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리(子履) - 탕(湯)
중국 은(殷) 나라 제1대 왕. 하(夏) 나라의 걸(桀)이 학정을 하자 이윤(伊尹) 등의 도움을 받아 걸을 격파하고 은 나라를 세웠는데, 유교에서 주(周) 나라 무왕(武王)이 은 나라 주(紂)를 토벌한 일과 함께 정당한 혁명의 전형(典型)으로 평가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자리통감(資理通鑑) - 자치통감(資治通鑑)
중국 북송(北宋)의 사마광(司馬光)이 편찬한 편년체(編年體) 역사서. 294권. 주(周) 나라 위열왕(威烈王) 때부터 오대(五代) 후주(後周)의 세종(世宗) 때까지 1362년간의 역사를 기록함.
1086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림(子臨) - 정항(鄭沆)
고려 숙종(肅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서(鄭敍)의 아버지로, 우정언(右正言)ㆍ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등을 지냄.
1080~11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자립(子立) - 조식(曹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시인. 위 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 오언시(五言詩)를 서정시로 완성하여 문학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침.
192~23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제후
-
자맹(子孟) - 곽광(霍光)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장군. 표기장군(驃騎將軍) 곽거병(霍去病)의 이복 동생으로, 무제ㆍ소제(昭帝)ㆍ선제를 섬기며 대장군(大將軍) 등을 지냄. 특히 소제가 어려서 즉위하자 잘 보좌하여 나라를 안정시킴.
?~B.C.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맹자(子孟子)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자면(子勉) - 고하(高荷)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난주 통판(蘭州通判) 등을 지냈으며, 강서시파(江西詩派)의 한 사람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면(子勉)@임적 - 임적(林積)
조선 전기의 유학. 그의 아버지의 요청으로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이름과 자(字)를 지어준 내용이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명(子明)@위표미 - 위표미(韋表微)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감찰어사(監察御史)ㆍ호부시랑(戶部侍郞) 등을 지냄.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명(子明)@여몽 - 여몽(呂蒙)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오(吳) 나라의 명장. 주유(周瑜)ㆍ정보(程普) 등과 함께 적벽(赤壁)에서 조조(曹操)의 군대를 크게 격파함.
178~21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명(子明) - 강석덕(姜碩德)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領議政) 심온(沈溫)의 사위이며, 사숙재(私淑齋) 강희맹(姜希孟)의 아버지. 청렴과 효우(孝友)로 명망이 높았음. 인수부 소윤(仁壽府少尹)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냄.
1395~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명(子明)@정사성 - 정사성(鄭士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집경전 참봉(集慶殿參奉)ㆍ내자시 주부(內資寺主簿)ㆍ양구 현감(楊口縣監) 등을 지낸 뒤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 힘씀.
1545~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명(子明)@조준 - 조준(趙浚)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덕유(趙德裕)의 아들로,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과전법(科田法)을 실시하여 토지제도를 정비하였으며, 하륜(河崙) 등과 함께 《경제육전(經濟六典)》을 편찬함.
1346~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자명(子明)@왕단 - 왕단(王旦)
중국 송(宋) 진종(眞宗) 때의 승상(丞相). 병부 시랑(兵部侍郞)을 지낸 진국공(晉國公) 왕호(王祜)의 아들이며,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낸 왕소(王素)의 아버지.
957~101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중(子中) - 김일(金軼)@김수윤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덕수(德水). 경상우도 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ㆍ황주 목사(黃州牧使) 등을 역임함.
1493~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무신
-
자중(子中)@정유일 - 정유일(鄭惟一)@1533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한 뒤 대사간(大事諫)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시부(詩賦)에 뛰어났으며, 성리학에 있어서는 퇴계설(退溪說)을 발전시킴.
1533~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중(子仲) - 김시양(金時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비안 현감(庇安縣監) 김인갑(金仁甲)의 아들.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1636년(인조 14) 청백리에 뽑힘. 《하담파적록(荷潭破寂錄)》ㆍ《하담집(荷潭集)》ㆍ《부계기문(涪溪記聞)》 등을 남김.
1581~16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자중(子重)@탁지수 - 탁지수(卓持守)
조선 전기의 문신. 사인(舍人)을 지낸 탁진옥(卓振玉)의 셋째 아들로, 탁세영(卓世瑛)에게 출계하였으며, 직장(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자중(子重)@이후 - 이후(李垕)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중종(中宗)의 아들인 덕양군(德陽君)의 현손(玄孫). 한충(韓忠)의 문집인 《송재집(松齋集)》에 〈삼송정실기(三松亭記實)〉가 실려 있음.
