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절재채씨(節齋蔡氏) - 채연(蔡淵)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학자. 채원정(蔡元定)의 아들이며 채침(蔡沈)의 형으로, 《역상의언(易象意言)》ㆍ《주역경전훈해(周易經傳訓解)》를 저술함.
1156~123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절지(節之) - 금의(琴儀)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봉화금씨(奉化琴氏)의 시조. 학문과 문장에 뛰어나 지공거(知貢擧)로 있을 때 많은 인재를 등용하였으며 벽상공신(壁上功臣)에 오름.
1153~123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절함견거(折檻牽裾) - 견거절함(牽裾折檻)
소매를 끌어당기고 난간을 부러뜨림. 삼국시대에 위 문제(魏文帝)의 옷자락을 끌어당기며 간언한 신비(辛毗)와, 한 성제(漢成帝) 때 끌려 나가면서 붙잡은 난간이 부러질 때까지 간언한 주운(朱雲)의 고사에서 온 말로, 임금의 위세에 굴하지 않고 직간(直諫)함을 뜻함.
중국>삼국시대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절현(絶絃) - 백아절현(伯牙絶絃)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음악가인 백아(伯牙)가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정확하게 이해해 주던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죽자 거문고 줄을 끊어 버리고 다시는 거문고를 타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 자기를 알아주는 절친한 벗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뜻.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절효(節孝)@서능 - 서릉(徐稜)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이천(利川). 시중(侍中)을 지냈으며, 절효(節孝)로 향현사(鄕賢祠)에 배향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절효(節孝)@성수종 - 성수종(成守琮)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성세순(成世純)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이라 하여 과방(科榜)에서 삭제된 후 벼슬에 뜻을 버리고 청빈하게 살음.
1495~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
-
절효(節孝) - 김시창(金始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 유학ㆍ효자(孝子). 본관은 금산(金山).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현량과(賢良科)에 피천(被薦)되었으나 나가지 않음.
1472~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문사>유학ㅣ인명>기타인명>효자
-
절효(節孝)@서적 - 서적(徐積)
중국 송(宋) 나라 영종(英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안정(安定) 호원(胡瑗)의 제자로, 선덕랑(宣德郞) 등을 지냄. 지극한 효성으로 유명하였으며, 저서에 《절효집(節孝集)》 등이 있음.
1028~110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절효(節孝)@김극일 - 김극일(金克一)@1382
조선 전기의 문신ㆍ효자.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냄. 효성이 지극하여 세종(世宗) 때 효자 정려(孝子旌閭)가 건립되고, 성종(成宗) 때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효자 비문(孝子碑文)이 세워짐.
1382~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절효선생(節孝先生) - 김극일(金克一)@1382
조선 전기의 문신ㆍ효자.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냄. 효성이 지극하여 세종(世宗) 때 효자 정려(孝子旌閭)가 건립되고, 성종(成宗) 때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효자 비문(孝子碑文)이 세워짐.
1382~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절효처사(節孝處士) - 김극일(金克一)@1382
조선 전기의 문신ㆍ효자.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냄. 효성이 지극하여 세종(世宗) 때 효자 정려(孝子旌閭)가 건립되고, 성종(成宗) 때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효자 비문(孝子碑文)이 세워짐.
1382~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점(坫) - 김점(金坫)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부령(扶寧). 기대승(奇大升)의 큰아들인 기효증(奇孝曾)의 장인. 연은전 참봉(延恩殿參奉)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관인>문신
-
점(坫)@이점 - 이점(李坫)
조선 성종(成宗)~종종(中宗) 때의 문신. 찰방(察訪) 이관의(李寬義)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과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내고, 몸가짐이 염간(廉簡)하여 청백리(淸白吏)로 일컬어짐.
1445~152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점(漸) - 박점(朴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박세정(朴世貞)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나 당쟁(黨爭)에 휘말려 삭탈관직 된 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점(點) - 신점(申點)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사은사(謝恩使)로 명 나라에 파견되었다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병부 상서 석성(石星)을 움직여 요동(遼東)의 군대 3,000명을 파견하게 함.
153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점마(點馬) - 오운(吳澐)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 이황(李滉)ㆍ조식(曺植)의 문인. 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으로 활동함.
1540~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점몰갈(粘沒喝) - 완안종한(完顔宗翰)
중국 금(金) 나라 태조(太祖)의 아들. 요(遼) 나라와 송(宋) 나라를 공략하는 데 활약함.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점역잠부(點易潛夫) - 홍유손(洪裕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김수온(金守溫)ㆍ김시습(金時習)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며 학문과 시율(詩律)을 논함. 무오사화 때 제주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남.
