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작교(鵲橋) - 오작교(烏鵲橋)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에 나오는 다리 이름. 칠석(七夕)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를 만나게 하기 위해 까마귀와 까치가 은하에 모여 자기들의 몸을 잇대어 만든다는 다리.
유적>시설>기타시설
-
작두장(斫頭將) - 엄안(嚴顔)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장수. 강주(江州)를 지키다가 장비(張飛)에게 생포된 후 노장 황충(黃忠)과 더불어 유비(劉備)의 심복이 되어 많은 공을 세움.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작두장군(斫頭將軍) - 엄안(嚴顔)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장수. 강주(江州)를 지키다가 장비(張飛)에게 생포된 후 노장 황충(黃忠)과 더불어 유비(劉備)의 심복이 되어 많은 공을 세움.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작부객(作賦客) - 사마상여(司馬相如)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랑장(中郞將)ㆍ효문원령(孝文園令) 등을 지내고, 〈자허부(子虛賦)〉ㆍ〈상림부(上林賦)〉 등 유명한 작품을 남김.
B.C.179~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작산별묘(鵲山別廟) - 작산사(鵲山祠)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의 작산(鵲山)에 세운 사당. 진성이씨(眞城李氏)의 선조를 모신 곳으로, 이자수(李子脩)ㆍ이운후(李云候)ㆍ이정(李禎)ㆍ이계양(李繼陽) 등을 배향함.
15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당
-
작산정사(鵲山精舍) - 작산사(鵲山祠)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의 작산(鵲山)에 세운 사당. 진성이씨(眞城李氏)의 선조를 모신 곳으로, 이자수(李子脩)ㆍ이운후(李云候)ㆍ이정(李禎)ㆍ이계양(李繼陽) 등을 배향함.
15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당
-
작신(作新) - 김작신(金作新)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부령(扶寧). 고종(高宗)ㆍ원종(元宗) 때의 문장가인 지포(止浦) 김구(金坵)의 조부로, 우복야(右僕射)ㆍ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작약(勺藥) - 작약(芍藥)
작약과(芍藥科)의 다년생초(多年生草). 흔히 남녀 간의 애모(愛慕)하는 마음이나 이별(離別)의 상징물로 쓰여,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ㆍ《동문선(東文選)》 등에 실려 있음.
자연물>식물
-
작약지화(芍藥之花) - 작약(芍藥)
작약과(芍藥科)의 다년생초(多年生草). 흔히 남녀 간의 애모(愛慕)하는 마음이나 이별(離別)의 상징물로 쓰여,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ㆍ《동문선(東文選)》 등에 실려 있음.
자연물>식물
-
작약화(芍藥花) - 작약(芍藥)
작약과(芍藥科)의 다년생초(多年生草). 흔히 남녀 간의 애모(愛慕)하는 마음이나 이별(離別)의 상징물로 쓰여,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ㆍ《동문선(東文選)》 등에 실려 있음.
자연물>식물
-
작조(鵲祖) - 탈해이사금(脫解尼師今)
신라 제4대 왕. 재위 57~80. 즉위 후 백제를 자주 공격하고 일본과 화친을 맺었으며, 가야와 싸워 승리함. 용성국(龍城國)의 왕과 적녀국(積女國)의 왕녀 사이에서 알로 태어나 궤짝에 담겨 바다에 버려졌다가 한 노파에게 길러졌다는 설화가 전해짐.
?~80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잔하(殘河)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잘산군(乽山君) - 성종(成宗)@조선
조선 제9대 왕. 재위 1469~1494. 세종(世宗)과 세조(世祖)가 이룩한 치적을 기반으로 찬란한 문화정책을 펼쳤으며,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완성하는 등 국가통치체제를 완비함.
1457~149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잠(潛)@조선전기 - 이잠(李潛)@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진사 이식(李埴)의 맏아들이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이복형.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잠(潛)@장잠 - 장잠(張潛)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인동(仁同)으로,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스승인 조광조(趙光祖)가 능주(綾州)로 유배되자 그를 배종(陪從)하였고, 후에 스승의 신원소(伸寃疏)를 올렸음.