1611~166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자중(子重) - 석돈(石𡼖)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와 종유(從遊)하며 이학(理學)을 공부하였으며, 지남강군사(知南康軍事) 등을 지냄.
1128~118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중(滋仲) - 구관(具灌)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구팔원(具八元)의 아들로 1566년(명종 21)의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시정(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자중(自重) - 김자중(金自重)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낸 김덕망(金德望)의 아들로, 1618년(광해군 1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자중귀(紫中貴) - 모란(牡丹)
작약과(芍藥科)에 속하는 낙엽관목(落葉灌木).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 부귀(富貴)를 상징함. 설총(薛聰)의 〈화왕계(花王戒)〉로 유명함.
자연물>식물
-
자지(子芝) - 정자지(鄭子芝)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벼슬은 밀양 부사(密陽府使)를 지냄. 이정은(李貞恩)ㆍ이총(李摠)과 함께 아악(雅樂)에 조예가 깊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자지(子遲) - 번수(樊須)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자에게 인(仁)과 농사 등에 관해 가르침을 받음.
B.C.50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지(紫芝) - 원덕수(元德秀)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어려서부터 홀어머니에게 효를 다하였으며, 명리(名利)에 뜻이 없고 고상하여 절개가 있다는 칭송을 받음.
696~75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지(自知) - 김자지(金自知)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밀직 제학(密直提學) 김도(金濤)의 아들. 배불론자(排佛論者)의 한 사람으로 음양ㆍ복서(卜筮)ㆍ천문ㆍ지리ㆍ의약ㆍ음률 등 여러 학문에 뛰어남.
1367~143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자지(自知)@조자지 - 조자지(趙自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남효온(南孝溫)ㆍ홍유손(洪裕孫) 등과 죽림칠현(竹林七賢)을 자처하며 시주(詩酒)와 가무(歌舞)로 소일하였으며,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체포되어 국문(鞫問)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자지상호(紫芝商皓)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자지옹(紫芝翁) -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秦)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 동원공(東園公)ㆍ하황공(夏黃公)ㆍ녹리선생(甪里先生)ㆍ기리계(綺里季)를 이름.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자직(子直)@남률 - 남률(南慄)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중종 때 대사간(大司諫)을 역임함.
14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자직(子直) - 양방(楊方)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주자(朱子)의 문인. 회계(會稽) 사람으로, 고량 태수(高凉太守)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직(子直)@조여우 - 조여우(趙汝愚)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재상. 송 나라의 황족으로 주희(朱熹)의 친구. 영종 때 한탁주(韓侂冑)의 무고로 귀양 가서 죽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자진(子晉)@진유 - 진유(陳留)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흥덕(興德). 선무랑 녹사(宣務郞錄事)를 지낸 진승중(陳承重)의 아들로, 훈도(訓導)를 지내고 1513년(중종 8)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곤양 , 인명>문사>유학
-
자진(子晉) - 유순원(柳順源)
조전 전기의 문신. 《모재집(慕齋集)》에 〈유생원순원자진림정(柳生員順源子晉林亭)〉 등의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자진(子珍) - 안침(安琛)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순흥(順興).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문장과 송설체(松雪體)에 능함.
1445~151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자진(子眞)@쌍순 - 쌍순(雙淳)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1558년(명종 13) 선과(禪科)에 급제하였으며, 시(詩)에 능하여 신응시(辛應時)ㆍ고경명(高敬命)ㆍ윤근수(尹根壽) 등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자진(子眞)@최숙생 - 최숙생(崔淑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최철중(崔鐵重)의 아들로, 우찬성(右贊成)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1457~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자진(子眞)@함순 - 함순(咸淳)
고려 후기의 문신ㆍ문인.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낸 함유일(咸有一)의 아들. 문헌공도(文憲公徒) 출신으로, 급제 후 최충헌(崔忠獻) 정권에서 한직에 머무르다가, 이인로(李仁老) 등과 강좌칠현(江左七賢)을 조직하여 시주(詩酒)를 일삼고 청담(淸談)을 즐김.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진(子眞)@정박 - 정박(鄭樸)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도사. 대장군(大將軍) 왕봉(王鳳)의 초빙에도 응하지 않은 채 곡구(谷口)에 은거하여 수도(修道)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자진(子眞)@조전 - 조전(曺佺)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조계문(曺繼門)의 아들이고, 김종직(金宗直)의 처남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자진(子眞)@이순 - 이순(李淳)@153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철성(鐵城). 이언명(李彦明)의 아들이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모장(召募將)으로 의병을 모집하여 왜적과 싸움.
