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적(適)@노적 - 노적(盧適)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문인(門人)으로, 《하서집(河西集)》에 〈증노달부(贈盧達夫)〉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적(適)@김적 - 김적(金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1543년(중종 3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목사(牧使)를 지냈으며, 정사룡(鄭士龍)의 《호음잡고(湖陰雜稿)》에 그에게 주는 시가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적(適)@권적 - 권적(權適)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적(頔) - 민적(閔頔)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충렬왕(忠烈王)이 국선(國仙)이라 불렀으며, 대사헌(大司憲)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온 뒤 여흥군(驪興君)에 봉해졌음.
1269~133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적(頔)@임적 - 임적(林頔)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유학 임수정(林秀亭)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유학
-
적(𤁰) - 이적(李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장남. 1469년(예종 1) 6세에 연성군에 봉해지고, 중종 때 종1품 가덕대부(嘉德大夫)가 되어 문소전(文昭殿)ㆍ연은전(延恩殿)ㆍ영경전(永慶殿)과 종친부 제조를 지냄.
1464~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적계(籍溪) - 호헌(胡憲)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안국(胡安國)의 조카로, 초정(譙定)의 제자이며 주희(朱熹)의 스승.
1068~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적계선생(籍溪先生) - 호헌(胡憲)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안국(胡安國)의 조카로, 초정(譙定)의 제자이며 주희(朱熹)의 스승.
1068~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적곡(赤谷) - 성승(成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삼문(成三問)의 아버지로 도총관(都摠管)을 지냄.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도모하다가 사육신(死六臣)과 함께 죽임을 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적기(赤驥) - 이어(鯉魚)
잉어. 효성(孝誠)ㆍ서신(書信)ㆍ길몽(吉夢)ㆍ입신출세(立身出世)를 뜻하는 상징물로 많이 쓰임.
자연물>동물
-
적덕(積德) - 덕천군(德泉君)
조선 정종(定宗)의 열 번째 아들. 가난한 백성을 돕고, 왕자의 신분에도 공주(公州)에 전장(田莊)을 두고 몸소 농사를 지음.
1397~146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왕실>왕자
-
적돈(賊旽) - 신돈(辛旽)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僧侶).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師傅)로서 국정을 맡음.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
?~13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종교인>승려
-
적두찬(赤頭璨) - 승찬(僧璨)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수(隋) 나라 때의 선승(禪僧). 중국 선종의 삼조(三祖)로, 이조(二祖) 혜가(慧可)에게서 법을 이어받은 후 도신(道信)에게 법을 전함.
?~606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적등진강(赤登津江) - 금강(錦江)
전라북도 장수(長水)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군산만(群山灣)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 6대 하천의 하나.
전라도>장수 , 지명>자연지명
-
적라(赤羅) - 군위(軍威)
경상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대구(大丘)와 안동(安東)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임.
경상도>군위 , 지명>행정지명
-
적로(適老) - 조신(曺伸)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역관ㆍ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문장이 뛰어나 사역원 정(司譯院正)에 특선(特選)되었고, 명(明) 나라에서 시(詩)로 이름을 날림. 조위(曺偉)의 서제(庶弟)이며, 김종직(金宗直)의 처남.
14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산 , 인명>관인>역관ㅣ인명>관인>문신
-
적망(賊莽) - 왕망(王莽)
중국 신(新) 나라의 황제. 재위 8~23년. 전한(前漢) 말에 왕위를 찬탈하고 황제가 되었으나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에 의해 멸망함.
B.C.45~A.D.23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적묘수(荻苗水) - 황하(黃河)
중국 청해성(青海省) 파안(巴顏) 객라산(喀喇山)에서 발원하여 감숙성(甘肅省)ㆍ섬서성(陝西省)ㆍ하남성(河南省)ㆍ산동성(山東省) 등을 거쳐 발해만(渤海灣)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적벽강(赤壁江) - 적벽(赤壁)
중국 호북성(湖北省) 양자강(揚子江) 남쪽 강가의 이름. 적벽대전(赤壁大戰)의 싸움터이며, 송(宋) 나라의 문인인 소식(蘇軾)이 이곳을 거닐다가 지은 적벽부(赤壁賦)가 유명함. 강변 바위에 주유(周瑜)가 썼다고 하는 글자가 남아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적벽선(赤壁仙)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적봉(寂峯) - 신원(信圓)
조선 태종(太宗) 때의 승려. 혜근(惠勤)의 법손(法孫)이며 자초(自超)의 문도로, 혜근의 발자취를 따라 중국 강남(江南)을 유력(遊歷)했다 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적선(謫仙)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적선(謫仙)@이사필 - 이사필(李士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공려(李公礪)의 아들로, 명종 때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성주 목사(星州牧使) 재임 중에 기민 구제와 전염병 퇴치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적선(謫仙)@이백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적선(謫仙)@이공의 - 이공의(李公毅)
조선 중종(中宗) 때의 생원. 본관은 전의(全義). 1522년(중종 17)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적선옹(謫仙翁)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적선인(謫仙人) - 이백(李白)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두보(杜甫)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시선(詩仙)이라 일컬어짐.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저서에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이 있음.
