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도왕(定陶王) - 공황제(恭皇帝)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의 둘째 아들. 아들 애제(哀帝)가 황위에 오른 뒤 공황제(恭皇帝)로 추존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정독만달아(鄭禿滿達兒) - 정독만달(鄭禿滿達)
중국 원(元) 나라 성종(成宗)~문종(文宗) 때의 환관. 고려 후기의 유학인 정인(鄭仁)의 아들로, 충렬왕(忠烈王) 때 원 나라로 가서 휘정사(徽政使)ㆍ연경사(延慶使)를 거쳐 제조장알사사(提調掌謁司事)에 오름.
1290~? 중국>원 , 중국ㅣ경상도>하동 , 인명>관인>환관
-
정동계(鄭桐溪) - 정온(鄭蘊)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이 부당하다고 주장하다가 유배됨. 병자호란 때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斥和)를 주장하다가 사직한 후 덕유산(德裕山)에 들어가 은거함.
1569~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창ㅣ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문신
-
정동명(鄭東溟) - 정두경(鄭斗卿)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온양(溫陽). 이항복(李恒福)의 문인으로, 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을 지내고 대제학(大提學)에 추증됨.
1597~167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정동서원(定洞書院) - 신항서원(莘巷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충청도 청주(淸州)에 건립한 서원. 현종(顯宗) 때 사액(賜額)되고, 이색(李穡)ㆍ이이(李珥)ㆍ김정(金淨) 등을 배향함.
157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정동학칙(程董學則) - 정동이선생학칙(程董二先生學則)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단몽(程端蒙)과 동수(董銖)가 만든 학칙(學則). 10세 이상의 아동들이 외부의 스승에게 나아가 배울 때 준수해야 할 규범을 담고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정란(庭蘭) - 안정란(安庭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안당(安塘)의 서얼 증손으로, 중국말에 능하여 윤근수(尹根壽)ㆍ김성일(金誠一)의 명(明) 나라 사행(使行) 때 동행하였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사련(宋祀連)의 무덤을 파 시신을 훼손시킴.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정랑(呈琅) - 이정랑(李呈琅)
조선 전기의 종친.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의 장인. 1549년(명종 4) 이홍윤(李洪胤)의 옥사에 연루되어 처형되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정렬(貞烈)@경복흥 - 경복흥(慶復興)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기철(奇轍)을 숙청하여 1등 공신에 책록되고, 홍건적을 물리친 공으로 진충동덕협보공신(盡忠同德協輔功臣)의 호를 받음. 신돈(辛旽)을 제거하려다 유배되었으나, 신돈이 주살된 후 다시 좌시중(左侍中)이 됨.
?~1380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렬(貞烈)@이규 - 이규(李揆)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의 아들. 우대언(右代言)ㆍ첨의 참리(僉議參理) 등을 지내고, 충혜왕의 묘정(廟廷)에 배향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정렬(貞烈) - 김륜(金倫)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렬왕ㆍ충혜왕(忠惠王) 등을 시종해 원(元) 나라에 가 외교문제를 해결함.
1277~134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렬(貞烈)@조련 - 조련(趙璉)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조인규(趙仁規)의 아들이며, 조선의 개국공신인 조준(趙浚)의 할아버지. 충숙왕 때 찬성사(贊成事)를 지냄.
?~1322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정렬(貞烈)@송송례 - 송송례(宋松禮)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원종 때 문하성 직사(門下省直事)로서 홍규(洪奎)와 함께 권신 임유무(林惟茂)를 죽이고 왕정(王政)을 복고시켰으며, 찬성사 중찬(贊成事中贊) 등을 역임함.
?~128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정렬(貞烈)@남효온 - 남효온(南孝溫)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수학함.
1454~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정렬(貞烈)@영풍군 - 영풍군(永豊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덟 번째 서자. 금성대군(錦城大君)과 순흥 부사 이보흠(李甫欽) 등의 단종복위 기도에 연루되어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가 살해됨.