1530~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
-
자진(子眞) - 매복(梅福)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 남창 현위(南昌縣尉)를 지내다 왕망(王莽)이 정사를 전횡하자 처자(妻子)를 버리고 은둔하여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진(子眞)@반사정 - 반사정(潘師正)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사마승정(司馬承禎)의 스승으로, 벽곡도인술(辟穀導引術)을 전수함.
586~684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자진(子進)@문선제 - 문선제(文宣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제(北齊)의 제1대 황제. 재위 550~559. 고환(高歡)의 아들로, 동위(東魏)의 효정제(孝靜帝)를 폐하고 북제를 세웠으며, 즉위 초에는 정사에 힘쓰고 북방의 이민족을 격파하였으나, 후에는 폭정을 하여 국력이 쇠퇴함.
529~55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자진(子進) - 김맹(金孟)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감찰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 세조(世祖) 때 좌익 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됨.
1410~14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진(子進)@박점 - 박점(朴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박세정(朴世貞)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나 당쟁(黨爭)에 휘말려 삭탈관직 된 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자진(紫眞) - 주의산(周義山)
중국 전한(前漢)의 도사. 불사(不死)를 추구하여 묵상하며 단도(丹道)를 이룩하였다고 함. 송(宋) 나라 때의 도사인 백옥섬(白玉蟾)과 함께 언급되기도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자진원오(慈眞圓悟) - 천영(天英)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수선사(修禪社)의 제5세 국사(國師)로, 1236년(고종 23) 승과(僧科)에 급제함. 수선사 제3세인 청진국사(淸眞國師)의 교화를 받고 제4세인 진명국사(眞明國師)를 스승으로 삼았으며 복구(復邱)를 출가시킴.
1215~1286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자질(子質) - 김자질(金子質)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우정집(憂亭集)》에 김극성(金克成)이 지은 〈화김상사자질송란음(和金上舍子質松欄吟)〉이란 시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집(子楫) - 신말주(申末舟)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공조 참판(工曹參判) 신장(申檣)의 아들이며 신숙주(申叔舟)의 동생으로, 대사간을 지냄. 단종이 폐위된 후에 벼슬에서 물러나 귀래정(歸來亭)을 짓고 산수를 즐김.
1429~150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ㅣ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자집(子集) - 윤승서(尹承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윤홍언(尹弘彦)의 셋째 아들로, 교하 현감(交河縣監)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징(子澂)@양자징 - 양자징(梁子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제주(濟州). 양산보(梁山甫)의 아들이며, 김인후(金麟厚)의 사위이자 문인(門人)으로, 석성 현감(石城縣監) 등을 지내고, 필암서원(筆巖書院)에 제향됨.
1523~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자징(子澂) - 임유(任瀏)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한성 판관(漢城判官)을 지낸 임팽손(任彭孫)의 아들로,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훈련원 부정(訓練院副正) 등을 지냄.
1453~152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자징(子澄)@박녹 - 박녹(朴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대사간 박승임(朴承任)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고향 사람들의 추대를 받아 의병장으로 활약하였고, 뒤에 예빈시 별제(禮賓寺別提) 등을 지냄.
1542~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자징(子澄) - 양숙(梁淑)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양성지(梁誠之)의 손자. 사옹원 정(司饔院正)ㆍ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1471~152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자징(子澄)@유청지 - 유청지(劉淸之)
중국 송(宋)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예양현위(澧陽縣尉)ㆍ통판(通判) 등을 역임하였고, 주희(朱熹)와 더불어 《소학(小學)》을 편찬함.
1134~119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징(子澄)@최광한 - 최광한(崔光瀚)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천(陽川). 부제학(副提學) 최숙정(崔淑精)의 셋째 아들로,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된 후 명승지를 유람할 때, 박희량(朴希良)ㆍ공상린(孔祥麟) 등과 함께 종유(從遊)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문사>유학
-
자창(子昌) - 김자창(金子昌)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평양군(平壤君) 조서(趙瑞)의 사돈.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자창(子蒼) - 한구(韓駒)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 때의 문신. 소철(蘇轍)의 문인(門人)으로, 강주 지사(江州知事) 등을 역임함. 문장에 뛰어났고 시에 대한 이해가 깊었으며, 저서에 《능양집(陵陽集)》이 있음.