701~76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적성(積城)@성혼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적성(笛聖) - 환이(桓伊)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음악가. 강주 자사(江州刺史)를 지내고, 음악의 이치에 통달하여 젓대를 잘 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적성(赤城)@순창 - 순창(淳昌)
전라북도의 남부 노령산맥(蘆嶺山脈)의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구암사(龜巖寺)와 강천사(剛泉寺) 등의 사찰이 있음.
전라도>순창 , 지명>행정지명
-
적성(赤城)@양성 - 양성(陽城)
경기도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의 안성(安城) 지역에 해당하며 천덕산(天德山)과 남쪽의 백운산(白雲山) 사이에 자리잡고 있음.
경기도>양성 , 지명>행정지명
-
적성(赤城) - 단양(丹陽)
충청북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제2의 외금강(外金剛)이라 불릴 만큼 경관이 아름다움.
충청도>단양 , 지명>행정지명
-
적성군(赤城君) - 우길생(禹吉生)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단양백(丹陽伯) 우현보(禹玄寶)의 아버지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1362년(공민왕 10) 홍건적(紅巾賊)이 침입했을 때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고, 적성군(赤城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적송자(赤松子) - 황초평(黃初平)
중국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의 신선. 15세 때 양(羊)을 먹이러 나갔다가 도사(道士)를 만나 금화산(金華山) 석실(石室)로 들어가 40년간 도를 닦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적수(適叟) - 조신(曺伸)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역관ㆍ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문장이 뛰어나 사역원 정(司譯院正)에 특선(特選)되었고, 명(明) 나라에서 시(詩)로 이름을 날림. 조위(曺偉)의 서제(庶弟)이며, 김종직(金宗直)의 처남.
14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산 , 인명>관인>역관ㅣ인명>관인>문신
-
적아(赤牙) - 은풍(殷豊)
경상북도 예천(醴泉)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
경상도>예천 , 지명>행정지명
-
적암(赤巖) - 금제순(琴悌筍)
조선 전기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금의순(琴義筍)의 동생으로, 관직은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적암(適庵) - 조신(曺伸)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역관ㆍ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문장이 뛰어나 사역원 정(司譯院正)에 특선(特選)되었고, 명(明) 나라에서 시(詩)로 이름을 날림. 조위(曺偉)의 서제(庶弟)이며, 김종직(金宗直)의 처남.
14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산 , 인명>관인>역관ㅣ인명>관인>문신
-
적약(赤藥) - 작약(芍藥)
작약과(芍藥科)의 다년생초(多年生草). 흔히 남녀 간의 애모(愛慕)하는 마음이나 이별(離別)의 상징물로 쓰여,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文集)》ㆍ《동문선(東文選)》 등에 실려 있음.
자연물>식물
-
적양공(狄梁公) - 적인걸(狄仁傑)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이씨(李氏)를 제거하고 무씨(武氏)의 종묘(宗廟)를 세우자 중종(中宗)을 받들어 당실(唐室)을 회복함.
607~70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적연(磧淵) - 심언경(沈彦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예조 좌랑 심준(沈濬)의 아들로, 1529년(중종 24) 동생 심언광(沈彦光)과 함께 김안로(金安老)의 용서를 주청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적옹(積翁)@김영수 - 김영수(金永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한성 판관(漢城判官) 김계권(金係權)의 아들로, 영천 군수(永川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어(射御)ㆍ음률 등에 뛰어났고, 특히 글씨를 잘 씀.
1446~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적옹(積翁) - 이희증(李希曾)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귀(李龜)ㆍ정여창(鄭汝昌)의 문인(門人)으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ㆍ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을 역임함.
1486~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적용(賊鏞) - 김용(金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공민왕을 시해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사형당함.
