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장희(莊僖) - 홍숙(洪淑)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 홍서주(洪敍疇)의 아버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추성정난공신(推誠定難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작서지변(灼鼠之變)에 연루되어 삭직된 뒤 과천(果川)으로 추방됨.
1464~153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재(再)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재(在)@신재 - 신재(愼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신희복(愼希復)의 셋째 아들로, 좌랑(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재(在) - 남재(南在)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 동생 남은(南誾)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51~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재(宰) - 최재(崔宰)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선부 전서(選部典書)를 지낸 최득평(崔得枰)의 아들로 성품이 강직함. 전리 판서(典理判書)ㆍ개성 윤(開城尹)을 지낸 뒤, 벼슬을 사퇴하고 낙향함.
1303~137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재(宰)@이재 - 이재(李宰)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셋째 형인 이의(李漪)의 아들.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유학
-
재(栽) - 이재(李栽)
조선 효종(孝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재령(載寧). 주리론(主理論)으로 영남학파를 이끈 성리학의 대가로 많은 문인을 배출했으며, 저서로 《성유록(聖喩錄)》ㆍ《금수기문(錦水記聞)》ㆍ《주서강록간보(朱書講錄刊補)》 등이 있음.
1657~173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재(梓) - 이재(李梓)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인조의 묘호(廟號)에 대하여 인종(仁宗)이 있다는 이유로 반대한 유계(兪棨)ㆍ심대부(沈大孚) 등을 옹호하다가 삭직당함. 집의(執義)ㆍ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등을 지냄.
1606~165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재(榟)@금재 - 금재(琴榟)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봉성(鳳城).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을 지낸 금치담(琴致湛)의 아들로, 만년(晩年)에 예안 훈도(禮安訓導)를 지냄.
1498~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재(榟) - 이재(李榟)
조선 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손자이자, 은천군(銀川君) 이찬(李穳)의 둘째 아들이며, 공조 참의(工曹參議) 정충량(鄭忠樑)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재(縡) - 이재(李縡)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우봉(牛峯).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노론(老論)의 중심인물로 활약함. 정미환국(丁未換局) 이후 용인(龍仁)의 한천(寒泉)에 거주하며 학자를 양성하고 《사례편람(四禮便覽)》 등을 저술함.
1680~174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재(載)@홍재 - 홍재(洪載)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공민왕(恭愍王) 때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을 지냈으며, 고려의 국운이 다하려는 것을 보고 이오(李午)ㆍ이전(李琠)ㆍ조열(趙悅) 등과 은거하여 절개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삼가 , 인명>관인>문신
-
재(載) - 권재(權載)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재가(載可) - 유후조(柳厚祚)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유심춘(柳尋春)의 아들로, 고종 때 남인(南人)을 우대한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정책으로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1798~187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재간(在澗) - 강휘망(姜徽望)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오건(吳健)의 위패를 봉안한 서계서원(西溪書院)의 사액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려 사액을 받음.
162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재경(才卿) - 진문울(陳文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 고풍스럽고 우아한 절조로 나라와 향리에서 모두 우러러보았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재공(齋公)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재로(才老) - 오역(吳棫)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천주통판(泉州通判)을 지내고, 주희(朱熹)가 극찬한 훈석학(訓釋學)의 대가로 《서비전(書裨傳)》ㆍ《시보음(詩補音)》ㆍ《논어지장(論語指掌)》ㆍ《고이속해(考異續解)》ㆍ《초사석음(楚辭釋音)》ㆍ《운보(韻補)》ㆍ《자학보운(字學補韻)》등의 많은 저서를 남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재룡(在龍) - 홍재룡(洪在龍)
조선 헌종(憲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동부승지(同副承旨)ㆍ대사성(大司成)ㆍ광주 유수(廣州留守) 등을 지냈으며, 1844년(헌종 10) 딸이 헌종의 계비(繼妃) 명헌왕후(明憲王后)로 책봉되자, 익풍부원군(益豊府院君)에 봉해짐.
1794~186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재륜(載崙) - 정재륜(鄭載崙)
조선 제17대 효종(孝宗)의 부마. 본관은 동래(東萊). 영의정 정태화(鄭太和)의 아들로 좌의정 정치화(鄭致和)에게 출계하여 효종의 다섯째 딸인 숙정공주(淑靜公主)와 혼인함.
1648~17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ㅣ인명>문사>문인
-
재문(在汶) - 민재문(閔在汶)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형조 좌랑(刑曹佐郞)을 지낸 민천부(閔天符)의 아들. 고청(孤靑) 서기(徐起)의 문인.
