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장보(障父) - 한보(韓堡)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명회(韓明澮)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47~152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장보고(張寶高) - 장보고(張保皐)
통일신라시대 흥덕왕(興德王)~문성왕(文王聖) 때의 장군. 당(唐) 나라에 들어가 무령군 소장(武寧軍小將)을 지내고 돌아와, 청해진 대사(淸海鎭大使)가 되어 세력을 떨침. 신무왕(神武王) 즉위에 공을 세웠으나, 부하였던 염장(閻長)에게 암살당함.
?~846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무신
-
장빈(長貧) - 윤기헌(尹耆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윤자신(尹自新)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내고, 성리학(性理學)에 밝음.
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빈자(長貧子) - 윤기헌(尹耆獻)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윤자신(尹自新)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내고, 성리학(性理學)에 밝음.
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빈자호찬(長貧子胡撰) - 장빈거사호찬(長貧居士胡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윤기헌(尹耆獻)의 저서. 여러 가지 야사(野史)를 모았는데, 특히 자신의 친지들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수록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장빈호찬(長貧胡撰) - 장빈거사호찬(長貧居士胡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윤기헌(尹耆獻)의 저서. 여러 가지 야사(野史)를 모았는데, 특히 자신의 친지들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수록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장사(長沙) - 가의(賈誼)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문제(文帝)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됨.
B.C.200~B.C.16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사공(長沙公) - 도연수(陶延壽)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때의 무신. 진 태위(晉太尉)를 지낸 장사공(長沙公) 도간(陶侃)의 5세손으로 작위를 세습 받음. 4세손인 도잠(陶潛)과 동시대에 살면서 교유하고, 자의참군(咨議參軍)을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장사군공(長沙郡公) - 도간(陶侃)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혜제(惠帝)~성제(成帝) 때의 장군. 도잠(陶潛)의 증조부. 명제(明帝) 때 정남대장군(征南大將軍)으로 왕돈(王敦)의 반란ㆍ소준(蘇峻)의 변란을 평정해 많은 공을 세우고, 벼슬이 시중태위(侍中太尉)에 이름.
257~33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장사숙(張思叔) - 장역(張繹)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정이(程頤)의 문인으로,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에 실려 있는 좌우명이 유명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장사왕(長沙王) - 유발(劉發)
중국 전한(前漢)의 제6대 경제(景帝)의 열째 아들.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의 5대조.
?~B.C.12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장사정왕(長沙定王) - 유발(劉發)
중국 전한(前漢)의 제6대 경제(景帝)의 열째 아들.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의 5대조.
?~B.C.12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장사현남(長沙縣男) - 귀등(歸登)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호북(湖北) 형주인(荊州人)으로 귀숭경(歸崇敬)의 아들.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냄.
754~82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장산(獐山) - 경산(慶山)
경상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변진(弁辰)의 압량소국(押梁小國)을 102년(신라 파사왕 23)에 압량(押梁)이라 하였다가, 940년(태조 23)에 장산군(獐山郡)으로 고치고 충선왕(忠宣王) 때 경산(慶山)으로 개칭함.
경상도>경산 , 지명>행정지명
-
장산(蔣山) - 종산(鍾山)
중국 강소성(江蘇省) 강녕현(江寧縣) 동북쪽에 있는 산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장산국(萇山國) - 동래(東萊)
경상남도 남동부 일대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조선시대 대일 외교를 총관하던 중요한 관문이었고, 군사상으로도 중요한 요충지.
경상도>동래 , 지명>행정지명
-
장산부수(璋山副守) - 이주(李椆)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손자인 은천군(銀川君) 이찬(李穳)의 아들로, 용재(容齋) 이행(李荇)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장새(璋塞) - 수안(遂安)
황해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시대에 몽고군(蒙古軍)과 거란군(契丹軍)에게 자주 침략을 당한 고을 중의 하나.
황해도>수안 , 지명>행정지명
-
장생(莊生) - 김장생(金莊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강령 현감(康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장생(長生)@여왕 - 여왕(厲王)@남북조(전진)
중국 남북조시대 전진(前秦)의 제2대 황제. 재위 355~356. 성격이 포악하여 아우 부견(苻堅)에 의해 폐위된 후 살해당함.
335~35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장생(長生)@김장생 - 김장생(金長生)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서인(西人)의 영수 역할을 하였고, 예학(禮學)을 깊이 연구함.
1548~163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생(長生) - 양무소왕(涼武昭王)
중국 남북조시대 서량(西涼)의 초대 왕. 재위 400~417. 재위 중 우병우농(寓兵于農)과 문화교육 정책을 시행하여 부국강병을 꾀함. 문학에도 남다른 재능을 보임.
