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경(子耕) - 황순(黃㽦)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자(朱子)의 문인(門人)이며 황정견(黃庭堅)의 질손(姪孫)으로, 군기감 승(軍器監丞)ㆍ지원주(知袁州) 등을 지냄.
1150~121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경(自敬)@신자경 - 신자경(申自敬)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를 지낸 신효창(申孝昌)의 둘째 아들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ㆍ대호군(大護軍)을 지냄.
1413~147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목천 , 인명>관인>무신
-
자경(自敬) - 이신효(李愼孝)@1422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음직(蔭職)으로 출사하여,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지냄.
1422~149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자계(子啓) - 박건(朴楗)
조선 단종(端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중손(朴仲孫)의 아들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34~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계(子繼) - 신승선(愼承善)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연산군의 장인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을 주관함.
1436~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계(子繼)@유방선 - 유방선(柳方善)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학자. 본관은 서산(瑞山). 변계량(卞季良)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고 이보흠(李甫欽) 등을 키워내 영남 성리학을 계승하는 역할을 담당함. 서거정(徐居正) 등 많은 인재를 배출하고 시문에도 뛰어남.
1388~14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ㅣ경기도>개성ㅣ강원도>원주 , 인명>문사>학자
-
자계(紫溪)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계(自戒) - 강자계(康自戒)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자계선생(滋溪先生) - 소천작(蘇天爵)
중국 원(元) 나라 인종(仁宗)~순제(順帝) 때의 문신ㆍ문인. 이부 상서(吏部尙書)ㆍ강절행성참지정사(江浙行省參知政事) 등을 지냈으나, 홍건적(紅巾賊)을 진압하다가 군중에서 사망함.
1294~1352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자계옹(紫溪翁)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계황씨(慈溪黃氏) - 황진(黃震)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영종(寧宗)과 이종(理宗) 때의 국사와 실록을 편수하고, 저서에 《고금기요(古今紀要)》ㆍ《일초(日抄)》등이 있음.
1213~1280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계황씨일초(慈溪黃氏日抄) - 일초(日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황진(黃震)의 저서. 도교(道敎)와 불교(佛敎)를 배척하고, 주자학(朱子學)의 내용을 담고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고(子固)@김이정 - 김이정(金利貞)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냈고, 이륙(李陸)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자고(子固)@김맹견 - 김맹견(金孟堅)
고려 후기의 무신ㆍ문인. 계림 참군(雞林參軍)을 지냈으며, 이곡(李穀)ㆍ민사평(閔思平)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자고(子固)@이견손 - 이견손(李堅孫)@이세진의아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세진(李世晉)의 아들로, 교관(敎官) 등을 지냄. 이해수(李海壽)의 《약포유고(藥圃遺稿)》에 그의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504~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자고(子固)@이자견 - 이자견(李自堅)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주(李湊)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 때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함창(咸昌)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복직된 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54~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고(子固)@윤근수 - 윤근수(尹根壽)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우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宣祖)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7~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고(子固)@이완 - 이완(李完)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하(李河)의 아들이며, 숙부인 이황(李滉)의 문인. 영천 교관(永川敎官)으로 재직시 임진란에 창의(倡義)하고, 조목(趙穆)과 함께 이산서당(伊山書堂)에서 〈성학십도(聖學十圖)〉를 강론함.
1512~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고(子固) - 김뉴(金紐)@1420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중엄(金仲淹)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했으며, 시(詩)ㆍ서(書)ㆍ금(琴)에 모두 뛰어났음.
14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고(子固)@증공 - 증공(曾鞏)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저서에 《금석록(金石錄)》과 시문집 《원풍유고(元豊遺藁)》가 있음.
1019~108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고(子固)@이종성 - 이종성(李宗城)@조선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박문수(朴文秀)와 함께 붕당(朋黨)의 폐를 논하고 암행어사(暗行御史)가 되어 민폐를 일소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저서로 《오천집(梧川集)》이 있음.