1452~152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문인
-
점역재(點易齋) - 양경우(梁慶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인 양대박(梁大樸)의 아들로, 부친을 따라 종군함. 1597년(선조 30)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ㆍ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56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점필(佔畢) - 김종직(金宗直)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道統)의 정맥으로 사림(士林)의 종주(宗主)가 됨. 〈조의제문(弔義帝文)〉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 됨.
143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점필재(佔畢齋) - 김종직(金宗直)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道統)의 정맥으로 사림(士林)의 종주(宗主)가 됨. 〈조의제문(弔義帝文)〉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 됨.
143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점필재시고(佔畢齋詩藁) - 점필재집(佔畢齋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김종직(金宗直)의 시문집(詩文集).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인하여 대부분의 저서가 불타버린 까닭에 〈조의제문(弔義帝文)〉은 수록되어 있지 않음.
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문헌>서명
-
점한(粘罕) - 완안종한(完顔宗翰)
중국 금(金) 나라 태조(太祖)의 아들. 요(遼) 나라와 송(宋) 나라를 공략하는 데 활약함.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접여(接輿) - 육통(陸通)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광인(狂人). 소왕(昭王) 때 나라에 법도가 없음을 보고 미친 척하며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논어(論語)》 〈미자편(微子篇)〉에 공자(孔子)의 집을 지나며 부른 봉가(鳳歌)가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정(侹)@이정 - 이정(李侹)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손자이며 안남군(安南君) 이수련(李壽鍊)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정(侹)@윤정 - 윤정(尹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여해(尹汝諧)의 아들로, 충좌위 대호군(忠佐衛大護軍) 등을 역임함.
1515~15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정(侹) - 왕정(王侹)
고려 고종(高宗) 때의 종친. 영인후(寧仁侯) 왕진(王稹)의 아들. 고려를 침략해 개성을 포위하던 몽고 장군 살례탑(撒禮塔)을 찾아가 화의를 맺고 물러가게 함.
?~123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정(凈) - 성정(性凈)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치재(耻齋) 홍인우(洪仁祐)가 1553년(명종 8)에 금강산을 유람할 때 만나 길 안내를 해주었는데, 그 내용이 《관동록(關東錄)》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고성 , 인명>종교인>승려
-
정(婷) - 월산대군(月山大君)
조선 전기의 종친. 추존왕 덕종(德宗)의 맏아들이며, 성종(成宗)의 형. 권신들의 농간에 의하여 왕위계승에서 밀려나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봉되자 자연 속에 은둔하여 조용히 여생을 보냄.
1454~14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ㅣ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정(挺)@문정 - 문정(文挺)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 서북면 대장군(西北面大將軍行) 문지원(文智遠)의 아들로, 대도독(大都督)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정(挺)@고려 - 이정(李挺)@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중대광(重大匡) 이계함(李季瑊)의 아들로, 성균관 좨주(成均館祭酒)ㆍ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냈고, 공민왕의 총애를 받아 내불당(內佛堂)을 감역함.
1297~136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정(挺) - 배정(裵挺)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찬성사(贊成事)를 지내고 수첨의정승(守僉議政丞)으로 치사(致仕)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정(挺)@유정 - 유정(柳挺)
고려 의종(毅宗)~고종(高宗) 때의 무신. 진주유씨(晉州柳氏)의 시조. 최충헌(崔忠獻)의 외조부로, 중서령(中書令) 좌우위(左右衛) 상장군(上將軍)에 이르렀고 진강부원군(晉康府院君)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정(挺)@조선 - 이정(李挺)@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증손으로, 기산 부수(岐山副守) 이저(李櫧)의 아들이며,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를 지낸 유순선(柳順善)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정(楨)@허정 - 허정(許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허백기(許伯琦)의 아버지로, 직제학(直提學)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정(楨) - 이정(李楨)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어려서는 규암(圭菴) 송인수(宋麟壽)로부터 배우고 성장한 뒤에는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홍문관 부제학에 제수되었으나 사천(泗川)에 구암정사(龜巖精舍)를 짓고 후진양성에 힘씀.
