)ㆍ청안(淸安), 서쪽으로는 진천(鎭川)에 접해 있음.
충청도>음성 , 지명>행정지명
-
잉근내(仍斤內) - 괴산(槐山)
충청북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소백산맥이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어 교통이 불편하여 유교적인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지역임.
충청도>괴산 , 지명>행정지명
-
잉홀(仍忽) - 음성(陰城)
충청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북쪽으로는 충주(忠州), 남쪽으로는 괴산(槐山)ㆍ청안(淸安), 서쪽으로는 진천(鎭川)에 접해 있음.
충청도>음성 , 지명>행정지명
-
잉힐(仍肹) - 임실(任實)
전라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남원(南原), 서쪽으로 순창(淳昌)과 접해 있음.
전라도>임실 , 지명>행정지명
-
자(孜)@이행의손자 - 이자(李孜)@이행의손자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대제학(大提學) 이행(李行)의 손자로,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사위가 됨. 돈녕 부사(敦寧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자(孜)@이순의아들 - 이자(李孜)@이순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손자이며, 정양군(定陽君) 이순(李淳)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자(慈) - 한자(韓慈)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평군(西平君) 한숙창(韓叔昌)의 아들로, 풍저창 주부(豐儲倉主簿)ㆍ함열 현감(咸悅縣監) 등을 지냈음.
1496~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자(滋)@최자 - 최자(崔滋)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우복야(右僕射)를 지낸 최민(崔敏)의 아들. 문장이 뛰어나 이규보(李奎報)의 후계자로 추천되고, 수태사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守太師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를 지냄.
1188~1260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자(滋) - 유자(柳滋)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유순정(柳順汀)의 아들로 황간 현감(黃澗縣監)ㆍ금구 현령(金溝縣令) 등을 지냈음.
1491~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滋)@왕자 - 왕자(王滋)
고려 제25대 충렬왕(忠烈王)의 아들. 어머니는 정화궁주(貞和宮主)이며, 충선왕(忠宣王)의 이복형. 1279년(충렬왕 5) 세자를 피하여 충청도 동심사(東深寺)에서 4년간 은거하기도 함.
?~130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아산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자(滋)@이자 - 이자(李滋)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세우(李世佑)의 아들로, 《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연산군에게 자주 풍간(諷諫)한 일로 화가 미칠 것을 예감하고 이듬해에 과음한 뒤 죽음.
1466~149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자(滋)@정자 - 정자(鄭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자 우의정 정철(鄭澈)의 형으로, 정언(正言)ㆍ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되고, 정미사화(丁未士禍) 때 이배(移配)되던 도중 사망함.
1515~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자(磁) - 허자(許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원(許瑗)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이기(李芑) 등과 함께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496~155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耔) - 이자(李耔)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사림파(士林派)의 한 사람으로 도학정치의 이상을 추구했으며, 온건하고 원만한 성품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의 참화를 면함. 파직된 후 음성(陰城) 등지에 은거하여 학문에 힘씀.
1480~15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충청도>음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鎡) - 심자(沈鎡)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를 지낸 심달원(沈達源)의 아들이며, 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를 지낸 심전(沈銓)의 형으로 김제 군수(金堤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자^기(磁^芑) - 기^자(芑^磁)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이기(李芑)와 허자(許磁)를 함께 부르는 말.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켜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앞장선 두 사람을 일컬음.
한국>조선전기 , 사상>술어>관용어
-
자가(子家) - 귀생(歸生)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정(鄭) 나라의 공자(公子). 정 나라 군주를 시해(弑害)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자각국사(慈覺國師) - 도영(道英)
고려 후기의 승려. 수선사(修禪社) 십육국사(十六國師) 중 제12세 국사(國師)로, 각진국사(覺眞國師) 복구(復邱)에게 학문을 전수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자각선사(慈覺禪師) - 자각(慈覺)
고려 후기의 승려. 순비허씨(順妃許氏)가 충선왕(忠宣王)에게 재가하기 전 낳은 아들 중 둘째. 속세를 벗어나 연하(煙霞)에 뜻을 두었고, 덕망이 높은 스님들의 존숭을 받아 선사(禪師)로 불리면서 이름을 크게 떨침.
