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장경(章敬) - 유돈(柳墩)@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와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역임함.
?~130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장경(莊敬) - 이덕량(李德良)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조카사위.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대사헌(大司憲)ㆍ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43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장경(長卿)@유원지 - 유원지(柳元之)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손자이며,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으로, 경서(經書)ㆍ제자서(諸子書)에 능통함. 이황(李滉)의 이발기발설(理發氣發說)에 동조하고, 효종(孝宗)의 복상문제(服喪問題) 때 삼년설을 주장함.
1598~167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경(長卿)@유장경 - 유장경(劉長卿)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오언시(五言詩)에 능하여 오언장성(五言長城)이라 불리고, 전원과 산수 묘사는 도연명(陶淵明)ㆍ왕유(王維)ㆍ맹호연(孟浩然) 등과 통함. 육주 사마(陸州司馬)ㆍ수주 자사(隨州剌史) 등을 지냄.
725~79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장경(長卿)@전약수 - 전약수(錢若水)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냈으나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은퇴하여 명철보신(明哲保身)함.
960~100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경(長卿) - 민귀서(閔龜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천(榮川). 1524년(중종 19) 안동의 용수산(龍壽山)에 있는 절에서 이해(李瀣)ㆍ이황(李滉)ㆍ이수령(李壽苓) 등과 함께 완월하며 연구(聯句)를 겨룬 시가 이해(李瀣)의 《온계일고(溫溪逸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장경(長卿)@사마상여 - 사마상여(司馬相如)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랑장(中郞將)ㆍ효문원령(孝文園令) 등을 지내고, 〈자허부(子虛賦)〉ㆍ〈상림부(上林賦)〉 등 유명한 작품을 남김.
B.C.179~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장경(長卿)@이긍익 - 이긍익(李肯翊)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로, 이광사(李匡師)의 아들. 가학(家學)을 따라 양명학(陽明學)을 익혔으며, 저서로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이 있음.
1736~180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장경(長卿)@맹희 - 맹희(孟喜)
중국 전한(前漢) 때의 역학자. 초연수(焦延壽)의 스승. 《주역(周易)》을 상수학(象數學)으로 해석하여, 자연의 변화와 인간사의 길흉을 괘효의 조합으로 풀이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장경(長卿)@이장경 - 이장경(李長卿)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가평(加平). 이철근(李鐵根)의 아들이며, 장령(掌令) 이이(李頤)의 아버지. 음서(蔭敍)로 벼슬하여 안음 현감(安陰縣監) 등을 지냄.
1472~153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가평 , 인명>관인>문신
-
장경(長卿)@양만용 - 양만용(梁曼容)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양산축(梁山軸)의 아들이며, 강항(姜沆)ㆍ박동열(朴東說)의 문인.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을 일으켰으며, 청현직(淸顯職)을 두루 역임하고 영국원종공신(寧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598~165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경(長庚)@이장경 - 이장경(李長庚)
고려 후기의 향리. 성주이씨(星州李氏)의 중시조(中始祖)로, 다섯 아들이 모두 동시대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명성을 떨침. 후에 경산부원군(京山府院君)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원(元) 나라 황제로부터 농서군공(隴西郡公)에 추봉됨.
1214~?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장경(長庚)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장경부(張敬夫) - 장식(張栻)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재상을 지낸 아버지 장준(張浚)의 음보(蔭補)로 관리가 되었음. 호굉(胡宏)에게 사사하고 성학(聖學)을 공부했으며,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 등과 함께 동남(東南)의 3현(三賢)이라 일컬어졌음.
1133~118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경성(長庚星) - 금성(金星)
저녁의 서쪽 하늘이나 새벽의 동쪽 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별.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서방(西方)을 상징하였으며, 흔히 군사(軍事)나 전쟁(戰爭)을 비유함.
자연물>천체
-
장계(長溪)@황정욱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장계(長溪) - 장수(長水)
전라북도 동부 소백산맥(小白山脈) 서쪽 산간지대에 있는 고을 이름.
전라도>장수 , 지명>행정지명
-
장계(長溪)@황정식 - 황정식(黃廷式)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용양위 호군(龍驤衛護軍)을 지낸 황열(黃悅)의 아들로, 우부승지(右副承旨)ㆍ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1529~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장계곡(張谿谷) - 장유(張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사위이며,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효종비(孝宗妃)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로,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왕을 호종함.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여 양명학적(陽明學的) 사고방식을 보임.