?~136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안성 , 인명>관인>무신
-
적우(賊雨) - 보우(普雨)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금강산 마하연암(摩訶衍庵)에서 참선(參禪)하고 경학(經學)을 연구했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신임을 얻어 봉은사(奉恩寺) 주지(主持)가 됨. 선교 양종(禪敎兩宗)을 부활시켰으며, 도첩제(度牒制)에 의한 승과(僧科)를 설치함.
1509~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종교인>승려
-
적음(寂音) - 연사(演師)
고려 후기의 승려.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원천석(元天錫)과 수창(酬唱)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적자(赤髭) - 각명(覺明)
고대 인도의 승려. 407년 중국 장안(長安)에 들어왔으며, 얼굴의 윗수염이 붉어지고 〈비파사론(毗婆沙論)〉을 좋아하였으므로 ‘적자비파사(赤髭毗婆沙)’라고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ㅣ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적자비야사(赤髭毗耶沙) - 각명(覺明)
고대 인도의 승려. 407년 중국 장안(長安)에 들어왔으며, 얼굴의 윗수염이 붉어지고 〈비파사론(毗婆沙論)〉을 좋아하였으므로 ‘적자비파사(赤髭毗婆沙)’라고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ㅣ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적자비야사(赤髭毗邪沙) - 각명(覺明)
고대 인도의 승려. 407년 중국 장안(長安)에 들어왔으며, 얼굴의 윗수염이 붉어지고 〈비파사론(毗婆沙論)〉을 좋아하였으므로 ‘적자비파사(赤髭毗婆沙)’라고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ㅣ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적자비파사(赤髭毗婆沙) - 각명(覺明)
고대 인도의 승려. 407년 중국 장안(長安)에 들어왔으며, 얼굴의 윗수염이 붉어지고 〈비파사론(毗婆沙論)〉을 좋아하였으므로 ‘적자비파사(赤髭毗婆沙)’라고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ㅣ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적재(迪齋) - 김진(金稹)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낸 김사원(金士元)의 아들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역임함.
12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적제자(赤帝子)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적조(寂照) - 지증(智證)
신라 문성왕(文聖王)~헌강왕(憲康王) 때의 승려. 문경(聞慶) 희양산(曦陽山)에 절을 창건하자 헌강왕이 봉암사(鳳巖寺)라는 사액을 내려 주었는데, 이곳에 머물다 입적하였음. 최치원(崔致遠)의 사산비명(四山碑銘) 중 하나인 희양산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曦陽山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가 남아 있음.
824~88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문경 , 인명>종교인>승려
-
적촌(赤村) - 단성(丹城)
경상남도 산청(山淸)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 조선 세종(世宗) 때 단계(丹溪)와 강성(江城)이 합해서 이루어짐.
경상도>산음 , 지명>행정지명
-
적현(赤縣) - 봉선(奉先)
중국 섬서성(陜西省) 포성현(蒲城縣)의 지명. 두보(杜甫)의 시 ‘자경부봉선영회오백자(自京赴奉先詠懷五百字)’로 유명해짐.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적혼(赤鯶) - 이어(鯉魚)
잉어. 효성(孝誠)ㆍ서신(書信)ㆍ길몽(吉夢)ㆍ입신출세(立身出世)를 뜻하는 상징물로 많이 쓰임.
자연물>동물
-
적혼공(赤鯶公) - 이어(鯉魚)
잉어. 효성(孝誠)ㆍ서신(書信)ㆍ길몽(吉夢)ㆍ입신출세(立身出世)를 뜻하는 상징물로 많이 쓰임.
자연물>동물
-
적혼자(赤鯶子) - 이어(鯉魚)
잉어. 효성(孝誠)ㆍ서신(書信)ㆍ길몽(吉夢)ㆍ입신출세(立身出世)를 뜻하는 상징물로 많이 쓰임.
자연물>동물
-
적회(賊檜) - 진회(秦檜)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남침을 거듭하는 금(金)에 대처하여 금과 남송이 중국을 남북으로 나누어 영유하기로 합의함. 정권유지를 위해 반대파를 억압하여 간신으로 낙인찍힘.
1090~115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적훤(賊萱) - 견훤(甄萱)
후백제(後百濟)의 시조. 재위 892~935. 본래 성은 이씨(李氏)였으나 뒤에 견씨(甄氏)라 함.
867~936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ㅣ전라도>광산 , 인명>왕실>국왕
-
전(㙉)@유전 - 유전(柳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상서원 직장(尙瑞院直長) 유예선(柳禮善)의 아들. 정여립(鄭汝立)의 옥사를 다스린 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31~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전(㙉) - 노전(盧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광주 목사(廣州牧使) 노한문(盧漢文)의 아들이고, 호조 참의(戶曹參議) 노준(盧埈)의 형으로,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정언(正言)을 지냄.