한국>조선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문헌>서명
-
자간(子干) - 공자비(公子比)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 공왕(共王)의 아들. 강왕(康王) 때에 우윤(右尹)을 지냈고, 영왕(靈王)에게 승리하여 자립하려 했지만 평왕(平王)에게 시해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자간(子幹)@노식 - 노식(盧植)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정현(鄭玄)과 함께 마융(馬融)의 제자로, 동탁(董卓)이 소제(少帝)를 폐할 때 홀로 항론(抗論)함. 대장군 두무(竇武)가 영제(靈帝)를 세우고 정권을 잡고 그에게 봉작(封爵)을 가하려 할 때 포의(布衣)로서 충고함.
159?~1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간(子幹) - 민정(閔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참군(參軍) 민징원(閔澄源)의 아들이며,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민상안(閔祥安)의 아버지. 1450년(문종 즉위)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ㆍ원주 목사(原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자강(子剛)@홍상 - 홍상(洪常)
조선 추존왕인 덕종(德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남양(南陽). 좌의정 홍응(洪應)의 아들로, 덕종의 딸 명숙공주(明淑公主)와 혼인하였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난 뒤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57~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자강(子剛)@장옥 - 장옥(張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유배당했고, 김안로(金安老) 일당에게 몰려 또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음.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한 뒤 판교(判校) 등을 역임함.
149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자강(子剛)@이동표 - 이동표(李東標)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운익(李雲翼)의 아들로,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화를 당한 박태보(朴泰輔) 등을 신구(伸救)하다가 양양 현감(襄陽縣監)으로 좌천되었으며, 낙향한 후 여러 번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644~17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문신
-
자강(子剛) - 이공의(李公毅)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전의(全義). 1522년(중종 17)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자강(子康) - 진함(陳咸)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성제(成帝) 때의 문신. 석현(石顯)을 탄핵하다 하옥되고, 진탕(陳湯)에게 뇌물을 주어 소부(少府)가 되고 급사중(給事中) 등을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강(子强)@박승건 - 박승건(朴承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진사(進士) 박형(朴珩)의 아들. 선조(宣祖)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형으로, 찰방(察訪)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자강(子强)@오건 - 오건(吳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조 좌랑으로 있으면서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여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521~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강(子强) - 성건(成健)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성순조(成順祖)의 아들이며, 성준(成俊)의 동생으로, 세조 때 권신 한명회(韓明澮)를 탄핵하여 체직시켰고, 성종 때 각별한 총애를 받음.
1439~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자강(自剛) - 송자강(宋自剛)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부사직(副司直) 송호례(宋好禮)ㆍ장령(掌令) 송호의(宋好義)ㆍ교리(校理) 송호지(宋好智)의 아버지로, 회양 부사(淮陽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자강(自强) - 이승건(李承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峰)으로, 이기(李圻)의 아들.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 등을 지냄.
1452~150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문신
-
자강(自江) - 최자강(崔自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최선문(崔善門)의 아버지로, 중부 영(中部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자개(子開) - 증조(曾肇)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증포(曾布)의 동생.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냈고, 《신종실록(神宗實錄)》 편수에 참여함.
1047~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갱(子鏗) - 김자갱(金子鏗)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현감(縣監) 김지(金輊)의 아들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역임하고, 선산 부사(善山府使)로 있을 때 학교를 수리하는 등 선정을 베풂.
1390~147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자거(子擧) - 이곤변(李鯤變)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사천(泗川). 구암(龜巖) 이정(李楨)의 손자로, 사부(詞賦)로 이름이 남.
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문인
-
자거(子車)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자건(子健)@이영은 - 이영은(李永垠)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효문(李孝文)의 아버지. 1456년(세조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좌부승지(左副承旨)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34~147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건(子健) - 정석견(鄭錫堅)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올랐으나 김종직(金宗直)의 문집을 간행한 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파직됨. 성종 때 천거된 유도인(有道人) 13인 중의 한 사람.