1692~175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자고(子固)@노석령 - 노석령(盧石齡)
조선 전기의 유학. 신응시(辛應時)의 《백록유고(白麓遺稿)》에 〈방노자고석령(訪盧子固石齡)〉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고(子皐) - 고시(高柴)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위 나라 괴외(蒯聵)의 난 때, 길을 걷되 위험한 소로(小路)를 택하지 않는(道而不徑) 효자의 행동처럼 그 난리를 모면하여 빠져 나왔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고(子羔) - 고시(高柴)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위 나라 괴외(蒯聵)의 난 때, 길을 걷되 위험한 소로(小路)를 택하지 않는(道而不徑) 효자의 행동처럼 그 난리를 모면하여 빠져 나왔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고(子高)@고시 - 고시(高柴)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위 나라 괴외(蒯聵)의 난 때, 길을 걷되 위험한 소로(小路)를 택하지 않는(道而不徑) 효자의 행동처럼 그 난리를 모면하여 빠져 나왔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고(子高)@정창 - 정창(鄭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幼學). 본관은 진주(晉州). 충좌위 부사맹(忠佐衛副司猛)을 지낸 정복린(鄭福麟)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의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자고(子高)@정숙지 - 정숙지(鄭叔墀)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지낸 정문형(鄭文炯)의 아들로, 전라 감사(全羅監司)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자고(子高) - 심제량(沈諸梁)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대부. 《논어(論語)》에 공자(孔子)에게 정치에 대해 가르침을 청한 기록이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공(子公)@설한 - 설한(薛漢)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시경(詩經)》을 깊이 연구하여 장안(長安)에서 강학했는데, 경백(敬伯)ㆍ두무(杜橅) 등이 그에게서 배움.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공(子公) - 진탕(陳湯)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성제(成帝) 때의 문신. 당대의 권세가로 진함(陳咸)의 뇌물을 받고 내직(內職)으로 임명해 주었다는 고사가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공(子恭)@문륵 - 문륵(文玏)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이자, 문할(文劼)의 동생.
156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자공(子恭) - 하기(何基)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황간(黃榦)의 문인(門人)으로, 주희(朱熹)의 학문을 전수받았으며, 왕백(王柏)ㆍ김이상(金履祥)ㆍ허겸(許謙) 등과 함께 ‘금화사선생(金華四先生)’으로 일컬어짐.
1188~126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공(子貢) - 단목사(端木賜)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재여(宰予)와 더불어 언어에 뛰어났으며, 노(魯) 나라와 위 나라에서 재상(宰相)을 지냄.
B.C.520?~B.C.45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공(子贛) - 왕존(王尊)
중국 전한(前漢)의 충신. 익주 자사(益州刺史)가 되어 사천성(四川省) 공래산(邛郲山)의 구절판(九折阪)을 넘을 때 충신으로서 길을 지체할 수 없다고 마부를 재촉했던 고사가 전함. 주로 외직에 종사하며 백성에게 선정을 베풂.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공(自公) - 탁련(卓璉)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중(卓中)의 둘째 아들로, 숙부인 탁평(卓平)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정주(定州)로 유배되었다가 서용되어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정주 , 인명>관인>문신
-
자공(自恭) - 유자공(柳自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장살(杖殺)된 유정(柳貞)의 아버지로,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자관(子寬)@이유 - 이유(李裕)@이승손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선사군(仙槎君) 이승손(李承孫)의 아들이며 이희량(李希良)ㆍ이희검(李希儉)의 아버지. 사장(詞章)과 필법이 탁월함.
1488~156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자관(子寬) - 신경유(申景裕)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신립(申砬)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 뒤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동평군(東平君)에 봉해짐. 호위대장(扈衛大將) 등을 역임했지만 방자한 행동과 탐욕 등으로 탄핵을 받음.
1581~163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자관(子寬)@이의 - 이의(李義)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의 아들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자광(子光) - 합려(闔閭)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 제24대 제후. 재위 B.C.515~B.C.496. 초(楚) 나라 사람 오운(伍員)과 《손자(孫子)》의 저자인 손무(孫武)를 등용하여 오 나라의 세력을 중원(中原)에까지 넓혔으나, 월(越) 나라와의 전쟁에서 전사함.
?~B.C.49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자광(子光)@유자광 - 유자광(柳子光)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일으켜 사림파(士林派)를 제거하여 훈구파(勳舊派)의 기반을 굳힘. 중종반정 때 무령부원군(武靈府院君)으로 봉해졌다가 홍문관(弘文館)ㆍ예문관(藝文館)의 탄핵으로 유배되어 죽음.
?~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자교(子喬)@성직 - 성직(成㮨)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손자로,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성문준(成文濬)의 아들. 글씨에 능했으며 특히 대자(大字)를 잘 썼음.