1512~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楨)@왕정 - 왕정(王楨)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 때의 종친. 순비허씨(順妃許氏)가 충선왕(忠宣王)에게 재가하기 전에 낳은 아들이며, 서방(西方) 오랑캐인 적제(狄鞮)의 말을 잘하여 석위(席衛)의 행차에 참석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정(正)@신정 - 신정(愼正)
조선 전기의 유학. 《고봉집(高峯集)》에 기대승(奇大升)의 화답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正) - 문정(文正)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오산군(烏山君) 문장창(文章昶)의 아들. 수충 찬화공신(輸忠贊化功臣)에 책록되었고, 선종(宣宗)의 묘정(廟庭)에 배향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淨) - 김정(金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정치개혁에 힘썼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으로 인해 사사(賜死)됨.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정(渟) - 윤정(尹渟)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희천(尹希天)의 아들로,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낸 윤희성(尹希聖)에게 출계함.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친 후에 이조 정랑을 지냄.
153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瀞)@하정 - 하정(河瀞)
조선 후기의 학자.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인 박태무(朴泰茂)의 스승.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학자
-
정(瀞) - 이정(李瀞)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재령(載寧). 조식(曹植)의 문인(門人)으로, 임진왜란 때 창의함.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냈으며, 사후에 대각사(大覺祠)에 배향됨.
1541~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정(炡)@신정 - 신정(申炡)
조선 후기의 유학. 숙함(叔咸) 송덕상(宋德相)의 문인으로, 역적으로 몰린 송덕상을 신원하기 위해 몰래 일을 꾸미다 발각되어 귀양감.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정(炡) - 박정(朴炡)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참찬(左參贊) 박동선(朴東善)의 아들로, 인조반정에 참가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이 되고, 이조 참판(吏曹參判)ㆍ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등을 지냄.
1596~163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珽) - 김정(金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정(金淨)의 문인(門人). 중부 참봉(中部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호은정(壺隱亭)을 지어 놓고 소요함.
150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珽)@장정 - 장정(張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무재(武才)를 발휘하여 이름을 떨쳤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진성대군(晉成大君)의 사저를 호위한 공으로 정국 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음.
?~150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정(珽)@안정 - 안정(安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낸 안처선(安處善)의 아들.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곤양(昆陽)으로 유배되었다가 사면되었으며, 특히 그림에 뛰어나 매화와 대나무를 잘 그렸음.
149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정(珽)@이정 - 이정(李珽)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익하(李翊夏)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등을 지냄.
1659~169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정(珽)@박정 - 박정(朴珽)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판삼사사(判三司事) 박충좌(朴忠佐)의 아들로, 찬성(贊成)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정(禎)@이정 - 이정(李禎)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운후(李云侯)의 아들로, 선산 부사(善山府使) 등을 지냄. 영변부 판관(寧邊府判官) 때 건주위(建州衛)의 침략에 대비하고 모련위(毛憐衛) 정벌 때 공을 세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무신
-
정(禎)@노정 - 노정(盧禎)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예문관 응교(藝文館應敎) 노분(盧昐)의 손자이며, 대사헌(大司憲) 노진(盧禛)의 사촌 형으로, 노진에게 학문을 가르침. 양희(梁喜)ㆍ이후백(李後白)과 함께 도의와 학문을 닦아 영남의 삼걸(三傑)로 불림.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정(禎) - 김정(金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김언거(金彦琚)의 아버지로, 의주 교수(義州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정(綎) - 유정(劉綎)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유현(劉顯)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참전하여 동일원(董一元)과 함께 제독(提督)의 직책을 수행하면서 크게 활약함. 후에 요동(遼東)에서 후금(後金)을 정벌하던 중 전사함.
?~161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정(証) - 문정(文証)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순평부원군(順平府院君) 문유필(文惟弼)의 아들로, 검교추밀원사(檢校樞密院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정(貞) - 누사덕(婁師德)
중국 당(唐) 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 때의 문신. 재상(宰相)으로 있으면서 30여 년 동안 정사를 돌보고 변방의 요지(要地)를 총괄함. 인덕(仁德)을 지녀 칭송을 받음.
630~69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貞)@유정 - 유정(柳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파직되고, 이홍윤(李洪胤)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되었음.
1491~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정(貞)@주모 - 주모(周謨)@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 주의(周顗)ㆍ주숭(周嵩)의 아우로, 소부(少府)ㆍ중호군(中護軍)을 지내고 서평후(西平侯)에 봉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貞)@심정 - 심정(沈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해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고 화천군(花川君)에 봉해졌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조광조(趙光祖) 등을 숙청함.
1471~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貞)@사마정 - 사마정(司馬貞)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문신ㆍ사학자. 홍문관 학사(弘文館學士) 등을 지냈으며, 《사기(史記)》의 주석서인 《사기색은(史記索隱)》을 저술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貞)@민정 - 민정(閔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참군(參軍) 민징원(閔澄源)의 아들이며,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민상안(閔祥安)의 아버지. 1450년(문종 즉위)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ㆍ원주 목사(原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정(鋥) - 이정(李鋥)
조선 후기의 종친. 종종(中宗)의 여덟 째 아들인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장남이며, 선조(宣祖)의 형. 임진왜란 때 분의복수군(奮義復讐軍)에 가담하여 적극 활약하였음.