1497~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인동 , 인명>문사>유학
-
잠(潛)@조선후기 - 이잠(李潛)@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종친. 영양군(永陽君) 이거(李岠)의 손자로, 능해군(綾海君) 구성(具宬)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잠(潛) - 신잠(申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오랜 기간 유배되었음.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는데, 묵죽(墨竹)에 특히 뛰어났다고 함.
1491~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잠(潛)@유잠 - 유잠(柳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1540년(중종 3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잠가주(岑嘉州) - 잠삼(岑參)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신ㆍ문인. 고적(高適)과 함께 시로 유명하여 흔히 고잠(高岑)이라 병칭함. 그의 시는 사의(辭意)가 청절(淸切)하고 문채와 풍치가 뛰어남.
715~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잠계(潛溪) - 송렴(宋濂)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오내(吳萊)ㆍ유관(柳貫)ㆍ황잠(黃潛) 등의 문하에서 수학함. 원(元) 나라 말기 전란을 피하여 용문산(龍門山)에 은거하며 저작 활동을 했으며, 《원사(元史)》의 편수를 주관함.
1310~1381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잠계(潛溪)@이전인 - 이전인(李全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언적(李彦迪)의 서자(庶子)로, 이언적이 찬술한 〈진수팔규(進修八規)〉를 올려 이언적의 훈작(勳爵)이 복작(復爵)됨.
1516~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잠곡(潛谷) - 김육(金堉)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풍(淸風). 대동법(大同法) 실시, 수차(水車)ㆍ수레 사용, 화폐 통용 등을 주장한 정치관료로서 실학사상에 영향을 주었으며,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580~165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가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잠곡선생유고(潛谷先生遺稿) - 잠곡유고(潛谷遺稿)
조선 효종(孝宗) 때의 문신인 김육(金堉)의 문집. 14권 10책. 활자본. 김육의 아들인 김좌명(金佐明)이 초고를 편차하여 간행함.
16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잠랑(潛郞)@풍당 - 풍당(馮唐)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문신. 중랑서장(中郞署長)으로 평생 미관말직에 있었으며, 문제가 흉노(匈奴)의 방비책을 묻자 직간(直諫)하여 칭찬을 받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잠랑(潛郞) - 낭잠(郞潛)
낭관(郎官)의 자리에 침체됨. 전한(前漢)의 안사(顔駟)가 문제(文帝)ㆍ경제(景帝)ㆍ무제(武帝) 등 세 임금을 섬기도록 승진하지 못하고 평생 낭서(郞署)에 머물렀던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관운(官運)이 트이지 않는 불운을 뜻함.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잠로(岑老)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잠부(潛夫) - 유극장(劉克莊)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육유(陸游)를 본받아 시국을 걱정하는 시풍의 작품을 많이 남겼으며, 강호시파(江湖詩派)를 주도함.
1187~126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잠사(岑師)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잠선(岑禪)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잠선(潛善) - 황잠선(黃潛善)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호부 시랑(戶部侍郞)ㆍ우상(右相) 등을 지냈으나, 금군(金軍)이 남침했을 때 왕백언(汪伯彦) 등과 함께 방비책을 강구하지 않고 화평을 주장하여 송 나라를 패배하게 함.
?~11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잠성(岑城) - 우봉(牛峯)
황해도 남동쪽에 있던 옛 고을 이름. 1651년(효종 2)에 강음(江陰)과 병합하여 금천(金川)으로 개명함. 현재 황해북도 금천군(金川郡)에 속함.
황해도>우봉 , 지명>행정지명
-
잠성정(岑城正) - 이돈(李惇)
조선 전기의 종친.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둘째 아들이며 평고부정(平皐副正) 이신(李信)의 아버지로, 잠성정(岑城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잠소당(潛昭堂) - 박광우(朴光佑)@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박린(朴璘)의 아들로, 문장에 능하여 원접사(遠接使)를 수행하였고,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인 동선역(洞仙驛)에서 죽음.
