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통(子通)@유작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통(子通)@김형 - 김형(金泂)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맹함(金孟諴)의 아들로,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정언(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통(子通)@부형 - 부형(傅亨)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인 이인복(李仁復)이 원 나라에서 유학할 당시 동년지기로서 교유함.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통(自通) - 서자통(徐自通)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군수(郡守) 등을 지냈으며,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게 보낸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 - 유정(惟政)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승려ㆍ의병장. 본관은 풍천(豐川).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스승 휴정(休靜)과 함께 승병(僧兵)을 모아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네 차례에 걸쳐 왜장 가등청정(加藤淸正)과 회담을 가짐.
1544~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ㅣ인명>종교인>승려
-
자파(自坡) - 소자파(蘇自坡)
조선 전기의 문신. 소효식(蘇效軾)의 아들로, 의빈부 도사(儀賓府都事)ㆍ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지냈으며, 소세량(蘇世良ㆍ소세검(蘇世儉)ㆍ소세양(蘇世讓) 등 일곱 아들이 모두 벼슬에 나가 현달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패(子佩) - 이미(李薇)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의무(李宜茂)의 아들이며, 이행(李荇)의 아우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평(子平)@김이형 - 김이형(金以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군수(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자평(子平)@구존유 - 구존유(具存裕)
능성구씨(綾城具氏)의 시조. 고려에서 대광검교상장군(大匡檢校上將軍)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자평(子平) - 상장(向長)
중국 후한(後漢) 때의 은자. 벼슬하지 않고 은거하면서 《노자(老子)》와 《역경(易經)》에 정통하였고, 늙어서는 북해(北海)의 금경(禽慶)과 함께 오악(五嶽)의 명산을 두루 유람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자평(子平)@노준 - 노준(盧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좌통례(左通禮)를 지낸 노한문(盧漢文)의 아들. 선조 때 공조 좌랑(工曹佐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3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평(子平)@박병균 - 박병균(朴秉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의정을 지낸 박은(朴訔)의 손자이며, 형조 참판을 지낸 박규(朴葵)의 아들. 음보(蔭補)로 관직에 올라 사온서 령(司醞署令)ㆍ홍주 판관(洪州判官) 등을 지냄.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증조.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자평(子平)@설거정 - 설거정(薛居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칙명을 받들어 924년(태조 7)에 후량(後梁)ㆍ후당(後唐)ㆍ후진(後晉)ㆍ후한(後漢)ㆍ후주(後周) 등 다섯 왕조에 대한 사적을 기록한 《구오대사(舊五代史)》를 완성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평(子平)@강자평 - 강자평(姜子平)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대사간(大司諫)ㆍ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내고, 사후(死後)에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추죄(追罪)되었으나 중종(中宗) 때 신원됨.
1430~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자포(子布) - 장소(張昭)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문신. 손책(孫策)을 도와 오 나라를 건국하는데 공을 세우고, 대제(大帝) 손권(孫權)을 보좌하여 나라의 기틀을 잡음. 보오장군(輔吳將軍) 등을 지냄.
156~236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피(子皮) - 범려(范蠡)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越) 나라의 대부. 문종(文種)과 더불어 월왕 구천(句踐)을 도와 오(吳) 나라를 멸하는 데 큰 공을 세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하(子何) - 김이우(金爾盱)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무진(茂珍). 김경선(金景先)의 아들. 김이첨(金爾瞻)의 동생이며, 김이반(金爾盼)의 형. 이색(李穡)이 지은 〈명자설(名字說)〉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자하(子夏) - 공광(孔光)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 공자(孔子)의 14대손으로, 경학(經學)에 밝았음.
B.C.65~A.D.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하(子夏)@복상 - 복상(卜商)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魏)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문학(文學)에 뛰어났으며,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전하여 《공양전(公羊傳)》과 《곡량전(穀梁傳)》의 원류(源流)를 이루었고, 예(禮)의 객관적인 형식을 존중함.