?~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천(子賤)@성익 - 성익(成杙)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손자로, 영동 현감(永同縣監)을 지낸 성문준(成文濬)의 아들. 수성금화사 별좌(修城禁火司別坐)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자천(子賤) - 복부제(宓不齊)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선보(單父)의 읍재(邑宰)를 지냈으며, 공자로부터 군자(君子)라는 칭찬을 받음.
B.C.5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천옹(滋泉翁)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자첨(子瞻)@박효원 - 박효원(朴孝元)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비안(比安)으로, 성세준(成世俊)의 장인. 1465년(세조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나, 임사홍(任士洪) 등과 결탁하여 대신들을 탄핵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비안 , 인명>관인>문신
-
자첨(子瞻)@소식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첨(子瞻)@봉성군 - 봉성군(鳳城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여섯 번째 서자. 희빈홍씨(熙嬪洪氏)의 소생. 인종(仁宗) 때 경기 관찰사 김명윤(金明胤)의 무고로, 계림군(桂林君) 이유(李瑠)와 함께 반역을 꾀한다 하여 유배되었다가 명종(明宗) 때 사사됨.
?~15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자첨(子瞻) - 김첨(金瞻)@1542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전한(典翰) 김홍도(金弘度)의 아들. 이이(李珥)를 탄핵하다가 지례 현감(知禮縣監)으로 좌천되고, 1584년(선조 17) 파직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죽음.
15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첨(子瞻)@박미 - 박미(朴楣)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박중손(朴仲孫)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433~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자첩(子捷) - 민공(閔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제후. 재위 B.C.691~B.C.682. 장공(莊公)의 아들로, 노(魯) 나라와 여러 차례 교전을 치르었으며 대부(大夫) 남궁장만(南宮長萬)에 의해 시해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자청(子淸)@성자청 - 성자청(成子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 성근(成謹)의 아들이며, 담양 부사(潭陽府使) 성자항(成子沆)의 형.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자청(子淸)@하원 - 하원(河源)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하소지(河紹地)의 아들. 전력부위(展力副尉)에 오르고, 국명(國命)에 따라 중부(仲父)인 하위지(河緯地)의 후사를 이음.
1451~15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자청(子淸)@이준 - 이준(李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 둘째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과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성종(成宗)을 몰아내려 한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아 영해(寧海)에 유배되어 죽음.
1441~14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자청(子淸)@유빈 - 유빈(柳濱)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호남으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뒤에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ㆍ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를 역임했음.
?~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청(子淸) - 남효온(南孝溫)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수학함.
1454~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자청명도진인(紫淸明道眞人) - 백옥섬(白玉蟾)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도사. 무이산(武夷山)에서 도(道)를 배워 태일궁(太一宮)에 거주하고 도교(道敎) 남종(南宗) 오조(五祖)의 하나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자청진인(紫淸眞人) - 백옥섬(白玉蟾)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도사. 무이산(武夷山)에서 도(道)를 배워 태일궁(太一宮)에 거주하고 도교(道敎) 남종(南宗) 오조(五祖)의 하나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자초(子初) - 최선복(崔善復)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군사(郡事)를 지낸 최자해(崔自海)의 아들. 보덕(輔德)ㆍ부윤(府尹)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자총(子叢) - 공자매(公子買)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대부(大夫). 노(魯) 희공(僖公)이 위(衛) 나라에 보내 국경을 수비하게 하였는데, 진(晉) 나라의 공격을 받게 되자 보복이 두려워 살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추(子推) - 개자추(介子推)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은사(隱士). 어려운 시기에 모셨던 진(晉) 문공(文公)이 뒤늦게 깨닫고 불렀으나 끝내 산속에서 불에 타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자추(子推)@조확 - 조확(趙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좌참찬(左參贊)을 지낸 조언수(趙彦秀)의 아들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을 지냄.