351~41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장서(莊書) - 장자(莊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장주(莊周)의 저서. 총 33편. 우화(寓話)를 통한 뛰어난 상상과 표현으로 우주의 본체(本體)와 근원(根源), 물화현상(物化現象)을 설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장선(莊仙)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장성(將聖)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장성(章成)@한효원 - 한효원(韓效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철원 부사(鐵原府使) 한증(韓曾)의 아들.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공조 판서(工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468~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장성(章成) - 신승선(愼承善)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연산군의 장인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등에 책록됨.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을 주관함.
1436~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성(長城) - 만리장성(萬里長城)
중국 북부와 몽고 경계에 있는 성(城) 이름. 중국 역대 왕조가 변방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한 성으로 진(秦) 시황제(始皇帝)가 완성함.
중국>진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장성(長城)@유장경 - 유장경(劉長卿)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오언시(五言詩)에 능하여 오언장성(五言長城)이라 불리고, 전원과 산수 묘사는 도연명(陶淵明)ㆍ왕유(王維)ㆍ맹호연(孟浩然) 등과 통함. 육주 사마(陸州司馬)ㆍ수주 자사(隨州剌史) 등을 지냄.
725~79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장성(長盛) - 증전장성(增田長盛)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서울 점령 소식을 들은 풍신수길(豊臣秀吉)이 명(明) 나라의 후원을 염려하여 파견한 소위 '삼봉행(三奉行)' 중의 한 사람.
1545~1615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장성고산서원(長城高山書院) - 고산서원(高山書院)@장성
전라남도 장성군(長城郡) 진원면(珍原面)에 있는 서원. 조선 고종(高宗) 때 기정진(奇正鎭)이 담대헌(澹對軒)이라는 정사(精舍)를 짓고 강론하던 곳을 후손들이 중건하여 1927년에 고산서원(高山書院)이라 편액함. 기정진(奇正鎭) 등을 배향함.
1927 한국>근대 , 전라도>장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장성수(長城守) - 이엄(李儼)@조선
조선 중중(中宗) 때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으로, 문장에 능함. 박상(朴祥)과 김정(金淨)의 처벌을 반대하고, 당파(黨派)에 붙어 정치에 관여하였다는 이유로 삭탈관직되었으나 다시 서용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장성왕후(章聖王后) - 의인왕후(懿仁王后)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비. 본관은 반남(潘南). 반성부원군(潘城府院君) 박응순(朴應順)의 딸로, 1569년(선조 2) 왕비에 책봉됨.
1555~16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장세(長世) - 심장세(沈長世)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병자호란(丙子胡亂)의 굴욕적인 강화 이후 강흡(姜洽)ㆍ홍석(洪錫) 등과 태백산 춘양(春陽)에 은거하며 학문을 닦아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장소(張邵) - 장소(張劭)
중국 후한(後漢) 때의 유학. 태학(太學)에서 사귀게 된 범식(范式)과 절친한 우애를 다져 거경지신(巨卿之信), 소거(素車) 등의 고사를 남김.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장소(章昭) - 안평대군(安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셋째 아들. 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세력에 맞서다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역모 혐의로 유배된 후 사사됨.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렸고, 당대 제일의 명필(名筆)로 꼽힘.
1418~14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왕자
-
장소(長嘯) - 왕백(王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과 종유(從遊)하였고, 주희(朱熹)의 《경재잠(敬齋箴)》을 도식화(圖式化)함.
1197~127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장손(臧孫) - 장손진(臧孫辰)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장공(莊公)ㆍ민공(閔公)ㆍ희공(僖公)ㆍ문공(文公) 4대 동안 집정하였으며, 희공 27년에는 여러 나라의 제후들을 모아 예를 따르지 않는 국가를 토벌하기 위한 맹약을 주도함.
?~B.C.61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장손(長孫) - 주장손(周長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주상빈(周尙彬)의 아들이며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의 조부. 용양위 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지내고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무신
-
장손(長孫)@조선후기 - 이장손(李長孫)@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화기제조 공장(工匠). 군기시(軍器寺)에 소속된 화포장(火砲匠)으로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라는 포탄을 만들어 공을 세움.