1434~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정렴(鄭磏) - 정렴(鄭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유의(儒醫). 천문ㆍ지리ㆍ의서ㆍ복서(卜筮) 등에 두루 능통했고, 특히 약의 이치와 음률에 밝았음.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냄.
1505~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례(正禮) - 귀숭경(歸崇敬)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문신.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낸 귀등(歸登)의 아버지로,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냄. 저서로 《귀숭경집(歸崇敬集)》등이 있음.
712~79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로(廷老)@우세신 - 우세신(禹世臣)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우엄(禹淹)의 아들로, 1552년(명종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종부시 정(宗簿寺正) 등을 지냄.
1518~159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정로(廷老) - 요간(饒幹)
중국 남송(南宋) 때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장사현(長沙縣)의 지사(知事)를 지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로(正老) - 이순수(李順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유언(李幼彦)의 아들이며, 능평군(綾平君) 구희경(具希璟)의 사위로, 군기시 정(軍器寺正) 등을 지냄.
150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정로(靜老) - 조광조(趙光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주창하며 급진적인 개혁정책을 시행하였으나 훈구(勳舊) 세력이 일으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죽임을 당함.
1482~15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룡(廷龍) - 김정룡(金廷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서계(西溪) 김담수(金聃壽)의 아들이며,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풍기 군수(豊基郡守)ㆍ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냈음.
1561~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ㅣ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정릉(定陵) - 환조(桓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 도조(度祖) 이춘(李椿)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공을 세워 삭방도 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됨. 태조가 등극하자 환왕(桓王)으로, 태종(太宗) 때 다시 환조(桓祖)로 추존됨.
1315~1360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정릉(正陵) -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고려 제31대 공민왕(恭愍王)의 정비(正妃). 원(元) 나라의 황족(皇族)인 위왕(魏王)의 딸.
?~1365 한국>고려후기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정릉(貞陵) - 신덕왕후(神德王后)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계비(繼妃). 본관은 신천(信川). 상산부원군(象山府院君) 강윤성(康允成)의 딸로, 태조가 즉위하자 현비(顯妃)에 책봉됨.
?~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포천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정릉(靖陵)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정릉(靜陵) - 질제(質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9대 황제. 재위 145~146. 장제(章帝)의 현손이고 발해왕(渤海王) 유홍(劉鴻)의 아들. 충제(冲帝) 때 즉위하여 1년 만에 독살당함.
138~146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정립(廷立) - 이정립(李廷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으로 기축옥사(己丑獄死)를 다스린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이 되었고,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대사성(大司成) 등을 역임함.
1556~159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정립(挺立) - 오정립(吳挺立)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부훤당(負暄堂) 오상(吳祥)의 맏형인 오경(吳慶)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정만헌(丁晩軒) - 정염(丁焰)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정황(丁熿)의 문인. 1560년(명종 1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내고,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현계서원(玄谿書院)에 배향됨.
1524~160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매촌(鄭梅村) - 정복현(鄭復顯)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우후(虞侯) 정신(鄭愼)의 아들. 정희보(鄭希輔)ㆍ조식(曺植)의 문인으로 노진(盧禛)ㆍ양희(梁喜) 등과 교유함.
1521~159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정면(廷冕) - 이정면(李廷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호조 참의(戶曹參議) 이민각(李民覺)의 아들로, 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냄.
155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정명(淨名)@유마힐 - 유마힐(維摩詰)
석가(釋迦)의 속제자(俗弟子). 인도 비사리국(毗舍離國)의 장자(長者)로, 속가에 있으면서 보살(菩薩)의 행업을 닦았으며, 그 수행이 높아서 불자제로도 미칠 수 없었다고 함.
고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정명(貞命) - 표정명(表貞命)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신창(新昌).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낸 표빈(表贇)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문사>유학
-
정명도(程明道) - 정호(程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 정향(程珦)의 아들로, 아우 정이(程頤)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 나라 이학(理學)의 기초를 마련함.
