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전기(佺期) - 심전기(沈佺期)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당 나라 초에 제(齊)ㆍ양(梁) 나라의 궁체시(宮體詩)를 계승하여 율시(律詩)라는 새로운 형식의 운율(韻律)을 완성시킴.
656~71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전기(全歧) - 연기(燕岐)
충청남도 동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1414년(태종 14) 전의(全義)와 통합했다가 1416년(태종 16) 다시 분리함.
충청도>연기 , 지명>행정지명
-
전남(全南) - 전라도(全羅道)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으로, 고려 현종(顯宗) 때의 전라주도(全羅州道)에서 비롯됨. 본래 마한(馬韓)의 땅으로 백제의 영역이었으나, 백제 멸망 후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전라도 , 지명>행정지명
-
전남도(全南道) - 전라도(全羅道)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으로, 고려 현종(顯宗) 때의 전라주도(全羅州道)에서 비롯됨. 본래 마한(馬韓)의 땅으로 백제의 영역이었으나, 백제 멸망 후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전라도 , 지명>행정지명
-
전당이씨(錢塘李氏) - 이원강(李元綱)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에 《성문사업도(聖門事業圖)》ㆍ《후덕록(厚德錄)》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전라주도(全羅州道) - 전라도(全羅道)
전라북도와 전라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으로, 고려 현종(顯宗) 때의 전라주도(全羅州道)에서 비롯됨. 본래 마한(馬韓)의 땅으로 백제의 영역이었으나, 백제 멸망 후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전라도 , 지명>행정지명
-
전록(前錄) - 황조명신언행록(皇朝名臣言行錄)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양렴(楊廉)이 명 나라 명신(名臣) 54인의 언행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 4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전류(錢鏐) - 무숙왕(武肅王)
중국 오대십국 오월(吳越)을 건국한 왕. 재위 907~932.
852~93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전모(典謨)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전목재선생초학집(錢牧齋先生初學集) - 초학집(初學集)
중국 명(明) 말~청(淸) 초의 문신ㆍ문인인 전겸익(錢謙益)의 시문집. 110권. 명 나라가 망하기 전까지 지은 시문(詩文)을 모은 것임.
1643 중국>청 , 중국 , 문헌>서명
-
전문(田文) - 맹상군(孟嘗君)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경대부. 정곽군(靖郭君) 전영(田嬰)의 아들로, 현사(賢士)를 초빙하여 식객(食客) 3천여 명을 거느렸다고 함. 진(秦)ㆍ제(齊)ㆍ위(魏) 나라의 재상을 지냈으며, 춘신군ㆍ평원군ㆍ신릉군과 더불어 전국(戰國) 말기 사군(四君)의 한 사람으로 불림.
?~B.C.2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전벽(全璧) - 수린(秀藺)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 때의 승려. 1465년(세조 11) 조선에 와서 세조(世祖)에게 받은 서계(書契)ㆍ예폐(禮幣)를 가지고 돌아가 왜왕(倭王)에게 전달함.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전벽강(田辟疆) - 선왕(宣王)@춘추전국(제)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342~B.C.324. 학술과 문화의 융성에 힘썼고, 인문(人文) 애호자로 많은 자유사상가를 보호하여 ‘직하(稷下)의 학사’가 수천 명에 달함.
?~B.C.30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전보(展甫) - 유척기(兪拓基)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김창집(金昌集)의 문인으로, 소론(少論)의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노론(老論) 집권 때 영의정 등을 지냄. 신임사화(辛壬士禍)로 사사된 김창집ㆍ이이명(李頤命)을 복관시킴.
1691~176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전부(前賦) - 적벽부(赤壁賦)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인 소식(蘇軾)이 지은 부(賦). 필화(筆禍) 사건으로 죄를 얻어 황주(黃州)에 유배된 소식이 적벽에서 노닐다가 지은 것으로 후적벽부(後赤壁賦)와 함께 전함.
1082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전산(轉山) - 남해(南海)
경상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여러 개의 도서(島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시대의 유배지 가운데 하나로, 많은 인물들의 자취가 남아 있음.