1545~159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정(霆) - 이정(李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ㆍ화가. 세종(世宗)의 현손이자, 익주군(益州君) 이지(李枝)의 아들로, 석양군(石陽君)에 봉해짐. 시ㆍ서ㆍ화에 능하고, 특히 묵죽화(墨竹畫)에 뛰어나 명성을 떨침.
1541~162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정(靖)@서정 - 서정(徐靖)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판장작감사(判將作監事) 서균(徐鈞)의 아버지로,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이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정(靖) - 선왕(宣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1대 왕. 재위 B.C.827~B.C.782. 여왕(厲王)이 쫓겨난 지 10여 년 후에 즉위함. 선대 여러 왕의 유업을 계승하여 제후들로부터 추대를 받고 중흥의 시기를 누리기도 하였으나, 만년에 정치를 게을리하여 국운이 쇠함.
?~B.C.782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정(靖)@조선 - 이정(李靖)@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양녕대군(讓寧大君)의 넷째 아들인 고정부정(古丁副正) 이겸(李謙)의 외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정(靖)@당 - 이정(李靖)@당
중국 수(隋) 말~당(唐) 초의 명장. 처음에는 수 나라를 섬겼으나, 당 나라 태종(太宗) 때 행군총관(行軍總管)이 되어 돌궐(突厥) 등 서역(西域)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움.
571~649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정(鼎)@남정 - 남정(南鼎)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1462년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한 후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를 지냈음. 김종직(金宗直)의 《점필재집(佔畢齋集)》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정(鼎) - 김정(金鼎)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양광전라 찰방사(楊廣全羅察訪使)를 지냈으며, 추성보리공신(推誠輔理功臣) 광성군(光城君)에 봉해졌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鼎)@윤정 - 윤정(尹鼎)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고 특히 《주역(周易)》에 뛰어났으며, 민기(閔箕)ㆍ허엽(許曄)ㆍ이항(李恒)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함.
1490~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
-
정^곤(貞^袞) - 곤^정(袞^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남곤(南袞)과 심정(沈貞)을 함께 부르는 말.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킨 주역으로,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 사류와 대립하는 훈구파(勳舊派)의 대표 인물.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ㅣ경상도>안동 , 사상>술어>관용어
-
정^노(鄭^盧) - 노^정(盧^鄭)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인 노식(盧植)과 정현(鄭玄)을 함께 부르는 말. 모두 마융(馬融)의 제자로, 흔히 후한의 명유(名儒)를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정^모(鄭^毛) - 모^정(毛^鄭)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 모형(毛亨)과 후한(後漢)의 학자 정현(鄭玄)을 함께 부르는 말. 《시경(詩經)》의 대표적인 주석가(註釋家)를 가리킴.
중국>후한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정가(正嘉) - 송서(宋瑞)
고려 공민왕(恭愍王)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분(宋玢)의 아들로, 조일신(趙日新)이 인사를 천단할 때 우정승(右政丞)을 지냄.
?~135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정가(靜可) - 이열도(李閱道)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굉(李宏)의 아들로, 종조부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1576년(선조 9)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1538~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정각(丁閣) - 정자각(丁字閣)
제전(祭殿)ㆍ왕릉(王陵)ㆍ원(園) 등의 바로 앞에 짓는 ‘정(丁)’ 자 형태의 침전(寢殿).
유적>건물>기타건물
-
정각국사(靜覺國師) - 지겸(志謙)
고려 의종(毅宗)~고종(高宗) 때의 승려.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를 지낸 전의(田毅)의 아들로, 최충헌(崔忠獻)에 의하여 왕사(王師)가 되어 선종(禪宗)을 크게 진흥시킴.
1145~122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종교인>승려
-
정간(定簡) - 최현(崔晛)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전주(全州).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선조실록(宣祖實錄》편찬에 참여하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간(正簡) - 이수언(李秀彦)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 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며 이선(李選)ㆍ이이명(李頤命)ㆍ이여(李畬)와 함께 대표적인 노론(老論)으로 꼽힘. 청주의 국계사(菊溪祠)에 배향됨.