1032~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목(貞穆) - 이맹전(李孟專)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계유정난(癸酉靖難)이 일어나자 고향인 선산(善山)으로 내려가 평생 두문불출하며 단종에 대한 절개를 지킴.
1392~14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정목(靖穆) - 이주(李澍)@1534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명종 때 성균관(成均館)의 유생(儒生)으로서 보우(普雨)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림. 아들 이광정(李光庭)의 공으로 영의정에 추증됨.
1534~158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정몽란(鄭夢蘭)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몽룡(鄭夢龍)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묘(丁卯) - 허혼(許渾)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영주 자사(郢州刺史) 등을 지냈으나 몸이 병약하여 윤주(潤州)의 정묘교(丁卯橋) 촌사로 낙향함. 율시(律詩)에 뛰어나고, 시국을 우려하는 내용의 시를 많이 지음.
791~85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묘(定廟) - 정종(定宗)@조선
조선 제2대 왕. 재위 1398~1400. 태조(太祖)와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소생. 고려 후기에 아버지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전공을 세우고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위에 올랐지만, 골육상쟁의 재현을 우려하여 정안군(靖安君)을 세자로 삼고 양위함.
1357~14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정묘(正廟) - 정조(正祖)
조선 제22대 왕. 재위 1776~1800. 숙종(肅宗)ㆍ영조(英祖)의 탕평론을 이어받아 재위 초부터 민산(民産)ㆍ인재(人才)ㆍ융정(戎政)ㆍ재용(財用) 등의 부문별로 왕정체제를 강화하여 위민정치를 실현하고자 매진함.
1751~18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정묘(貞廟) - 희종(熙宗)
고려 제21대 왕. 재위 1204~1211. 신종(神宗)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정화태후 김씨(靖和太后金氏).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폐위되고, 최우(崔瑀)에 의해 강화로 유배됨.
1181~123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정묘(靖廟)@효원황후 - 효원황후(孝元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추존(追尊) 왕비. 영제(靈帝)의 조모(祖母)이며 효원황(孝元皇)의 아내로, 영제가 즉위하자 효원후(孝元后)로 추존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정묘(靖廟)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정묘란(丁卯亂) - 정묘호란(丁卯胡亂)
조선 인조(仁祖) 5년에 후금(後金)의 침입으로 일어난 조선과 후금 사이의 전쟁. 인조의 친명배금(親明排金) 정책과 후금으로 달아난 이괄(李适) 잔당들의 부추김으로 인해 발발하여, 두 달여 간의 싸움 끝에 화의(和議)를 맺고 끝남.
1627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정묘변(丁卯變) - 정묘호란(丁卯胡亂)
조선 인조(仁祖) 5년에 후금(後金)의 침입으로 일어난 조선과 후금 사이의 전쟁. 인조의 친명배금(親明排金) 정책과 후금으로 달아난 이괄(李适) 잔당들의 부추김으로 인해 발발하여, 두 달여 간의 싸움 끝에 화의(和議)를 맺고 끝남.
1627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정묘시집(丁卯詩集) - 정묘집(丁卯集)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ㆍ문신인 허혼(許渾)의 시집. 2권. 책명은 허혼이 윤주(潤州)의 정묘교(丁卯橋) 촌사에서 시작(詩作)을 한 데서 붙여진 명칭이며, 총 500편의 시가 실려 있는데, 대부분 만당(晩唐)의 시국을 우려하는 내용임.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정묘일기(丁卯日記) - 덕계일기(德溪日記)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ㆍ문신인 오건(吳健)이 조정(朝廷)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 기록한 일기.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정묘지란(丁卯之亂) - 정묘호란(丁卯胡亂)
조선 인조(仁祖) 5년에 후금(後金)의 침입으로 일어난 조선과 후금 사이의 전쟁. 인조의 친명배금(親明排金) 정책과 후금으로 달아난 이괄(李适) 잔당들의 부추김으로 인해 발발하여, 두 달여 간의 싸움 끝에 화의(和議)를 맺고 끝남.