B.C.507?~B.C.42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하(子賀) - 이장길(李長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이장곤(李長坤)의 형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스승의 가르침을 배반하고 권신을 추종하여 악정(惡政)을 자행했으며, 심정(沈貞)의 심복이 되었다가 그의 몰락과 함께 고향으로 쫓겨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자하(自夏) - 이자하(李自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생원 이찬(李璨)의 아들이며, 사헌부 헌납(司憲府獻納) 이치(李致)의 아버지로, 적성 현감(積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자하도인(紫霞道人) - 정약용(丁若鏞)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형원(柳馨遠)ㆍ이익(李瀷)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實學)을 집대성함. 주자(朱子) 성리학(性理學)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
1762~18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하문(紫霞門) - 창의문(彰義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사소문(四小門)의 하나. 돈의문(敦義門)과 숙정문(肅靖門) 사이에 있던 서북간문(西北間門). 북한(北漢)ㆍ양주(楊州) 방면으로 통하는 교통로였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능양군(陵陽君)을 비롯한 의군(義軍)들이 이 문을 부수고 궁 안에 들어가 반정에 성공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자한(子罕) - 유희령(柳希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송인수(宋麟壽)의 문인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절도(絶島)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표제음주동국사략(標題音注東國史略)》과 《대동시격(大東詩格)》을 편찬하고, 《몽암집(夢菴集)》을 남김.
1480~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한(子翰) - 주세란(周世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지낸 안구(安覯)의 사위로, 찰방(察訪)을 지냄. 종형(從兄) 주세붕(周世鵬)이 차운한 시가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자함(子諴) - 신계성(申季誠)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학자. 성리학(性理學)에 뜻을 두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박영(朴英)에게 수학(受學)하고, 김대유(金大有)ㆍ조식(曺植) 등과 종유(從遊)하여 삼고(三高)라 불림.
1499~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
-
자합(子合) - 왕우(王遇)
중국 송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요덕명(廖德明)ㆍ황간(黃榦) 등과 교유함. 우사 낭중(右司郞中)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논맹강의(論孟講義)》 등을 남김.
1141~121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항(子沆) - 성자항(成子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성세명(成世明)의 손자이며,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 성근(成謹)의 아들. 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를 거쳐 담양 부사(潭陽府使)를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해(自海) - 최자해(崔自海)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종부시 영(宗簿寺令)을 지낸 최원지(崔元之)의 아들. 문음(門蔭)으로 벼슬에 나와 지평(持平) 등을 거쳐 원평(原平)ㆍ밀양(密陽)의 도호부사(都護府使)를 지냄.
1363~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자행(子行)@김여지 - 김여지(金汝知)
고려 창왕(昌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밀직 제학(密直提學) 김도(金濤)의 아들이며 김자지(金自知)의 동생. 1389년(창왕 1) 문과에 장원급제하고 사헌 규정(司憲糾正)에 제수되었으며, 조선 건국 후 우헌납(右獻納)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370~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자행(子行) - 안지(安止)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찬성(贊成) 안사종(安士宗)의 아들로, 1445년(세종 27) 권제(權踶)ㆍ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지었으며, 시(詩)ㆍ서(書)에 능하였음.
1377~14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자행(自行) - 김자행(金自行)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집의(執義) 김질(金晊)의 아들로, 예조 참의(禮曹參議)ㆍ관찰사(觀察使) 등을 지냄. 안동(安東) 태사묘(太師廟)의 묘우(廟宇) 터전을 마련함.
1412~14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허(子虛) - 원호(元昊)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세조가 집권하자 원주(原州)에 은거하였으며 단종(端宗)이 죽자 삼년상을 치른 후 칩거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자허(子虛)@김건 - 김건(金鍵)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김유(金愉)의 아들로, 1496년(연산군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최충성(崔忠成)과 함께 남효온(南孝溫)을 방문하여 《소학(小學)》ㆍ《근사록(近思錄)》을 강론(講論)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자허(子虛)@이함 - 이함(李涵)@1458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서자. 영양부정(英陽副正)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458~152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자허(子虛)@박의중 - 박의중(朴宜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이색(李穡)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음. 철령위(鐵嶺衛) 철폐를 이룩하고 추성보조공신(推誠補祚功臣)에 책록됨.
1337~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허(子虛)@박초 - 박초(朴礎)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공양왕(恭讓王) 때 불교배척 상소문으로 사형을 받게 되었으나 정몽주(鄭夢周)의 변호로 사면됨. 1433년(세종 15)에 야인(野人)의 침입에 대한 책임으로 고신(告身)을 빼앗김.
1367~145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자허(子虛)@권수익 - 권수익(權受益)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권운(權雲)의 아버지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허(子虛)@사마상여 - 사마상여(司馬相如)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랑장(中郞將)ㆍ효문원령(孝文園令) 등을 지내고, 〈자허부(子虛賦)〉ㆍ〈상림부(上林賦)〉 등 유명한 작품을 남김.