경상도>남해 , 지명>행정지명
-
전산군(全山君)@이수남 - 이수남(李壽男)@이함장의아들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조 참판 이함장(李諴長)의 아들.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고, 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온 뒤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가 되었으나 과음하여 32세로 요절함.
1439~147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전산군(全山君) - 이과(李顆)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연산군(燕山君) 때 반정(反正)을 모의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성공으로 중단하였으며,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후에 박원종(朴元宗) 등을 제거하려다 발각되어 처형됨.
1475~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전산화상(殿山和尙) - 덕이(德異)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僧侶). 완산 정응(脘山正凝) 선사의 법을 이었으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고려의 고승들과 주고받은 서함이 많음.
1231~1308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전산후(全山侯) - 이도(李棹)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개국공신. 전의이씨(全義李氏)의 시조. 태조가 견훤(甄萱)을 정벌하기 위해 남하(南下)했을 때 홍수로 범람한 금강(錦江)의 도강책(渡江策)을 주도한 공로로 공신에 책록되고 전산후(全山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전의ㅣ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전삼장(傳三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전상호(殿上虎) - 유안세(劉安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사마광(司馬光)의 제자. 간의대부(諫議大夫)로 직간(直諫)을 잘해 전상호(殿上虎)라는 별명을 얻음. 강직한 성품 때문에 평생 벽지(僻地)로 전전하며 귀양살이를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전성(全城) - 전의(全義)
충청남도 연기(燕岐) 일대에 속하는 고을 이름.
충청도>전의 , 지명>행정지명
-
전성(塡星) - 토성(土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중앙(中央)을 상징하는 별. 28년마다 하늘을 한 바퀴 도는데, 해마다 이십팔수(二十八宿) 중의 한 별자리를 채우는 데서 ‘진성(鎭星)’이라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전성(氈城) - 온성(穩城)
함경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우리나라 최북단의 고을로, 서ㆍ북ㆍ동쪽에 두만강(豆滿江)을 국경으로 하여 중국 길림성(吉林省)과 마주하고 있음.
함경도>온성 , 지명>행정지명
-
전성군(全城君)@이준 - 이준(李準)@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이첨(李爾瞻)ㆍ정인홍(鄭仁弘)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유폐하는 등 정사를 어지럽히자 벼슬을 버리고 은퇴함.
1545~162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전성군(全城君)@이서장 - 이서장(李恕長)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한성부윤(漢城府尹) 이사관(李士寬)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 토벌에 참여하여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23~148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전성군(全城君)@이대 - 이대(李薱)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며 여양군(呂陽君) 이자겸(李子謙)의 아들로, 용강 현령(龍岡縣令)ㆍ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 등을 지냄.
1488~154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전성군(全城君)@이예장 - 이예장(李禮長)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이사관(李士寬)의 아들. 안숭선(安崇善)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류(杖流) 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세조를 도운 공로로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6~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 이사관(李士寬)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효정공(孝靖公) 이정간(李貞幹)의 아들로, 한성 판윤(漢城判尹) 등을 지냄. 아들인 이의장(李義長)ㆍ이예장(李禮長)ㆍ이지장(李智長)ㆍ이함장(李諴長)ㆍ이효장(李孝長)ㆍ이서장(李恕長)이 모두 과거에 급제함.
1382~14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전성이씨(全城李氏) - 전주이씨(全州李氏)
신라 때 사공(司空)을 지낸 이한(李翰)을 시조로 하는 성씨. 조선시대의 국성(國姓).
한국>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전속국(典屬國) - 소무(蘇武)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충신. 무제 때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었으나 절개를 지키다가 19년 만에 돌아와 전속국(典屬國)이 되었으며, 후에 선제를 옹립한 공으로 관내후(關內侯)에 봉해짐.