152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전(㙉)@김전 - 김전(金㙉)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배웠으며, 문학으로 이름이 남.
153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전(佺) - 능창대군(綾昌大君)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동생. 원종(元宗)의 아들로, 숙부인 신성군(信城君)에게 출계함. 1615(광해군 7)에 신경희(申景禧) 등이 왕으로 추대하고자 한다는 소명국(蘇鳴國)의 무고로 강화도 교동(喬桐)에 안치(安置)되었다가 17세로 죽음.
1599~16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왕자
-
전(佺)@조전 - 조전(曺佺)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조계문(曺繼門)의 아들이고, 김종직(金宗直)의 처남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전(佺)@김전 - 김전(金佺)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문하시중을 지낸 김취려(金就礪)의 아들로,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역임함.
?~12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전(全) - 박전(朴全)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안(務安). 중종(中宗) 때의 유학 박원기(朴元基)의 아들이자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 도사(慶尙都事) 등을 지낸 박선장(朴善長)의 아버지로, 호조 정랑(戶曹正郞) 등을 지냄.
1514~155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전(典) - 조전(趙典)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 행실이 돈독하고 학식이 뛰어났으며 황제에게 직언(直言)을 잘 하기로 유명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전(專) - 권전(權專)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한성부 윤(漢城府尹)을 지낸 권백종(權伯宗)의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비(妃)인 현덕왕후(顯德王后)의 아버지로, 중추원사(中樞院事)ㆍ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냄.
1371~14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전(恮)@나전 - 나전(羅恮)
조선 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로, 나윤명(羅允明)의 아들. 1555년(명종 10)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에 급제하여, 병조 좌랑(兵曹佐郞)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전(恮)@이전 - 영산군(寧山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열세 번째 아들. 어머니는 숙용심씨(淑容沈氏). 정막개(鄭莫介)가 반역을 고발한 박영문(朴永文)ㆍ신윤무(辛允武) 등의 옥사에 관련되어 귀양 갔다가 이홍간(李弘榦)의 아룀으로 인하여 석방됨.
1490~153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전(恮) - 이전(李恮)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장남인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아들로, 강화 부사(江華府使)를 지낸 서천군(西川君) 한사문(韓斯文)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전(澱) - 김전(金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양준(金良俊)의 아들이고, 김익(金瀷)의 동생. 철산 군수(鐵山郡守)ㆍ김해 부사(金海府使) 등을 지냈으며, 박승임(朴承任)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전(澱)@최전 - 최전(崔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해주(海州). 최여우(崔汝雨)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 신동(神童)으로 불리며 시문(詩文)ㆍ그림ㆍ글씨에 뛰어나고 음악에도 천부적 재질을 발휘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568~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
-
전(烇) - 윤전(尹烇)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창세(尹昌世)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를 공주(公州)로 호종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강화(江華)에서 순절함.
1575~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전(琠)@안전 - 안전(安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이황(李滉)ㆍ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조식(曺植)과 친분이 두터웠음. 이이보다 23살이나 많으면서도 그의 문하에서 수학(受學)하였으며, 음죽 현감(陰竹縣監)ㆍ단성 현감(丹城縣監) 등을 지냄.
151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전(琠)@이전 - 이전(李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재령(載寧).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평생 학문에 정진하고 후학을 양성함.
1502~157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전(琠) - 왕전(王琠)
고려 제24대 원종(元宗)의 둘째 아들인 시양후(始陽侯)의 아들이자 제25대 충렬왕(忠烈王)의 조카. 충렬왕이 충선왕(忠宣王)을 폐위시키고 왕전을 고려왕으로 삼으려 하다가 실패하자, 연경(燕京)에서 죽임을 당함.
?~130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전(琠)@송전 - 송전(宋琠)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화 현감(松禾縣監) 송복흥(宋復興)의 아버지로, 충의위(忠義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전(琠)@박전 - 박전(朴琠)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판삼사사(判三司事) 박충좌(朴忠佐)의 아들로, 지신사(知申事)를 지내고 함양군(咸陽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전(瑑) - 안전(安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순흥(順興). 안처순(安處順)의 아들이며 매담(梅潭) 안창국(安昌國)의 아버지로, 노진(盧禛)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함.
1518~157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곡성 , 인명>문사>문인
-
전(磌) - 권전(權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장살(杖殺) 당함.