한국>조선후기 , 인명>기술인>장인
-
장손(長孫)@조선전기 - 이장손(李長孫)@조선전기
조선 예종(睿宗) 때의 종친. 사아(士雅) 성경온(成景溫)의 장인. 1469(예종 1)에 환관(宦官) 최해(崔海)가 원자(元子)가 피우(避寓)하는 곳에 들어왔을 때 이를 저지하다가 오히려 최해에게 봉변을 당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장손(長孫)@한장손 - 한장손(韓長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철원 부사(鐵原府使) 한증(韓曾)의 아버지. 1458년(세조 5)에 식년시(式年試)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판관(漢城府判官)ㆍ내자시 정(內資寺正) 등을 지냄.
1422~149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무신
-
장수(莊叟)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장수(長壽) - 설장수(偰長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한 후 공양왕(恭讓王) 옹립에 공을 세움. 정몽주(鄭夢周)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조선 개국 후 복직되어 여러 차례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옴.
1341~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수(長水)@박근효 - 박근효(朴根孝)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으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아우 박근제(朴根悌)와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 전란이 끝난 뒤 동지들과 힘을 모아 서적을 발간하는 등 문교 진흥에 힘씀.
1550~160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장수(長水)@소수 - 소수(蘇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세양(蘇世讓)의 아들. 음사(蔭仕)로 면천 군수(沔川郡守)를 지냄.
1517~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장수부(張水部) - 장적(張籍)@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 한유(韓愈)의 추천으로 국자박사(國子博士)가 되었으나 눈이 멀어 높은 벼슬에 오르지 못하자 자신의 불만과 인간의 고통을 반영하는 악부체의 시와 오언율시 등을 지음.
766?~83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장수양(張睢陽) - 장순(張巡)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장수. 안녹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수양 태수(睢陽太守) 허원(許遠), 부하인 남제운(南霽雲), 뇌만춘(雷萬春) 등과 함께 수양성(睢陽城)을 지키다가 전사함. 양주 대도독(揚州大都督)에 추증됨.
708~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장숙흠효(章肅欽孝)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장순(莊順) - 영조(英祖)
조선 제21대 왕. 재위 1724~1776.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蕩平策)과 균역법(均役法)을 추진하고,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
1694~17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장순왕(莊順王) - 영조(英祖)
조선 제21대 왕. 재위 1724~1776.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蕩平策)과 균역법(均役法)을 추진하고,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
1694~17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장안광객(長安狂客) - 이의무(李宜茂)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편찬에 참여하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홍주 목사(洪州牧使)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능하고 청빈하다는 평을 들음.
1449~150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장안향후(長安鄕侯) - 조절(曹節)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환관. 환관 왕보(王甫)와 함께 진번(陳蕃)ㆍ두무(竇武)ㆍ이응(李膺) 등을 살해하고 청류세력을 탄압하여 제2차 당고(黨錮)의 화(禍)를 일으킴.
?~18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장암(場巖) - 성몽정(成夢井)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담년(成聃年)의 아들로,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사류와 교유함.
1471~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암(長岩) - 기벌포(伎伐浦)
금강(錦江) 하구인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 장항읍(長項邑) 일대로 추정되는 백제 때의 지명. 백제의 국방상 요충지로, 사비성(泗沘城)을 지키는 중요한 관문 역할을 함.
한국>백제 , 충청도>서천 , 지명>자연지명
-
장암어수고(場巖漁叟稿) - 범허정집(泛虛亭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상진(尙震)의 시문집(詩文集). 1942년에 상위(尙渭)가 9권 4책의 석인본(石印本)으로 간행함.
1942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장양(莊襄)@홍사석 - 홍사석(洪師錫)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세종 때 사신으로 세 차례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경상도 처치사(慶尙道處置使)로 재직할 때 왜구 정벌에 나섰다가 참패하여 관작을 추탈당하고 유배됨.
?~14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무신
-
장양(莊襄)@정윤겸 - 정윤겸(鄭允謙)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군기시 첨정(軍器寺僉正)에 발탁됨. 전라도 수군절도사(全羅道水軍節度使)로 명(明) 나라를 약탈하고 돌아가는 왜구를 격멸함.
1463~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장양(莊襄) - 이종생(李從生)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함평(咸平).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토벌할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고, 경상우병사(慶尙右兵使) 등을 역임함.
1423~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무신
-
장양부정(長陽副正) - 이주(李儔)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단천부정(丹川副正) 이수곤(李壽鵾)의 두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장어신(葬魚臣)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장연(長延) - 연풍(延豊)
충청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소백산맥(小白山脈) 기슭에 자리잡은 분지(盆地)로, 조선시대 중요한 군사적 지역이었음.