?~B.C.6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전손(顓孫) - 전손사(顓孫師)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송(宋) 나라 이후 공문십철(孔門十哲)로 성묘(聖廟)에 종향(從享)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전손자(顓孫子) - 전손사(顓孫師)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송(宋) 나라 이후 공문십철(孔門十哲)로 성묘(聖廟)에 종향(從享)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전수(專粹) - 이전수(李專粹)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보한재(保閑齋) 신숙주(申叔舟)와 시(詩)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문사>유학
-
전수장(傳首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전숙(錢俶) - 충의왕(忠懿王)
중국 오대십국 오월(吳越)의 마지막 왕. 재위 947~978. 송(宋) 태종(太宗)에게 13주(州)를 바치고 등왕(鄧王)에 봉해짐.
852~93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전숙왕(錢肅王) - 무숙왕(武肅王)
중국 오대십국 오월(吳越)을 건국한 왕. 재위 907~932.
852~93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전십장(傳十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전씨대제(田氏代齊) - 전화(田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386~B.C.384. B.C.391년에 강공(康公)을 몰아내고 스스로 군위(君位)에 올라 B.C.386년에 주(周) 천자로부터 제후로 인정받음. 이 일로 제 나라 제후의 성이 바뀌었다 하여 일명 '전씨대제(田氏代齊)'로 불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전야(全也) - 도전(道全)
조선 전기의 승려. 《소재집(穌齋集)》에 〈증승도전(贈僧道全)〉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전야산(轉也山) - 남해(南海)
경상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여러 개의 도서(島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시대의 유배지 가운데 하나로, 많은 인물들의 자취가 남아 있음.
경상도>남해 , 지명>행정지명
-
전양(前羊) - 양호(羊祜)
중국 남북조시대 서진(西晉)의 무신. 상서좌복야(尚書左伏射)로 형주(荊州)에 주둔하던 10년 동안 둔전을 실시하고 군량을 비축하는 등 오(吳) 나라를 치기 위한 준비를 했으나 실현하지 못함.
221~27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전양부원군(全陽府院君) - 유영경(柳永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에 오름. 소북(小北)의 영수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옹립을 꾀하려다 죽임을 당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관작이 복구됨.
1550~160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전양자(全陽子) - 유염(兪琰)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가 망하자 벼슬하지 않고 저술에 전념하여 《주역참동계발휘(周易參同契發揮)》등 많은 저서를 남김.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전영제(田嬰齊) - 위왕(威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378~B.C.343. 환공(桓公)의 아들로, 추기(鄒忌)ㆍ전기(田忌)ㆍ손빈(孫臏) 등을 등용하여 안정을 이루고, 임치(臨淄)의 직하(稷下)에 학궁을 설치한 뒤 각국의 명사들을 초청하는 등 부국강병을 이룩함.
?~B.C.32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전오(典午) - 선제(宣帝)@남북조(晉)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장군이며, 서진(西晉)의 추존 황제. 조조(曹操)에게 등용된 후 촉(蜀) 나라 제갈량(諸葛亮)의 북벌을 막고 공손연(公孫淵)을 요동(遼東)에서 토벌하는 등 공을 세웠으며, 진(晉) 나라 건국 후 황제로 추존됨.
179~25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전오씨(典午氏) - 선제(宣帝)@남북조(晉)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장군이며, 서진(西晉)의 추존 황제. 조조(曹操)에게 등용된 후 촉(蜀) 나라 제갈량(諸葛亮)의 북벌을 막고 공손연(公孫淵)을 요동(遼東)에서 토벌하는 등 공을 세웠으며, 진(晉) 나라 건국 후 황제로 추존됨.
179~25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전오장(傳五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전왕(錢王)@무숙왕 - 무숙왕(武肅王)
중국 오대십국 오월(吳越)을 건국한 왕. 재위 907~932.
852~93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전왕(錢王) - 충의왕(忠懿王)
중국 오대십국 오월(吳越)의 마지막 왕. 재위 947~978. 송(宋) 태종(太宗)에게 13주(州)를 바치고 등왕(鄧王)에 봉해짐.