1587~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안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장계공(長溪公)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장계군(長溪君)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장계노옹(長溪老翁)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장계부원군(長溪府院君)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장계수(長溪叟) - 황정욱(黃廷彧)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인 호소지(湖蘇芝)의 일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화군(順和君)을 배종하여 관동으로 피난했다가 왜군의 포로가 되어 항복 권유문을 씀.
1532~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
-
장계응(張季鷹) - 장한(張翰)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제왕(齊王) 경(冏)에게 벼슬하여 동조연(東曹掾)으로 있다가, 시국이 어지럽고 가을바람이 불어오자 불현듯 고향이 생각나, 마침내 관직을 그만두고 돌아갔다는 고사가 유명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고(張皐) - 장보고(張保皐)
통일신라시대 흥덕왕(興德王)~문성왕(文王聖) 때의 장군. 당(唐) 나라에 들어가 무령군 소장(武寧軍小將)을 지내고 돌아와, 청해진 대사(淸海鎭大使)가 되어 세력을 떨침. 신무왕(神武王) 즉위에 공을 세웠으나, 부하였던 염장(閻長)에게 암살당함.
?~846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무신
-
장곡(藏谷) - 권태일(權泰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춘계(權春桂)의 아들로, 권춘란(權春蘭)에게 출계함. 구봉령(具鳳齡)ㆍ김언기(金彦璣)의 문인. 1599년(선조 3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등을 지냄. 저서에 《장곡집(藏谷集)》이 있음.
1569~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장곡강(張曲江) - 장구령(張九齡)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재상ㆍ문인. 장열(張說)의 추천을 받아 중서시랑(中書侍郞)을 거쳐 재상이 되어 민생안정을 꾀하고, 국경지대 방비를 튼튼히 하여 태평천하를 이룩했으나 이임보(李林甫)의 모략으로 파직됨.
673~74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장곡선생문집(藏谷先生文集) - 장곡집(藏谷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권태일(權泰一)의 시문집. 3권. 철종(哲宗) 때 김도명(金道明)에 의해 수집, 간행됨. 이휘령(李彙寧)의 서문(序文)과 김도명의 발문(跋文)이 있음.
1860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장곤(長坤) - 이장곤(李長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중종 때 창성(昌城)에 침입한 야인(野人)을 격파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처형을 반대하다가 삭탈관직됨.
147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ㅣ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장공(長公) - 장지(張摯)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 장석지(張釋之)의 아들로, 대부(大夫)에 이르러 면직된 뒤 강직한 성품을 굽히지 않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으므로, ‘장공(長公)’은 세상에 아부하지 않는 사람의 대명사로 불림.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공제(長公堤) - 소공제(蘇公堤)
중국 송(宋) 나라 소식(蘇軾)이 쌓은 제방. 항주 자사(杭州刺使)로 있을 때 서호(西湖)에 쌓은 것과 광동(廣東) 혜주(惠州)로 좌천되었을 때 풍호(豐湖)에 쌓은 것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유적>시설>기타시설
-
장공주(長公主) - 개장공주(蓋長公主)
중국 전한(前漢) 제7대 황제인 무제(武帝)의 딸. 어린 나이에 황제가 된 소제(昭帝)의 누나로, 좌장군(左將軍) 상관걸(上官桀)과 함께 모반을 꾸미다 실패하고 자결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공주
-
장공천(張公泉) - 탁수(涿水)
중국 하북성(河北省) 탁주시(涿州市)의 서북쪽에 위치하는 강 이름. 탁록산(涿鹿山)에서 발원하여 동북쪽으로 흐르며, 주(周) 나라의 도사 금고(琴高)가 이곳에서 잉어를 타고 나왔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장광(莊光)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장구(樟丘) - 서문경(徐文卿)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의 문인. 주희(朱熹)의 문하생으로, 조번(趙蕃)ㆍ한표(韓淲)와 명성을 나란히 하였고, 저서로 《소추시집(蕭秋詩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장구보유(章句補遺) - 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이 주희(朱熹)의 《대학장구(大學章句)》를 보완하여 만든 책. 목판본. 1책. 《대학장구》의 경(經)과 전(傳)에 편장(編章)의 서차(序次)를 바꾸고 새롭게 해석한 책으로, 1794년(정조 18)경 간행되었으며, 정조(正祖)의 어제서(御製序)와 노수신(盧守愼)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9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장구집주(章句集註) - 사서장구집주(四書章句集註)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사서(四書)를 주석한 책. 《대학장구(大學章句)》 1권ㆍ《논어집주(論語集注)》 10권ㆍ《맹자집주(孟子集注)》 14권ㆍ《중용장구(中庸章句)》 1권 등 26권으로 구성되었으며, 언어학적 해석의 타당성과 철학적 기초의 보편성이 높이 평가됨.