149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잠수(潛叟)@박세당 - 박세당(朴世堂)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이조 참판 박정(朴炡)의 아들. 실학자로서 농촌생활에 토대를 둔 박물학(博物學)의 학풍을 이룩하였으며, 《사변록(思辨錄)》을 저술하여 주자학(朱子學)을 비판함.
1629~1703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전라도>남원ㅣ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잠수(潛叟) - 기정진(奇正鎭)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학자. 본관은 행주(幸州). 이학(理學) 6대가의 한 사람이며, 위정척사(衛正斥邪)의 정신적 지주.
1798~187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ㅣ전라도>순창 , 인명>문사>학자
-
잠실진씨(潛室陳氏) - 진식(陳埴)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질문(質問)의 장점과 효과에 대해 크게 장려함. 제자들의 질문에 답한 것을 모아 펴낸 《목종집(木鍾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잠실진씨(蠶室陳氏) - 진식(陳埴)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질문(質問)의 장점과 효과에 대해 크게 장려함. 제자들의 질문에 답한 것을 모아 펴낸 《목종집(木鍾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잠암(潛巖) - 성로(成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본관은 창녕(昌寧).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낸 성영국(成永國)의 아들로, 스승 정철(鄭澈)의 잦은 유배와 동문 권필(權韠)의 죽음을 보고 세상과 인연을 끊고 만년에는 술과 시로써 세월을 보냄.
1550~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문인
-
잠암(潛庵)@보광 - 보광(輔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자어류(朱子語類)》에 사단(四端)ㆍ칠정(七情)을 나누어 이(理)와 기(氣)에 배속시켜 기록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잠암(潛庵) - 김의정(金義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중종의 총애를 받자 김안로(金安老)에게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김안로가 처형된 후에 다시 등용됨.
1495~15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잠암선생일고(潛庵先生逸稿) - 잠암일고(潛庵逸稿)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김의정(金義貞)의 문집. 5권 2책. 목판본. 후손 김종옥(金宗鈺)이 편집, 간행하고, 이휘재(李彙載)의 서문(序文)이 있음.
186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잠야(潛冶) - 박지계(朴知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왕자사부(王子師傅)ㆍ동몽교관(童蒙敎官) 등에 임명되나 취임하지 않고,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냄. 주자학에 조예가 깊고, 저서로 《잠야집(潛冶)》등이 있음.
1573~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잠야선생집(潛冶先生集) - 잠야집(潛冶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지계(朴知誡)의 시문집. 활자본 10권 5책. 1766년(영조 42)에 박지계의 5대손 박명양(朴鳴陽)이 운각인서체자(芸閣印書體字)로 간행함.
176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잠양동주(潛陽洞主) - 박지화(朴枝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정선박씨(旌善朴氏)의 시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해박하고 특히 기수학(氣數學)에 뛰어남.
1513~159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정선 , 인명>문사>학자
-
잠와(潛窩) - 이명준(李命俊)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청강(淸江) 이제신(李濟臣)의 아들. 광해군(光海君) 때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을 거쳐 복직되어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572~163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잠은(潛隱) - 강흡(姜洽)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장생(金長生)ㆍ신흠(申欽)에게 사사(師事)하고, 현감(縣監) 등을 지냄.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太白山)에 은거하여 심장세(沈長世)ㆍ홍석(洪錫)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일컬어짐.
1602~16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잠자(岑子) - 잠삼(岑參)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신ㆍ문인. 고적(高適)과 함께 시로 유명하여 흔히 고잠(高岑)이라 병칭함. 그의 시는 사의(辭意)가 청절(淸切)하고 문채와 풍치가 뛰어남.