B.C.179~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허(子許) - 성후설(成後卨)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질부(質夫) 성이문(成以文)의 손자. 예빈시 정(禮賓寺正)ㆍ승정원 우승지(承政院右承旨)ㆍ수원 부사(水原府使) 등을 지냄.
1615~167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헌(子獻)@김지 - 김지(金墀)@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정황(丁熿)의 《유헌집(游軒集)》에 칠언절구(七言絶句) 〈정김군자헌(呈金君子獻)〉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헌(子獻) - 김감(金勘)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원신(金元臣)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에 봉해짐.
1466~150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자헌(自獻) - 기자헌(奇自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로,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奇大恒)의 손자. 광해군을 즉위시키는 데 공헌하여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폐모론에 반대하다 문외출송(門外黜送)되었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을 때 사사(賜死)됨.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현(資玄) - 이자현(李資玄)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인주(仁州). 과거에 급제하여 대악서 승(大樂署丞)이 되었으나, 관직을 버리고 춘천(春川)의 청평산(淸平山)에 들어가 아버지가 세웠던 보현원(普賢院)을 문수원(文殊院)이라 고치고 평생을 수도생활로 일관함.
1061~1125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자형(子衡)@왕정상 - 왕정상(王廷相)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벼슬이 병부상서(兵部尚書)에 이르렀으며 문학과 비평에 일가를 이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걸쳐 활동한 홍치칠자(弘治七子)의 한 사람.
1474~154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형(子衡) - 강원범(姜元範)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군기감 정(軍器監正)을 지낸 강숙경(姜叔卿)의 아들.
1447~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형(子馨) - 유계분(柳桂芬)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유승순(柳承順)의 아들이며, 유성원(柳誠源)의 조카. 이조 정랑을 지냈으며, 서거정(徐居正)과 교유함.
139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자형(子馨)@이훈 - 이훈(李薰)@이사청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양성(陽城).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쓴 묘갈명(墓碣銘)이 《퇴계집(退溪集)》에 실려 있음.
1483~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무신
-
자형(自馨) - 유계분(柳桂芬)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유승순(柳承順)의 아들이며, 유성원(柳誠源)의 조카. 이조 정랑을 지냈으며, 서거정(徐居正)과 교유함.
139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자호(子浩)@장순손 - 장순손(張順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485년(성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권신 김안로(金安老)의 일파가 되어 벼슬했다는 비난을 받음.
1453~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자호(子浩)@김징 - 김징(金澄)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봉증김자호변여윤(奉贈金子浩卞汝潤)〉이라는 시가 《하서집(河西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호(子浩) - 구순(具淳)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구희경(具希璟)의 아들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통진 현감(行通津縣監)을 지냄.
1507~155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자호(慈湖) - 양간(楊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육구연(陸九淵)의 제자로, 스승의 심(心)은 곧 이(理)라는 심즉리(心卽理)의 사상을 이어받음. 보모각 학사(寶謨閣學士) 등을 지냄.
1141~122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호선생유서(慈湖先生遺書) - 자호유서(慈湖遺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양간(楊簡)의 문집. 18권. 현존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홀(子忽) - 소공(昭公)@춘추전국(鄭)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4대ㆍ6대 제후. 재위 B.C.700, B.C.696~694. 아우 여공(厲公)과 제위를 다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자홍(子弘) - 민원(閔㥳)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1498년(연산군 4)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우부승지를 지냈음. 충청도 관찰사를 지낸 민사건(閔師騫)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자홍(自弘) - 권자홍(權自弘)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책(權策)의 아버지로, 1427년(세종 9) 친시(親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ㆍ예문관 직제학(藝文官直提學)을 지내고,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화(子和)@성중온 - 성중온(成仲溫)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도총부 경력(都摠府經歷) 등을 지냈으며, 아버지 성준(成俊)이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교살(絞殺)당하자 동생 성경온(成景溫)과 함께 유배지에서 자살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자화(子和) - 이은(李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기(李克基)의 아들로, 학식과 지조가 있어 별과(別科)에 추천되었으며, 고원 군수(高原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화(子和)@문협 - 문협(文協)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로, 1568년(선조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5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자화(子華)@최인기 - 최인기(崔仁起)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정유성(鄭惟誠)ㆍ김안경(金安慶)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함께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화(子華)@박충좌 - 박충좌(朴忠佐)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우탁(禹倬)에게 주자학을 배웠으며, 판전민도감사(判田民都監事)ㆍ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함.
