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민형남(閔馨男)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찬성(左贊成) 민효증(閔孝曾)의 증손이며, 풍저창 수(豊儲倉守) 민복(閔福)의 아들로,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613년(광해군 5) 익사(翼社)ㆍ형난(亨難)의 두 공신에 책록(策錄)됨.
1564~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형수(閔亨洙)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좌의정(左議政) 민진원(閔鎭遠)의 아들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에 어긋난 언행을 함으로써 정미환국(丁未換局) 이후 실각한 아버지의 신원(伸寃)을 위하여 이광좌(李光佐)를 소척하려 함.
1690~174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민회빈강씨(愍懷嬪姜氏)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아들 소현세자(昭顯世子)의 빈(嬪)으로, 강석기(姜碩期)의 딸. 병자호란(丙子胡亂) 후 심양(瀋陽)에 볼모로 갔다가 돌아와 역모로 몰려 사사됨.
1611~164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세자빈
-
민회삼(閔懷參)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고부(姑夫)인 송현수(宋玹壽)가 권완(權完)과 모반하였다는 무고를 받자 이에 연루되어 제주도로 좌천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회현(閔懷賢)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현량과(賢良科)를 거쳐 관직에 진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방(罷榜)되어 고향으로 돌아가 여생을 마침.
1472~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예산 , 인명>관인>문신
-
민효열(閔孝悅)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외읍(外邑)의 공물을 대납한 일로 폐고불서(廢錮不敍)에 처해졌다가 서용(敍用)되었으며,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05~148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민효원(閔孝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민회삼(閔懷參)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민효증(閔孝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경연(經筵)의 필요성 등을 건의하고, 사창(社倉)을 설치하여 민폐(民弊)를 줄일 것을 주장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8~151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민효환(閔孝懽)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소윤(小尹) 민대생(閔大生)의 아들이며, 민효열(閔孝悅)의 형. 1420년(세종 2) 식년시(式年試)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장령(掌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휘(閔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형손(閔亨孫)의 아들이며,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 민수천(閔壽千)ㆍ집의(執義) 민수원(閔壽元)의 아버지. 1479년(성종 10)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휘(閔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형손(閔亨孫)의 아들이며,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 민수천(閔壽千)ㆍ집의(執義) 민수원(閔壽元)의 아버지. 1479년(성종 10)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흥(閔興)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여흥(驪興). 민촉(閔矗)의 아들이며, 함경 도사(咸鏡都事) 민세정(閔世貞)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민희로(閔希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석(閔碩)의 아들이며, 연안 부사(延安府使) 민구(閔球)의 아버지로, 용양위 부사용(龍驤衛副司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민희순(閔希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연안 부사(延安府使) 민구(閔球)의 생부이며, 민경(閔瓊)의 아버지. 활인서 별제(活人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밀산세고(密山世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박계현(朴啓賢)의 시문집. 현전하지 않음. 유근(柳根)의 시문집인 《서경집(西坰集)》에 〈밀산세고서(密山世稿序)〉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밀성군(密城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총명과 지혜가 뛰어나 세종의 남다른 사랑을 받았으며, 익대공신(翊戴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 에 책록됨.
1430~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밀양(密陽)
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부산과 대구의 중간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
경상도>밀양 , 지명>행정지명
-
밀양박씨(密陽朴氏)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시조왕(始祖王)으로 삼고, 경명왕(景明王)의 맏아들인 밀성대군(密城大君) 박언침(朴彦忱)을 중시조(中始祖)로 하는 성씨. 박씨의 종가(宗家).
한국>신라 , 경상도>밀양 , 인명>집단>성씨
-
밀양부읍지(密陽府邑誌)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인 김이탁(金履鐸)이 밀양 부사(密陽府使)로 재임하고 있을 때 편찬한 경상남도 밀양부의 읍지. 1책. 필사본. 이 책의 후사본(後寫本)이 전함.
1781~178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문헌>서명
-
밀양읍지(密陽邑誌)
조선 정조(正祖) 때 밀양부(密陽府)에서 편찬한 읍지(邑誌). 밀양의 연혁(沿革)ㆍ지리(地理)ㆍ풍속(風俗) 등을 기록함. 《밀양부읍지(密陽府邑誌)》의 후사본(後寫本).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문헌>서명
-
밀진(密津)
경상남도 밀양(密陽)에 있던 옛 고을 이름. 본래 신라의 추포현(推浦縣)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 때 밀진현(密津縣)으로 고쳐 밀성군(密城郡)에 예속시킴.