?~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개령 , 인명>관인>문신
-
자건(子健)@이승수 - 이승수(李承須)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산(陽山). 진사(進士) 이강(李絳)의 아들로, 1516년(중종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자건(子建)@원두표 - 원두표(元斗杓)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으며, 같은 공서(功西)였던 김자점(金自點)과의 정권다툼으로 분당하여 원당(原黨)의 영수(領袖)가 됨.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593~166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건(子建)@박식 - 박식(朴植)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박중원(朴仲元)의 아들로, 1528(중종 23)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전집(河西全集)》에 별시(别詩)와 화답시(和答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자건(子建) - 조식(曹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시인. 위 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 오언시(五言詩)를 서정시로 완성하여 문학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침.
192~23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제후
-
자건(子建)@진식 - 진식(陳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여(扶餘). 1506년(연산군 12)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서산 군수(瑞山郡守)ㆍ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 , 인명>관인>문신
-
자건(子騫) - 민손(閔損)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어릴 때 계모 밑에서 자랐는데, 공문십철(孔門十哲) 중에서 효행(孝行)으로 이름이 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건(自健) - 신자건(愼自健)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신후갑(愼後甲)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냈으나, 파직당한 뒤에는 교하(交河)로 내려가 서예에 전념함.
1443~15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자건(自健)@이자건 - 이자건(李自健)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주(李湊)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 때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복직된 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55~152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걸(子傑) - 이계남(李季男)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가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호조 판서를 지낼 때 국가재정 운용에 뛰어난 능력을 발휘함.
1448~1512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격(子格) - 신개(申槩)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1417년(태종 17)에 집현전 제학(集賢殿提學)이 되고, 1436년(세종 18)에 《고려사(高麗史)》수찬에 참여함. 1439년(세종 21) 우의정에 올라 야인의 침입을 막기 위한 장성 축조를 건의함.
1374~14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자견(子堅) - 음갱(陰鏗)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진(陳) 나라의 문신ㆍ시인. 양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진 나라에 들어가 원외 산기상시(員外散騎常侍) 등을 지냄. 시(詩)에 뛰어나 하손(何遜)과 함께 ‘하음(何陰)’으로 불리기도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견(子堅)@이고 - 이고(李固)
중국 후한(後漢) 순제(順帝)~환제(桓帝) 때의 문신. 대사농(大司農)ㆍ태위(太尉) 등을 지냈으나, 양기(梁冀)에 의해 하옥되어 살해됨.
?~147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견(子見)@정호인 - 정호인(鄭好仁)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일(迎日)로, 용양위 부사과(龍驤衛副司果)를 지낸 정안번(鄭安藩)의 아들. 병자호란 때 향리에서 의병을 일으켜 관군을 돕고, 진주 목사(晉州牧使) 등을 지냄.
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자견(子見) - 정복심(程復心)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사서집주(四書集註)》에 황씨(黃氏)ㆍ보씨(輔氏)의 설(說)을 절충(折衷)하고 장(章)을 나누어 도해(圖解)한 《사서장도(四書章圖)》을 저술함.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견(自堅)@정자견 - 정자견(丁自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지사(僉知事)를 지냈으며, 80세 이후 노직(老職)으로 당상(堂上)에 오름. 《모재집(慕齋集)》에 김안국(金安國)이 차운(次韻)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자견(自堅) - 이자견(李自堅)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주(李湊)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 때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함창(咸昌)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복직된 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54~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결(子潔) - 윤속(尹涑)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백령(尹伯齡)의 아들로, 부정(副正) 윤광령(尹光齡)에게 출계함. 1525년(중종 2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자겸(子謙)@황윤준 - 황윤준(黃允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판결사(判決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겸(子謙) - 배익신(裵益臣)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1492년(성종 2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자겸(子謙)@이자겸 - 이자겸(李子謙)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의 증손이며, 율원군(栗元君) 이종(李徖)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자겸(子謙)@최명길 - 최명길(崔鳴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가담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병자호란 때 주화론(主和論)을 주장하며 전란 후 피폐한 정국 안정에 힘씀.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6~164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겸(子謙)@이증 - 이증(李增)@이이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손자이자, 봉성군(鳳城君) 이이(李𢓡)의 아들이며, 돈녕부정(敦寧府正) 윤승홍(尹承弘)의 장인.