715~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잠재(潛齋)@하몽계 - 하몽계(何夢桂)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 송 나라 도종(度宗) 때 감찰어사(監察御使) 등을 지냈으나, 나라의 국운이 기울자 소유원(小酉源)에 은거함. 《주역(周易)》에 정통하고, 저서에 《잠재집(潛齋集)》 등이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잠재(潛齋)@장근 - 장근(張謹)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정통하고 경서와 역사에 통달함. 1573년(선조 6) 친구들과 함께 이황(李滉)의 위판(位版)을 이산서원(伊山書院)에 모신 후 3년 시묘살이를 함.
1544~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잠재(潛齋)@왕야 - 왕야(王埜)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냈으며, 《주자대전정집(朱子大全正集)》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잠재(潛齋) - 김취려(金就礪)@조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연성군(蓮城君) 김정경(金定卿)의 후손으로, 이중호(李仲虎)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효자로 천거되어 사복시 정(司僕寺正)ㆍ수원부사(水原府使) 등을 지냄.
15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산 , 인명>관인>문신
-
잠재(潛齋)@응휘겸 - 응휘겸(應撝謙)
중국 청(淸) 나라 성조(聖祖) 때의 학자. 1679년(성조 18)에 조정의 부름을 받았지만 출사하지 않았고, 성리학(性理學)에 대해 깊이 연구하여 《성리대중(性理大中)》ㆍ《대청일통지(大淸一統志)》 등을 저술함.
1615~1683 중국>청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잠재(潛齋)@서소연 - 서소연(徐昭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와 더불어 성리설(性理說)에 대해 논변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잠재문집(潛齋文集) - 잠재집(潛齋集)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인 하몽계(何夢桂)의 문집. 11권. 명(明) 나라 때 8세손인 하순방(何淳訪)이 옛 책을 얻어 교정, 간행함.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잠해(箴解) - 숙흥야매잠주해(夙興夜寐箴註解)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노수신(盧守愼)이 중국 송(宋) 나라 진백(陳栢)의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주해한 책.
15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도 , 문헌>서명
-
잡(磼)@이잡 - 이잡(李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1578년(선조 11)에 오운(吳澐)ㆍ박유(朴愈) 등과 함께 고을을 잘 다스리지 못하고 행실이 바르지 못하다 하여 탄핵당함.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그와 관련한 글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잡(磼) - 신잡(申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비변사 당상(備邊司堂上)으로 활약하였으며,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41~160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잡단(雜端) - 박인석(朴仁碩)
고려 의종(毅宗)~희종(熙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경주(慶州) 초적(草賊)의 반란 진압 때 공을 세움.
1143~121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잡영(雜詠) - 도산잡영(陶山雜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황(李滉)이 도산서원(陶山書院)에 거처하면서 지은 시. 40제(題) 92수(首)로 구성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문헌>서명
-
잡화(雜花) - 화엄경(華嚴經)
불교 화엄종(華嚴宗)의 근본 경전(經典). 석가모니(釋迦牟尼)의 가르침을 가장 잘 드러낸 작품으로 인정받는 방대한 분량의 대승불교(大乘佛敎) 경전임.
고대 , 문헌>서명
-
잡화경(雜花經) - 화엄경(華嚴經)
불교 화엄종(華嚴宗)의 근본 경전(經典). 석가모니(釋迦牟尼)의 가르침을 가장 잘 드러낸 작품으로 인정받는 방대한 분량의 대승불교(大乘佛敎) 경전임.
고대 , 문헌>서명
-
장(場) - 이장(李場)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장(樟) - 정장(鄭樟)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아들로, 중부(仲父)인 정곤수(鄭崑壽)의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출사(出仕)한 이후 과거에 급제하여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 등을 지냄.
1569~161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장(檣)@신장 - 신장(申檣)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아버지. 《정종실록(定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유학(儒學)에 조예가 깊고 서예에도 능함.
1382~14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檣) - 권장(權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명종(明宗)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동생.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1489~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장(璋) - 무왕(武王)@백제
백제 제30대 왕. 재위 600~641. 법왕(法王)의 아들이며, 의자왕(義慈王)의 아버지. 즉위 후 신라를 자주 공격하는 한편 고구려의 남진(南進)을 견제하였으며, 정복전쟁을 통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대규모 토목공사를 일으킴.