1565~162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재백(才伯) - 이천상(李天相)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전의(全義)로, 통덕랑(通德郞) 이군정(李君靖)의 아들. 배유장(裵幼樟)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정통함.
1637~17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재보(再父)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재비(宰嚭) - 백비(伯嚭)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태재(太宰). 월(越) 나라의 뇌물을 받고 오자서(伍子胥)를 모함하여 죽게 하였으나, 월 나라에 투항한 후 죽임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재사당(再思堂) - 이원(李黿)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종직(金宗直)에게 문충(文忠)의 시호를 줄 것을 제안하였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장류(杖流)되었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참형당함. 문장에 능하고, 특히 행의(行義)로 추앙받음.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재사당선생일집(再思堂先生逸集) - 재사당일집(再思堂逸集)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이원(李黿)의 문집. 초간본은 후손 이인엽(李寅燁)이 유고를 모아 1698년(숙종 24) 《익재집(益齋集)》에 부편(附編)하여 간행함. 이후 후손 이종형(李鍾泂) 등이 시문 약간 편을 보태어 1939년에 중간함. 2권 1책 석인본.
169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재사당집(再思堂集) - 재사당일집(再思堂逸集)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이원(李黿)의 문집. 초간본은 후손 이인엽(李寅燁)이 유고를 모아 1698년(숙종 24) 《익재집(益齋集)》에 부편(附編)하여 간행함. 이후 후손 이종형(李鍾泂) 등이 시문 약간 편을 보태어 1939년에 중간함. 2권 1책 석인본.
169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재선(在先) - 박제가(朴齊家)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실학자. 시문 사대가(詩文四大家)의 한 사람으로, 박지원(朴趾源)ㆍ이덕무(李德懋)ㆍ유득공(柳得恭) 등과 함께 북학파(北學派)를 이룸. 저서에 《북학의(北學議)》ㆍ《정유고략(貞蕤稿略)》 등이 있음. 춘당대 무과(春塘臺武科)에 장원하여 오위장(五衛將)ㆍ영평 현감(永平懸監) 등을 지냄.
1750~1805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재성(在城) - 반월성(半月城)
신라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 때 경상도 경주(慶州)에 쌓은 성. 원래 호공(瓠公)의 거주지였던 것을 탈해(脫解)가 꾀를 써 빼앗고, 파사이사금이 성을 쌓아 신라의 궁성으로 사용함.
101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성,진,책
-
재숙(載叔) - 임담(林墰)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남한산성에 들어가 총융청 종사관(摠戎廳從事官)이 되어 남격대(南格臺)를 수비함. 유탁(柳濯)의 난을 평정하여 토지를 하사받았으나 사양함.
1596~165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재숭(載崇) - 성재숭(成載崇)
조선 헌종(憲宗) 때의 문인. 헌종 때 《허백당집(虛白堂集)》을 중간(重刊)하면서 창녕성씨(昌寧成氏)의 종장(宗丈)으로서 발문(跋文)을 지음.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
-
재아(宰我) - 재여(宰予)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어학에 뛰어나 제(齊) 나라의 임묘 대부(臨苗大夫)가 되었음.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자공(子貢)과 함께 변설(辯舌)로 유명함.
B.C.522~B.C.45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재우(再祐) - 곽재우(郭再祐)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무신ㆍ의병장. 본관은 현풍(玄風). 곽월(郭越)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화왕산성(火旺山城) 등지에서 왜적을 격파함.
1552~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재운(載雲) - 교동(喬桐)
경기(京畿)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 인천시 강화(江華) 서북쪽에 있는 섬 지역임.
경기도>교동 , 지명>행정지명
-
재원(載元) - 이재원(李載元)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정응(李晸應)의 아들로, 이창응(李昌應)에게 출계함. 교련국(敎鍊局)에 배치되어 근대식 군부의 기초를 마련하고, 갑신정변(甲申政變) 때 영의정(領議政)에 추대되었으며, 사후(死後)에 완림군(完林君)에 봉해짐.
1831~1891 한국>근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재이(載邇) - 서필원(徐必遠)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여(扶餘). 김집(金集)ㆍ정홍명(鄭弘溟)의 문인으로, 강화 유수(江華留守) 등을 지냄.
1614~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재자(在玆) - 문재자(文在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증손.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에 심연(沈演)을 따라 의병을 일으켰고, 공을 세워 조정에서 선전관(宣傳官)으로 추천받았지만 나아가지 않음.