121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장길(張吉)@장정필 - 장정필(張貞弼)
고려 태조(太祖) 때의 공신(功臣). 권행(權幸)ㆍ김선평(金宣平)과 함께 태조를 도와 고창(古昌)에서 후백제의 견훤(甄萱)을 이기는 데 크게 공을 세움.
898~978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인동ㅣ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길(長吉)@이하 - 이하(李賀)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문장에 뛰어나 한유(韓愈)ㆍ황보식(皇甫湜) 등의 인정을 받았으나 요절함. 재주가 특출나고 초자연적 제재(題材)를 애용하여 ‘귀재(鬼才)’라 불렸으며, 〈장진주(將進酒)〉 등의 명작을 남김.
790~81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장길(長吉)@이장길 - 이장길(李長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이장곤(李長坤)의 형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스승의 가르침을 배반하고 권신을 추종하여 악정(惡政)을 자행했으며, 심정(沈貞)의 심복이 되었다가 그의 몰락과 함께 고향으로 쫓겨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장길(長吉) - 이연경(李延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홍문관 교리(弘門館校理)로 재직할 때 조광조(趙光祖)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장남낭사(漳南浪士) - 곽상정(郭祥正)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단주 지사(端州知事)가 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현청산(縣靑山)에 은거함. 시(詩)에 뛰어나 매요신(梅堯臣)에 의해 이백(李白)의 후신(後身)으로 비견(比肩)되고, 저서에 《청산집(靑山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남헌(張南軒) - 장식(張栻)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재상을 지낸 아버지 장준(張浚)의 음보(蔭補)로 관리가 되었음. 호굉(胡宏)에게 사사하고 성학(聖學)을 공부했으며,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 등과 함께 동남(東南)의 3현(三賢)이라 일컬어졌음.
1133~118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녕(長寧) - 철산(鐵山)
평안북도 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993년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육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철산 , 지명>행정지명
-
장녹(張祿) - 범수(范睢)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재상. 원래는 위(魏) 나라 사람으로 변설(辨說)에 능하였으며, 진 소왕(昭王)을 도와 원교근공책(遠交近攻策)을 주창하여 육국(六國) 통일의 기초를 마련하고, 그 공으로 응후(應侯)에 봉해짐.
?~B.C.25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장대(章臺) - 송옥(宋玉)@춘추전국(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시인ㆍ대부. 굴원(屈原)의 제자로, 스승이 추방당하자 〈구변(九辨)〉과 〈초혼(招魂)〉을 지어 스승의 뜻을 나타냈으며, 중국 비추문학(悲秋文學)의 개조(開祖)로 알려짐.
B.C.290?~B.C.2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장도(章度) - 사마영(司馬穎)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의 열여섯째 아들. 교지명(喬智明)과 육기(陸機)를 발탁하여 장군으로 등용하고, 무제가 죽은 후 팔왕(八王)의 난(亂)에 참여하여 한때 권력을 가졌으나 곧 실각하여 목매어 자살함.
279~30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장도(章悼) - 한치의(韓致義)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한확(韓確)의 아들로 성종의 외숙.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1440~147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장도(長度) - 사낭(謝朗)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문인. 사안(謝安)의 조카로, 문장이 화려하고 아름다워 명성이 사현(謝玄)에 버금갔으며, 동양 태수(東陽太守)를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장두(長頭) - 가규(賈逵)
중국 후한(後漢) 때의 유학자. 유흠(劉歆)에게 배웠으며,《좌씨전(左氏傳)》 및 오경(五經)에 해박하고 《경전의고(經傳義詁)》를 저술하는 등 통유(通儒)로 일컬어짐.
30~10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장두전(杖頭錢) - 장두백전(杖頭百錢)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 완수(阮脩)가 외출할 때면 언제나 지팡이 끝에다 돈 1백 전을 걸고 나가 주점(酒店)에 이르러 혼자 즐기며 마셨던 데서 온 고사성어로, 술 살 돈을 말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장락(長樂) - 풍도(馮道)
중국 당(唐)~오대십국(五代十國) 때의 문신ㆍ학자. 유교경전(儒敎經典)을 최초로 조판ㆍ인쇄하는 등 대학자로 존경받았으나, 다섯 왕조에서 열한 명의 황제를 모셨다 하여 충절을 의심받기도 함.