?~641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장(璋)@이장 - 영해군(寧海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처음 이름은 장(璋)이었으나 후일 당(瑭)으로 바꿈.
1435~14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장(璋)@이효원의아들 - 이장(李璋)@이효원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증손인 석보정(石保正) 이복생(李福生)의 증손이며, 함라수(咸羅守) 이효원(李孝元)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장(璋)@조장 - 조장(趙璋)
고려 후기의 문신. 옥천조씨(玉川趙氏)의 시조로,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 조원길(趙元吉)의 증조부.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장(璋)@이익번의아들 - 이장(李璋)@이익번의아들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익번(李益蕃)의 아들로, 호조 정랑(戶曹正郞) 등을 지냄. 중종 때 동래(東萊)에 유배되었다가 명종 때 정언(正言)으로 소환되는 도중 병으로 죽음.
1510~155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장(璋)@김장 - 김장(金璋)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산(安山). 승문원 교감(承文院校勘)을 지낸 김맹강(金孟鋼)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장(莊)@고려 - 정장(鄭莊)@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진주정씨(晉州鄭氏) 장계(莊系)와 공대공파(恭戴公派)의 시조로,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장(莊) - 목종(穆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3대 황제. 재위 1567~1572. 여러 차례 침범한 몽고의 엄답(俺答)을 방어하고, 재초(齋醮)를 파하며 궁궐 건축을 줄여 몸소 절약을 실행함.
1537~1572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장(莊)@박장 - 박장(朴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충목왕(忠穆王) 때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낸 박충좌(朴忠佐) 아버지로, 군부 총랑(軍薄摠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장(莊)@조선 - 정장(鄭莊)@조선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초계(草溪). 진사(進士) 정희수(鄭熙叟)의 아들로 통덕랑(通德郞) 정희조(鄭熙朝)에게 출계함. 1754년(영조 3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운곡행록(耘谷行錄)》의 서(序)를 지음.
171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장(萇) - 이장(李萇)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간성(杆城). 주을온 병마 만호(朱乙溫兵馬萬戶)을 지낸 이효강(李孝綱)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안변 , 인명>문사>유학
-
장(鏘) - 김장(金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사과(司果) 등을 역임하였으며, 유희춘(柳希春)의 손자인 유광선(柳光先)을 사위로 삼았음이 《미암일기(眉巖日記)》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장(長) - 오장(吳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오건(吳健)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고, 광해군 때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옥사와 폐모론(廢母論)에 맞서다가 삭직되어 낙향한 후, 정온(鄭蘊)을 비호하다가 토산(兎山)으로 유배됨.
?~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장(長)@안장 - 안장(安長)
신라 경문왕(景文王) 때의 거문고 명인. 지리산에 은거한 거문고의 거장 귀금선생(貴金先生)에게 청장(淸長)과 함께 가서 거문고를 배운 다음 아들 안극상(安克相)ㆍ안극종(安克宗)에게 전수함.
한국>통일신라 , 인명>예술인>음악인
-
장^관(張^關) - 관^장(關^張)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무장인 관우(關羽)와 장비(張飛)를 함께 부르는 말. 용맹이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장^노(莊^老) - 노^장(老^莊)
중국 춘추전국시대 도가(道家)의 대표적인 인물인 노자(老子)와 장주(莊周)를 함께 부르는 말. 유교적 관점에서는 이단(異端)을 뜻하며, 때로는 그들의 저서인 《도덕경(道德經)》과 《장자(莊子)》를 함께 지칭하는 말로도 쓰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장^소(張^邵) - 소^장(邵^張)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인 소옹(邵雍)과 장재(張載)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장^안(張^顔) - 안^장(顔^張)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인 안고경(顔杲卿)과 장순(張巡)을 함께 부르는 말. 안녹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맞서 싸우다가 순절함.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장^주(張^周) - 주^장(周^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장재(張載)와 주돈이(周敦頤)를 함께 부르는 말. 송 나라 유학(儒學)의 발전에 기여한 두 학자를 말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장^진(張^陳) - 양^평(良^平)
중국 전한(前漢)의 공신인 장량(張良)과 진평(陳平)을 함께 부르는 말. 한(漢) 나라 통일에 공을 세운 두 신하를 일컬음.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장가옹(長歌翁) - 김윤명(金允明)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현감 김박(金博)의 아들로, 1568년(선조 1)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안음 현감(安陰縣監) 등을 지냈으며, 유성룡(柳成龍)ㆍ정사성(鄭士誠)과 교유함.