1490~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전(竱) - 이전(李竱)
고려 후기의 문신.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낸 이달충(李達衷)의 둘째 아들로,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전(絟) - 강전(姜絟)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로, 개암(介庵) 강익(姜翼)의 손자. 강익의 유고(遺稿)를 수습하여 정광연(鄭光淵)에게 발문을 부탁하는 등 문집 정리에 노력함.
?~166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전(荃) - 민전(閔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ㆍ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등을 지내고, 1550년(명종 5)에 봉상시 정(奉常寺正)으로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안위(安瑋)와 함께 《경국대전(經國大典)》의 주해관(註解官)에 임명되어 주해 작업을 맡음.
149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전(荃)@정전 - 정전(鄭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윤운(鄭允耘)의 아들로, 정형운(鄭亨耘)에게 출계함. 1509년(중종 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 등을 지냄.
1475~15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전(詮) - 김전(金詮)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김우신(金友臣)의 아들. 중종 때 《속동문선(續東文選)》을 편찬하고,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과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으며,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58~152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전(詮)@오전 - 오전(吳詮)
조선 전기의 유학. 그가 낙향(落鄕)할 때 김인후(金麟厚)가 시를 지어 전송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전(詮)@신전 - 신전(愼詮)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신이충(愼以衷)의 아들. 1429년(세종 11) 식년(式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전(詮)@배전 - 배전(裵詮)
고려 후기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흥해(興海). 복천부원군(福川府院君) 손홍량(孫洪亮)의 사위이며, 사복시 판사(司僕寺判事) 배상지(裵尙志)의 아버지로,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 삼중대광(三重大匡) 첨의평리(僉議評理) 흥해군(興海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흥해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전(銓) - 이전(李銓)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의 다섯째 아들 회산군(檜山君)의 손자이며 계산군(桂山君) 이수계(李壽誡)의 아들. 승정원 도승지(承政院道承旨) 황섬(黃暹)의 장인임.
1525~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전(銓)@심전 - 심전(沈銓)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를 지낸 심달원(沈達源)의 아들로, 장악원 정(掌樂院正)ㆍ경기 감사(京畿監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전(鱄) - 공자전(公子鱄)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衛) 나라의 공자(公子). 헌공(獻公)의 동생으로, 헌공이 자신을 복위시킨 영희(甯喜)를 죽이자 진(晉) 나라로 달아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전가공자(田家公子) - 맹상군(孟嘗君)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경대부. 정곽군(靖郭君) 전영(田嬰)의 아들로, 현사(賢士)를 초빙하여 식객(食客) 3천여 명을 거느렸다고 함. 진(秦)ㆍ제(齊)ㆍ위(魏) 나라의 재상을 지냈으며, 춘신군ㆍ평원군ㆍ신릉군과 더불어 전국(戰國) 말기 사군(四君)의 한 사람으로 불림.
?~B.C.2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전경(籛鏗) - 팽조(彭祖)
중국 고대의 선인(仙人). 《장자(莊子)》에 등장하는 인물로, 칠팔백 세를 살았다고 함.
중국>은ㅣ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전계(箭溪) - 장수희(張壽禧)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인동(仁同).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산서원(伊山書院)에 배향되었음.
1516~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 이광(李㼅)
조선 후기의 종친. 제25대 철종(哲宗)의 아버지로, 부모ㆍ형ㆍ형수 등의 죄에 연좌되어 강화부(江華府) 교동(喬桐)으로 쫓겨나 빈농으로 삶. 1849년 셋째 아들 덕완군(德完君) 이원범(李元範)이 철종에 등극하자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에 추봉됨.
?~184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교동 , 인명>왕실>종친
-
전광도(全光道) - 전라도(全羅道)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으로, 고려 현종(顯宗) 때의 전라주도(全羅州道)에서 비롯됨. 본래 마한(馬韓)의 땅으로 백제의 영역이었으나, 백제 멸망 후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전라도 , 지명>행정지명
-
전교서(典校署) - 교서관(校書館)
조선시대 삼관(三館)의 하나로, 태조(太祖) 때 설치되어 경적(經籍)의 인쇄ㆍ반포와 향축(香祝)ㆍ인전(印篆)을 담당하던 관청.
1392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전금(展禽) - 유하혜(柳下惠)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사사(士師)의 직책을 수행할 때 세 번이나 쫓겨나면서도 직도(直道)를 견지하였던 고사로 유명하며, ‘화성(和聖)’으로 일컬어짐.
B.C.720~B.C.6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