1453~150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자겸(資謙) - 이자겸(李資謙)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외척. 본관은 인주(仁州). 딸이 인종의 비(妃)가 되자 익성공신(翼聖功臣)에 녹훈됨. 예종의 사후 어린 인종을 즉위시킨 뒤 권세를 독차지하고 왕을 독살하려다 왕의 밀명을 받은 척준경(拓俊京) 등에 의해 처형됨.
?~112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왕실>인척
-
자경(子京) - 등종량(滕宗諒)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천장각 대제(天章閣待制)ㆍ정언(正言)ㆍ사간(司諫) 등을 역임하였고, 범중엄(范仲淹)과 교유함.
991~104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儆) - 홍자경(洪子儆)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홍익생(洪益生)의 아버지로, 공조 전서(工曹典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卿) - 소무(蘇武)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충신. 무제 때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었으나 절개를 지키다가 19년 만에 돌아와 전속국(典屬國)이 되었으며, 후에 선제를 옹립한 공으로 관내후(關內侯)에 봉해짐.
?~B.C.6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경(子庚) - 공자오(公子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문신. 영윤(令尹)이 된 후 선대의 원수를 갚기 위해 정(鄭) 나라를 정벌할 계획을 세웠지만 이루지 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慶) - 최한정(崔漢禎)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예조 참의(禮曹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종의 신임이 각별하여, 이를 시기한 임사홍(任士洪)이 임용을 반대하자 도리어 그를 대사간(大司諫)으로 발탁하였다는 일화로 유명함.
1427~148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擎) - 성천주(成天柱)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조귀명(趙龜命)ㆍ이덕수(李德壽)ㆍ윤순(尹淳) 등과 교유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함.
1712~177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나전 - 나전(羅恮)
조선 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로, 나윤명(羅允明)의 아들. 1555년(명종 10)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에 급제하여, 병조 좌랑(兵曹佐郞)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성제원 - 성제원(成悌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보은 현감(報恩縣監) 등을 지냈으며, 박응순(朴應順) 등 많은 인재를 육성함.
1506~15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이인전 - 이인전(李仁全)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만간(李萬幹)의 아들로, 세조 즉위 후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감정(監正)ㆍ시정(寺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이신효 - 이신효(李愼孝)@1422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음직(蔭職)으로 출사하여,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냄.
1422~149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왕헌지 - 왕헌지(王獻之)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의 아들로, 예서(隸書)와 초서(草書)를 잘 썼으며, 부친으로부터 서법을 이어받아 호기 있는 서풍(書風)을 완성함.
344~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조서강 - 조서강(趙瑞康)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배천(白川).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조반(趙胖)의 아들. 《태종실록(太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고,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44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어세공 - 어세공(魚世恭)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만종(萬從) 어효첨(魚孝瞻)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봉해지고, 경학(經學)ㆍ역학(易學)ㆍ율학(律學)에 조예가 깊음.
1432~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 - 성염조(成念祖)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성엄(成揜)의 아들로,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ㆍ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398~14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유성 - 유성(柳惺)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유영길(柳永吉)의 아들로, 1599년(선조 32) 정시(庭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헌납(獻納)ㆍ지평(持平) 등을 지냄. 유영경(柳永慶)이 이끄는 소북(小北)으로, 광해군이 즉위한 후 탄핵을 받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2~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敬)@기준 - 기준(奇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교살됨.
1492~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景) - 조상치(曺尙治)
조선 중종(中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학자 조한보(曺漢輔)의 할아버지로, 길재(吉再)ㆍ이안유(李安柔)의 문인. 집현전 부제학(集賢殿副提學) 등을 지냈으며, 세조(世祖)가 왕위를 찬탈하자 사직하고 은거하면서 후학을 양성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자경(子璥) - 홍자경(洪子儆)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홍익생(洪益生)의 아버지로, 공조 전서(工曹典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