1287~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자화(子華) - 공서적(公西赤)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사람. 공자(孔子)의 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 제사(祭祀)와 빈객(賓客)의 예에 뛰어남.
B.C.50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화(子華)@이자화 - 이자화(李子華)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첨의정승(僉議政丞)을 지낸 이혼(李混)의 아우로, 선부 전서(選部典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자화(自華) - 이자화(李自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호조 판서(戶曹判書) 이자견(李自堅)과 좌참찬(左參贊) 이자건(李自健)의 아우로,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자환(子桓)@환온 - 환온(桓溫)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장군. 명제(明帝)의 딸인 남강공주(南康公主)와 혼인하여 부마도위(駙馬都尉)를 제수받음. 혁(奕)을 황제에서 폐하고 간문제(簡文帝)를 세우는 등 정권을 장악하였으나, 간문제가 죽은 이듬해에 병사함.
312~37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환(子桓) - 문제(文帝)@삼국(위)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220~226. 후한(後漢) 헌제(獻帝)에게서 왕위를 찬탈하여 위(魏)를 세움.
187~226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자활(子活) - 장순손(張順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485년(성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권신 김안로(金安老)의 일파가 되어 벼슬했다는 비난을 받음.
1453~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자활(自活) - 장순손(張順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485년(성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권신 김안로(金安老)의 일파가 되어 벼슬했다는 비난을 받음.
1453~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자회(子回) - 안회(顔回)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 공자(孔子)가 가장 신임했던 수제자로,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도를 즐기고 학문과 덕행으로 이름을 높임.
B.C.521~B.C.49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자회(子懷) - 전하(田何)
중국 전한(前漢)의 역학자. 동무(東武)의 손우(孫虞)에게 주역을 배워 동무의 왕동(王同), 낙양(雒陽)의 주왕손(周王孫)ㆍ정관(丁寬), 제(齊)의 복생(服生) 등에게 전수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회(子晦)@홍처량 - 홍처량(洪處亮)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을 지낸 홍명현(洪命顯)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내고 《인조실록(仁祖實錄)》 편찬에 참여함.
1607~168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회(子晦) - 요덕명(廖德明)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보전현(莆田縣)의 지사(知事)가 되어 풍속을 교화시키고 호강(豪强)을 억누르는 데 힘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회(子會) - 이홍남(李洪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사복시 정(司僕寺正)을 지낸 이약빙(李若氷)의 아들.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동생 이홍윤(李洪胤)을 무고해 처형당하게 하고 자신은 풀려남.
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효(子孝) - 장담(張湛)@후한
중국 후한(後漢) 때의 사람. 사람됨이 예를 좋아하여 행동거지에 법도가 있었고, 광무제(光武帝) 때 조정에 들어가 황제가 나태한 모습을 보이면 곧바로 간하였으며, 항상 백마를 타고 다녔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효황제(慈孝皇帝) - 광종(光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12대 황제. 재위 1189~1194. 효종(孝宗)의 셋째 아들. 효종의 선위(禪位)로 왕위에 올랐으나 유약한 성품으로 정치를 독단하지 못하고 비(妃) 이봉랑(李鳳娘)의 의견을 따름.
1147~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자후(子侯) - 장한공(張漢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었으나, 사림파들에 의해 삭훈되었다가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복적(復籍)됨.
1465~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자후(子厚)@국순 - 국순(麴醇)
술의 다른 이름. 고려 후기의 문인 임춘(林椿)이 지은 가전(假傳) 〈국순전(麴醇傳)〉의 주인공. 국주(麴酎)의 아들로 태어나 임금의 깊은 총애를 얻어 중산후(中山侯)에 봉해지고 권세를 누렸으나, 치사(致仕)하고 나서 갑자기 죽음.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자후(子厚)@한백륜 - 한백륜(韓伯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종(睿宗)의 국구(國舅). 본관은 청주(淸州)로, 안순왕후(安順王后)와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한순(韓恂)의 아버지. 남이(南怡)의 옥사를 처리한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27~147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자후(子厚)@손수산 - 손수산(孫守山)
조선 전기의 문신. 1445년(세종 27) 신숙주(申叔舟)ㆍ성삼문(成三問) 등과 함께 요동(遼東)에 가서 당시 유배중이던 명(明) 나라의 한림학사 황찬(黃瓚)에게 음운(音韻)을 물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자후(子厚)@황자후 - 황자후(黃子厚)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회덕(懷德). 회천위(懷川尉) 황유(黃裕)의 아버지로, 한성부 윤(漢城府尹)ㆍ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등을 지냄. 호패법(戶牌法)을 건의하여 시행하고, 침구(鍼灸)의 전문직을 둘 것을 건의함.