1602~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재전부정(梓田副正) - 이효온(李孝溫)@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의평군(義平君) 이원생(李元生)의 아들이자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김철산(金鐵山)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재전정(梓田正) - 이효온(李孝溫)@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의평군(義平君) 이원생(李元生)의 아들이자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김철산(金鐵山)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재중(在中) - 허금(許錦)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지신사(知申事)를 지낸 허경(許絅)의 아들. 이인복(李仁復)의 문하에서 급제하여 예의 정랑(禮儀正郞)ㆍ전리 판서(典理判書) 등을 지내고, 우왕 옹립에 반대함.
1340~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재중(在中)@박재중 - 박재중(朴在中)
고려 후기의 문신. 이색(李穡)의 《목은문고(牧隱文稿)》에 그에게 당호(堂號)의 기문(記文)으로 써 준 〈국간기(菊澗記)〉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재중(載仲) - 이민채(李敏采)
조선 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의정(領議政) 이경여(李敬輿)의 아들이자 이이명(李頤命)의 아버지로, 지평(持平)을 지냄.
163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재지(宰之) - 최재(崔宰)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선부 전서(選部典書)를 지낸 최득평(崔得枰)의 아들로 성품이 강직함. 전리 판서(典理判書)ㆍ개성 윤(開城尹)을 지낸 뒤, 벼슬을 사퇴하고 낙향함.
1303~137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재지(載之)@배맹후 - 배맹후(裵孟厚)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로, 감찰(監察)을 지낸 배진(裵縉)의 아들.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며, 강직한 성품으로 조정의 기강을 바로잡고 불교를 배척하였음.
1448~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재지(載之) - 권재(權載)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재천정(在川亭) - 성횡(成鐄)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셋째 아들로, 아버지의 학통(學統)을 계승하고 수양(修養)에 힘씀.
158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재청(載淸)@김익 - 김익(金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연은전 참봉(延恩殿參奉) 김양준(金良俊)의 아들로, 김양보(金良輔)에게 출계(出系)함.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재청(載淸) - 유질(柳洷)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함안 군수(咸安郡守)를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재택(梓澤) - 금곡원(金谷園)
중국 하남성(河南省) 낙양현(洛陽縣)에 석숭(石崇)이 지은 별장 이름. 진(晉) 나라 거부인 석숭(石崇)이 이곳에서 자주 잔치를 베풀었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유적>건물>기타건물
-
재헌(在軒)@황공소 - 황공소(黃公紹)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 말기에 진사가 되었으나 원 나라가 들어서자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저서에 《고금운회(古今韻會)》가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재헌(在軒) - 유려(劉礪)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유지(劉砥)의 동생으로, 형과 함께 주희(朱熹)를 스승으로 섬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재협(在協) - 이재협(李在協)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병조 판서 이경호(李景祜)의 아들로,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친 후 정조 때 영의정 등을 지냄.
1731~179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재홍(在弘) - 이재홍(李在弘)
고려 후기의 은자.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ㆍ김석주(李錫周)ㆍ김대윤(金大潤) 등과 함께 충의(忠義)로 결의를 맺은 ‘팔은(八隱)’ 중의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재황(載晃) - 고종(高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3대 황제. 재위 649~683. 전장(典章) 제도를 마무리하였으며, 병이 들자 황후인 측천무후(則天武后)에게 정사를 맡김.
628~68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쟁(崝)@박쟁 - 박쟁(朴崝)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ㆍ도총관(都摠管) 등을 지냄.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과 단종의 복위를 꾀하며 세조ㆍ한명회(韓明澮)ㆍ권람(權擥)ㆍ정인지(鄭麟趾) 등을 죽이려고 모의했으나 김질(金礩)의 밀고로 체포되어 친국을 받고 사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쟁(崝) - 이쟁(李崝)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손자이며, 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의 맏아들.
1458~151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쟁(崢) - 이쟁(李崢)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손자이며, 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의 셋째 아들.
1464~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쟁지(崢之) - 이쟁(李崢)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손자이며, 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의 셋째 아들.
1464~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저(䃴) - 김저(金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김세필(金世弼)의 아들로,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되었다가 1570년(선조 3)에 복권됨.
1512~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저(抵) - 윤저(尹抵)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태조 때 형조 전서(刑曹典書)로서 고려 왕족을 강화(江華) 나루에 수장(水葬)하는 데 앞장섰으며, 태종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함.