1627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정묘지변(丁卯之變) - 정묘호란(丁卯胡亂)
조선 인조(仁祖) 5년에 후금(後金)의 침입으로 일어난 조선과 후금 사이의 전쟁. 인조의 친명배금(親明排金) 정책과 후금으로 달아난 이괄(李适) 잔당들의 부추김으로 인해 발발하여, 두 달여 간의 싸움 끝에 화의(和議)를 맺고 끝남.
1627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정묘지역(丁卯之役) - 정묘호란(丁卯胡亂)
조선 인조(仁祖) 5년에 후금(後金)의 침입으로 일어난 조선과 후금 사이의 전쟁. 인조의 친명배금(親明排金) 정책과 후금으로 달아난 이괄(李适) 잔당들의 부추김으로 인해 발발하여, 두 달여 간의 싸움 끝에 화의(和議)를 맺고 끝남.
1627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정무(貞武) - 기건(奇虔)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학행으로 이름이 높아 세종 때 포의(布衣)로 발탁되어 지평(持平)에 제수됨.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端宗)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오르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끝까지 절개를 지킴.
?~146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정무(貞武)@박호문 - 박호문(朴好問)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1419년(세종 1) 무과(武科)에 급제하고 삭주 절제사(朔州節制使) 등을 지냄. 1452년(단종 즉위년)에 함길도 도절제사(咸吉道都節制使)가 되어 부임하였으나 이징옥(李澄玉)에게 살해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무신
-
정묵(靜默) - 박제인(朴齊仁)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조식(曺植)의 문하에서 최영경(崔永慶)ㆍ하항(河沆)ㆍ김면(金沔) 등과 함께 수학함. 군위 현감(軍威縣監)ㆍ제용감 판관(濟用監判官)을 지냄.
1536~16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정문(貞文) - 홍석(洪錫)@조선후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김상헌(金尙憲)의 문인으로,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太白山) 춘양(春陽)에 은거하여 강흡(姜洽)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후에 세자익위사 사어(世子翊衛司司禦)를 지냄.
1604~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문(貞文)@오내 - 오내(吳萊)
중국 원(元) 나라의 시인. 지방관의 추천을 받아 춘시(春試)에 응시하였으나 급제하지 못하고‚ 이후 심뇨산(深裊山)에 은거하며 독서와 저술에 전념함. 저서로는 제자인 송렴(宋濂)이 펴낸 《연영오선생집(淵潁吳先生集)》과 《맹자제자열전(孟子弟子列傳)》등이 있음.
1297~1340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정문간(鄭文簡) - 정온(鄭蘊)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이 부당하다고 주장하다가 유배됨. 병자호란 때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斥和)를 주장하다가 사직한 후 덕유산(德裕山)에 들어가 은거함.
1569~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창ㅣ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문신
-
정문봉(鄭文峯) - 정유일(鄭惟一)@1533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한 뒤 대사간(大事諫)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시부(詩賦)에 뛰어났으며, 성리학에 있어서는 퇴계설(退溪說)을 발전시킴.
1533~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문익(鄭文翼) - 정광필(鄭光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 정난종(鄭蘭宗)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영의정(領議政)으로 조광조(趙光祖) 등을 구하려다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로 좌천되었으며, 후에 다시 영의정에 오름.
1462~153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정문장(鄭文莊) - 정경세(鄭經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대제학(大提學)을 지냄.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음.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문청(鄭文淸)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문충(鄭文忠)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문헌(鄭文獻) - 정여창(鄭汝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가서 죽음. 성리학의 대가로 경사(經史)에 통달함.
1450~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민(正愍) - 여대방(呂大防)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동생인 여대림(呂大臨) 등과 함께 도(道)를 논하고 예(禮)를 연구하여 향약(鄕約)을 제정함.
1027~109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愍)@이종 - 이종(李踵)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아들로, 태종의 세 번째 서자인 온녕군(溫寧君) 이정(李裎)에게 출계함.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1506년(연산군 12) 아들들과 함께 죽음을 당함.