경상도>밀양 , 지명>행정지명
-
박가항(朴可恒)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성석린(成石璘)의 《독곡집(獨谷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박가흥(朴可興)
고려 우왕(禑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박천상(朴天祥)의 아들이며, 판육조사(判六曹事) 박석명(朴錫命)의 아버지로, 밀직 부사(密直副使)를 지냄. 이인임(李仁任)의 숙청과 이초(李初)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당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박간(朴幹)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은산부원군(銀山府院君) 박영균(朴永均)의 아버지로,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간(朴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파주 목사(坡州牧使) 박기(朴基)의 둘째 아들이며,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박양(朴讓)의 동생으로, 광주 목사(廣州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박감(朴敢)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모재집(慕齋集》에 권은(權殷)ㆍ박수춘(朴壽椿) 등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字)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강(朴薑)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의정 박은(朴訔)의 아들로, 대호군(大護軍) 등 여러 관직을 거치고,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개(朴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고산 현감(高山縣監)과 김제 군수(金堤郡守) 등을 역임하고 향리로 돌아가 여생을 마침.
1511~158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박거겸(朴居謙)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중추부동지사(中樞府同知事)ㆍ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등을 지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13~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박거린(朴巨鱗)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눌(朴訥)의 아들로, 1504(연산군 1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장령(掌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거소(朴去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판육조사(判六曹事) 박석명(朴錫命)의 아들이며,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박중선(朴仲善)의 아버지로, 부지돈녕부사(副知敦寧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박건(朴乾)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전한(典翰)을 지낸 박융(朴融)의 아들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박건(朴楗)
조선 단종(端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중손(朴仲孫)의 아들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34~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겸무(朴兼武)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수안 군수(遂安郡守) 박준산(朴峻山)의 아들로, 1498년(연산군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박겸산(朴兼山)
조선 전기의 문인. 홍귀달(洪貴達)의 《허백정문집(虛白亭文集)》에 그의 시축(詩軸)에 써 준 글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문인
-
박경(朴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낸 박응현(朴應鉉)의 아들로,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박경(朴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판삼사사(判三司事) 박충좌(朴忠佐)의 아들로, 한림제학(翰林提學)ㆍ판서(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경(朴經)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해(寧海).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아가 대사헌(大司憲)ㆍ완산부 윤(完山府尹) 등을 지냄.
1350~14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박경(朴耕)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서예가. 정붕(鄭鵬)ㆍ박영(朴英)의 문인으로 교수청(校讐廳)의 사자생(寫字生)으로 있었는데, 유자광(柳子光)ㆍ박원종(朴元宗) 등 왕의 측근을 제거하려 한다는 밀고로 인해 참형(斬刑)에 처해짐.
?~150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박경길(朴敬吉)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무신. 부사과(副司果)를 지낸 박몽필(朴夢筆)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냈으며, 1655년(효종 6)에 종제(從弟) 박경지(朴敬祉)와 함께 박영(朴英)의 문집인 《송당집(松堂集)》을 간행함.
1577~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박경선(朴慶先)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장령(掌令) 박사공(朴思恭)의 아들. 장령(掌令)을 거쳐 이조 참의(吏曹參議)가 되고 광해군(光海君)의 학업을 지도하는 필선(弼善)을 겸하였음.
155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박경선(朴慶宣)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장사랑(將仕郞) 박이(朴頤)의 아들로, 무과에 급제하여 천성 만호(天城萬戶)를 지내고,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싸우다 순절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박경신(朴慶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무과에 급제하여 선천 병마첨절제사(宣川兵馬僉節制使)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으며, 청도(淸道)에서 두 아들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39~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무신
-
박경실(朴景實)
조선 후기의 유학. 박여량(朴汝樑)ㆍ정덕옹(鄭德顒)과 교분이 두터웠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적을 꾸짖다 죽임을 당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박경심(朴景諶)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흥(義興).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박수검(朴守儉)의 아버지로,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박경여(朴慶餘)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박팽년(朴彭年)의 9대손으로, 장릉 참봉(莊陵參奉)과 청하 현감(淸河縣監) 등을 지냄. 권화(權和)와 함께 《장릉지(莊陵誌)》를 편찬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박경연(朴慶延)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성효재(誠孝齋) 박영(朴穎)의 맏아들이며, 임진왜란 때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한 박경신(朴慶新)과 박경인(朴慶因)의 형으로, 참의(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박경인(朴慶因)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병장.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종제(從弟)인 박경전(朴慶傳)과 함께 청도(淸道)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싸우다가 서지산(西芝山)에서 전사함.