충청도>연풍 , 지명>행정지명
-
장연개국백(長淵開國伯) - 문정(文正)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오산군(烏山君) 문장창(文章昶)의 아들. 수충 찬화공신(輸忠贊化功臣)에 책록되었고, 선종(宣宗)의 묘정(廟庭)에 배향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연공(張燕公) - 장열(張說)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허국공(許國公) 소정(蘇頲)과 더불어 연허대수필(燕許大手筆)이라 칭해졌으며, 국가의 큰 편찬 사업을 대부분 주관함.
667~73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장영(章榮) - 김진(金稹)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낸 김사원(金士元)의 아들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역임함.
12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장영(長榮) - 이장영(李長榮)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성균관 유생 시절에 관노(館奴)와 소란을 피운 군졸을 구타하였다가 의금부에 하옥됨. 후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 등을 지냄.
152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장영기(張永己) - 장영기(張永奇)
조선 성종(成宗) 때의 도적. 전라도에서 일어나 세력을 모았으나, 절도사(節度使) 허종(許琮)에게 체포되어 참수당함.
?~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기타인명>도적
-
장옹(長翁) - 양구하(梁丘賀)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ㆍ학자. 경방(京房)에게 《주역(周易)》을 수학하고, 선제의 신망을 받아 소부(少府) 등을 지냈으며, 공신(功臣)으로 인정받아 기린각(麒麟閣)에 그의 초상이 걸렸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완구(張宛丘) - 장뢰(張耒)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시문(詩文)에 능하고, 저서로 《양한결의(兩漢決疑》ㆍ《시설(詩說)》등이 있음.
1052~111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용(藏用) - 이장용(李藏用)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인주(仁州). 원종이 몽고(蒙古)에 입조할 때 수행하고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냈으나, 원종의 손위(遜位)를 권한 일로 면직되어 서인(庶人)이 됨. 경사(經史)ㆍ음양(陰陽)ㆍ의약(醫藥)ㆍ율력(律曆)에 통달함.
1201~127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우(長虞) - 부함(傅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문인. 부현(傅玄)의 아들로, 장중하고 전아한 시(詩)와 사물에 빗대어 이치를 읊은 부(賦)에 능하였음.
239~2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장원(長元) - 이장원(李長元)
조선 전기의 유학.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했으며, 고경명이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제봉집(霽峯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장원(長源)@김상 - 김상(金湘)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군수(郡守) 김경언(金慶言)의 아버지로, 1522년(중종 17)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장원(長源)@이필 - 이필(李泌)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어려서 신동(神童)으로 이름을 떨치고, 신선술(神仙術)에 탐닉하였으며, 현종(玄宗)ㆍ숙종(肅宗)ㆍ대종(代宗)ㆍ덕종(德宗) 네 황제에 걸쳐 국가 대사에 막중한 영향력을 행사함.
?~78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원(長源)@윤결 - 윤결(尹潔)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시정기(時政記) 필화사건으로 처형된 안명세(安明世)의 정당성을 발설한 것이 빌미가 되어,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수렴청정과 윤원형(尹元衡)의 세력 확장을 비판했다 하여 국문을 받던 중 옥사함.
1517~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장원(長源)@심장원 - 심장원(沈長源)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중종(中宗)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손자로,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문과에 급제하지 못하고 강릉(江陵)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531~160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장원(長源) - 김도(金濤)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양백연(楊伯淵)의 옥사에 연루되어 효수당함.
?~137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장원경(蔣元卿) - 장후(蔣詡)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은사(隱士). 왕망(王莽)이 정권을 쥐고 제멋대로 하자 벼슬을 내놓고 은거하며 양중(羊仲)ㆍ구중(求仲) 두 사람과만 교류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장원군(長原君) - 황맹헌(黃孟獻)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장수(長水).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이며 김해 부사(金海府使) 황관(黃瓘)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고, 이과(李顆)의 옥사(獄事)를 다스린 공으로 정난공신(定難功臣)에 책록됨.
1472~153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원덕(張元德) - 장흡(張洽)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과거에 급제하여 직비각(直秘閣)을 지내고 치사(致仕)한 후에는 주일재(主一齋)를 지어 학문을 강마(講磨)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원루(壯元樓) - 촉석루(矗石樓)
고려 고종(高宗) 때 경상남도 진주(晉州) 본성동(本城洞)에 세워진 누각. 진주의 상징이자 영남의 명승으로, 임진왜란 때 논개(論介)가 순국한 곳으로도 유명함.
124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누정
-
장원부원군(長源府院君) - 황열(黃悅)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병조 판서를 지낸 황정욱(黃廷彧)의 아버지. 1536년(중종 3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용양위 호군(龍驤衛護軍)을 지냄.