?~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정민(貞愍) - 송현수(宋玹壽)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단종의 장인. 본관은 여산(礪山). 1457년(세조 3) 금성대군(錦城大君)이 사사된 뒤 주살(誅殺)됨.
?~14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정민(貞愍)@이해 - 이해(李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대사헌(大司憲) 때 권신 이기(李芑)의 우의정 임용을 반대하다 탄핵되었으며, 무고 사건에 연좌된 구수담(具壽聃)의 일파로 몰려 귀양가던 도중 양주(楊州)에서 병사함.
1496~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愍)@금성대군 - 금성대군(錦城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섯째 아들.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인 의안대군(宜安大君) 이방번(李芳蕃)의 후사로 출계함. 수양대군(首陽大君)에 맞서 조카 단종(端宗)을 보호하다가 삭녕(朔寧)에 유배된 후, 단종복위를 모의한 일이 실패하여 처형당함.
1426~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정민(貞愍)@안당 - 안당(安瑭)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우의정ㆍ영중추부사 등을 지냄.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아들 안처겸(安處謙)ㆍ안처근(安處謹)과 함께 사사(賜死) 되었으나, 명종(明宗) 때 복관됨.
1461~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愍)@원숙강 - 원숙강(元叔康)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호(元昊)의 손자. 《세조실록(世祖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는데 문젯거리가 될 사초를 빼내어 고쳤다가 사실이 발각되어 처형당함.
?~146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愍)@임해군 - 임해군(臨海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첫째 서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포로가 되었다가 석방됨. 동생 광해군(光海君)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4~160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정민(貞愍)@복성군 - 복성군(福城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서자. 경빈박씨(敬嬪朴氏)의 소생으로, 1533년(중종 28) 작서(灼鼠)의 변(變) 때 모자가 함께 사사(賜死)되었다가 1541년(중종 36)에 신원(伸寃)됨.
1509~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정민(貞敏)@문정 - 문정(文証)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순평부원군(順平府院君) 문유필(文惟弼)의 아들로, 검교추밀원사(檢校樞密院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敏)@유진동 - 유진동(柳辰仝)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ㆍ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역임했음. 문사(文詞)에 뛰어났으며, 죽화(竹畵)를 잘 그렸음.
1497~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敏)@함녕군 - 함녕군(咸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서자. 신빈(信嬪) 신씨(辛氏)의 소생으로, 세종(世宗) 때 계품사(計稟使)로서 중국에 가서 금ㆍ은의 공물을 면제받고 돌아옴.
1402~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정민(貞敏) - 백간미(白簡美)
고려 성종(成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무신. 육조(六朝)에 걸쳐 벼슬을 지내고 영해(寧海)로 낙향하였으며, 문종이 여러 차례 불렀으나 응하지 않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敏)@강흡 - 강흡(姜洽)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장생(金長生)ㆍ신흠(申欽)에게 사사(師事)하고, 현감(縣監) 등을 지냄.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太白山)에 은거하여 심장세(沈長世)ㆍ홍석(洪錫)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일컬어짐.
1602~16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敏)@신공제 - 신공제(申公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씀.
1469~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敏)@장운익 - 장운익(張雲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우의정(右議政) 장유(張維)의 아버지.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扈從)하고, 정유재란 때 접반사(接伴使)가 되어 명(明) 나라 제독 마귀(麻貴)를 영접한 공이 있어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좌찬성(左贊成)에 증직됨.