?~14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저(著) - 배저(裵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대구(大邱). 1492년(성종 2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배익신(裵益臣)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유학
-
저(褚) - 기저(奇褚)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축(奇軸)의 아들로, 1490년(성종 2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저강(褚康) - 저량(褚亮)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저수량(褚遂良)의 아버지이며, 방현령(房玄齡)ㆍ두여회(杜如晦) 등과 함께 문학관(文學館)에서 전적을 강론하던 18학사의 한 사람으로, 산기상시(散騎常侍) 등을 지냄. 저서로 《저량집(褚亮集)》이 있음.
560~647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저곡(樗谷) - 최정호(崔挺豪)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최수도(崔守道)의 아들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ㆍ구례 현감(求禮縣監) 등을 지냄.
1573~162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저곡(樗谷)@여칭 - 여칭(呂稱)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고려 말에 전라도 안렴사(全羅道按廉使)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에는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ㆍ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등을 지냄.
1351~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저교(渚嶠) - 유희량(柳希亮)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의 아들이며, 광해군의 처남. 사복시 정(司僕寺正)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5~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저구(杵臼) - 공손저구(公孫杵臼)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의인(義人). 조삭(趙朔)의 문객(門客)으로, 진 나라 대부(大夫) 도안가(屠岸賈)가 조삭의 일족(一族)을 살해하자 정영(程嬰)과 함께 조삭의 고아(孤兒)를 조씨의 후계자로 세울 일을 도모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저구(杵臼)@소공 - 소공(昭公)@춘추전국(송)
중국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의 제후. 재위 B.C.619~B.C.611. 성공(成公)의 아들로, 맹저(孟諸)에서 사냥하던 도중에 조모(祖母)인 양부인(襄夫人)과 결탁한 서제(庶弟) 문공(文公)에게 피살됨.
?~B.C.61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저구(杵臼)@선공 - 선공(宣公)@춘추전국(陳)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 나라의 왕. 재위 B.C.692~B.C.648. 환공(桓公)의 아들이자 장공(莊公)의 아우이며 목공(穆公)의 아버지. 총희(寵姬)가 낳은 아들 관(款)을 왕으로 세우기 위해 태자(太子)인 어구(禦寇)를 죽임.
?~B.C.64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저도(楮島) - 구용(具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좌찬성 구사맹(具思孟)의 아들로, 금화 현감(金化縣監)을 지내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필(權韠)과 함께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함. 전쟁 중에 겪은 고뇌와 갈등을 담은 작품을 많이 남김.
156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저도어은(楮島漁隱) - 안빈세(安貧世)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聃)의 아들이며, 세종(世宗)의 외손.
1445~147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저로(樗老) - 이우직(李友直)@1529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선조가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부묘제(祔廟祭)를 마치고 정기(呈技)를 관람하자 이를 비판하다 파직되었으며, 다시 등용되어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저룡(猪龍) - 안녹산(安祿山)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장(武將). 현종의 신임을 얻어 절도사(節度使)가 된 후 병력을 장악하여 난을 일으킴. 중원(中原)까지 쳐들어갔으나, 아들 안경서(安慶緖)와 공모한 측근에 의해 피살됨.
703?~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저산초로(楮山樵老)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저성(著聖) - 김봉서(金鳳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김경근(金敬近)의 아들로, 40세에 벼슬하여 내외직을 두루 거친 뒤 한성부윤(漢城府尹) 등을 지냄.
1454~153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저수(氐宿) - 저성(氐星)
28수(宿)의 하나로, 동방칠수(東方七宿)의 세 번째 별 이름.
자연물>천체
-
저수(滁守) - 구양수(歐陽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유(韓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古文) 부흥에 힘씀. 추밀부사(樞密副使)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저양왕(滁陽王) - 곽자흥(郭子興)
중국 원(元) 나라 홍건군(紅巾軍)의 장수. 원 말기에 스스로 군사를 일으켜 원수(元帥)로 자칭하였고, 주원장(朱元璋)의 도움으로 여러 번 원군(元軍)을 격파함. 명(明) 왕조가 건국하자, 1370년에 저양왕(滁陽王)으로 추서(追叙)됨.
?~1355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저왕(滁王) - 곽자흥(郭子興)
중국 원(元) 나라 홍건군(紅巾軍)의 장수. 원 말기에 스스로 군사를 일으켜 원수(元帥)로 자칭하였고, 주원장(朱元璋)의 도움으로 여러 번 원군(元軍)을 격파함. 명(明) 왕조가 건국하자, 1370년에 저양왕(滁陽王)으로 추서(追叙)됨.