852~93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전욱고양(顓頊高陽) - 전욱(顓頊)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삼황오제(三皇五帝) 중의 한 사람. 황제(黃帝)의 손자이며 창의(昌意)의 아들로, 천하를 잘 다스려 명군(明君)으로 이름이 높았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전원(前原) - 원(元)
13세기 중반부터 14세기 중반까지 중국 본토와 동아시아 전역을 지배한 몽고족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1271~1368 중국>원 , 중국 , 시간>국명
-
전의(傳疑) - 계몽전의(啓蒙傳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황(李滉)이 주희(朱熹)의 《역학계몽(易學啓蒙)》을 알기 쉽게 풀이하여 주기(註記)한 책. 이 외에 명(明) 나라 한방기(韓邦奇)의 《역학계몽의견(易學啓蒙意見)》 중에서 요의(要義)를 뽑아 추록하였으며, 1557년(명종 12)에 간행함.
155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전의군(全義君)@이덕량 - 이덕량(李德良)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조카사위.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대사헌(大司憲)ㆍ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43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전의군(全義君) - 이사안(李思安)
고려 후기의 문신. 춘곡(春谷) 정탁(鄭擢)의 장인으로, 삼중대광(三重大匡)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전이산(轉伊山) - 남해(南海)
경상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여러 개의 도서(島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시대의 유배지 가운데 하나로, 많은 인물들의 자취가 남아 있음.
경상도>남해 , 지명>행정지명
-
전이선생(傳貽先生) - 보광(輔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자어류(朱子語類)》에 사단(四端)ㆍ칠정(七情)을 나누어 이(理)와 기(氣)에 배속시켜 기록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전인(全仁) - 이전인(李全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언적(李彦迪)의 서자(庶子)로, 이언적이 찬술한 〈진수팔규(進修八規)〉를 올려 이언적의 훈작(勳爵)이 복작(復爵)됨.
1516~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전인제(田因齊) - 위왕(威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378~B.C.343. 환공(桓公)의 아들로, 추기(鄒忌)ㆍ전기(田忌)ㆍ손빈(孫臏) 등을 등용하여 안정을 이루고, 임치(臨淄)의 직하(稷下)에 학궁을 설치한 뒤 각국의 명사들을 초청하는 등 부국강병을 이룩함.
?~B.C.32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전장(顚長) - 장욱(張旭)
중국 당(唐) 나라의 서예가. 술을 몹시 좋아하고 취흥이 오르면 필묵을 잡아 초서를 잘 썼으며, 필법을 안진경(顔眞卿)과 이백(李白)에게 전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전장사(顚長史) - 장욱(張旭)
중국 당(唐) 나라의 서예가. 술을 몹시 좋아하고 취흥이 오르면 필묵을 잡아 초서를 잘 썼으며, 필법을 안진경(顔眞卿)과 이백(李白)에게 전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전재(全齋) - 이시민(李時敏)@고려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ㆍ권근(權近) 등과 교유하였으며, 《목은시고(牧隱詩稿)》ㆍ《도은집(陶隱集)》ㆍ《양촌집(陽村集)》 등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봉산 , 인명>문사>유학
-
전제(顓帝) - 전욱(顓頊)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삼황오제(三皇五帝) 중의 한 사람. 황제(黃帝)의 손자이며 창의(昌意)의 아들로, 천하를 잘 다스려 명군(明君)으로 이름이 높았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전조(田祖) - 신농(神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帝王) 또는 신(神). 백성에게 농경을 가르쳤으며, 백초(百草)를 맛보고 약초를 찾아내 병을 치료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전주지(全州紙) - 금강전(錦江牋)
전라도 전주(全州)에서 생산되는 한지(韓紙)를 일컫는 말.
전라도>전주 , 물품>기타물품
-
전지(全之)@이전지 - 이전지(李全之)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이맹상(李孟常)의 아들이며, 형조 판서(刑曹判書) 이예(李芮)의 아버지로, 첨지충추원사(僉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전지(全之) - 박전지(朴全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충선왕(忠宣王)이 세자일 때 시강(侍講)을 맡았으며, 수첨의찬성사(守僉議贊成事) 등을 역임함.