882~954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락로(長樂老) - 풍도(馮道)
중국 당(唐)~오대십국(五代十國) 때의 문신ㆍ학자. 유교경전(儒敎經典)을 최초로 조판ㆍ인쇄하는 등 대학자로 존경받았으나, 다섯 왕조에서 열한 명의 황제를 모셨다 하여 충절을 의심받기도 함.
882~954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락옹(長樂翁) - 풍도(馮道)
중국 당(唐)~오대십국(五代十國) 때의 문신ㆍ학자. 유교경전(儒敎經典)을 최초로 조판ㆍ인쇄하는 등 대학자로 존경받았으나, 다섯 왕조에서 열한 명의 황제를 모셨다 하여 충절을 의심받기도 함.
882~954 중국>오대십국ㅣ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락왕(長樂王) - 두건덕(竇建德)
중국 수(隨) 말~ 당(唐) 초의 무장(武將). 수 나라 말기에 하북(河北) 지방에 하(夏) 나라를 세웠으나, 621년 당 나라의 이세민(李世民)에게 패하여 장안(長安)에서 참수(斬首)됨.
573~62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장락유씨(長樂劉氏) - 유이(劉彛)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문인. 호원(胡瑗)의 문인(門人)으로, 구산 영(胊山令) 시절 선정을 베풀었으나, 일로 인하여 제명되어 서민이 되었다가 철종 때 소환됨. 《수경주(水經注)》ㆍ《명선집(明善集)》등 많은 저술을 남김.
1017~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장렬(莊烈) - 임연(林衍)
고려의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鎭州). 권신 최의(崔竩)를 죽여 그 공으로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었음. 원종을 폐하고 안경공(安慶公) 창(淐)을 옹립하여 권력을 장악했으나 몽골의 위협에 다시 원종을 복위시킴.
?~1270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무신
-
장렬민제(莊烈愍帝) - 의종(毅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7대 황제. 재위 1628~1644. 광종(光宗)의 다섯째 아들로, 서광계(徐光啓)를 기용하여 재정을 바로잡으려 하였지만 신하들의 파벌당쟁으로 인해 실패하였으며, 이자성(李自成)이 이끄는 반란군에 수도가 함락되자 자살함.
1610~164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장령(長嶺) - 영흥(永興)@지명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정평(定平), 남쪽으로 고원(高原)ㆍ문천(文川)과 접해 있으며, 동쪽은 동해의 영흥만에 면해 있음. 조선 태조(太祖)가 태어난 선원전(璿源殿)이 있음.
함경도>영흥 , 지명>행정지명
-
장륙(藏六) - 신포(申誧)
조선 성종(成宗) 때의 시인ㆍ화가. 호를 장륙(藏六)이라 하였는데, 친구 이종준(李宗準)이 그 호를 탐내어 술 한 병과 바꾼 일화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장륙당(藏六堂)@배용길 - 배용길(裵龍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 홍문관 부교리(弘文館副校理) 배삼익(裵三益)의 아들로, 김성일(金誠一)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義兵)으로 활약하였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화의(和議)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림.
1556~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장륙당(藏六堂)@최양 - 최양(崔瀁)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낸 최지(崔贄)의 아들. 외삼촌인 정몽주(鄭夢周)에게 수학하고 문하찬성사를 지냈으며, 고려가 망하자 전주(全州)에 은거함.
1351~142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장륙당(藏六堂) - 이별(李鼈)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공린(李公麟)의 아들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형 이원(李黿)이 처형되자 황해도 평산(平山)으로 낙향하여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장륙옹(藏六翁) - 이별(李鼈)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공린(李公麟)의 아들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형 이원(李黿)이 처형되자 황해도 평산(平山)으로 낙향하여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장릉(張陵) - 장도릉(張道陵)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도사(道士). 오두미도(五斗米道)로 알려진 최초의 도교(道敎) 교단 천사도(天師道)의 창시자. 천인(天人)이 내리는 도(道)를 받고 사람들의 병을 잘 고쳤으므로, 많은 신자를 얻어 천사(天師)라 불림.