?~1355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저정(樗亭) - 유백유(柳伯濡)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로서 전제개혁(田制改革)을 비난하였기 때문에 광주(光州)로 유배되었다가 조선왕조 개창 후 좌사간대부(左司諫大夫)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저족(猪足) - 인제(麟蹄)
강원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양양(襄陽), 서쪽으로 양구(楊口)와 접해 있음.
강원도>인제 , 지명>행정지명
-
저천정(紵川正) - 이제(李躋)@이농의아들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맏아들로, 세종부터 성종까지 내리 여섯 조정을 섬겼으며, 옥산군(玉山君)에 봉해짐.
1429~14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저헌(樗軒) - 박민헌(朴民獻)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서경덕(徐敬德)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을 공부하였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ㆍ상호군(上護軍) 등을 지냄.
151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저헌(樗軒)@윤혁 - 윤혁(尹奕)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밀직사(密直司) 등을 지냈으며, 이제현(李齊賢)의 《익재난고(益齋亂稿)》에 그에게 화답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저헌(樗軒)@이석형 - 이석형(李石亨)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회림(李懷林)의 아들이며, 김반(金泮)의 문인.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역대병요(歷代兵要)》ㆍ《치평요람(治平要覽)》등을 편찬함.
1415~14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적(勣)@박적 - 박적(朴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죽산(竹山). 청송(聽松) 성수침(成守琛)의 문인인 박종문(朴宗文)의 아버지로, 경주 판관(慶州判官)을 지냄.
?~154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적(勣) - 권적(權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교(權僑)의 아들로, 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ㆍ강화 부사(江華府使)를 지냄.
1470~153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적(積) - 김적(金積)
조선 전기의 문신.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만김원조(挽金原祖)〉라는 시가 《하서집(河西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적(積)@임적 - 임적(林積)
조선 전기의 유학. 그의 아버지의 요청으로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이름과 자(字)를 지어준 내용이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적(積)@허적 - 허적(許積)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남인(南人)으로 제1ㆍ2차 예송(禮訟)에서 서인(西人)과 대결했으며, 제2차 예송에서 승리하여 집권한 뒤 탁남(濁南)의 영수가 됨. 아들 허견(許堅)의 역모사건에 연좌되어 사사되었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신원됨.
1610~168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적(籍) - 장적(張籍)@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장옥견(張玉堅)의 아들. 1507년(중종 2)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등과하여 호조 참의(戶曹參議) 등을 지냈으며, 1540년(중종 35) 김대유(金大有)를 일사(逸士)로 천거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적(績) - 원적(元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1519년(중종 14) 무과(武科)에 장원급제하였으며,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전라 병마절도사(全羅兵馬節度使)로서 달량포(達梁浦)에 침입한 왜적에 맞서 성을 지키다가 장흥 부사(長興府使) 한온(韓蘊) 등과 함께 살해됨.
?~1555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무신
-
적(績)@한적 - 한적(韓績)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本貫)은 양주(楊州). 대지국사(大智國師) 찬영(粲英)의 아버지로,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적(績)@조적 - 조적(趙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조동호(趙銅虎)의 아들로, 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냈으나, 판결사(判決事)로 있을 때 결송(決訟)에 대한 일처리가 서툴러 탄핵을 받음.
14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적(績)@이적 - 이적(李績)
조선 전기의 유학.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김굉필의 행장(行狀)을 찬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적(績)@현적 - 현적(玄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현경창(玄景昌)의 아들로, 1627년(인조 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제영해동명현록(題詠海東名賢錄)〉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160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문사>유학
-
적(迪)@홍적 - 홍적(洪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당양부원군(唐陽府院君) 홍인우(洪仁祐)의 아들로, 삼화 현령(三和縣令)을 지낸 홍인범(洪仁範)에게 출계함.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경학(經學)에 밝고 논사(論思)를 잘 하여 홍문관(弘文館)에서 ‘학사전재(學士全才)’라 불림.
154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적(迪) - 이적(李迪)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백손(李伯孫)의 아들이며, 이도남(李圖南)의 아버지로, 외숙인 강문회(姜文會)에게 수학하고, 교서관 교리(校書館校理)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적(迪)@유적 - 유적(兪迪)
고려 말의 무신. 본관은 강진(康津). 감문위 상장군(監門衛上將軍) 등을 지냈으며, 강진유씨(康津兪氏)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무신
-
적(逖) - 이적(李逖)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기우자(騎牛子) 이행(李行)의 아들로, 1390년(공양왕 2)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