1250~132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전집(前集) - 고문진보(古文眞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황견(黃堅)이 편찬했다는 책. 주대(周代)부터 송대(宋代)에 이르는 고시(古詩)ㆍ고문(古文)의 명문만을 뽑아 엮은 시문선집(詩文選集). 전집(前集) 10권, 후집(後集) 10권으로 구성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전첩(秦堞) - 만리장성(萬里長城)
중국 북부와 몽고 경계에 있는 성(城) 이름. 중국 역대 왕조가 변방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한 성으로 진(秦) 시황제(始皇帝)가 완성함.
중국>진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전추(錢樞) - 전약수(錢若水)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냈으나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은퇴하여 명철보신(明哲保身)함.
960~100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전팽(籛彭) - 팽조(彭祖)
중국 고대의 선인(仙人). 《장자(莊子)》에 등장하는 인물로, 칠팔백 세를 살았다고 함.
중국>은ㅣ중국>하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전학돈(田學敦) - 지겸(志謙)
고려 의종(毅宗)~고종(高宗) 때의 승려.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를 지낸 전의(田毅)의 아들로, 최충헌(崔忠獻)에 의하여 왕사(王師)가 되어 선종(禪宗)을 크게 진흥시킴.
1145~122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종교인>승려
-
전한서(前漢書) - 한서(漢書)
중국 후한(後漢)의 반고(班固)가 기전체(紀傳體)로 엮은 전한(前漢)의 정사(正史). 120권. 고조(高祖)부터 왕망(王莽)까지 230년간의 역사 기록.
82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전함양부(前銜兩府)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전함양부소(前銜兩府所)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전함재추소(前銜宰樞所)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전호(殿虎) - 유안세(劉安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사마광(司馬光)의 제자. 간의대부(諫議大夫)로 직간(直諫)을 잘해 전상호(殿上虎)라는 별명을 얻음. 강직한 성품 때문에 평생 벽지(僻地)로 전전하며 귀양살이를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전획(展獲) - 유하혜(柳下惠)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사사(士師)의 직책을 수행할 때 세 번이나 쫓겨나면서도 직도(直道)를 견지하였던 고사로 유명하며, ‘화성(和聖)’으로 일컬어짐.
B.C.720~B.C.6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전횡도(田橫島) - 오호도(嗚呼島)
중국 청도(靑島) 동북쪽 발해만(渤海灣)에 있는 섬 이름. 한(漢) 나라 고조(高祖)가 천하를 통일하고 오호도에 숨어 있는 전횡(田橫)에게 귀순을 명하였는데, 전횡이 자살하자 이 섬에 있던 500여 명이 모두 자살한 이야기가 전해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절(節) - 권절(權節)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ㆍ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 등을 지냄. 세조(世祖)가 계유정난(癸酉靖難)에 동참할 것을 권했으나 귀머거리로 가장하여 응하지 않고, 이후 일생동안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1422~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절(節)@이절 - 이절(李節)
조선 전기의 유학. 구봉령(具鳳齡)과 교유하였으며, 구봉령이 그를 위해 지은 만사(挽詞)가 《백담집(栢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절(𥑇) - 한절(韓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군자감 첨정(軍資監僉正) 한치원(韓致元)ㆍ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 한치형(韓致亨)의 아버지로, 공조 정랑(工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절간(絶磵) - 익륜(益倫)
고려 후기의 승려. 천보산(天寶山) 회암사 주지(檜巖寺住持)로 있으면서 목은(牧隱) 이색(李穡), 양촌(陽村) 권근(權近)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절두산(切頭山) - 잠두봉(蠶頭峯)
서울 마포 일대의 한강변에 위치한 산 이름.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에 의해 천주교 박해가 시작되면서 이 곳에서 많은 신자들이 참수당함.
서울 , 지명>자연지명
-
절류곡(折柳曲) - 절양류곡(折楊柳曲)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 정남장군(征南將軍) 환이(桓伊)가 지은 악부(樂府). 버들가지를 꺾으면서 이별하는 아쉬운 정을 노래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절문(切問) - 박절문(朴切問)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정난공신(靖難功臣) 밀산군(密山君) 박중손(朴仲孫)의 아버지로, 교서 정자(校書正字)를 지내고,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추증됨.