1363~14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자후(子厚) - 김전(金㙉)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배웠으며, 문학으로 이름이 남.
153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자후(子厚)@장돈 - 장돈(章惇)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왕안석(王安石)의 신법을 지지하여 그의 정책을 계승한 신법당(新法黨)의 일원으로, 사마광(司馬光) 계열의 구법당(舊法黨)과 정책적으로 대결함.
1035~11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후(子厚)@유종원 - 유종원(柳宗元)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당송팔대가(唐宋八代家)의 한 사람. 고문(古文)의 대가로서 한유(韓愈)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 우언(寓言) 형식을 취한 풍자문(諷刺文)과 산수(山水)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
773~81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문인
-
자후(子厚)@장재 - 장재(張載)@송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벼슬에서 물러나고, 정호(程顥)ㆍ정이(程頤)에게서 배움. 송 나라 최초로 ‘기일원(氣一元)’의 철학사상을 전개하여 송 나라 유학(儒學)의 기초를 세움.
1020~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후(子厚)@이전 - 이전(李㙉)@1454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철원 도호부사(鐵原都護府使)를 지낸 이인문(李仁文)의 아들. 연성군(延城君) 이곤(李坤)의 형으로, 제주 목사(濟州牧使) 등을 지냄.
145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자후(子後) - 이승종(李承宗)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자훈(字訓) - 성리자훈(性理字訓)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학자인 정단몽(程端蒙)이 지은 성리학(性理學)의 기초 학습서. 30조(條)로 이루어짐. 1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휘(自輝) - 김자휘(金自輝)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학자 김태정(金台鼎)의 아버지로, 상호군(上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자휴(子休)@장주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휴(子休) - 채신보(蔡申保)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필선(弼善)을 지낸 채륜(蔡倫)의 아들로, 평해 현감(平海縣監)ㆍ남양 부사(南陽府使)를 지냄.
1419~148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음성 , 인명>관인>문신
-
자휴(子休)@권동미 - 권동미(權東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충재(冲齋) 권벌(權橃)의 아들. 용궁 현감(龍宮縣監)ㆍ초계 군수(草溪郡守) 등을 지냄.
1525~15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자흠(子欽)@안자흠 - 안자흠(安子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형조 참판(刑曹參判) 안윤손(安潤孫)의 아들이자 이조 좌랑(吏曹佐郞) 안사언(安士彦)의 아버지로, 제검(提檢)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자흠(子欽)@김자흠 - 김자흠(金子欽)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김지(金輊)의 아들로,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호조 참의(戶曹參議)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자흠(子欽) - 신응지(申應之)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낸 신분(申賁)의 아들로, 의흥 현감(義興縣監) 등을 역임하였음.
1420~148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자흥(子興)@김자흥 - 김자흥(金子興)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혼(金琿)의 아들로, 좌부승지(左副承旨) 등을 지냈으며, 김원상(金元祥)ㆍ오현량(吳賢良)과 함께 송방영(宋邦英) 일파를 제거함.
1264~132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자흥(子興) - 곽자흥(郭子興)
중국 원(元) 나라 홍건군(紅巾軍)의 장수. 원 말기에 스스로 군사를 일으켜 원수(元帥)로 자칭하였고, 주원장(朱元璋)의 도움으로 여러 번 원군(元軍)을 격파함. 명(明) 왕조가 건국하자, 1370년에 저양왕(滁陽王)으로 추서(追叙)됨.
?~1355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자희(子姬)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작(碏) - 이작(李碏)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의 증손이며, 봉성군(蓬城君) 이항(李恒)의 아들이고 언보(彦輔) 이경충(李景忠)의 아버지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작(綽) - 이작(李綽)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광해군에게 인목왕후(仁穆王后)를 폐비하는 것이 부당함을 논함. 명성도정(明城都正)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