1586~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자교(子喬) - 왕교(王喬)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 때의 문신. 업현(鄴縣)의 수령을 역임하였으며, 신술(神術)이 있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교(子喬)@왕자교 - 왕자교(王子喬)
중국 주(周) 나라 영왕(靈王)의 태자. 이름은 진(晉)으로, 직간(直諫)을 하다가 폐세자(廢世子)가 되어 구씨산(緱氏山)에 들어가 신선(神仙)이 되었다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자구(子久)@여이징 - 여이징(呂爾徵)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함양(咸陽). 한백겸(韓百謙)의 문인으로, 병자호란 때 종묘(宗廟)의 위패를 모시고 강화(江華)로 피하였으며, 공조 참판 등을 역임함. 성리학에 밝고 시문에 능하였으며, 천문(天文)ㆍ역산(曆算)ㆍ서화(書畵)에도 뛰어났음.
1588~16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구(子久)@강학년 - 강학년(姜鶴年)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었으나 장령(掌令)으로서 공신들의 폐단을 상소하다가 파직됨. 효종(孝宗) 때 홍명하(洪命夏)의 상소로 신원되어 대사헌에 추증되고, 회덕의 용호사(龍湖祠)에 제향됨.
1585~164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구(子久) - 성력(成櫟)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성문준(成文濬)의 아들로,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등을 지냄.
1580~165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자구(子具) - 김이첨(金爾瞻)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무진(茂珍). 김경선(金景先)의 아들이며, 김이우(金爾盱)ㆍ김이반(金爾盼)의 형. 이색(李穡)이 지은 〈명자설(名字說)〉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자구(子具)@김첨 - 김첨(金瞻)@1354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太祖) 때 내란 음모 혐의로 유배되었다가 복직되었고, 조선 초기에 도교(道敎) 부흥을 위해 노력함.
1354~141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자굴산(自堀山) - 도굴산(闍崛山)
경상북도 의령(宜寧) 일대에 걸쳐 있는 산 이름.
경상도>의령 , 지명>자연지명
-
자굴산(闍崛山) - 도굴산(闍崛山)
경상북도 의령(宜寧) 일대에 걸쳐 있는 산 이름.
경상도>의령 , 지명>자연지명
-
자규(子糾) - 공자규(公子糾)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환공(桓公)의 동생. 양공(襄公)이 시해되자, 형인 환공과 내전을 벌이다 죽임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자근(自謹) - 신자근(申自謹)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를 지낸 신효창(申孝昌)의 맏아들로, 인순부 윤(仁順府尹)을 지냄.
?~145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자금(子禽) - 문종(文種)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월왕(越王) 구천(句踐)의 대부(大夫). 구천(句踐)을 도와 오(吳) 나라를 평정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급(子伋) - 정자급(丁子伋)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승문원 교리(承文院校理)를 지낸 정수곤(丁壽崑)의 아버지로, 승문원 부교리(承文院副校理)ㆍ소격서 영(昭格署令) 등을 지냄.
1423~14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자기(子器) - 윤부(尹釜)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승홍(尹承弘)의 아들로,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함.
1510~15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기(子奇) - 윤해(尹侅)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윤암(尹諳)의 아들로,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전법 판서(典法判書) 등을 역임함.
1307~137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기(子幾) - 탁신(卓愼)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예의 판서(禮儀判書) 탁광무(卓光茂)의 아들. 경학(經學)에 밝고 무예(武藝)ㆍ음률(音律)에도 능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36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자기(子期)@상수 - 상수(向秀)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산기상시(算騎常侍) 등을 지냄. 《장자주(莊子注)》를 편찬하였고, 사(辭)와 부(賦)에 뛰어났으며, 혜강(嵆康)과 논한 〈난양생론(難養生論)〉이 《혜강집(嵆康集)》에 수록되어 있음.