1542~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박경장(朴景章)
조선 전기의 유학. 설월당(雪月堂) 김부륜(金富倫)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경전(朴慶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밀양(密陽). 임진왜란 때 청도(淸道)에서 창의(倡義)하여 곽재우(郭再祐)와 권응수(權應銖)의 양쪽 진영을 내왕하면서 많은 전공을 세움.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박경준(朴慶俊)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장사랑(將仕郞) 박이(朴頤)의 넷째 아들이며, 박경전(朴慶傳)ㆍ박경윤(朴慶胤)ㆍ박경선(朴慶宣)의 동생. 저서에 《고경연의(古經衍義)》가 있음.
1568~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유학
-
박경중(朴景重)
조선 전기의 유학. 신응시(辛應時)의 《백록유고(白麓遺稿)》에 관련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경지(朴敬祉)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무과에 장원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 효종(孝宗)의 북벌계획에도 참여함.
1610~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박계강(朴繼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여항시인(閭巷詩人). 본관은 밀양(密陽).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인 김정(金淨)과 교유하고, 유희경(劉希慶)을 중심으로 구성된 풍월향도시인(風月香徒詩人)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문인
-
박계영(朴啓榮)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조 참판(禮曹參判) 박진원(朴震元)의 아들로, 1630년(인조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9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계현(朴啓賢)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권신 윤원형(尹元衡)의 청혼을 거절하여 변방으로 좌천되었고,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의 당쟁을 제지하려 하였으나 실패함.
1524~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계후(朴繼厚)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 성균 진사(成均進士) 박균(朴囷)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박고(朴翶)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죽성군(竹城君) 박영충(朴永忠)의 아들로,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 좌의정(議政府左議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박공달(朴公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병조 좌랑(兵曹佐郞) 등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사림(士林)에 화가 미치자 벼슬에서 물러나 삼가(三可) 박수량(朴遂良)과 함께 경학강의를 하며 여생을 보냄.
147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박공량(朴公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 때 사형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박은(朴誾)의 아들. 글씨에 능하여 많은 금석문(金石文)을 남겼고, 《중종실록(中宗實錄)》과 《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도 참여함.
1494~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박관(朴寬)
조선 전기의 문신. 유희춘(柳希春)과 친분이 있었는데, 유희춘이 진원 훈도(珍原訓導)로 추천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박광영(朴光榮)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윤씨(廢妃尹氏)의 추숭(追崇)을 반대하다 목천(木川)으로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복직됨.
1463~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광옥(朴光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음성(陰城).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고, 기대승(奇大升)ㆍ이이(李珥)ㆍ노사신(盧思愼) 등과 교유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고경명(高敬命)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킴.
152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박광우(朴光佑)@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박린(朴璘)의 아들로, 문장에 능하여 원접사(遠接使)를 수행하였고,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인 동선역(洞仙驛)에서 죽음.
149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광우(朴光佑)@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으며, 고양부원군(高陽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박광전(朴光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진원(珍原).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회덕 현감(懷德縣監)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26~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박광정(朴光挺)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춘천(春川)으로, 찬성사(贊成事) 박항(朴恒)의 아들. 중국 원(元) 나라 황실에서 숙위(宿衛)하여 소신교위(昭信校尉)ㆍ부만호(副萬戶)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
-
박광좌(朴光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목사(牧使) 등을 지냈으며, 간재(艮齋) 최연(崔演)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광필(朴光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박린(朴璘)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목사(牧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권(朴權)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정언(正言)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길성(吉城)으로 정배(定配)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해남(海南)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규(朴葵)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의정(左議政) 박은(朴訔)의 아들이며, 홍주 판관(洪州判官) 박병균(朴秉鈞)의 아버지로,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냄.
?~14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박균(朴囷)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원(珍原). 참봉을 지낸 박계후(朴繼厚)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박근원(朴謹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으로, 형조 참판을 지낸 박광영(朴光榮)의 손자. 병조 판서(兵曹判書) 이이(李珥)를 탄핵하다가 강계(江界)로 유배되기도 했으며, 처결수완이 뛰어나 대사헌을 여덟 번이나 지냄.
1525~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근제(朴根悌)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진원(珍原). 왕자 사부(王子師傅) 박광전(朴光前)의 아들이며 박근효(朴根孝)의 동생으로, 임진왜란 때 형 박근효와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 정유재란 때 아버지의 종사관(從事官)으로 출전함.
1560~163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원 , 인명>문사>학자
-
박근효(朴根孝)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으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아우 박근제(朴根悌)와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 전란이 끝난 뒤 동지들과 힘을 모아 서적을 발간하는 등 문교 진흥에 힘씀.