150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장원판부(長垣販夫) - 왕선지(王仙芝)
중국 당(唐) 나라 희종(僖宗) 때의 반란지도자. 소금 밀매상인(密賣商人) 출신으로, 인민의 평등을 구호로 내걸고 장원(長垣)에서 반란을 일으켜 뒤에 합세한 황소(黃巢) 등과 함께 크게 세력을 떨치다가, 기주(蘄州)에서 증원유(曾元裕)에게 패하여 죽음.
?~87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장위공(張魏公) - 장준(張浚)
중국 송(宋) 나라의 무신. 남헌(南軒) 장식(張栻)의 아버지로, 고종(高宗) 때 선무사(宣撫使)로 나라의 회복에 뜻을 두고 금(金) 나라의 세력을 막다가 진회(秦檜)에 의해 폄적(貶謫)됨.
1097~116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장유(長孺)@위현 - 위현(韋賢)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위현성(韋玄成)의 아버지로, 부자(父子)가 모두 경학(經學)에 밝아 명성을 떨침. 곽광(霍光)과 함께 선제를 옹립하고, 후에 승상(丞相) 등을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유(長孺) - 급암(汲黯)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 회양 태수(淮陽太守)를 역임하였고, 황로지도(黃老之道)ㆍ무위(無爲)의 정치를 주장함.
?~B.C.11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유(長孺)@왕덕보 - 왕덕보(汪德輔)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장유후(張留侯) - 장량(張良)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공신. 유방(劉邦)에게 적재의 간언을 올려 항우(項羽)를 제압하고 한(漢) 왕조를 여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말년에 유방의 시의심(猜疑心)을 알아채고 적송자(赤松子)처럼 은거함.
?~B.C.168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육거사(藏六居士) - 이종준(李宗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서화(詩書畵)에 능하고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무고를 받아 국문을 받던 중에 죽음.
?~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윤(長胤) - 이장윤(李長胤)
조선 전기의 문신. 하양 현감(河陽縣監)을 지냄. 권문해(權文海)와 교유했으며, 권문해가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초간집(草澗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장음(長吟) - 나식(羅湜)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안정(安定).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흥양(興陽)으로 유배되었다가 강계(江界)에서 사사(賜死)됨.
1498~154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장음정(長吟亭) - 나식(羅湜)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안정(安定).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흥양(興陽)으로 유배되었다가 강계(江界)에서 사사(賜死)됨.
1498~154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장음정집(長吟亭集) - 장음정유고(長吟亭遺稿)
조선 전기의 학자인 나식(羅湜)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初刊本)은 선조(宣祖) 때 허엽(許曄)이 나식의 유고(遺稿)를 모아 간행하였으나 현재 전해지지 않음.
1578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장응(張鷹) - 장한(張翰)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제왕(齊王) 경(冏)에게 벼슬하여 동조연(東曹掾)으로 있다가, 시국이 어지럽고 가을바람이 불어오자 불현듯 고향이 생각나, 마침내 관직을 그만두고 돌아갔다는 고사가 유명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응기(張應箕) - 장응기(張應祺)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울진(蔚珍). 임진왜란 때 초토사(招討使) 이정암(李廷馣)의 휘하에서 활약하고, 정유재란 때는 방어사 곽재우(郭再祐) 휘하에 참여함.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연안(延安) 현충사(顯忠祠)에 배향됨.
1556~163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장의(壯懿) - 김수(金睟)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선조 때 《십구사략(十九史略)》을 개수(改修)하여 주를 붙임.
1547~161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장의(壯毅) - 김여물(金汝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찰방(察訪) 김훈(金壎)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충주(忠州)에서 왜적과 싸우다 순절함. 뒤에 영의정(領議政)으로 추증됨.
1548~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장의(章懿) - 광평대군(廣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 태조(太祖)의 일곱째 아들인 무안대군(撫安大君) 이방번(李芳蕃)의 후사가 되었으며, 학문에 힘써 사서삼경(四書三經) 등에 능통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25~14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장의암(藏義庵) - 장의사(藏義寺)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때 경상도 고성(固城)에 세운 사찰. 승려 원효(元曉)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짐.
632 한국>신라 , 경상도>고성 , 유적>건물>사찰
-
장익(章翼) - 윤휘(尹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두수(尹斗壽)의 셋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의 특명전권대사(特命全權大使)로 청(淸) 나라와의 강화조약을 체결하는 등, 청 나라와의 외교를 전담함.
1571~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