230~28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기(子期) - 종자기(鍾子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사람. 백아(伯牙)의 거문고 소리를 잘 이해하였는데, 종자기(鍾子期)가 죽자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고 종신토록 연주하지 않으면서, 세상의 음률(音律)을 이해하는 자 없음을 한탄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
-
자기(子綦) - 남곽자기(南郭子綦)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은자. 초(楚) 나라 소왕(昭王)의 서제(庶弟).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그의 제자인 안성자유(顔成子游)와 문답한 내용이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자기(自基) - 박자기(朴自基)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박인량(朴寅亮)의 아버지로, 전옥서 주부(典獄署主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자기금(子期琴) - 현금(玄琴)
거문고. 우리나라 현악기(絃樂器)의 하나. 고구려 때 왕산악(王山岳)이 중국의 칠현금(七絃琴)을 개량하여 만들었다 하며, 오동나무 공명판(共鳴板) 위에 여섯 줄을 걸어 술대로 튀겨서 연주함.
한국>고구려 , 물품>기타용품>악기
-
자기선인(紫氣仙人)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길(子吉) - 김경생(金景生)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김대우(金大愚)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 1573년(선조 6)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찰(監察)을 지냄.
1549~?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자남(自南) - 김자남(金自南)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낸 김덕망(金德望)의 아들로, 원주 진관 병마절제사(原州鎭管兵馬節制使)ㆍ예빈시 정(禮賓寺正) 등을 지냄.
160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자낭(子囊) - 공자정(公子貞)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공자. 양공(襄公) 10년에 정(鄭) 나라 호뢰(虎牢)를 수비하였을 때, 공자 정(貞)이 군사를 거느리고 정 나라를 구원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자능(子能) - 이신효(李愼孝)@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젊은 나이에 요절하였으며, 이이의 《율곡전서(栗谷全書)》에 그의 죽음을 애도한 만시(挽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당(子當) - 윤자당(尹子當)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무신. 병조 전서(兵曹典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자도(子道) - 유휘(劉煇)
중국 송(宋) 인종(仁宗) 때의 문신. 인종 때 진사(進士)에 합격하여 대리평사(大理評事)ㆍ첨서하중부절도판관(簽書河中府節度判官) 등을 지냈으며, 저서에 《동귀집(東歸集)》이 있음.
1030~106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도(子都)@호모생 - 호모생(胡母生)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의 문신ㆍ학자. 공양고(公羊高)의 《춘추(春秋)》에 대한 전술(傳述)을 스승인 공양수(公羊壽)와 함께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으로 정리하여 편찬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도(子都) - 포선(鮑宣)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애제의 총애와 신임을 받으며 간대부(諫大夫)를 역임하였으나, 평제(平帝) 때 왕망(王莽)이 정권을 잡은 후 무함을 당하자 자살함.
?~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도(子韜) - 강중진(康仲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류(杖流)됨.
1459~152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자동(子同) - 장지화(張志和)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은자. 16세에 명경과(明經科)에 발탁되어 벼슬하다가 물러나와 연파조도(煙波釣徒)라 자처하고 은둔하였으며, 《현진자(玄眞子)》라는 저술을 남김.
730~810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자동(子東) - 송환기(宋煥箕)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5대손이며 송능상(宋能相)의 문인으로,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학덕을 겸비하여 조야의 존경을 받았으며, 시문집으로 《성담집(性潭集)》이 있음.
1728~180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동(紫洞) - 차식(車軾)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차광운(車廣運)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거쳐 선조 때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냄.
1517~157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자동거사(紫洞居士) - 김안경(金安慶)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두(煮豆) - 조식(曹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시인. 위 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 오언시(五言詩)를 서정시로 완성하여 문학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침.
192~23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제후
-
자득(子得) - 김열(金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약채(金若采)의 아들로, 문장이 뛰어났으며, 헌납(獻納)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자등향(紫藤香) - 강진향(降眞香)
유구(琉球)ㆍ태국(泰國)ㆍ중국(中國) 등지에서 나는 향나무로 만든 향(香) 이름. 돌림병이 돌 때나 집안에 괴상한 기운이 있을 때 피우면 나쁜 기운을 물리칠 수 있다고 함.
물품>기타용품>의료용품
-
자락(自樂) - 이풍(李灃)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맏아들로, 후사가 없어 아우인 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의 둘째 아들 도안군(道安君) 이철(李轍)로 계대(繼代)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자락헌(自樂軒) - 유최기(兪㝡基)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정미환국 때 소론의 거두 이광좌(李光佐)의 횡포를 반박하고, 신임사화로 죽은 노론의 거두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의 신원(伸寃)과 소론의 음모사실을 논박함.