13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절민(節愍) - 조숭문(趙崇文)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부정(副正) 조유(趙瑜)의 아들. 성삼문(成三問) 등의 단종(端宗) 복위사건에 연루되어 아들 조철산(趙哲山)과 함께 죽임을 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관인>무신
-
절부(節夫) - 한탁주(韓侂冑)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 여주 방어사(汝州防御使)ㆍ태사(太師) 등을 지냈으나, 재상 조여우(趙汝愚)를 배척하고 주희(朱熹)의 이학(理學)을 위학(僞學)으로 모는 등 국정을 천단함. 북벌(北伐)을 주장하여 출병하였다가 실패하자 사미원(史彌遠)에게 죽임을 당함.
1152~120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절비(節妃) - 신의왕후(神懿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正妃). 본관은 안변(安邊).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한경(韓卿)의 딸로 조선이 개국되기 전에 죽었으며, 소생은 정종(定宗)을 비롯한 6남 2녀임.
1337~1391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안변 , 인명>왕실>왕비
-
절비한씨(節妃韓氏) - 신의왕후(神懿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正妃). 본관은 안변(安邊).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한경(韓卿)의 딸로 조선이 개국되기 전에 죽었으며, 소생은 정종(定宗)을 비롯한 6남 2녀임.
1337~1391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안변 , 인명>왕실>왕비
-
절신(節信) - 왕부(王符)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인. 난세(亂世)에 세속과 영합하지 않고 은거하였으며 《잠부론(潛夫論)》을 지어 당시의 득실(得失)을 논함. 마융(馬融)ㆍ두장(竇章)ㆍ장형(張衡)ㆍ최원(崔瑗) 등과 교유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절암(絶菴) - 해초(海超)
조선 세조(世祖) 때의 승려. 《월인석보(月印釋譜)》를 편찬하고 《선종영가집언해(禪宗永嘉集諺解)》을 교정하였으며, 신숙주(申叔舟)ㆍ김시습(金時習) 등이 그를 읊은 시를 남김.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절야화(切也火) - 영천(永川)@경상도
경상도 남동부에 있는 지명. 동쪽으로 경주(慶州), 서쪽으로 대구(大丘)와 접함. 진산(鎭山)으로 모자산(母子山)이 있고, 사찰로 운부사(雲浮寺) 등이 있음.
경상도>영천(永川) , 지명>행정지명
-
절요(節要)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조선 문종(文宗) 때 김종서(金宗瑞) 등이 왕명으로 찬수(纂修)한 고려에 관한 편년체(編年體) 역사서. 기전체(紀傳體)인 《고려사(高麗史)》와 함께 고려에 관한 기본사료.
14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절요서(節要書) -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주희(朱熹)의 《주자대전(朱子大全)》에 실린 서간문(書簡文) 가운데 정수(精髓)만을 모아 편집한 선집(選集). 1561년(명종 16) 황준량(黃俊良)이 성주(星州)에서 초간(初刊)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간행됨.
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절의(節義) - 유성원(柳誠源)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ㆍ춘추관 기주관(春秋館記注官) 등을 지냄.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성삼문(成三問) 등과 단종 복위를 모의하다 발각되자 성균관에서 자결함.
?~145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절재(節齋)@채연 - 채연(蔡淵)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학자. 채원정(蔡元定)의 아들이며 채침(蔡沈)의 형으로, 《역상의언(易象意言)》ㆍ《주역경전훈해(周易經傳訓解)》를 저술함.
1156~123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절재(節齋)@유천봉 - 유천봉(劉天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조선의 개국공신(開國功臣) 유창(劉敞)의 아버지로, 안악 군사(安岳郡事)를 지내고 충근익대수의협찬보조공신(忠勤翊戴守義協贊褓祚功臣)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절재(節齋) - 김종서(金宗瑞)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무신. 육진(六鎭)을 설치하여 두만강(豆滿江)을 경계로 국경선을 확정함. 단종을 보필하다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참살당함.
1383~14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