1535~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추(子樞) - 김응두(金應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고부 군수(古阜郡守)를 역임하면서 민폐를 제거하고 봉공(奉公)에 힘써 포상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자춘(子春) - 악정자춘(樂正子春)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ㆍ효자. 증삼(曾參)의 문인(門人)으로, 효성이 지극하여 모친상을 당하자 5일 동안 음식을 먹지 않았고, 당(堂)을 내려가다 발을 다치자 효심을 망각한 것이라 하여 수개월 동안 두문불출하며 근심하였다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학자
-
자충(子冲) - 임목(林穆)
조선 전기의 유학. 그의 아버지의 요청으로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이름과 자(字)를 지어준 내용이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충(子忠) - 이서장(李恕長)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한성부윤(漢城府尹) 이사관(李士寬)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 토벌에 참여하여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23~148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치(子治) - 박치(朴䎩)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금천군(錦川君) 박강(朴薑)의 아들이자 원종공신(原從功臣) 박기(朴基)의 아버지로, 군기시 정(軍器寺正) 등을 지냄.
1440~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자치(子治)@하복 - 하복(夏馥)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 때의 문신ㆍ은자. 당고(黨錮)의 화를 피해 이름을 숨기고 대장간에서 고용살이를 하다가 여생을 마침. 덕행으로써 팔고(八顧)의 한 사람으로 불림.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치(自治) - 오자치(吳自治)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나주(羅州). 1467년(세조 13)에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영정(影幀)을 하사받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자치(資治) - 자치통감(資治通鑑)
중국 북송(北宋)의 사마광(司馬光)이 편찬한 편년체(編年體) 역사서. 294권. 주(周) 나라 위열왕(威烈王) 때부터 오대(五代) 후주(後周)의 세종(世宗) 때까지 1362년간의 역사를 기록함.
1086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치강목(資治綱目) -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중국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쓴 역사서. 59권.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토대로 정통(正統)ㆍ비정통을 분별하고 대요(大要)와 세목(細目)으로 나누어 기술하였음. 주희는 대요만을 썼고, 제자 조사연(趙師淵)이 세목을 완성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치강목(資治綱目)@사정전훈의자치통감강목 - 사정전훈의자치통감강목(思政殿訓義資治通鑑綱目)
조선 세종(世宗) 때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을 토대로 윤회(尹淮)ㆍ노숙동(盧叔仝) 등이 편찬하고 세종이 친히 교정을 보아 만든 책.
14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 - 사정전훈의자치통감강목(思政殿訓義資治通鑑綱目)
조선 세종(世宗) 때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을 토대로 윤회(尹淮)ㆍ노숙동(盧叔仝) 등이 편찬하고 세종이 친히 교정을 보아 만든 책.
14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자침(子沈) - 김세묵(金世默)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공조 참판(工曹參判) 김굉(金硡)의 아들로, 수의부위(修義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자칭(子偁) - 조자칭(趙子偁)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의 생부. 효종이 즉위하여 수왕(秀王)으로 추존됨.
?~114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자탁(子濯) - 박조(朴澡)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아들로, 《소고집(嘯皐集)》에 박승임의 답서(答書)들이 실려 있음.
1551~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서울 , 인명>문사>유학
-
자태숙(子大叔) - 유길(游吉)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대부. 자산(子産)을 집정시켜 인정(仁政)을 베풀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택(子澤) - 성자택(成子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근(成謹)의 아들이며 성자항(成子沆)의 형으로, 왕자 교관(王子敎官)을 지냄. 1547년(명종 2) 윤임(尹任)의 당파(黨派)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사사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자통(子通)@손침 - 손침(孫綝)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경제(景帝) 때의 승상. 권신 손준(孫峻)의 종제(從弟)로, 제2대 황제인 폐제(廢帝: 손량(孫亮))를 폐위하고 손휴(孫休)를 세워 제3대 황제로 삼았으나,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다 결국 피살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자통(子通)@한금호 - 한금호(韓擒虎)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수(隋) 나라 문제(文帝) 때의 장군. 영주 자사(永州刺史)ㆍ화주 자사(和州刺史) 등을 지냄. 진(陳) 나라를 정벌하여 후주(後主)를 사로잡은 공으로 상주국(上柱國)에 봉해지고, 양주 총관(凉州摠管)이 되었으나 곧 죽음. 죽어서는 염라대왕(閻羅大王)이 되었다고 전해짐.
538~592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통(子通) - 권집경(權執經)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지신사(知申事) 등을 역임하였고,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이문화(李文和)와 서로 왕래한 내용의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통(子通)@방유심 - 방유심(方惟深)
중국 송(宋) 휘종(徽宗) 때의 문인. 시가 매우 정교하고 뛰어나다는 평을 받았고, 저서로는 《방비교집((方秘校集)》이 있음.
1040~112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