1689~17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자량(子良)@노기 - 노기(盧杞)
중국 당(唐) 덕종(德宗) 때의 간신. 성격이 음험하여 국정을 담당할 때 권력을 멋대로 휘둘러 많은 사람을 죽임. 평소 싫어하던 안진경(顔眞卿)을 제거할 목적으로, 모반을 일으킨 이희열(李希烈)에게 보내어 화를 당하게 함.
?~78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량(子良)@소자량 - 소자량(蕭子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ㆍ문인. 무제(武帝)의 둘째 아들로, 경릉군왕(竟陵郡王)에 봉해졌으며, 《사부요략(四部要略)》을 편찬함. 문인들을 모아놓고 시 짓기 놀이를 할 때 촛불 일촌(一寸)이 탈 동안 완성하기로 규정을 삼은 고사가 전해짐.
460~4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자량(子良) - 백락(伯樂)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 때의 인물. 방구인(方九堙)의 추천으로 목공(穆公)의 말을 관리하였으며, 천리마(千里馬) 감정의 달인으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자량(資諒) - 유자량(庾資諒)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무인(武人)들과 교제하여 무신의 난 때 화를 면하였고, 내외직을 두루 역임한 뒤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로 치사(致仕)하였음.
1150~122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자렴(子廉) - 한사개(韓士介)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계희(韓繼禧)의 아들로, 영흥 부사(永興府使) 등을 지냄. 김안로(金安老)가 그의 신도비(神道碑)를 찬함.
1453~152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자로(子路) - 중유(仲由)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자의 훈계로 입문(入門)하여 헌신적으로 공자를 섬김. 정치(政治) 방면에 뛰어난 재능이 있어 노 나라와 위(衛) 나라에서 벼슬하였으나 괴외(蒯聵)의 내란 때 전사함.
B.C.543~B.C.48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룡(子龍)@신도반 - 신도반(申屠蟠)
중국 후한(後漢) 말의 학자ㆍ은자. 당고(黨錮)의 화를 피해 산 속에 들어가 살면서 대장군 하진(何進)과 동탁(董卓) 등의 초빙을 물리치고 절조(節操)를 지키며 여생을 마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학자
-
자룡(子龍)@박종린 - 박종린(朴從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눌(朴訥)의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함.
1496~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자룡(子龍)@박동량 - 박동량(朴東亮)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유훈을 받든 유교칠신(遺敎七臣)의 한 사람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보호함. 중국어에 능통하여 대중외교에도 기여함.
1569~163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자룡(子龍) - 고한운(高翰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응척(高應陟)의 아들로, 1585년(선조 18) 문과(文科)에 장원급제하여 부안 현감(扶安縣監)을 지냄.
1552~160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자룡(子龍)@김덕보 - 김덕보(金德普)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의병. 본관은 광산(光山). 김붕섭(金鵬燮)의 아들로, 임진왜란ㆍ정묘호란 때 의병을 일으킴.
1571~162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자룡(子龍)@최운 - 최운(崔雲)@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1521년(중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시정(寺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자룡(子龍)@조운 - 조운(趙雲)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명장(名將). 공손찬(公孫瓚)의 휘하에 있다가 유비(劉備)에게 귀의하였으며, 단기필마로 위기에 처한 감부인(甘夫人)과 유선(劉禪)을 구해내는 등 용감무쌍하였으며, 여러 싸움에서 많은 공을 세움.
?~22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룡(子龍)@권반 - 권반(權攀)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찬성(贊成) 권제(權踶)의 아들. 1453년(단종 1) 형 권람(權攬)과 함께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좌익공신(左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개성 부윤(開城府尹) 등을 지냄.
1419~14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류(子柳) - 설류(泄柳)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유학. 목공(繆公)이 그의 어짐을 듣고 찾아가 보려 했으나 문을 닫고 들이지 않았으므로, 맹자가 단간목(段干木)과 함께 너무 심하다고 지적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릉(子陵)@이경엄 - 이경엄(李景嚴)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연릉부원군(延陵府院君) 이호민(李好閔)의 아들로, 1610년(광해군 2)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냄.
1579~165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자릉(子陵)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자릉(子陵)@이부 - 이부(李阜)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금(李嶔)의 아들로, 교리(校理) 등을 지냄. 사림파(士林派)로서 조광조(趙光祖)와 교유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벼슬을 떠나 있어 화를 면함.
14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