1636~169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간(正簡)@이선 - 이선(李選)@조선후기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우의정(右議政) 이후원(李厚源)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1673년(현종 14) 노산군(魯山君)의 묘소에 시제(時祭)하고 황보인(皇甫仁)ㆍ김종서(金宗瑞) 등의 신원(伸寃)을 상소함.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還局) 때 기장(機張)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632~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정간(貞幹) - 이정간(李貞幹)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원종공신(原從功臣) 이구직(李丘直)의 맏아들로, 음보(蔭補)로 등용되어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냄.
1360~143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허후 - 허후(許詡)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조(許稠)의 아들로,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황보인(皇甫仁)ㆍ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단종을 보위하다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거제도(巨濟島)에 유배된 후 교살(絞殺)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정문 - 정문(鄭文)
고려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초계정씨(草溪鄭氏)의 시조인 정배걸(鄭倍傑)의 아들로, 10여 년 동안 형조(刑曹)를 맡아 일을 잘 처리함. 송(宋)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110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 - 원호(元昊)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세조가 집권하자 원주(原州)에 은거하였으며 단종(端宗)이 죽자 삼년상을 치른 후 칩거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회산군 - 회산군(檜山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다섯째 아들. 숙의(淑儀) 남양홍씨(南陽洪氏) 소생으로, 김굉필(金宏弼)에게 가르침을 받음. 연산군(燕山君) 때 궁전(宮田)을 반납했다가 중중(中宗)이 즉위하자 노비(奴婢)와 전답(田畓)ㆍ사저(私邸)를 하사받음.
1481~151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정간(貞簡)@조언수 - 조언수(趙彦秀)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방좌(趙邦佐)의 아들이자 조사수(趙士秀)의 형으로, 명종(明宗) 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으로 책록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497~15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이지완 - 이지완(李志完)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시문(詩文)에 능하여 1606년(선조 39) 중국 사신 주지번(朱之蕃)이 왔을 때 이호민(李好閔)ㆍ허균(許筠) 등과 접반함. 이이첨(李爾瞻)과 사돈을 맺고 권력을 탐해 사람들의 비난을 받음.
1575~161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이맹전 - 이맹전(李孟專)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계유정난(癸酉靖難)이 일어나자 고향인 선산(善山)으로 내려가 평생 두문불출하며 단종에 대한 절개를 지킴.
1392~14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이목 - 이목(李穆)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교유함. 무오사화 때 조의제문(弔義帝文)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고,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중종 때 신원됨.
1471~14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이명 - 이명(李蓂)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이보간(李輔幹)의 아들로, 권신(權臣) 이기(李芑)를 탄핵하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화를 입은 사람들의 신원(伸寃)을 주장함. 좌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96~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임호신 - 임호신(任虎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대사간(大司諫) 임추(任樞)의 아들. 형조 판서(刑曹判書)ㆍ호조 판서(戶曹判書)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내고, 정미약조(丁未約條)의 체결을 반대함.
1506~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임영대군 - 임영대군(臨瀛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 무예와 의론(議論)에 뛰어나 세종 때 총통(銃筒) 제작을 감독하고, 문종(文宗) 때 화차(火車)를 제작하였으며, 세조(世祖)를 잘 보좌하여 신임을 받음.
1418~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정간(貞簡)@이정 - 이정(李淨)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아들. 어명으로 덕성군(德城君)의 후사로 입계(入繼)되었으나, 후사가 없어 형 정양군(定陽君)의 3남인 황원정(黃原正)을 후사로 삼았다
1445~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정간(貞簡)@정탁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오겸 - 오겸(吳謙)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로, 부사(府使)를 지낸 오세훈(吳世勳)의 아들. 유우(柳藕)의 문인으로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49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김영후 - 김영후(金永煦)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영돈(金永暾)의 동생. 충혜왕(忠惠王)이 원(元) 나라로 잡혀갈 때 호위함.
1292~136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박한주 - 박한주(朴漢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처형당함. 정여창(鄭汝昌)ㆍ김굉필(金宏弼)과 함께 필문삼현(畢門三賢)으로 불림.
1459~150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벽동 , 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유상조 - 유상조(柳相祚)
조선 순조(純祖)~헌종(憲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도사(都事)를 지낸 유종춘(柳宗春)의 아들로, 1794년(정조 18)에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ㆍ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을 지냄.
1763~18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조호익 - 조호익(曺好益)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칭병으로 관직을 거절하다가 유배되었으나 유배지에서 학문 및 후학 양성에 힘써 학풍을 크게 진작시킴.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워 여러 관직을 제수받지만 대부분 사직함.
1545~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이관징 - 이관징(李觀徵)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연안(延安).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삭출됨. 해서(楷書)에 능했으며 만년에는 김생(金生)의 필법을 연구함.
1618~16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