?~156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장릉(章陵) - 원종(元宗)@조선
조선 후기의 추존왕. 선조(宣祖)의 다섯째 아들이며, 인조(仁祖)의 아버지.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대원군(大院君)에 추존되었다가 논란 끝에 왕으로 추존됨.
1580~161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국왕
-
장릉(莊陵) - 단종(端宗)
조선 제6대 왕. 재위 1452~1455. 문종(文宗)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폐위되어 상왕(上王)ㆍ노산군(魯山君)ㆍ서인(庶人)으로까지 강등되었다가, 1457년(세조 3) 영월(寧越)에서 죽음을 당함. 1698년(숙종 24) 복위됨.
1441~145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장릉(長陵)@태조 - 태조(太祖)@명
중국 명(明)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1368~1398. 원(元) 나라를 몽골로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한 후 한민족(漢民族)의 왕조를 회복시키고, 아울러 중앙집권적 독재체제의 구축을 꾀함.
1328~139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장릉(長陵)@인종 - 인종(仁宗)@고려
고려 제17대 왕. 재위 1123~1146. 이자겸(李資謙)의 난과 묘청(妙淸)의 난을 겪었고, 김부식(金富軾) 등에게 《삼국사기(三國史記)》를 편찬하게 함.
1109~1146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장릉(長陵)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장릉(長陵)@인조 - 인조(仁祖)
조선 제16대 왕. 재위 1623~1649.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왕위에 올라 친명배금정책(親明排金政策)을 실시하고, 정묘호란(丁卯胡亂)ㆍ병자호란(丙子胡亂)을 겪음.
1595~16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장리(長利) - 곽산(郭山)
평안도 남부 해안에 위치한 고을 이름. 본래 고구려 땅이었으며, 발해(渤海)를 거쳐 한때 여진(女眞)의 거점이 되기도 함. 이원(李黿) 등을 배향한 월포사(月浦祠)가 있음.
평안도>곽산 , 지명>행정지명
-
장림(長林) - 이장림(李長林)
조선 전기의 유학. 임운(林芸)과 교유했는데, 임운이 그에게 정관(程冠)을 받고 지어준 시가 《첨모당집(瞻慕堂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장림수(長臨守) - 이순민(李舜民)
조선 전기의 종친. 전중(殿中)을 지낸 윤홍언(尹弘彦)의 장인으로, 장림수(長臨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장만(長萬) - 남궁장만(南宮長萬)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경(卿). 송(宋) 민공(閔公)을 시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장만리(張萬里) - 장운익(張雲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우의정(右議政) 장유(張維)의 아버지.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扈從)하고, 정유재란 때 접반사(接伴使)가 되어 명(明) 나라 제독 마귀(麻貴)를 영접한 공이 있어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좌찬성(左贊成)에 증직됨.
1561~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명(莊明) - 윤신걸(尹莘傑)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285년(충렬왕 11) 국자시(國子試)에서 시(詩)ㆍ부(賦)로 수석합격함. 충숙왕 때 순성보리공신(純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의평리(僉議評理) 등을 역임함.
1266~133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무(莊武)@신여철 - 신여철(申汝哲)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신해(申垓)의 아들.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때 서인(西人) 편에 서서 활동했으며,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634~170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장무(莊武) - 마수(馬燧)
중국 당(唐) 대종(代宗)~덕종(德宗) 때의 장수. 이영요(李靈耀)의 난을 평정하였음.
729~79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장무(莊武)@황형 - 황형(黃衡)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창원(昌原). 경기 감사(京畿監司) 황기(黃琦)의 아버지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459~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무신
-
장무구(張無垢) - 장구성(張九成)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예부 시랑(禮部侍郞)을 지냈으나 진회(秦檜)에게 거슬려 파직당함. 종고(宗杲)의 가르침을 받아 깨우침을 얻고, 종지(宗旨)를 보는 눈이 분명하다는 평을 얻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무선(張茂先) - 장화(張華)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ㆍ문신. 무제(武帝) 때 오(吳) 나라 토벌에 공을 세워 무후(武侯)에 봉해짐. 천상(天象)을 잘 보는 뇌환(雷煥)을 천거하여 용천검(龍泉劍)ㆍ태아검(太阿劍)을 찾아냈으며, 장재(張載)ㆍ장협(張協)과 함께 삼장(三張)으로 문명을 날림.