1550~160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박기(朴基)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여러 관직을 지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4~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박기년(朴耆年)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이조 판서를 지낸 박중림(朴仲林)의 아들로, 단종(端宗) 복위를 도모하다가 여러 형제들과 함께 대역죄로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박기린(朴麒麟)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월성(月城). 홍성민(洪聖民)의 《졸옹집(拙翁集)》에 시 〈증월성소동박기린(贈月城小童朴麒麟)〉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박난(朴蘭)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원량(朴元亮)의 아들이고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1543년(중종 3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정(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내석(朴乃錫)
조선 영조(英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원(珍原). 박광전(朴光前)의 5대손으로, 1754년(영조 30) 박광전의 문집인 《죽천집(竹川集)》을 초간함.
1697~175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진원 , 인명>문사>유학
-
박녹(朴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대사간 박승임(朴承任)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고향 사람들의 추대를 받아 의병장으로 활약하였고, 뒤에 예빈시 별제(禮賓寺別提) 등을 지냄.
1542~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박눌(朴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 사직(司直)을 지낸 박소종(朴紹宗)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박다(博多)
일본 서해도(西海道) 구주(九州) 가운데 축전주(築前州)에 속한 거진(巨鎭) 이름. 대외교통의 요충지로, 신라의 충신 박제상(朴堤上)이 순국한 곳으로 전해짐.
일본 , 지명>행정지명
-
박대년(朴大年)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판서를 지낸 박중림(朴仲林)의 아들로, 여러 형제들과 함께 단종(端宗) 복위운동을 하다가 대역죄로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박대립(朴大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돈녕부 정(敦寧府正) 박세영(朴世榮)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이며,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수십 년 묵은 송사(訟事)를 판서(判書)에게 항변하여 종결지어 명성을 얻음.
1512~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박대용(朴大容)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한성부 참군(漢城府參軍)을 지낸 박영석(朴永錫)의 아들. 1561년(명종 1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송암집(松巖集)》에 권호문(權好文)의 시가 실려 있음.
153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박대임(朴大任)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한성부 참군(漢城府參軍)을 지낸 박영석(朴永錫)의 아들. 1552년(명종 7)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찰방(察訪)을 지냄. 《송암집(松巖集)》에 권호문(權好文)의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박덕로(朴德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박환(朴渙)의 아들이며, 북평사(北評事) 박률(朴栗)의 아버지로, 습독관(習讀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덕옹(朴德翁)
조선 전기의 유학. 문장공(文莊公) 신응시(辛應時)와 교유했는데, 괴산(槐山)에서 만나 주고받은 시가 《백록유고(白麓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박도(朴鍍)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인. 김일손(金馹孫)의 《탁영집(濯纓集)》에 김시습(金時習) 등과 화운(和韻)한 사(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박도생(朴道生)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울진 현감(蔚珍縣監) 박형간(朴亨幹)의 아들로, 명필(名筆)로 세상에 이름이 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박돈인(朴敦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박한주(朴漢柱)의 아버지로, 문의 훈도(文義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박돈지(朴惇之)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일본(日本)에 사신으로 가서 연해(沿海)에 침입하는 왜구(倭寇)에 대한 일을 해결함.
1341~142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박동량(朴東亮)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유훈을 받든 유교칠신(遺敎七臣)의 한 사람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보호함. 중국어에 능통하여 대중외교에도 기여함.
1569~163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박동선(朴東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사재감 정(司宰監正) 박응천(朴應川)의 아들.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왕손을 호종하여 좌참찬(左參贊)에 오름.
1562~164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박동언(朴東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반성부원군(潘城府院君) 박응순(朴應順)의 아들이고, 선조의 비(妃)인 의인왕후(懿仁王后)의 동생.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강원도 소모사(江原道召募使)로 활약하였고, 봉산 군수(鳳山郡守) 등을 지냄.
1553~160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동열(朴東說)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이항복(李恒福)과 교유했고,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이를 적극 반대했음. 시문(詩文)에 능하였고 경사(經史)와 백가(百家) 및 국조의 고사에 두루 통하였음.
1564~16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박동우(朴東雨)
고려 후기의 문인. 이첨(李詹)ㆍ원천석(元天錫) 등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박랑사(博浪沙)
중국 하남성(河南省) 원양현(原陽縣)에 있는 지명. 장량(張良)이 한(韓) 나라의 원수를 갚기 위해 역사(力士)를 시켜 철퇴로 시황제(始皇帝)를 저격했다가 실패한 곳.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박려(朴欐)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이자 손서(孫壻). 초명은 박량(朴樑)이었으나 이황이 고쳐 주었으며, 경기좌도 수운판관(京畿左道水運判官)을 지냈음.
1551~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