1545~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장각(藏閣) - 홍문관(弘文館)
조선 세조(世祖) 때 설치한 궁중의 경서(經書)ㆍ사적(史籍)의 관리, 문한(文翰)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사헌부(司憲府)ㆍ사간원(司諫院)과 함께 삼사(三司)라고 불림.
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청
-
장간(章簡) - 문성화(文聖和)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상주국 평장사(上柱國平章事) 문승조(文承祖)의 아들로,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장간(章簡)@이윤손 - 이윤손(李允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가평(加平). 1455년(세조 1)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원종공신(元從功臣)에 녹훈되고,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를 지냄.
1414~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장간(章簡)@홍원용 - 홍원용(洪元用)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이조 판서 홍여방(洪汝方)의 아들. 한성부윤(漢城府尹) 등을 지냈으며, 공신(功臣)의 적장(嫡長)으로 강녕군(江寧君)에 습봉되고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오름.
?~14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장간(莊簡)@권개 - 권개(權愷)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안동 판관(安東判官)을 지낸 안팽로(安彭老)의 장인.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4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장간(莊簡) - 홍융(洪戎)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규(洪奎)의 아들이며, 충숙왕의 처남(妻男)으로,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장간(莊簡)@한치례 - 한치례(韓致禮)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ㆍ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한확(韓確)의 아들로, 성종(成宗)의 외숙. 무과(武科)에 급제했으나 문무를 겸비하여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된 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등을 지냄.
1441~149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장강(長康) - 고개지(顧愷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화가. 중국 회화사상 인물화(人物畫)의 최고봉으로 알려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장강(長江)@압록강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장강(長江) - 남강(南江)
경상도 남부를 흐르는 낙동강(洛東江)의 지류. 하류 지역에는 진주평야를 비롯하여 의령ㆍ가야 등지에 충적 평야가 펼쳐져 있음.
경상도>함안ㅣ경상도>진주ㅣ경상도>의령 , 지명>자연지명
-
장강(長江)@대동강 - 대동강(大同江)
평안남도 낭림산맥(狼林山脈) 서쪽에서 발원, 남서류(南西流)하여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평안도>평양 , 지명>자연지명
-
장강(長江)@한강 - 한강(漢江)
태백산맥(太白山脈)에서 발원하여 강원도ㆍ충청북도ㆍ경기도ㆍ서울을 동서로 흘러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 하류 지역은 고대부터 문화 발달의 터전이었고, 삼국시대에는 쟁패의 요지였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 교통로로서의 중요성이 커짐.
서울 , 지명>자연지명
-
장강(長江)@양자강 - 양자강(揚子江)
중국 대륙 서쪽에서 동쪽으로 중앙부를 횡단하는 중국에서 가장 긴 강. 청해성(靑海省) 서부에서 발원하여 깊은 협곡을 이루며 흘러 장강(長江)이라고도 부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장경(章敬)@정해 - 정해(鄭瑎)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대장군(大將軍)을 지낸 정의(鄭顗)의 손자로서 충렬왕을 시종하여 원(元) 나라에 다녀온 후, 지공거(知貢擧) 등의 벼슬을 지냈으며 외유내강의 성품으로 너그럽고 조용하나 일에는 민첩하고 용감하다는 평을 받음.
1254~130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