232~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장무왕(壯武王) - 설거백(薛居伯)
신라 개국공신(開國功臣) 6부 촌장 중 한 사람. 경주(慶州)를 본관으로 하는 순창설씨(淳昌薛氏)의 시조. 신라 516년(법흥왕 3)에 무신공(武信公)으로 시호되고 무열왕(武烈王) 때 장무왕(壯武王)에 추봉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
-
장무후(章武侯) - 두광국(竇廣國)
중국 한(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외척. 문제(文帝)의 황후의 아우이자, 경제(景帝)의 외삼촌으로, 문제는 장안(長安)에 거처케 하며 벼슬을 주지 않았으나, 경제는 장무후(章武侯)에 봉해 줌.
?~B.C.15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장문(長文) - 진군(陳羣)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문신. 진기(陳紀)의 아들. 상서(尙書)를 지내며 구품관인(九品官人)의 법을 세워, 인재의 우열(優劣)에 따라 관리(官吏)를 전형(典型)한 바 있음.
?~238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문강(張文康) - 장현광(張顯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1576년(선조 9)에 재능과 행실이 드러나 조정에 천거된 이후로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대부분 나아가지 않고, 평생 학문에 몰두하여 경학(經學)에 일가를 이룸.
1554~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인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문잠(張文潛) - 장뢰(張耒)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시문(詩文)에 능하고, 저서로 《양한결의(兩漢決疑》ㆍ《시설(詩說)》등이 있음.
1052~111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문중(臧文仲) - 장손진(臧孫辰)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장공(莊公)ㆍ민공(閔公)ㆍ희공(僖公)ㆍ문공(文公) 4대 동안 집정하였으며, 희공 27년에는 여러 나라의 제후들을 모아 예를 따르지 않는 국가를 토벌하기 위한 맹약을 주도함.
?~B.C.61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장문충(張文忠) - 장유(張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사위이며,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효종비(孝宗妃)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로,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왕을 호종함.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주장하여 양명학적(陽明學的) 사고방식을 보임.
1587~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안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장민(莊敏) - 조서(趙瑞)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선왕(忠宣王) 때의 문신. 조인규(趙仁規)의 아들.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파견되었을 때 안길왕(安吉王) 야아길니(也兒吉尼)에게 딸을 혼인시킴.
?~1313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장민(長民) - 경종(景宗)@고려
고려 제5대 왕. 재위 975~981. 전시과(田柴科)를 제정하였음.
955~98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장방(張房) - 장량(張良)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공신. 유방(劉邦)에게 적재의 간언을 올려 항우(項羽)를 제압하고 한(漢) 왕조를 여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말년에 유방의 시의심(猜疑心)을 알아채고 적송자(赤松子)처럼 은거함.
?~B.C.168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방(長房) - 비장방(費長房)
중국 후한(後漢) 때의 도사. 여남인(汝南人)으로, 저자의 아전으로 있으면서 선인(仙人) 호공(壺公)을 사사(師事)하여 선도(仙道)를 터득하였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장백(長伯) - 견풍(甄豊)
중국 전한(前漢)~신(新) 때의 문신. 유흠(劉歆)ㆍ왕순(王舜)과 함께 왕망(王莽)의 심복으로 왕망의 왕위 찬탈을 도움.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백(長白) - 오삼계(吳三桂)
중국 명(明) 말~청(淸) 초의 무신. 명 나라 말에 산해관(山海關)을 지켰으나, 청 나라에 항복하고 이자성(李自成)을 격파함. 후에 다시 청 나라를 배반하여 주(周) 나라를 세우고 황제라 칭하였으나 곧 병사(病死)함.
1612~1678 중국>청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장백산(長白山) - 백두산(白頭山)
함경도와 중국 길림성(吉林省)에 걸쳐 있는 산.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聖山)으로 숭배함.
함경도>경성ㅣ함경도>갑산 , 지명>자연지명
-
장백훈(張伯勳) - 장문보(張文輔)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풍기 군수(豊基郡守)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진주 목사(晉州牧使)가 되었을 때 혜정(惠政)을 베풀어 칭송이 높았음.
1516~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장보(張甫) - 남언기(南彦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선조(宣祖) 초 영의정 이탁(李鐸)의 천거로 동몽교관(童蒙敎官)ㆍ빙고별좌(氷庫別坐)에 임명됨.
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동복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장보(章甫) - 조수문(曺秀文)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함양 군수(咸陽郡守) 조호(曺浩)의 아버지로, 벼슬하지 않고 은거(隱居)하며 김종직(金宗直)과 함께 호남(湖南)의 유학 발전에 기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