1561~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敏)@심장세 - 심장세(沈長世)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병자호란(丙子胡亂)의 굴욕적인 강화 이후 강흡(姜洽)ㆍ홍석(洪錫) 등과 태백산 춘양(春陽)에 은거하며 학문을 닦아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정민(靖敏) - 윤흔(尹昕)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亂)ㆍ정묘호란(丁卯胡亂)ㆍ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64~16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정반자(淨飯子)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정방(庭芳) - 호일계(胡一桂)
중국 원(元) 나라 문종(文宗) 때의 학자. 호방평(胡方平)의 아들로, 주희(朱熹)의 학문을 종주로 하여 도학(道學)을 강학하였으며, 역학(易學)에 정통하여 《역본의부록찬소(易本義附錄纂疏)》ㆍ《역학계몽익전(易學啓蒙翼傳)》 등을 저술함.
124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방(廷芳) - 민전(閔荃)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홍문관 전한(弘文館典翰)ㆍ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등을 지내고, 1550년(명종 5)에 봉상시 정(奉常寺正)으로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안위(安瑋)와 함께 《경국대전(經國大典)》의 주해관(註解官)에 임명되어 주해 작업을 맡음.
149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정백(井伯)@임성백 - 임성계(林成季)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흥국군 판관(興國軍判官)을 지냈고, 주희(朱熹)와 교유하였으며 저서로 《애헌가전(艾軒家傳)》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백(井伯) - 백리해(百里奚)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목공(穆公) 때의 대부. 목공을 패주(霸主)의 지위로 이끄는 데 지대한 공을 세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정백(定伯) - 나천서(羅天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이성계(李成桂)가 요동을 정벌하고 귀환할 때 아사지경(餓死之境)에 이른 군사를 생환시킨 공으로 안정백(安定伯)에 봉해짐. 안정나씨(安定羅氏)의 시조.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무신
-
정백(庭柏) - 이정백(李庭柏)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문인인 이정회(李庭檜)의 동생.
155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정백(鄭伯)@문공 - 문공(文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제후. 재위 B.C.672~B.C.637. 여공(厲公)의 아들로, 진(晉) 나라 문공(文公)이 망명할 때에 잘 접대하지 않고 치욕을 주어 문공이 중원의 패자가 된 후에 소인배로 지목받아 토벌 대상이 됨.
?~B.C.63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정백(鄭伯) - 장공(莊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제후. 무공(武公)의 아들. 탁월한 지략과 수완으로 친동생 공숙단(共叔段)이 친모 무강(武姜)과 짜고 반역을 일으키자 일거에 진압하고, 뛰어난 명신들의 보좌를 받으면서 정 나라의 전성기를 구가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정백순(程伯淳) - 정호(程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 정향(程珦)의 아들로, 아우 정이(程頤)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 나라 이학(理學)의 기초를 마련함.
1032~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백순(程伯醇) - 정호(程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 정향(程珦)의 아들로, 아우 정이(程頤)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 나라 이학(理學)의 기초를 마련함.
1032~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백욱(鄭伯勗) - 정여창(鄭汝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가서 죽음. 성리학의 대가로 경사(經史)에 통달함.
1450~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벽오(丁碧梧) - 정선(丁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광(靈光). 정세명(丁世明)의 아들로 교감(校勘)을 지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되고, 이후 향리로 퇴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정보(定甫) - 권우(權宇)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생원 권대기(權大器)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에 밝았고 광해군(光海君)의 사부(師傅)에 제수되었으며, 사후(死後)에 좌의정(左議政)에 추증됨.
1552~15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보(廷俌) - 이정보(李廷俌)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경기좌도 관찰사(京畿左道觀察使)를 지냈음. 이색(李穡)이 지어준 자설(字說)이 《목은고(牧隱藁)》와 《동문선(東文選)》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보(挺寶) - 최수진(崔秀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ㆍ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 등을 지냄.
1478~154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정보(楨父) - 양희지(楊熙止)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 문장에 뛰어나고 재주가 있었으나 임사홍(任士洪)ㆍ유자광(柳子光)ㆍ노공필(盧公弼) 등과 친하여 그 출처(出處)에 비난을 받기도 함.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정보(正父) - 강회숙(姜淮叔)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晉州).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강시(姜蓍)의 넷째 아들로, 제위장군(諸衛將軍)ㆍ함안 군사(咸安郡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